KR100409940B1 -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유산균,그 이용방법 및 그를 함유한 제품 - Google Patents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유산균,그 이용방법 및 그를 함유한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9940B1
KR100409940B1 KR10-2001-0001764A KR20010001764A KR100409940B1 KR 100409940 B1 KR100409940 B1 KR 100409940B1 KR 20010001764 A KR20010001764 A KR 20010001764A KR 100409940 B1 KR100409940 B1 KR 100409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icobacter pylori
growth
helicobacter
lactic acid
acid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1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1040A (ko
Inventor
전석락
정후길
김응률
Original Assignee
매일유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일유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매일유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1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9940B1/ko
Publication of KR20020061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9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99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는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MK-03,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MK-07 및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Bb-12, 이들을 이용하여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방법, 및 이들을 이용한 헬리코박터 필로리 생육억제용 발효유제품에 관한 것으로,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치료에 있어서 항생제 처리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등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유산균, 그 이용방법 및 그를 함유한 제품{LACTIC ACID BACTERIA SPECIALLY INHIBITING THE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USE THEREOF AND PRODUCT CONTAINING THEM}
본 발명은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유산균 및 그 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헬리코박터 필로리(Helicobacter pylori)는 사람의 위에 존재하는 구부러진 나선형의 세균으로서, 만성위염, 위궤양, 소화성궤양, 위암 등의 발생에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태학적 특징 및 역학조사 결과에 의하면, 위 내용물에서 발견되고 환경적인 변화를 통해서 비정상적인 조건이 유도되었을 때에만 위에 특정작용을 미치는 다른 세균들과 달리, 헬리코박터 필로리는 위점막질과 관련된 세균으로서 위에서 서식하는 미생물균총의 구성원으로서 정상적인 조건하에서도 위점막에 일정한 작용을 미친다.
일부 헬리코박터 필로리는 위의 상피세포와 유사한 형태로 변형된 식도나 십이지장 등의 점막에서도 발견되지만 대부분은 세균이 존재할 수 없을 정도로 강한산성을 지닌 위의 내부, 특히 약 0.5㎜ 두께의 위 점액층에서 상피세포와 접촉한 상태로 정착하여 증식한다. 이러한 헬리코박터 필로리는 위 내의 pH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오히려 개체의 수가 감소하는데 이것은 다른 세균이 위 내에 증식하기 때문이다.
헬리코박터 필로리가 위의 점액층에 정착하는 데에는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요소분해효소, 미호기성, 나선형의 생김새 및 편모를 이용한 운동성 등이 관여한다. 즉, 헬리코박터 필로리는 요소분해효소를 가지고 있어 요소를 분해하여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데, 헬리코박터 필로리 자체는 산에 민감하지만 이러한 암모니아를 생성하기 때문에 위 내의 강한 산성조건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게 된다. 또한 헬리코박터 필로리는 단극성 편모를 가져서 신속하게 점질층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산성 위 내에서 오랫동안의 노출을 피할 수 있으므로 위 내에서 서식할 수 있다.
헬리코박터 필로리가 상피세포에 정착하는 단계가 위 내에서 병원성을 일으키는 최초의 단계이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점액층과 유사한 환경에서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운동성이 증가한 경우에는 위 상피세포로부터 면역호르몬 유전자의 발현이 상향조절되어 점액층이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감염 자체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자연숙주는 사람이며, 위점막에서만 정착하여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사람을 통해 전파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미국이나 호주의 헬리코박터 필로리 감염상황은 20세에 약 20%, 50대 및 그 이상에서도 50%이하인데 반하여, 우리나라 정상성인의 헬리코박터 필로리 감염율은 54.3-75.8%로 매우 높다. 감염율은 20세 이상에서 급격히 증가하여 40대에서 최고 79.8%에 도달하는데 이후에는 약간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낸다.
