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2031A - 객체지향형 웹개발 시스템 - Google Patents

객체지향형 웹개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2031A
KR20010112031A KR1020000052515A KR20000052515A KR20010112031A KR 20010112031 A KR20010112031 A KR 20010112031A KR 1020000052515 A KR1020000052515 A KR 1020000052515A KR 20000052515 A KR20000052515 A KR 20000052515A KR 20010112031 A KR20010112031 A KR 20010112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web page
unit configuration
produ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2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세일
Original Assignee
최세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세일 filed Critical 최세일
Publication of KR20010112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203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4Graphical or visual program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30Creation or generation of source code
    • G06F8/31Programming languages or programming paradigms
    • G06F8/315Object-oriented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웹페이지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웹페이지 제작에 필요한 웹단위 구성을 제작하고 이를 실행하는 과정을 프로그램단위의 컴포넌트(component)를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방식으로 이동하여 웹페이지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객체지향형 웹 개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웹페이지 제작시 프로그래밍이 불필요한 비단위 프로그램(프로그래밍 과정없이 웹을 구성하는 특정 문자, 이미지, 링크등)과, 프로그래밍이 필요한 단위 프로그램(프로그래밍이 필요한 각종 단위 업무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는 웹단위구성을 제작하고, 이와같이 사전에 준비된 웹단위구성을 이용하여 드래그 앤 드롭방식으로 웹페이지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객체지향형 웹 개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웹문서 제작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1단계(S310); 웹 단위구성의 제작을 선택한 후, 웹페이지에 필요한 웹 단위구성을 제작하고, 이 제작된 웹 단위구성에 임의의 아이콘을 부여하여 저장함과 동시에, 이 웹 단위구성을 메뉴에 등록시키는 제2단계(S330); 웹페이지 제작을 선택한 후, 메뉴에 등록된 복수의 웹 단위구성 중 하나의 웹단위구성의 제작을 선택하고, 이 선택된 웹 단위구성을 드래그 앤 드롭방식으로 웹페이지에 배치시키고, 이 배치된 웹 구성단위를 이동 및 편집한 후, 이 웹페이지를 저장하는 제3단계(S350); 웹페이지 제작의 종료선택이 없으면, 상기 제2단계(S330) 및 제3단계(S350)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웹페이지 제작의 종료선택이 있으면, 웹페이지 제작을 종료하는 제4단계(S370);를 포함하여, 등록된 웹 단위구성을 드래그 앤 드롭방식으로 웹페이지상에 배치시켜서, 웹 단위구성을 이용하여 웹페이지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웹페이지 제작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객체지향형 웹개발 시스템{System of object oriented web builder}
본 발명은 웹페이지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웹페이지 제작에 필요한 웹단위 구성을 제작하고 이를 실행하는 과정을 프로그램단위의 컴포넌트(component)를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방식으로 이동하여 웹페이지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객체지향형 웹개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이란 전 세계에 존재하는 수 많은 컴퓨터들이 서로 연결된 컴퓨터 네트워크를 말한다. 인터넷은 세계 최대 규모의 컴퓨터 통신망으로 LAN등 소규모의 망을 상호접속하는 형태에서 점차 크게 되어 현재는 전세계를 망라하는 거대한 망의 집합체로 되었다.
인터넷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는 전자우편(E-mail), 원격 컴퓨터연결(telnet), 파일전송(ftp), 유즈네트 뉴스(usenet news), 인터넷 정보검색(gopher), 인터넷 대화와 토론(IRC), 전자게시판(BBS), 하이퍼 텍스트 정보열람(WWW;World Wide Web), 온라인 게임 등 다양하며 동화상이나 음성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방송하는 서비스나 비디오 회의 등 새로운 서비스가 차례로 개발되어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서비스와 풍부한 자원 때문에 인터넷을 정보의 바다라고 하는 것이다.
인터넷이란 단어와 혼동되어 사용되는 월드 와이드 웹은 인터넷에 연결된 각 컴퓨터에 저장된 정보들을 거미줄처럼 연결하여 쉽고 빠르게 원하는 정보들(텍스트, 그래픽, 사운드, 동영상 등)을 찾도록 하기 위해 고안된 인터넷 서비스 방식을 의미하며 각각의 정보들은 웹문서 또는 홈페이지라고 불리는 문서를 기본으로 한다.
