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9224B1 -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그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그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9224B1
KR100409224B1 KR10-2001-0084945A KR20010084945A KR100409224B1 KR 100409224 B1 KR100409224 B1 KR 100409224B1 KR 20010084945 A KR20010084945 A KR 20010084945A KR 100409224 B1 KR100409224 B1 KR 100409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ata
data broadcasting
contents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4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9102A (ko
Inventor
김덕중
유준선
민동환
김인숙
김성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어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어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어코드
Priority to PCT/KR2002/00028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2069539A2/en
Priority to EP02701763A priority patent/EP1362301A2/en
Priority to AU2002234996A priority patent/AU2002234996A1/en
Priority to US10/469,200 priority patent/US20040139483A1/en
Publication of KR20020069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9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92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06Content authoring involving a specific file format, e.g. MP4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09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transcoding between formats or standards, e.g. from MPEG-2 to MPEG-4 or from Quicktime to Real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시스템은, 데이터 방송에 적합한 형태로 객체 또는 이미지를 변형시켜 새로운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저작하는 저작 엔진; 상기 저작 엔진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전달받아, 하나 이상의 데이터 방송 규격에 맞도록 상기 컨텐츠를 표준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저작 엔진으로부터 생성된 컨텐츠 데이터를 전달받고 상기 데이터 변환부로부터 변환된 컨텐츠 데이터를 전달받아, 하나 이상의 방송용 표준에 맞는 방송용 컨텐츠 형식으로 변환하는 코드 생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위지윅 개념의 방송용 컨텐츠 제작 툴에 의해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손쉽고 빠르게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며,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툴의 인터페이스를 컴퓨터 그래픽 디자이너가 익숙하게 사용하는 제작 툴의 인터페이스와 유사하게 맞춘 후, 작업 결과를 웹 환경의 프로그램 코드로 자동 생성하도록 하며, 여러 사용자가 공동 제작한 컨텐츠를 통일된 프로그램 표현 방식으로 표현하고, 결과물의 품질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그 제작 방법{A CONTENTS AUTHORING SYSTEM AND A CONTENTS AUTHORING METHOD FOR DATA BROADCASTING}
본 발명은 데이터 방송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전문가가 아닌 사용자도 손쉽게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방송(Data Broadcasting)이라 함은 첨부한 도1에서와 같이 방송망을 방송 프로그램과 함께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 날씨, 증권, 뉴스 정보는 물론이고, 인터넷(internet)을 통한 정보 제공 및 전자 상거래(EC : Electronic Commerce)도 가능하도록 하는 방송을 말한다. 이러한 데이터 방송은 일반 사용자에게 새로운 정보 인프라(infra)로서의 기능과 함께 서비스, 기기, 컨텐츠 등 관련 고부가가치 신산업의 창출이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데이터 방송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풍부하고 다양한 양질의 컨텐츠가 필수적인데, 이를 위하여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쉽게 제작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관리, 운영할 수 있는 제작 시스템의 개발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또한,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기획, 편성 인력(작가, 프로듀서 등)과 내용을 표현하는 컴퓨터 그래픽(Computer Graphic)디자이너, 각종 프로그램 언어를 이용한 프로그래머가 필요하다.