이렇게 높은 감염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사람에게서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극히 일부에서만 소화성궤양 재발 등의 임상적인 문제를 일으킨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는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존재하는 병독인자의 유무에 따라서 질병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가설과 함께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감염에 대한 인체의 반응이 사람에 따라서 다르다는 점도 중요하다.
감염경로는 분변이나 침, 구토물 등에 의해서 사람에게서 사람으로 전파되며 특히 경제수준이 낮고 좁은 공간에서 밀집생활하는 사람에게서 감염율이 높은데 주로 소아기에 감염이 일어난다.
질병유발에 있어서 헬리코박터 필로리 감염자는 비감염자에 비해 공복 및 식후의 혈중 가스트린 함량이 높다. 또한 공복시 위산의 분비량도 많아지며 식후 위산의 분비가 지속되는 시간도 길어지고 위내의 pH가 2.5 이하인 상황에서도 위산의 분비가 억제되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은 헬리코박터 필로리 감염에 의해서 염증이 유발되고 위점막에서 면역호르몬이 생성되어 소마토스타틴의 분비가 감소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임상소견은 헬리코박터 필로리 제균요법으로 균을 박멸한 후에는 정상이 된다. 헬리코박터 필로리 감염자의 경우에는 십이지장에서 중탄산분비가 감소되는데 이 또한 제균요법 후에는 정상화된다. 이러한 위산분비의 증가는 세균에 의해서 생성되는 암모니아로부터 위벽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십이지장에서는 산도가 현저히 증가하여 십이지장궤양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편 헬리코박터 필로리는 위벽세포에 직접적인 손상을 주기도 하는데 염증이 오래되고 위축성 변화가 오면 오히려 위산의 분비가 감소할 수 있다.
헬리코박터 필로리는 위염, 위궤양 및 십이지장궤양을 일으키며 위암 등의 질병과 관련되기 때문에 헬리코박터 필로리를 위 내에서 근절시키는 것은 소화기관 궤양의 완전한 치료에 필수적이다.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중 국내에서 표준적인 처방은 위산을 억제하는 프로톤 펌프 억제제인 오메프라졸, 페니실린계 항생제인 아목시실린 및 에리스로마이신과 유사한 항생제인 클라리스로마이신을 하루 2회 1주일간 복용하는 것이다.
다른 모든 세균에서와 마찬가지로 국내의 헬리코박터 필로리는 항생제 내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내과의사의 처방에 따라서 치료를 받아야만 효과를 볼 수 있는데 치료성공률은 80% 정도이다. 실제로 최근에는 항생제를 병용하는 새로운 치료법이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제거율을 높이는 것으로 증명되었으나 항생제 내성균주의 빠른 출현을 야기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일단 헬리코박터 필로리가 위점막에 이주하면 비록 그의 감염에 대한 면역 반응이 강하더라도, 즉 항체 역가가 높더라도 위 내에서 근절되지 않고 위에 계속 서식하게 된다. 따라서 항체 요법에 의해서 헬리코박터 필로리가 위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 한, 감염 상태는 항체 투여를 중지한 후 약 1개월 이내에 치료전과 동일한 수준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그리고 위의 pH는 강산인 위산에 의해서 매우 낮게 유지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항체는 비활성화되기 쉽기 때문에 항체 및 위산 분비를 강하게 억제하는 프로톤 펌프 억제제가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근절을 위해서 통상적인 경우보다 많은 투여량으로 병용된다.