웹문서에는 정보 전달의 가장 기본이 되는 텍스트는 물론 그래픽, 소리, 동영상,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등 컴퓨터로 제작된 거의 모든 정보들을 삽입하거나 연결할 수 있다. 그렇게 됨으로써 우리는 가정이나 직장 등 어디에서나 전세계의 사람들이 만들어 놓은 정보들 중에 우리에게 필요한 정보를 웹브우저 통해 손쉽게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누구라도 정보제공자가 될 수 있고, 정보를 인터넷이라는 컴퓨터망을 통해 전 세계에 전달하고자 한다면 제일 먼저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웹페이지 내에 담아야 한다.
따라서 상기 웹문서를 만든다는 것은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이라는 프로그래밍언어를 사용하여 문서를 제작하는 것으로 프로그래밍 언어라고는 하지만 C언어와 같이 까다롭지는 않고 단순히 정해진 기능을 하는 코드들을 나열하고 원하는 텍스트를 입력하는 것에 불과하다.
HTML에서 요소(elements)란 HTML명령을 말하며, 시작태그와 끝내기태그를 가질 수 있으며 컨테이너(시작태그와 끝내기태그를 갖는 요소)라면 시작태그와 끝내기태그 사이에 텍스트나 다른 요소를 가질 수 있다.
도7b는 간단한 웹페이지를 나타내는 HTML문서로서, <TITLE></TITLE>이라는 요소는 웹브라우저에게 제작된 웹문서의 제목을 웹브라우저가 제목 표시창에 표시하도록 명령하는 것이다.
상기 태그(Tags)는 요소의 일부로서 시작태그와 끝내기태그 두 종류가 있다. 시작태그는 요소를 시작하며 끝내기태그는 요소를 끝낸다. 물론 모든 요소들이 끝내기태그로 끝나는 것은 아니다. <TITLE>로 시작하는 제목요소는 </TITLE>라는 끝내기태그를 갖지만 이미지 요소인 <IMG>는 끝내기태그를 갖지 않는다.
그리고 속성(Attributes)은 요소의 시작태그 내에 사용하는 것으로 명령을 구체화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택스트의 폰트 지정을 위해 사용하는 <FONT></FONT>요소는 SIZE, COLOR, FACE 등의 속성을 갖는데 <FONT SIZE=5>처럼 시작태그 내에 사용되며 속성과 변수 사이에는 '='이라는 부호를 사용하여 연결한다. 속성은 보통 변수를 갖지만 변수를 갖지 않는 것도 있다.
변수(Arguments)는 속성과 관련된 값을 말하며, <BR CLEAR="left">에서 ""내에는 right나 all도 사용될 수 있는데 이들은 속성 CLEAR의 변수이며, 속성과 변수는 등호'='에 의해 구분된다. 변수 중에는 변수를 ""내에 넣는 것과 넣지 않는 것도 있다.
상기 웹문서에 포함되는 문자나, 그림 등은 별도의 프로그래밍이 필요없이 HTML등의 인터넷문서로서 제작하거나 그림을 삽입하는 것으로서 웹문서에 포함될 수 있지만, 카운터, 게시판, 방명록등은 프로그래밍이 필요하며, 또한 회원관리 프로그램등의 업무관련 프로그램은 적용상황에 따라 복잡한 프로그래밍이 요구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오늘날의 웹문서 구성은 단순한 HTML 뿐만아니라 다양한 언어와 그래픽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를 재사용이 가능하게 모듈화하여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고, 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과 형태의 소스(source)들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서 간단한 입력과 클릭만으로 자신의 웹페이지에 삽입 또는 생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웹문서의 제작과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종래에 웹문서를 제작하는 방법은 나모에디터, 큐트HTML등의 웹문서 제작 프로그램을 이용하는데, 이와같은 웹문서 제작 프로그램은 제작자가 일일이 HTML의 태그들을 기입하여야 하고, 프로그래밍이 필요한 경우, 예를들어 카운터, 게시판, 방명록이나, 회원관리 프로그램 및 각종 단위 업무 프로그램 등은 일일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여 프로그래밍하여야 하는 관계로, 프로그래밍이 필요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웹문서를 제작하는 것은 비전문가에게는 불가능한 것이며, 전문가라 할지라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등 웹문서 제작에 여러 가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웹페이지 제작시 프로그래밍이 불필요한 비단위 프로그램(프로그래밍 과정없이 웹을 구성하는 특정문자, 이미지, 링크등)과, 프로그래밍이 필요한 단위 프로그램(프로그래밍이 필요한 각종 단위 업무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는 웹단위구성을 제작하고, 이와같이 사전에 준비된 웹단위구성을 이용하여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웹페이지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객체지향형 웹개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웹문서 