그런데, 컴퓨터 그래픽과 HTML/XHTML/Javascript, Java와 같은 프로그램을 연동시켜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웹 환경의 HTML 편집과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의 특성이 분명히 다르기 때문에,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툴(TOOL)을 이용하여 실제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제작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툴인 에스디케이(SDK : Software Develop Kit)를 이용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제작 툴을 사용하는 전문가가 아니면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제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사용자가 손쉽게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툴의 인터페이스를 컴퓨터 그래픽 디자이너가 익숙하게 사용하는 제작 툴의 인터페이스와 유사하게 맞춘 후, 작업 결과를 웹 환경의 프로그램 코드로 자동 생성하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여러 사용자가 공동 제작한 컨텐츠를 통일된 프로그램 표현 방식으로 표현하고, 결과물의 품질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고자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컨텐츠 제작 툴을 위지윅 방식을 통해 비전문가라도 디지털 방송용 컨텐츠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의 데이터 방송에 대한 개략도 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 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시스템은,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제작하는 제작 시스템으로서,
데이터 방송에 적합한 형태로 객체 또는 이미지를 변형시켜 새로운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저작하는 저작 엔진;
상기 저작 엔진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전달받아, 하나 이상의 데이터 방송 규격에 맞도록 상기 컨텐츠를 표준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저작 엔진으로부터 생성된 컨텐츠 데이터를 전달받고 상기 데이터 변환부로부터 변환된 컨텐츠 데이터를 전달받아, 하나 이상의 방송용 표준에 맞는 방송용 컨텐츠 형식으로 변환하는 코드 생성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방법은,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으로서,
새로운 컨텐츠 페이지에 추가사항을 전달받아 기본 화면 구성을 완료하고, 하나 이상의 페이지로 구성되는 새로운 컨텐츠 페이지의 연관 관계를 맺도록 페이지간 링크를 설정하여 기본 페이지를 설정하는 단계;
새롭게 생성된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데이터 방송 규격에 맞도록 상기 컨텐츠를 표준 파일 형식 및 하나 이상의 방송용 표준에 맞는 방송용 컨텐츠 형식으로 변환하여 새로운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에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혼합하여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 이다.
첨부한 도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저장하는 방송국의 멀티미디어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300)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호출하고, 방송용 컨텐츠 제작의 기반이 되는 컨텐츠를 컨텐츠 서버(400)로부터 전송 받아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제작하는 데이터방송 컨텐츠 제작 시스템(100); 및 제작된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프리뷰 시뮬레이터(200)를 포함한다.
데이터 방송 컨텐츠 제작 시스템(100)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 연동 모듈(110), 컨텐츠 서버 연동 모듈(120), 저작 엔진(130),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이하 GUI라 칭함)(140), ATSC-DASE 처리 모듈(150), DVB-MHP 처리 모듈(160), 코드 생성기(170)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 연동 모듈(110)은, 기존의 방송국 등에 구축되어진 오디오/비디오/이미지 클립(Audio/Video/Image Clip)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3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세션(session)을 유지하며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을 위한 기반 컨텐츠를 호출한다.
컨텐츠 서버 연동 모듈(120)은 저작 엔진(130)에 의해 이미 만들어져 있는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 서버(4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컨텐츠 서버(400)로부터의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호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저작 엔진은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툴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 연동 모듈(110) 또는 컨텐츠 서버 연동 모듈(120)에 의해 호출된 컨텐츠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저작한다.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140)는 사용자(또는 컨텐츠 제작자)가 손쉽게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입력도구에 의한 각각의 이벤트들을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ATSC-DASE 처리 모듈(150)은 저작 엔진(130)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전달받아, ATSC 표준 스팩에 부합하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통해 사용자가 작성한 오브젝트와 액션(Action)을 참조하여 ATSC-DASE(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 Digital TV Application Software Environment, 미국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방송의 규격)의 표준 파일 형식으로 변환한다.
DVB-MHP 처리 모듈(160)은 저작 엔진(130)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저작된 컨텐츠를 전달받아 DVB-MHP(Digital Video Broadcasting - Multimedia Home Platform, 유럽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방송 규격)의 표준 파일 형식으로 변환한다.
코드 생성기(170)는 해당 프로그램 언어의 소스코드를 생성하는 XML (eXtensivle Markup Language)생성기(171), JAVA 생성기(172), BML(Broadcasting Markup Language)생성기(173), HTML/XHTML(eXtensible Hyper Text Markup Language)생성기(174)를 포함하며, 미리 정의되어진 변환 알고리즘(algorithm)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를 일반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형식으로 변환한다. 저작 엔진(130)의 각 오브젝트들은 방송용 표준에 맞게 변환될 규칙을 가지고 있으므로, 코드 생성기(170)는 이 규칙을 참조하여 일반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형식으로 변환한다.
상기한 각 기능부는 각각의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장치일 수 있으며, 각 기능부는 그 기능이 통합된 단일의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장치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작 엔진(130)은 벡터 오브젝트 에디터(131), 위짓 메이커(widget maker)(132), 라이브러리 브라우저(133), 이미지 프로세서(134), 링크 에디터(135)를 포함한다.