다른 방법으로는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감염에 대한 면역 요법이 있다. 면역요법은 헬리코박터 필로리를 근절하기 위하여 항체로 치료하는 데에 따른 부작용 및 내항체성 균주 증가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경구백신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헬리코박터 필로리가 점막성 면역반응에 의해 통제되는 특성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는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감염을 유도할 수 있는 모델 동물을 설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한 경구백신 조합제는 보조제로서 대장균으로부터 유도된 이열성 독소를 가지는데, 통상 경구백신을 사용하는 실험에서 백신 조합제는 대장균으로부터 유도된 이열성 독소 이외에도 콜레라 독소를 가지며 점막 면역은 이들 보조제 없이는 얻어질 수 없다. 그러나 대장균으로부터 유도된 이열성 독소 및 콜레라 독소는 고도의 독성을 가지며 이들 백신법은 인간에의 실제 적용시 안전성에 대한 많은 문제점이 아직 해결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다. 또한 백신은 예방에 우선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헬리코박터에 이미 감염된 바 있는 환자에게는 효과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기타 방법으로는 모든 감염자를 대상으로 하는 제균 치료법의 시행, 엄마가 아기에게 음식을 씹어주는 관행 등을 없애는 공중위생 및 보건교육, 그리고 백신개발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현재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제균에 사용하는 항생제 치료법은 제균율이 80-85% 밖에 되지 않으며 부작용이 적지 않고 비용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감염된 모든 사람을 치료하는 것은 실제적인 방안이 되지 못하고, 보건교육도 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매우 유망한 대안으로 백신개발이 연구되고 있으며, 백신으로는 주로 구강면역요법이 연구되고 있다.
구강 면역요법은 헬리코박터 필로리가 위점막에 존재하기 때문에 세균의 항원과 함께 면역보강제를 경구로 투여함으로써 위점막의 면역반응을 유발하여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감염을 예방한다는 것이다.
현재 시도되고 있는 항원으로는 초음파로 분쇄한 균체 항원, 요소 분해효소의 단위 성분, 액포를 형성시키는 재조합 세포독성 독소와 열충격 단백질 등이 있다. 또한 면역보강제로는 콜레라 독소와 이보다 인체에 덜 해로운 대장균의 열불안정성 장독소인 이열성 독소 및 이를 유전공학적으로 약독화시킨 독소 등이 이용된다. 실제로 헬리코박터 필로리와 비슷한 헬리코박터 펠리스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구강 면역요법의 예방 효과가 확인되었고 일부 치료 효과도 알려지고 있다.
한편 면역계에 의해서 헬리코박터 필로리가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되도록 면역 반응의 균형을 변형시키려는 시도도 있다. 만약에 임상학적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강 면역요법이 개발된다면 전 인류의 50% 이상이 감염되어 있는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의한 질병을 감소시키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고농도의 산을 견디어내며 균수가 103수준으로 적을지라도 사람의 위에서 정착하여 생존할 수 있는 균주를 가지고 있는 몇 안되는 생물체 중 하나인 유산균을 이용하여 헬리코박터 필로리를 치료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다량을 성공적으로 투여하여 위 내에서 충분한 숫자로 정착하여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치료에 이용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유산균주는 밝혀져 있지 않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pH와 유기산 생성능, 항균성 물질의 생성, 상피세포에의 정착성, 헬리코박터 필로리가 분비하는 요소 분해효소의 활성 억제능 등의 평가 및 선발 기준을 통하여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직접적으로 작용하거나 항생제와 수반된 임상적 부작용을 저하시키면서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하여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치료역할을 하는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는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MK-03,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MK-07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MK-03,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MK-07 또는 정착능억제에 의해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는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Bifidobacterium lactis) Bb-12를 이용하여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MK-03 및 그 배양물을 함유하는 헬리코박터 필로리 생육억제용 발효유제품,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MK-07 및 그 배양물을 함유하는 헬리코박터 필로리 생육억제용 발효유제품 및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Bb-12 및 그 배양물을 함유하는 헬리코박터 필로리 생육억제용 발효유제품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프로바이오틱 유산균 종균 개발에 있어서 전제조건은 우수한 항균능력, 우수한 내산성, 우수한 유산생성능, 높은 요소분해효소의 활성저하능, 우수한 임가공조건과 제품보존성시의 안정성을 들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항균활성, 요소분해효소의 활성저해 및 정착능억제에 의해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억제하는 것을 중심으로 균주를 동정하였다.