제작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1단계(S310); 웹 단위구성의 제작을 선택한 후, 웹페이지에 필요한 웹 단위구성을 제작하고, 이 제작된 웹 단위구성에 임의의 아이콘을 부여하여 저장함과 동시에, 이 웹 단위구성을 메뉴에 등록시키는 제2단계(S330); 웹페이지 제작을 선택한 후, 메뉴에 등록된 복수의 웹 단위구성 중 하나의 웹단위구성의 제작을 선택하고, 이 선택된 웹 단위구성을 드래그 앤 드롭방식으로 웹페이지에 배치시키고, 이 배치된 웹 구성단위를 이동 및 편집한 후, 이 웹페이지를 저장하는 제3단계(S350); 웹페이지 제작의 종료선택이 없으면, 상기 제2단계(S330) 및 제3단계(S350)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웹페이지 제작의 종료선택이 있으면, 웹페이지 제작을 종료하는 제4단계(S370);를 포함하여, 등록된 웹 단위구성을 드래그 앤 드롭방식으로 웹페이지상에 배치시켜서, 웹 단위구성을 이용하여 웹페이지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웹페이지 제작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도1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객체지향형 웹 개발 시스템의 개략도이며,
도2는 도1의 객체지향형 웹개발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객체지향형 웹개발 시스템의 동작을 간략하게 보이는 동작흐름도이며,
도4는 도3의 웹단위구성 제작방법을 보이는 동작흐름도이고,
도5는 도3의 웹페이지 제작방법을 보이는 동작흐름도이며,
도6a,6b는 웹단위 구성을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웹페이지 제작방법을 보인 구체적인 동작흐름도이고,
도7a,7b,7c,7d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웹페이지 제작화면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사용자클라이언트 5 : 인터넷
10 : 입력수단 20 : 제어수단
21 : 제어부 22 : 웹단위구성 제작수단
23 : 웹페이지 제작수단 30 : 저장수단
31 : 웹단위구성 저장부 32 : 웹페이지 저장부
33 : 아이콘 저장부 40 : 화면표시 수단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객체지향형 웹개발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객체지향형 웹개발 시스템의 개략도로서 도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인터넷(5)을 통해서 객체지향형 웹개발 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 클라이언트(1)와, 상기 인터넷(5)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 또는 입력에응답하여 웹페이지의 제작을 수행하는 제어수단(20)과, 상기 제어수단(20)의 제어에 따라 웹페이지의 제작에 필요한 데이터, 즉 웹단위구성, 웹페이지, 그리고 아이콘을 포함하여 복수의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수단(30)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객체지향형 웹개발 시스템은 상기 인터넷(5)을 통해서 접속하는 원거리의 사용자가 이용할 수도 있으며, 반면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하여 직접 이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개인용 컴퓨터나 서버용 컴퓨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2는 도1의 객체지향형 웹개발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로서 도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실행, 동작을 선택하는 등 시스템과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싱기능을 수행하는 입력수단(10)과, 상기 입력수단(10)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 또는 입력에 응답하여 웹개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웹문서 제작을 수행하면서 웹문서 제작에 관련되는 데이터 및 정보의 저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0)과, 상기 제어수단(20)의 제어에 따라 웹문서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30)과, 상기 제어수단(20)의 제어에 따라 웹문서 제작에 필요한 화면 및 정보를 화면출력하는 화면표시수단(40)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수단(20)은 입력수단(10)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 또는 입력에 응답하여 웹단위구성 및 웹문서 제작을 제어하고, 이 웹단위구성 및 웹문서 제작시 발생되는 데이터 및 정보의 저장을 제어하고 웹페이지 제작에 필요한 화면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21)와, 상기 제어부(21)의 웹단위구성 