벡터 오브젝트 에디터(131)는 원시데이터를 만들기 위한 기본 오브젝트들을 생성/편집/삭제하기 위한 작업을 처리한다. 이때, 벡터 오브젝트 에디터가 오브젝트에게 반드시 있어야 하는 속성들을 이용하여 기본 오브젝트를 만들어 두면 모든 오브젝트는 기본 오브젝트의 속성을 상속받아서 처리한다. 상기한 각 오브젝트는 기본 속성 외에 자신만의 고유한 속성을 가지게 되고, 입력장치로부터 전달받은 이벤트를 처리한다.
위짓 메이커(132)는 재사용이 가능한 위짓을 만드는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한 위짓은 반복되는 사용자의 작업을 손쉽게 처리 할 수 있도록 특정 작업에 대한 템플릿(Template)을 만들어 두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구성 요소를 말한다.
라이브러리 브라우저는 사용자에 의해 제작되는 컨텐츠의 라이브러리와 위짓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라이브러리는 기본적으로 특정 컴퓨터의 일정 디렉토리에 저장되는데, 라이브러리 브라우저는 이 폴더의 내용을 읽고 분석해서 작은 이미지 형태(Thumbnail)형태로 저장한 후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선택해서 사용 할 수 있도록 보여주게 되며, 라이브러리에 추가되어진 내용들을 편리하게 정리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UI)도 제공한다.
이미지 프로세스에서는 이미지의 투명/반투명 영역 처리와 여러 종류의 이미지 파일 형태로 이미지를 만들어 내고, 팔래트와 디더링 기술을 이용해 최적화된 이미지를 생성한다.
링크 에디터는 여러 개의 페이지로 구성되는 새로운 컨텐츠 페이지를 사용자가 보다 손쉽게 페이지를 네비게이션(navigation)할 수 있도록, 페이지의 연관 관계를 맺어서 마우스의 드래그 앤 드롭(Drag Drop) 만을 이용해서 링크를 쉽게 추가/편집/삭제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프리뷰 시뮬레이터(200)는 코드 생성기(170)로부터 변환된 컨텐츠 데이터를 전달받아 완성된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가 포함된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브라우저 모듈(210); JAVA로 저작된 컨텐츠 데이터를 코드 생성기(170)로부터 전달받아 여러 종류의 플랫폼(서로 다른 환경의 컴퓨터 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에서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JAVA VM(JAVA Virtual Machine)모듈(230);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이하 TS라 칭함)또는 비디오 입력 신호를 전달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A/V 디스플레이 모듈(220); 브라우저 모듈(210)과 JAVA VM 모듈(230)로부터 각각의 데이터 형식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데이터 표시 화면과, A/V 디스플레이 모듈(220)에 의해 디스플레이 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혼합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믹싱 모듈(240)을 포함한다.
저작 엔진(130)의 각 기능 블럭과 프리뷰 시뮬레이터(200)의 각 모듈은 각각의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장치 일 수 있고, 각 기능 블록 및 각 모듈은 각각의 기능이 통합된 단일화된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 장치로 존재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시스템의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멀티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300)는 기존의 방송국 등에 구축되어진 오디오/비디오 데이터 및 파일과 이미지 파일과 사운드 클립을 저장하고 있고, 컨텐츠 서버(400)는 저작 엔진(130)에 의해 이미 만들어져 있는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사용자(또는 컨텐츠 제작자)가 새로운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페이지를 구성하기 위해 저작 엔진(130)을 구동하면, 저작 엔진(130)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연동 모듈(110)과 컨텐츠 서버 연동 모듈(120)을 통해 기 저장된 컨텐츠 데이터를 호출한다(S100). 이때, 멀티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300) 및 컨텐츠 서버(400)로부터 추출된 컨텐츠는 GUI 처리 모듈(140)을 통해서 기본 오브젝트로 변환이 되는데, 직접 작성된 컨텐츠 역시 기본 오브젝트이다. 원시 컨텐츠 기본 오브젝트의 묶음을 말하는 것으로 기본 오브젝트를 원시 컨텐츠로 변환할필요는 없다.