공지의 균주 및 본 발명자가 인체에서 분리한 신규의 균주들을 포함하는 40여종의 균주를 동정한 결과, 우유발효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항균활성, 장내세포정착능 및 요소분해효소억제활성이 우수하여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억제할 수 있는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MK-03 균주,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MK-07 균주 및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Bb-12 균주를 확인하였다.
항균활성이 특히 우수하여 항균활성에 의하여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는 신균주인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MK-03 균주와, 요소분해활성저해효과가 특히 우수하여 요소분해효소의 활성저해에 의하여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는 신균주인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MK-07 균주를 확인하여 각각 KCTC 18067P와 KCTC 18066P의 기탁번호로 기탁하였다.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MK-03 균주는 항균성 물질을 생산하여 헬리코박터 필로리가 인체 유래의 점질물 분비 세포인 HT29-MTX 세포에 정착하는 정도를 감소시킴으로써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억제한다.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MK-07 균주는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요소분해효소의 활성을 감소시켜 헬리코박터 필로리가 위 내에서 서식할 수 없게 함으로써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억제한다.
또한 정착능억제에 의해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는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Bb-12 균주를 확인하였다.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Bb-12 균주는 현재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의 일종으로서 여러 가지 건강증진 기능 및 생리활성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가 다수 발표되었지만,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억제하는 효과에 대해서는 전혀 밝혀져 있지 않다.
상기와 같은 균주들을 사용하여 체내의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의한 질병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균주들을 사용하여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억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균주들을 이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일반적인 방법들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발효유제품 등으로 가공하여 인체에 투여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균주 및 그 배양물을 함유하는 식품, 특히 발효유제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발효유제품은 통상적인 방법에서 균주만을 본 발명의 균주로 대체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발효유제품은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이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험균주의 배양
본 발명에서 실험한 균주의 목록을 하기 표 1에서 나타내었다.
실험에 사용된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는 M-17 배양액에서 37℃, 24시간 동안 호기배양하였으며, 락토바실러스와 비피도박테리움은 변형 MRS 배양액에서 37℃, 24시간 동안 혐기배양하였다.
공시균주로 사용한 헬리코박터 필로리 균주(Helicobacter pyloriTV130)는 BHI 배양액 (0.25% 효모추출물, 10% 말혈청, 0.4% 캠필로박터 선택성 보충물을 함유)에서 37℃, 24시간 동안 10% CO2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2)
페이퍼 디스크(paper disk)법에 의한 항균효과측정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유산균을 선발하기 위하여 페이퍼 디스크법을 사용하여 유산균의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항균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조건은 다음과 같다.
즉, 헬리코박터 필로리 TV130 균wn 배양액 100 ㎕를 HP-CM 평판배지에 주입하여 표면접종하고 여기에 멸균된 페이퍼 디스크를 놓은 후, 변형 MRS 배양액이나 M-17 배양액에서 생육시킨 유산균 배양액 60 ㎕를 페이퍼 디스크 위에 분주하여 10% CO2배양기에서 37℃로 배양하였다. 배양한 후 형성된 생육 억제환의 크기를 측정하여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항균성 정도를 계측하였다. 이때 페이퍼 디스크는 10mm 직경의 것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으며, 실험에 사용된 유산균 중에서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인체에서 분리된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MK-03 균주가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하여 가장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Caco-2 세포에 대한 정착능 비교 실험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유산균을 선발하기 위하여 Caco-2 세포에 대한 정착능을 비교하였다. 정착능비교를 위한 실험 조건은 다음과 같다.