제작제어에 따라 동작하고 사용자의 선택 및 입력에 응답하여 웹단위구성을 제작하여 저장하고 메뉴에 등록시키는 웹단위구성 제작수단(22)과, 상기 제어부(21)의 웹문서 제작제어에 응답하여 동작하고 사용자의 선택 또는 입력에 따라 웹페이지를 제작하여 저장하는 웹페이지 제작수단(23)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수단(30)은 웹단위구성을 저장하는 웹단위구성 저장부(31)와, 웹페이지를 저장하는 웹페이지 저장부(32)와, 아이콘을 포함하여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아이콘 저장부(3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웹단위구성을 제작하거나 웹단위구성을 수집하여 사전에 준비하여 메뉴에 등록시켜 둔 상태에서, 메뉴에 등록된 웹단위구성을 웹페이지에 드래그 앤 드롭방식으로 배치시키고, 이 배치된 웹단위구성의 위치를 드래그 앤 드롭방식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으며, 또한 이 배치된 웹단위구성을 편집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잡한 프로그래밍을 요하는 경우에도 누구나 웹페이지를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객체지향형 웹개발 시스템의 동작을 간략하게 보이는 동작흐름도이고, 도4는 도3의 웹단위구성 제작방법을 보이는 동작흐름도이며, 도5는 도3의 웹페이지 제작방법을 보이는 동작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인터넷(5)을 통해 웹개발 시스템에 접속하여 인터넷(5)을 통해 원거리의 사용자가 웹문서를 제작할 수도 있고, 통신망을 이용하지 않고 개인용컴퓨터에서 직접 웹문서를 제작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이하는 사용자의 선택 및 입력에 따라서 동작하는 웹단위구성 제작 및 웹페이지 제작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객체지향형 웹개발 시스템에서 웹단위구성 및 웹페이지 제작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제1단계(S310)에서는 사용자가 입력수단(10)(컴퓨터의 키보드 또는 마우스에 해당됨)을 통해 웹개발 프로그램의 실행을 선택(또는 클릭)하면, 제어수단(20)의 제어부(21)(컴퓨터의 CPU에 해당됨)가 이를 인식하여 웹문서 제작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데, 이 웹문서 제작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제어부(21)의 제어에 의해 화면표시수단(40)(컴퓨터의 모니터에 해당)에 웹문서 제작을 위한 프로그램창이 출력되고, 이 프로그램창에서 사용자가 동작메뉴, 웹단위구성메뉴 등을 선택하여 웹문서를 제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 다음,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상기 웹단위구성 제작과정을 설명하면, 제2단계(S330)에서는 상기 화면표시수단(40)을 보면서 상기 입력수단(10)을 통해 동작메뉴에서 웹단위구성 제작을 선택하면(S331), 상기 제어부(21)가 웹단위구성 제작수단(22)으로 동작을 제어하고, 이에따라 상기 웹단위구성 제작수단(22)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웹페이지에 필요한 웹단위구성을 제작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웹단위구성은 단위 프로그램과 단위 비프로그램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이에따라 사용자가 웹단위구성 중 단위 프로그램 제작을 선택한 경우, 단위 프로그램을 제작하며(S332, S333), 이 과정은 프로그램 제작과정에 해당된다. 그리고, 웹단위구성 중 단위 비프로그램의 제작을 선택한 경우에는 단위 비프로그램을 제작하는데(S334), 이 과정은 간단한 HTML문서를 제작하는 과정에 해당된다.
이때, 상기 웹단위구성의 제작은 HTML에디터, C언어등의 프로그래밍언어들로제작 프로그램들과 연계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이와같이 제작된 웹단위구성은 크게 단위 프로그램/단위 비프로그램으로 분류하고 다시 단위 프로그램은 적용분야 및 기능별로 분류하며, 상기 비프로그램은 문자, 링크, 이미지, 사운드등으로 분류한다. 본 발명은 위의 분류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와 다른 방법으로 분류할 수 도 있으며, 예를들면, CGI소스, 자바 등으로 분류한 후, 그 하부분류에 기능 및 특징별로 분류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제작된 웹단위구성에 웹단위구성의 기능 및 특성을 감안하여 적절한 아이콘을 저장수단(30)의 아이콘 저장부(33)에서 선택하여 부여한 후(S335), 아이콘이 부여된 웹단위구성을 상기한 바와같이 분류한 후(S336), 상기 저장수단(30)의 웹단위구성 저장부(31)에 저장하고(S337), 이와 동시에 이 신규로 제작한 웹단위구성을 웹페이지 제작시에 참조되는 웹단위구성 메뉴에 등록시키는데(S338), 상기 제2단계(S330)에서는 웹단위구성을 직접 제작하여 메뉴에 등록시킬 수도 있고, 미리 제작된 웹단위구성을 이용하여 등록시킬 수도 있다.