사용자는 호출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를 근거로 저작 엔진(130)을 통해 새로운 컨텐츠 제작 페이지에 추가되어야 할 추가 사항에 대해 직접 저작한다(S110). GUI 처리 모듈(140)은 컨텐츠를 포함한 화면(display)관련 내용을 디스플레이하며(S120), 도시하지 않은 입력 도구에 의한 각각의 이벤트를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저작 엔진(130)의 벡터 오브젝트 에디터(131), 위짓 메이커(132), 라이브러리 브라우저(133) 및 이미지 프로세서(134)를 이용하여 기본 화면 구성을 완료한다(S130). 여기서, 벡터 오브젝트 에디터(131)는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하는 작업중 가장 기본이 되는 작업으로서, 원시 데이터를 만들기 위한 기본 오브젝트를 생성, 편집하거나 삭제하는 작업을 처리하는데, 벡터 오브젝트 에디터가 오브젝트에게 반드시 있어야 하는 속성들을 이용하여 기본 오브젝트를 만들어 두면 모든 오브젝트는 기본 오브젝트의 속성을 상속받아서 처리한다.
라이브러리가 기본적으로 특정 컴퓨터의 일정 디렉토리에 저장되기 때문에, 라이브러리 브라우저(133)는 이 폴더의 내용을 읽고 분석해서 작은 이미지 형태(Thumbnail)형태로 저장한 후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보여주게 되며, 라이브러리에 추가되어진 내용들을 편리하게 정리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UI)도 제공한다. 또한, 라이브러리 브라우저(133)는 사용자에 의해 제작되는 컨텐츠의 라이브러리와 위짓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위짓 메이커(132)는 재사용이 가능한 위짓을 만드는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한 위짓은 반복되는 사용자의 작업을 손쉽게 처리 할 수 있도록 특정 작업에 대한 템플릿(Template)을 만들어 두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구성 요소를 말한다.
위짓 메이커(132)는 재사용이 가능한 위짓을 만드는 작업을 처리하는데, 가로/세로 메뉴(Menu), 컨텐츠 박스(Contents Box), 롤 오버 버튼(Rollover Button), TV 프레임(frame)을 만드는 기능을 한다. 메뉴 위짓에서는 Normal/Over/Down 의 각 상태에 대한 기본적인 값들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메뉴의 구성에 따라 자동으로 메뉴를 생성한다. 일반적인 페이지의 네비게이션을 위한 메뉴 위짓은 데이터 방송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기본 페이지의 루트(root)메뉴가 있고, 루트 메뉴에서 다른 페이지들로 가는 링크를 만들게 된다. 사용자는 메뉴 항목들을 지정하기만 하면, 미리 정의된 메뉴의 이미지 형태의 속성을 참조하여 자동으로 여러 페이지를 만들게 된다. 컨텐츠 박스는 이미지의 확대/축소의 경우와는 다르게, 이미지의 확대/축소가 수행될 경우 반복될 지점들을 설정해서 보다 지능적인 이미지 확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미지에 있어서, 사용자가 반복되는 구간과 항상 변하지 않는 부분을 선택하면, 컨텐츠 박스는 각 부분의 속성(반복/비반복)을 이용하여 지능적인 이미지 확대/축소를 수행한다. 롤 오버 버튼은 현재 컨텐츠의 상태가 Normal/Over/Down 의 세 가지 형태에 따라 다른 작동을 하는 버튼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이미지 프로세스에서(134)는 벡터 오브젝트 에디터(131)와 위짓 메이커(132)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생성된 컨텐츠 이미지의 투명/반투명 영역 처리와 여러 종류의 이미지 파일 형태로 이미지를 만들어 내고, 팔래트와 디더링 기술을 이용해 최적화된 이미지를 생성한다.
링크 에디터(135)는 벡터 오브젝트 에디터(131), 위짓 메이커(132) 및 라이브러리 브라우저(133)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여러 개의 페이지로 구성되는 새로운 컨텐츠 페이지의 연관 관계를 맺도록 페이지간 링크를 설정한다(S140).
링크 에디터(135)는 사용자의 마우스 동작만을 통해 여러 개의 페이지가 추가/편집/삭제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쉽게 페이지 네비게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페이지간 링크 설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저작 엔진(130)을 통해 기본 페이지 설정과 링크 정보 저작을 완료한다(S150).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컨텐츠를 위지윅(WYSIWYG : What You See Is What You Get)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위지윅이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또는 텍스트 페이지를 만들기 위한 인터페이스 또는 콘텐츠 개발도구로서, 저작중인 컨텐츠의 결과물이 결국 어떤 모습으로 화면에 나타나게 될 것인지를 작업 중에도 볼 수 있도록 해준다.