변형 MRS 배양액에서 37℃, 20시간 동안 혐기적으로 배양하여 유산균 만을 원심분리하여 완충액으로 현탁한 현탁액 100 ㎕(5×107cfu/well)를 24조 플레이트에 첨가하여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세척하여 계면활성제로 유산균과 상피세포를 분리하여 변형 MRS 배지와 BL 아가배지에서 37℃, 20시간 동안 혐기배양하여 형성된 집락을 계측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으며, 실험에 사용된 유산균 중에서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Bb-12 균주가 가장 우수한 Caco-2 세포에 대한 정착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요소분해효소의 활성측정
유산균에 의한 요소분해효소 활성의 감소에 의해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유산균을 선발하기 위하여 요소 분해효소의 활성 측정에 의한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 억제능 실험을 하였다.
실험을 위해 시판되고 있는 신속 우레아제테스트(rapid urease test, Jatrox test, Rohm-Pharma GmbH, Weiterstadt, Germany)를 이용하였으며,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헬리코박터 필로리 배양액을 원심분리(3,000rpm, 10분)하여 PBS로 2회 세척한 후 배양하지 않은 신선한 BHI 배지로 동량 증량하였다. 한편 배양하지 않은 신선한 BHI 배지가 함유된 24조 플레이트에 유산균 배양 상등액을 각각 0%, 10%, 20%씩 첨가하고 준비된 헬리코박터 필로리 배양액을 2% 접종하여 37℃에서 15시간 동안 10% CO2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요소 분해효소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반응용액 200㎕와 상기의 시료 10㎕를 혼합하여 23℃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5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의 결과에서, 실험에 사용된 유산균 중에서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인체에서 분리된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MK-07 균주가 가장 우수한 요소 분해효소의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 SCS(Spent Culture Supernatant) : 소비된 배양상등액
* 대조구 : 헬리코박터 필로리 TV130 SCS 0%, 0.426
(실시예 5)
유산균의 우유 발효능 및 유산 생성능 실험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유산균을 선발하고 이들 유산균을 이용하여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억제하는 프로바이오틱 발효유제품에의 응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우유 발효능과 유산 생성능 실험을 진행하였다.
즉, 11% 탈지유에 배양상등액이 제거된 유산균 현탁액을 1-5×106cfu/ml 로 접종하여 37℃에서 호기적으로 배양하였으며 균수는 변형 MRS 아가에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우유 배양액의 pH와 적정산도, 생균수 모두 양호하였으며 관능검사 결과도 양호한 풍미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유산균을 이용한 프로바이오틱 발효유제품은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예방 및 치료식으로 응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Bif.: 비피도박테리움,Lb.: 락토바실러스.
(실시예 6)
유산균의 종합 평가 및 선발 결과
상기 실시예들에서 확인된, 페이퍼 디스크법에 의한 항균효과, Caco-2 세포에 대한 정착성, 요소분해효소의 활성측정을 통한 헬리코박터 필로리 억제능, 유산균과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동시배양에 따른 총균수와 요소 분해효소의 활력변화의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에서 알 수 있듯이, 실험에 사용된 유산균 중에서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MK-03 균주,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MK-07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Bb-12 균주가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억제하는 활성이 상기의 실험 항목 모두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MK-03 균주는 항균 활성에서,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MK-07 균주는 요소 분해효소의 활성 억제에 의해서,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Bb-12 균주는 정착능 저해에 있어서 매우 우수한 헬리코박터 필로리 생육 억제능을 나타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결과로서 선발된 유산균인 락토바실러스 가세리 MK-03 균주,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MK-07 균주,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Bb-12 균주는 실험에 사용된 항균 활성, 정착성, 요소 분해효소의 활성 억제 등의 선발 기준을 모두 만족하면서 각각 항균 활성, 요소 분해효소 활성의 억제 및 정착능저해에 의해서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한다.
따라서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치료에 있어서 항생제 처리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등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할 수 있으며, 발효유제품 등에 응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정착능억제에 의해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내는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Bifidobacterium lactis) Bb-12를 이용하여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방법.
  6. 삭제
  7. 삭제
  8. 비피도박테리움 락티스 Bb-12 및 그 배양물을 함유하는 헬리코박터 필로리 생육억제용 발효유제품.