이후, 하나의 웹단위구성에 대한 제작이 끝나면, 웹단위구성의 제작을 종료하는지에 대해서 판별하고, 웹단위구성 제작완료의 선택이 없으면, 상기한 단계를 반복해서 수행하여 다양하고 여러 가지 웹단위구성을 제작할 수 있고, 반면 웹단위구성 제작완료의 선택이 있으면 웹단위구성 제작을 종료한다(S339).
그 다음, 도3 및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웹페이지 제작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제3단계(S350)에서는 상기 화면표시수단(40)을 보면서 상기 입력수단(10)을 통해서 동작메뉴에서 웹페이지 제작을 선택하면(S351), 상기 제어부(21)가 웹페이지 제작수단(23)으로 동작을 제어하고, 여기서 사용자는 복수의 기존 웹페이지중 원하는 기존 웹페이지를 오픈시켜 기존의 웹페이지를 편집할 수도 있고, 또는 새로운 웹페이지를 제작할 수도 있다(S352,S353).
이때, 기존 웹페이지의 편집이나 새로운 웹페이지의 제작이 선택되면, 이 선택된 웹페이지에 웹 단위구성을 배치시킬 수도 있고(S354), 배치된 웹 단위구성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도 있으며(S355), 또한 배치된 웹 단위구성을 편집할 수도 있게 된다(S356).
도6a 내지 도6c는 웹 단위구성을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웹페이지 제작방법을 보인 구체적인 동작흐름도로, 도6a 내지 도6c를 참조하여 상기 웹 단위구성의 위치 이동과 제작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의 입력 또는 선택에 따라 웹 단위구성 메뉴에서 복수의 웹 단위구성 중 웹 단위구성의 이동 및 제작을 선택하고(S401), 드래그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S402) 소정의 미리보기창에 상기 웹 단위구성에 대한 이미지를 표시하여 주고(S403), 드래그가 선택된 경우에는 도시되지 않은 임시버퍼에 웹단위구성의 ID를 제공하게 된다(S405). 그리고 상기 선택된 웹단위구성을 마우스를 통해 웹페이지 상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을 하면(S406), 이동된 위치에 웹단위구성을 삽입할 수 있는 영역인지를 검출하며(S407), 삽입가능영역이 아닐 경우는 이동되지 않음을 표시하여 주고(S408), 삽입가능영역인 경우는 드래그가 종료될 때까지 계속해서 이동가능한 영역인지를 검출한다(S410).
그 후 드래그가 종료되면(S410), 최종적으로 삽입가능 영역인지를판단하여(S411), 삽입가능 영역인 경우 웹페이지 제작수단부(22)에 현재영역에 대한 위치정보와 웹 단위구성의 ID를 제공하게 된다(S413). 즉,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웹 단위구성을 웹페이지상에 이동하였을 경우 웹페이지상의 위치정보와 구성될 웹 단위구성의 정보를 상기 웹페이지 제작수단부(22)에 전달하여 웹페이지 제작을 하게 된다.
이 때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페이지 제작수단(23)의 드로우관리자는 웹단위구성 ID를 제공받아(S413, S421) 현재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S422). 즉 현재 제작중인 웹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그리고 다시 웹 단위구성에게 상기 획득된 정보를 전달하고(S423), 다시 새로운 웹 단위구성에 대해 수신할 정보가 있는지 여부(S424) 즉, 새로운 웹 단위구성의 ID를 수신할 정보가 있는지를 검출하여, 새로운 웹 단위구성의 ID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426). 수신된 정보를 드로우관리자는 현재위치에 삽입하여 웹 단위구성을 결합시키게 된다(S427). 또한 삽입 완료를 상기 웹 단위구성에게 통보를 하여 웹페이지의 단위구성을 완료시키게 된다(S428). 이 때 웹 단위구성에 연동된 프로그램이 존재한다면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도 포함하여 송수신함으로서 자동적으로 연동된 프로그램의 실행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단계 S413에서 드로우관리자로부터 웹단위구성에 대한 ID가 전달되었는지를 검출하여 적절한 ID가 전달되지 않으면, 단순한 웹단위구성에 대한 정보만 표시하여 종료하게 되고, 적절한 ID가 전달되었는지 검출 즉, 삽입가능한 영역에 드래그되었는지를 검출한 후 드래그가 종료되면 상기 웹 단위구성에 대한ID를 웹페이지 제작관리자인 드로우관리자에게 정보를 송신한다. 그리고 송신할 정보가 없으면 종료메시지를 전달하고 종료를 하게 된다. 즉, 드로우관리자에 정보를 송신한 후 확인메시지를 수신하면, 다시 새로운 웹단위구성 ID의 수신을 기다리게 된다.