ATSC-DASE 처리 모듈(150) 및 DVB-MHP 처리 모듈(160)은 저작 엔진(130)의 위짓 메이커(132)와 이미지 프로세서(134)로부터 저작된 컨텐츠를 전달받아 각각의 표준 데이터로 변환한다(S160). ATSC-DASE 처리 모듈(150)은 ATSC 표준 스팩에 부합하는 API를 통해 사용자가 작성한 오브젝트와 액션(Action)을 참조하여 ATSC-DASE의 표준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고, DVB-MHP 처리 모듈(160)은 DVB-MHP의 표준 파일 형식으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 이외에, 데이터 방송 컨텐츠 제작 시스템은 디지털 방송의 규격에 따른 특정의 표준 데이터 변환 모듈을 통해 표준 파일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아니다.
코드 생성기(170)는 ATSC-DASE 처리 모듈(150) 또는 DVB-MHP 처리 모듈(160)로부터 변환된 표준 파일 형식의 컨텐츠를 전달받고, 저작 엔진(130)의 링크 에디터(135)로부터 링크 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프로그램 언어의 소스코드를 생성하는 XML 생성기(171), JAVA 생성기(172), BML 생성기(173) 및 HTML/XHTML 생성기(174)를 통해 일반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형식으로 변환하여(S170) 새로운 방송용 컨텐츠를 생성한다(S180).
프리뷰 시뮬레이터(200)는 코드 생성기(170)로부터 새롭게 생성된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전달받아, 생성된 방송용 컨텐츠가 JAVA로 저작된 컨텐츠인지 체크한다(S190). 만일, JAVA로 저작된 컨텐츠이면 JAVA VM(Virtual Machine, 이하 VM이라 칭함)모듈은 생성된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화면에 표시한다(S200). 이때, 저작된 컨텐츠가 JAVA로 저작된 컨텐츠가 아니면, 브라우저 모듈(210)에서 XHTML, HTML, XML, BML을 표시한다(S210). A/V 디스플레이 모듈(230)은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TS : Transport Stream) 또는 비디오 입력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 전달받아 화면에 표시한다(S220).
프리뷰 시뮬레이터(200)는 컴퓨터 또는 단말기에 저장되어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서, 셋탑 박스(Set-Top Box)와 TV의 기능을 처리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 셋탑 박스라 함은 일반적으로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AV와 데이터를 수신 받아 AV는 그대로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데이터 부분은 수신 데이터의 형식에 따라서 화면에 표시하여 준다. 프리뷰 시뮬레이터(200)는 수신된 데이터가XHTML/HTML/BML의 경우 브라우저 모듈(210)을 동작시켜 각 형식의 브라우저를 통해서 데이터를 보여주게 되며, DVB-MHP의 경우 JAVA VM 모듈(220)을 동작시켜 JAVA 컨텐츠를 화면에 보여준다. 프리뷰 시뮬레이터(200)의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의 디스플레이에서, 비디오 데이터는 일반적인 TV 카드를 사용하여 비디오 소스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며, MPEG2 TS(Trasport Stream)파일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한다. 이때, 데이터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TV는 단지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와 컨텐츠를 화면에 보여주는 역할만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프리뷰 시뮬레이터에서는 각 브라우저 모듈(210) 및 JAVA VM 모듈(220)을 통해 각각의 데이터 형식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브라우저 모듈(210)과 JAVA VM 모듈(220)은 컨텐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믹싱 모듈(240)은 디스플레이 될 데이터를 브라우저 모듈(210), JAVA VM 모듈(220) 및 A/V 디스플레이 모듈(230)로부터 전달받아 혼합(또는 믹싱)하여(S230),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 화면을 아래쪽에 배치시키고 컨텐츠 데이터 화면을 위쪽에 배치시켜서 마치 하나의 그림인 것처럼 믹싱시킨다. 디스플레이 믹싱 모듈(240)은 믹싱된 결과를 화면에 표시한다(S240).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나의 실시 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많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제작 방법은 사용자가 위지윅 개념의 방송용 컨텐츠 제작 툴에 의해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손쉽고 빠르게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툴의 인터페이스를 컴퓨터 그래픽 디자이너가 익숙하게 사용하는 제작 툴의 인터페이스와 유사하게 맞춘 후, 작업 결과를 웹 환경의 프로그램 코드로 자동 생성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여러 사용자가 공동 제작한 컨텐츠를 통일된 프로그램 표현 방식으로 표현하고, 결과물의 품질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13)

  1.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제작하는 제작 시스템에서,
    데이터 방송에 적합한 형태로 객체 또는 이미지를 변형시켜 새로운 데이터 방송 컨텐츠를 저작하는 저작 엔진;
    상기 저작 엔진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전달받아, 하나 이상의 데이터 방송 규격에 맞도록 상기 컨텐츠를 표준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저작 엔진으로부터 생성된 컨텐츠 데이터를 전달받고 상기 데이터 변환부로부터 변환된 컨텐츠 데이터를 전달받아, 하나 이상의 방송용 표준에 맞는 방송용 컨텐츠 형식으로 변환하는 코드 생성부
    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코드 생성부에 의해 변환된 컨텐츠 형식의 생성 컨텐츠 데이터와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혼합하여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데이터 처리하는 디스플레이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시스템.