KR10-2001-0001764A 2001-01-12 2001-01-12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유산균,그 이용방법 및 그를 함유한 제품 KR100409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764A KR100409940B1 (ko) 2001-01-12 2001-01-12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유산균,그 이용방법 및 그를 함유한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764A KR100409940B1 (ko) 2001-01-12 2001-01-12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유산균,그 이용방법 및 그를 함유한 제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6777A Division KR100437487B1 (ko) 2003-09-26 2003-09-26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유산균,그 이용방법 및 그를 함유한 제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040A KR20020061040A (ko) 2002-07-22
KR100409940B1 true KR100409940B1 (ko) 2003-12-18

Family

ID=27691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764A KR100409940B1 (ko) 2001-01-12 2001-01-12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유산균,그 이용방법 및 그를 함유한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99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45209T3 (es) 2008-04-22 2015-09-09 Corporación Alimentaria Peñasanta (Capsa) Método de obtención de una nueva cepa de Bifidobacterium bifidum con actividad frente a la infección por Helicobacter pylori
IT201800009755A1 (it) * 2018-10-24 2020-04-24 Berardino Vaira Nuovi probiotici utili per eradicare l'infezione da helicobacter pylori
CN115119940A (zh) * 2021-12-23 2022-09-30 微康益生菌(苏州)股份有限公司 嗜酸乳杆菌LA85和乳双歧杆菌BLa80在抑制幽门螺旋杆菌上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040A (ko) 2002-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zerucka et al. Experimental effects of Saccharomyces boulardii on diarrheal pathogens
Oelschlaeger Mechanisms of probiotic actions–a review
Zanello et al. Saccharomyces boulardii effects on gastrointestinal diseases
EP2179028B1 (en) A novel strain of bifidobacterium and active peptides against rotavirus infections
Fuller Probiotics 2: applications and practical aspects
Kabir et al. Prevention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by lactobacilli in a gnotobiotic murine model.
Servin Antagonistic activities of lactobacilli and bifidobacteria against microbial pathogens
Behnsen et al. Probiotics: properties, examples, and specific applications
KR100426832B1 (ko) 위염, 위궤양 및 십이지장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특이적 항체
ES2245801T3 (es) Preparacion farmaceutica que comprende lactobacillus casei rhamnosus.
DK2494031T3 (en) Novel lactobacillus plantarum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Saraf et al. Probiotics-do they have a role in medicine and dentistry
US7927584B2 (en) Lactic bacteria useful as probiotics
EP2349295B1 (en) Pharmaceutical preparation comprising a combination of streptococcus strains and lactobacillus strains
ATE480623T1 (de) Bereitstellung von peptiden mit kleeblattstruktur
Ki et al. In vitro inhibition of Helicobacter pylori growth and of adherence of cagA-positive strains to gastric epithelial cells by Lactobacillus paraplantarum KNUC25 isolated from kimchi
US20090285794A1 (en) Novel non-antibiotic strategy against OGIP infections based on an activated cereal product or ferric quinate
Asgari et al. The Anti-Helicobacter pylori Effect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L. plantarum, and L. rhamnosus in Stomach Tissue of C57BL/6 Mice
Tellez et al. A peptidic fraction from milk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helveticus protects mice against Salmonella infection
Cui et al. Two stomach-originated Lactobacillus strains improve Helicobacter pylori infected murine gastritis
KR100409940B1 (ko)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유산균,그 이용방법 및 그를 함유한 제품
KR100437487B1 (ko)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유산균,그 이용방법 및 그를 함유한 제품
JP4509250B2 (ja) Helicobacterpylori除菌性医薬品
JP6338206B2 (ja) 抗ヘリコバクター・ハイルマニー剤
KR20040083748A (ko) 헬리코박터 파이로리로 인한 장염 원인물질과 식중독균에의한 식중독균 원인물질에 대한 복합 특이 난황 항체의생산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