따라서, 웹 단위구성과 웹페이지가 자신의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며, 배치된 웹 단위구성중 원하는 웹단위구성을 선택하여 이 웹 단위구성을 드래그 앤 드롭방식으로 웹 페이지상의 다른 위치로 이동시킬 수도 있으며 연동된 프로그램도 실행시킬수가 있게 되며, 이때, 원하는 위치에 배치된 웹 단위구성중 원하는 웹 단위구성을 선택하여 이 선택한 웹 단위구성에 대한 편집을 할 수 있다.
상기한 웹 단위구성에 대한 편집은 웹 단위구성중 단위 비프로그램일 경우에는 연결된 아이콘의 변경, 링크수정, 문자수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웹 단위구성중 단위 프로그램일 경우에는 입력창의 크기, 유효한 입력문자, 유효한 입력창 선택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4단계(S370)에서는 웹페이지 제작의 종료선택이 없으면, 상기 제2단계(S330) 및 제3단계(S350)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웹페이지 제작의 종료선택이 있으면, 웹페이지 제작을 종료한다.
도7a 내지 도7d는 종래의 일반적인 웹문서에 본 발명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웹 단위구성을 배치시켜 웹페이지를 제작한 일실시 예의 화면구성 및 HTML문서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우측에는 웹페이지의 상태를 보여주고 또한편집 및 제작이 가능한 창이고, 좌측 상단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웹단위구성을 미리 보여 주는 미리보기창이며, 좌측 하단에는 웹단위구성의 모듈을 선택할 수 있는 구성창으로 구성된다.
도7a는 웹페이지 편집창에 구성요소가 없는 상태로 HTML은 도7b와 같이 일반적인 단순한 함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7c와 같이 웹단위구성을 선택하게 되면 미리보기창에 구성의 이미지가 출력되며, 편집창에서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를 통해 드로그 앤 드롭 방식으로 웹단위구성의 위치 및 편집을 할 수 있게 된다.
도7d는 상기 웹단위구성이 웹페이지에 삽입된 상태의 HTML문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상기 웹단위구성에 대한 프로그램이 상기 웹페이지에 삽입 코딩되어 웹페이지를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단계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되며, 이 기록매체는 특정 기록매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롬, 플로피 디스크 및 하드 디스크등의 마그네틱 저장매체와, CD-ROM, DVD등의 광학적 판독매체와, 그리고 인터넷을 통한 전송등의 캐리어 웨이브와 같은 기록매체등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웹문서 제작시 프로그래밍이 불필요한 비단위 프로그램(프로그래밍 과정없이 웹을 구성하는 특정 문자, 이미지, 링크등)과, 프로그래밍이 필요한 단위 프로그램(프로그래밍이 필요한 회원관리 프로그램, 업무관리 프로그램등)을 포함하는 웹 단위구성을 제작하고, 이와같이 사전에 준비된 웹단위구성을 이용하여 드래그 앤 드롭방식으로 웹문서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그 구성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

Claims (6)

  1. 웹문서 제작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1단계(S310);
    웹 단위구성의 제작을 선택한 후, 웹페이지에 필요한 웹 단위구성을 제작하고, 이 제작된 웹 단위구성에 임의의 아이콘을 부여하여 저장함과 동시에, 이 웹 단위구성을 메뉴에 등록시키는 제2단계(S330);
    웹페이지 제작을 선택한 후, 메뉴에 등록된 복수의 웹 단위구성 중 하나의 웹단위구성의 제작을 선택하고, 이 선택된 웹 단위구성을 드래그 앤 드롭방식으로 웹페이지에 배치시키고, 이 배치된 웹 구성단위를 이동 및 편집한 후, 이 웹페이지를 저장하는 제3단계(S350);
    웹페이지 제작의 종료선택이 없으면, 상기 제2단계(S330) 및 제3단계(S350)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웹페이지 제작의 종료선택이 있으면, 웹페이지 제작을 종료하는 제4단계(S370);를 포함하여,
    등록된 웹 단위구성을 드래그 앤 드롭방식으로 웹페이지상에 배치시켜서, 웹 단위구성을 이용하여 웹페이지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지향형 웹개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S330)는
    웹 단위구성 제작을 선택하는 단계;
    웹 단위구성 중 단위 프로그램의 제작을 선택하여 단위 프로그램을 제작하는단계;
    웹 단위구성 중 비단위 프로그램의 제작을 선택한후 비단위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웹 단위구성에 선택한 임의의 아이콘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제작된 웹 단위구성을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웹 단위구성을 저장하고, 이 저장된 웹 단위구성을 메뉴에 등록시키는 단계;