  3. 제1항에서,
    오디오, 비디오 및 이미지 클립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세션 유지하며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을 위한 기반 컨텐츠를 호출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 연동 모듈;
    상기 저작 엔진에 의해 기 생성된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컨텐츠 서버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컨텐츠 서버로부터의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호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컨텐츠 서버 연동 모듈; 및
    사용자의 입력도구에 의한 각각의 이벤트들을 처리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시스템.
  4. 제1항에서, 상기 저작 엔진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이벤트에 따라 원시데이터를 만들기 위한 기본 오브젝트를 생성 또는 편집 또는 삭제하기 위한 작업을 처리하는 벡터 오브젝트 에디터;
    상기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또는 이미지의 일부분을 라이브러리화 하고 객체화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위짓을 만드는 위짓 메이커;
    사용자에 의해 제작되는 컨텐츠의 라이브러리와 위짓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일정 디렉토리에 저장되는 라이브러리의 내용을 판독하고 분석하여 작은 이미지 형태로 저장한 후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선택해서 사용 할 수 있도록 보여주는 라이브러리 브라우저;
    이미지의 투명 또는 반투명 영역 처리와 하나 이상의 이미지 파일 형태로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프로세스;
    하나 이상의 페이지로 구성되는 새로운 컨텐츠 페이지를 사용자가 손쉽게 페이지 네비게이션 할 수 있도록 페이지 상호간의 링크를 쉽게 추가 또는 편집 또는 삭제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링크 에디터
    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시스템.
  5. 제1항에서, 상기 데이터 변환부가
    상기 저작 엔진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전달받아, ATSC 표준 스팩에 부합하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통해 사용자가 작성한 오브젝트와 액션을 참조하여 ATSC-DASE의 표준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는 ATSC-DASE 처리 모듈; 및
    싱기 저작 엔진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저작된 컨텐츠를 전달받아 유럽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방송 규격인 DVB-MHP의 표준 파일 형식으로 변환하는 DVB-MHP 처리 모듈
    을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시스템.
  6. 제1항에서, 상기 코드 생성부가
    해당 프로그램 언어의 소스코드를 생성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언어 생성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작 엔진의 각 오브젝트가 가지고 있는 방송용 표준에 맞게 변환될 규칙을 참조하여, 미리 정의되어진 변환 알고리즘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를 일반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시스템.
  7. 제2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처리부가
    상기 코드 생성부로부터 변환된 컨텐츠 데이터를 전달받아 완성된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가 포함된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브라우저 모듈;
    JAVA로 저작된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코드 생성부로부터 전달받아 하나 이상의 플랫폼에서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JAVA VM 모듈;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엠펙2(MPEG-2)트랜스포트 스트림 또는 비디오 입력 신호를 전달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A/V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브라우저 모듈과 상기 JAVA VM 모듈로부터 각각의 데이터 형식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데이터 표시 화면과, 상기 A/V 디스플레이 모듈에 의해 디스플레이 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혼합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믹싱 모듈
    을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시스템.