    웹 단위구성 제작완료의 선택이 없으면, 상기한 단계를 반복해서 수행하고, 웹 단위구성 제작완료의 선택이 있으면 웹 단위구성 제작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지향형 웹개발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S330)에서 제작된 웹 단위구성은,
    단위 프로그램과 단위 비프로그램으로 분류하고,
    상기 단위 프로그램은 적용분야 및 기능별로로 분류하고,
    상기 비프로그램은 문자, 링크, 이미지, 사운드등으로 분류한 것을 특징으로 객체지향형 웹개발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웹 단위구성은,
    상기 웹 단위구성 중 웹 단위구성의 이동 및 제작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웹 단위구성을 드래그 하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의 미리보기창에 상기웹 단위구성에 대한 이미지를 표시하여 주고, 드래그하여 웹페이지 상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을 하면, 이동된 위치에 웹 단위구성을 삽입할 수 있는 영역인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삽입가능 영역인 경우 웹페이지에 상기 웹 단위구성의 ID를 제공하는 단계와;
    제공된 ID를 웹페이지 문서에 삽입하고, 웹페이지의 위치정보를 상기 웹 단위구성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지향형 웹개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S350)는
    웹페이지 제작을 선택하는 단계;
    기존 웹페이지의 오픈선택이 있으면, 복수의 기존 웹페이지 중에 하나의 웹페이지를 선택하여 오픈시키는 단계;
    메뉴에서 웹 단위구성의 제작을 선택하고, 이 선택한 웹 단위구성을 드래그 앤 드롭으로 웹페이지상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시키는 단계;
    배치된 웹 단위구성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배치된 웹 단위구성에 대해 편집하는 단계;
    이와같이 배치, 이동 및 편집된 웹페이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지향형 웹개발 시스템.
  6. 웹페이지 제작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1단계(S310);
    준비된 웹 단위구성에 임의의 아이콘을 부여하여 저장함과 동시에, 이 웹단위구성을 메뉴에 등록시키는 제2단계(S330);
    웹페이지 제작을 선택한후, 메뉴에 등록된 복수의 웹 단위구성중 하나의 웹 단위구성의 제작을 선택하고, 이 선택된 웹 단위구성을 드래그 앤 드롭방식으로 웹페이지에 배치시키고, 이 배치된 웹 구성단위를 이동 및 편집한후, 이 웹페이지를 저장하는 제3단계(S350);
    웹페이지 제작의 종료선택이 없으면, 상기 제2단계(S330) 및 제3단계(S350)를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웹페이지 제작의 종료선택이 있으면, 웹페이지 제작을 종료하는 제4단계(S370);를 포함하여,
    등록된 웹 단위구성을 드래그 앤 드롭방식으로 웹페이지상에 배치시켜서, 웹 단위구성을 이용하여 웹페이지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페이지 제작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00052515A 2000-06-14 2000-09-05 객체지향형 웹개발 시스템 KR200101120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32605 2000-06-14
KR1020000032605 2000-06-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2031A true KR20010112031A (ko) 2001-12-20

Family

ID=42026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515A KR20010112031A (ko) 2000-06-14 2000-09-05 객체지향형 웹개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1203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501A (ko) * 2000-10-20 2002-05-02 김영돈, 정춘보 웹상에서 홈페이지를 제작하는 방법
KR100523512B1 (ko) * 2004-06-24 2005-10-25 박희섭 웹브라우저에서 직접 위지위그 편집이 가능한, 조립식홈페이지와 개인 포탈 사이트의 제작과 거래 방법 및 그프로그램 기록매체
WO2007102711A3 (en) * 2006-03-09 2007-11-01 Ncsoft Japan K K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web design
WO2014149209A1 (en) * 2013-03-15 2014-09-25 Axure Software Solutions, Inc. Design-triggered event handler addi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3933A (ko) * 1999-09-01 1999-12-06 윤정필 웹키오스크를 이용한 홈페이지 자동 구축시스템 및 그방법
KR20000049456A (ko) * 2000-03-23 2000-08-05 김장우 홈페이지 자동생성 및 관리방법
KR20010011443A (ko) * 1999-07-28 2001-02-15 최재학 홈페이지 제작 방법
KR20010034974A (ko) * 2000-05-10 2001-05-07 이병철 홈페이지 포탈 사이트 구축 및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1443A (ko) * 1999-07-28 2001-02-15 최재학 홈페이지 제작 방법