  8.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이용한 컨텐츠 제작 방법에서,
    새로운 컨텐츠 페이지에 추가사항을 전달받아 기본 화면 구성을 완료하고,하나 이상의 페이지로 구성되는 새로운 컨텐츠 페이지의 연관 관계를 맺도록 페이지간 링크를 설정하여 기본 페이지를 설정하는 단계;
    새롭게 생성된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기반으로 하나 이상의 데이터 방송 규격에 맞도록 상기 컨텐츠를 표준 파일 형식 및 하나 이상의 방송용 표준에 맞는 방송용 컨텐츠 형식으로 변환하여 새로운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에 외부로부터 전달받은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혼합하여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기본 페이지 설정 단계가
    이미 생성된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정보저장장치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호출하여 새로운 컨텐츠 제작 페이지에 추가되어야 할 추가 사항에 대해 저작하는 단계;
    저작 엔진을 통해 기본 화면에 대한 구성을 처리하고, 하나 이상의 페이지로 구성되는 새로운 컨텐츠 페이지의 연관 관계를 맺도록 페이지간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새로운 컨텐츠에 대한 기본 페이지 설정과 링크 정보 저작을 완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저작 단계가
    원시 데이터를 만들기 위한 기본 오브젝트를 생성, 편집하거나 삭제하는 작업을 처리하는 단계;
    폴더의 내용을 읽고 분석해서 작은 이미지 형태로 저장한 후 사용자가 편리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화면에 보여주는 단계;
    재사용이 가능한 위짓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방법.
  11. 제10항에서, 상기 위짓 생성 단계가
    하나 이상의 화면 표시 상태에 대한 기본적인 값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자동으로 메뉴를 생성하는 메뉴 위짓과, 반복될 지점을 설정해서 이미지의 각 부분의 속성을 이용해 이미지 확대 또는 축소를 수행하는 컨텐츠 박스와, 현재 컨텐츠의 상태에 따라 다른 작동을 하는 버튼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롤 오버 버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방법.
  12. 제8항에서, 상기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설정 단계가
    저작이 완료된 컨텐츠를 전달받아 하나 이상의 방송용 표준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변환된 표준 파일 형식의 컨텐츠를 전달받고 하나 이상의 컨텐츠에 대한 링크 정보를 전달받아, 일반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형식으로 변환하여 새로운 방송용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방법.
  13. 제8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가
    새롭게 생성된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전달받아, 생성된 방송용 컨텐츠가 제1 프로그램 언어로 저작된 컨텐츠인지 체크하여 상기 제1 프로그램 언어로 저작된 컨텐츠이면 상기 제1 프로그램 언어로 제작된 컨텐츠 데이터가 하나 이상의 다른 플랫폼에서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가상의 기계를 통해 생성된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저작된 컨텐츠가 상기 제1 프로그램 언어 이외의 특정 프로그램 언어로 저작된 컨텐츠이면, 해당 브라우저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엠펙-2 트랜스포트 스트림 또는 비디오 입력신호를 외부 장치로부터 전달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프로그램 또는 상기 특정 프로그램으로 저작된 컨텐츠 데이터와, 엠펙-2 트랜스포트 스트림 또는 비디오 입력신호를 혼합하여 혼합된 결과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방법.