KR19990083933A (ko) * 1999-09-01 1999-12-06 윤정필 웹키오스크를 이용한 홈페이지 자동 구축시스템 및 그방법
KR20000049456A (ko) * 2000-03-23 2000-08-05 김장우 홈페이지 자동생성 및 관리방법
KR20010034974A (ko) * 2000-05-10 2001-05-07 이병철 홈페이지 포탈 사이트 구축 및 관리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1501A (ko) * 2000-10-20 2002-05-02 김영돈, 정춘보 웹상에서 홈페이지를 제작하는 방법
KR100523512B1 (ko) * 2004-06-24 2005-10-25 박희섭 웹브라우저에서 직접 위지위그 편집이 가능한, 조립식홈페이지와 개인 포탈 사이트의 제작과 거래 방법 및 그프로그램 기록매체
WO2007102711A3 (en) * 2006-03-09 2007-11-01 Ncsoft Japan K K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web design
KR100805170B1 (ko) * 2006-03-09 2008-02-21 엔씨소프트 재팬 가부시키 가이샤 웹 디자인 변경 장치 및 방법
WO2014149209A1 (en) * 2013-03-15 2014-09-25 Axure Software Solutions, Inc. Design-triggered event handler addition
US9250763B2 (en) 2013-03-15 2016-02-02 Axure Software Solutions, Inc. Design-triggered event handler addition
US9678931B2 (en) 2013-03-15 2017-06-13 Axure Software Solutions, Inc. Triggered event handler add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2663B2 (en) Transform rule generator for web-based markup languages
US7664813B2 (en) Dynamic data presentation
US5675753A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an electronic user-interface specification
Vetter et al. Mosaic and the world wide web
EP111040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interactive tv applications on set top units
US64662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data used in creat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environment
Boll et al. Z/sub Y/Xa multimedia document model for reuse and adaptation of multimedia content
EP1188125B1 (en) Method for integrating into an application objects that are provided over a network
US20040068554A1 (en) Web service-enabled portlet wizard
US64012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data used in creating a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environment
US6665090B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printing a creative expression
CN113938699B (zh) 基于网页快速建立直播的方法
JP2003186792A (ja) メッセージ表示方法,そのサーバ及びクライアント
Cao Development and design case function comparison of panoramic roaming system of virtual museum based on Pano2VR
KR20010112031A (ko) 객체지향형 웹개발 시스템
Walczak et al. Dynamic creation of interactive mixed reality presentations
US200401394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zing data broadcasting contents
KR100409224B1 (ko)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그 제작 방법
Hinz et al. AMACONT: A System Architecture for Adaptive Multimedia Web Applications.
Willrich et al. Multimedia authoring with hierarchical timed stream petri nets and java
US20010052125A1 (en) System for authoring contents of digital television and method therefor
KR100377966B1 (ko) 디지털 텔레비젼용 컨텐츠의 저작 시스템 및 그 방법
JP3887880B2 (ja) データ変換装置、データ伝送方法及びデータ変換機能を格納した情報記憶媒体
KR20030073001A (ko) 웹사이트 제작을 위한 웹페이지 생성 및 편집방법
GB2362011A (en) Transmitting and printing a creative expre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