KR10-2001-0084945A 2001-02-23 2001-12-26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그 제작 방법 KR100409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2/000281 WO2002069539A2 (en) 2001-02-23 2002-02-21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ng data broadcasting contents
EP02701763A EP1362301A2 (en) 2001-02-23 2002-02-21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ng data broadcasting contents
AU2002234996A AU2002234996A1 (en) 2001-02-23 2002-02-21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ng data broadcasting contents
US10/469,200 US20040139483A1 (en) 2001-02-23 2002-02-21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zing data broadcasting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9299 2001-02-23
KR20010009299 2001-0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102A KR20020069102A (ko) 2002-08-29
KR100409224B1 true KR100409224B1 (ko) 2003-12-06

Family

ID=27695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4945A KR100409224B1 (ko) 2001-02-23 2001-12-26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그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92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599B1 (ko) * 2003-03-10 2009-09-07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텔레비전을 통한 정부 정보 전달 시스템
KR100694123B1 (ko) * 2004-07-30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영상 데이터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록된 저장매체 및 그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0626648B1 (ko) * 2004-11-25 2006-09-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생성 장치 및 그 방법과관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0649946B1 (ko) * 2005-05-30 2006-12-26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Ocap 기반의 라이브러리 구축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0717175B1 (ko) * 2005-08-23 2007-05-10 한국방송공사 데이터 방송 애플리케이션 저작 시스템 및 그 방법,저작툴, 컴포넌트 개발 에디터, 컴포넌트 생성방법 및 방법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US20090259940A1 (en) * 2008-02-14 2009-10-15 Moraes Ian M Mobile video application service creation tool
KR101437146B1 (ko) * 2013-09-23 2014-10-07 (주)토스트씨 개방형 연동형 데이터 방송 제공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058A (ko) * 1997-02-26 1998-10-26 이득렬 부가 데이터 서비스용 디지탈 방송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방법
WO2000027114A1 (en) * 1998-10-30 2000-05-1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for enabling a digital television receiver to access system information in an abstract format
KR20010092488A (ko) * 2000-03-22 2001-10-26 김춘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부가서비스 데이터 처리 장치
KR20020043385A (ko) * 2000-12-04 2002-06-10 김문영 디지털 방송용 컨텐츠 데이터의 재활용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62022A (ko) * 2001-01-19 2002-07-25 백은옥 쌍방향 콘텐츠 재생이 가능한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기 및그 방송시스템
KR20020066260A (ko) * 2001-02-09 2002-08-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스트리밍 장치및 그 방법
KR20020074818A (ko) * 2001-03-22 2002-10-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터넷 콘텐츠 기반의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데이터송수신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058A (ko) * 1997-02-26 1998-10-26 이득렬 부가 데이터 서비스용 디지탈 방송 시스템의 데이터 송신방법
WO2000027114A1 (en) * 1998-10-30 2000-05-1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for enabling a digital television receiver to access system information in an abstract format
KR20010092488A (ko) * 2000-03-22 2001-10-26 김춘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부가서비스 데이터 처리 장치
KR20020043385A (ko) * 2000-12-04 2002-06-10 김문영 디지털 방송용 컨텐츠 데이터의 재활용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62022A (ko) * 2001-01-19 2002-07-25 백은옥 쌍방향 콘텐츠 재생이 가능한 디지털 텔레비젼 수신기 및그 방송시스템
KR20020066260A (ko) * 2001-02-09 2002-08-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스트리밍 장치및 그 방법
KR20020074818A (ko) * 2001-03-22 2002-10-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터넷 콘텐츠 기반의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데이터송수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102A (ko) 200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6450B1 (ko) 그래픽 객체 디스플레이
US8434007B2 (en) Multimedia reproduction apparatus, menu screen display method, menu screen display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ed with menu screen display program
US200800106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active Services in Digital Television
US7394473B2 (en) Browser and program containing multi-medium content
JP2009509245A (ja) 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用の独立型ミニアプリケ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11447479A (zh) 一种提供提示语的图形用户界面方法及显示设备
KR10067742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 방법
US2009025995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Soares et al. Nested context language 3.0 part 8–ncl digital tv profiles
KR100409224B1 (ko)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그 제작 방법
Nichols et al. Creating a lightweight user interface description language: An overview and analysis of the personal universal controller project
US200401394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zing data broadcasting contents
US6987513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utilizing a plurality of node processing means for view/drawing including analysis, selection, display control, view generation and re-generation
JP5049880B2 (ja) 情報処理装置
KR20120000595A (ko) 멀티플랫폼에서 구동되는 온라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16340680A (zh) 一种显示设备及插件对象生命周期管理的控制方法
CN114584825A (zh) 一种带有视频窗口的页面显示方法和网关设备
US20010052125A1 (en) System for authoring contents of digital television and method therefor
Manca et al. Supporting multimodality in service-oriented model-based development environments
Oliveira et al. iTV project: an authoring tool for mhp and ginga-j based on a web environment
CN111857502B (zh) 一种图像显示方法及显示设备
KR20010112031A (ko) 객체지향형 웹개발 시스템
Tsekleves et al. Semi-automated creation of converged iTV services: From macromedia director simulations to services ready for broadcast
KR100736084B1 (ko) Dtv의 쉘 제작 장치 및 방법
CN115686529A (zh) 代码生成方法和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