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6648B1 -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생성 장치 및 그 방법과관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생성 장치 및 그 방법과관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6648B1
KR100626648B1 KR1020040097719A KR20040097719A KR100626648B1 KR 100626648 B1 KR100626648 B1 KR 100626648B1 KR 1020040097719 A KR1020040097719 A KR 1020040097719A KR 20040097719 A KR20040097719 A KR 20040097719A KR 100626648 B1 KR100626648 B1 KR 100626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teractive
information
auxiliary data
addi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7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8609A (ko
Inventor
이인재
정세윤
안상우
정원식
김규헌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97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6648B1/ko
Publication of KR20060058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04N21/2353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specifically adapted to content descriptors, e.g. coding, compressing or processing of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06Content authoring involving a specific file format, e.g. MP4 forma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생성 장치 및 그 방법과,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관리 장치와, 그를 이용한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다양한 대화형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대화형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콘텐츠 생성 장치 및 그 방법과,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콘텐츠 관리 장치와, 상기 두 장치를 이용하여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생성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미디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화형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보조 데이터(초기 객체 정보, 객체 정보, 장면 구성 정보, 전송을 위한 부가 정보)를 저작하기 위한 보조 데이터 저작 수단; 상기 보조 데이터 저작 수단에서 저작한 보조 데이터를 부호화하기 위한 보조 데이터 부호화 수단; 상기 보조 데이터 부호화 수단에서 부호화한 보조 데이터를 외부 기기 또는 부호화 수단으로 선택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제 1 스위칭 수단;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외부 기기 또는 상기 부호화 수단으로 선택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제 2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제 1 또는 제 2 스위칭 수단을 통하여 전달받은 보조 데이터 또는 미디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합 파일(예 : MP4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상기 부호화 수단을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대화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상파 DMB 시스템 등에 이용됨.
콘텐츠 생성, 콘텐츠 관리, 대화형 서비스, 보조 데이터, 부가 데이터, 지상파 DMB, MPEG-4

Description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생성 장치 및 그 방법과 관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Apparatus and Method for authoring contents with interactivity, apparatus for managing of the contents, and system for providing the contents using tha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지상파 DMB 콘텐츠의 일실시예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MP4 콘텐츠의 일실시예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지상파 DMB 콘텐츠 생성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보조 데이터 저작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보조 데이터 부호화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지상파 DMB 콘텐츠 생성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지상파 DMB 콘텐츠 관리 장치의 일실시예 구 성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콘텐츠 관리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지상파 DMB 콘텐츠 제공 시스템 31 : 지상파 DMB 콘텐츠 생성 장치
32 : 지상파 DMB 콘텐츠 관리 장치 41 : 보조 데이터 저작부
42 : 보조 데이터 부호화부 43 : 제 1 스위칭부
44 : 제 2 스위칭부 45 : 통합 파일 부호화부
81 : 콘텐츠 입력부 82 : 콘텐츠 분리부
83 : 콘텐츠 관리부 84 : 콘텐츠 출력부
85 : 제어부 86 : 프로그램 관리부
본 발명은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생성 장치 및 그 방법과,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관리 장치와, 그를 이용한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 환경에서 고품질의 음성 및 영상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는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함) 서비스 등에 다양한 대화형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대화형 DMB 콘텐츠를 생성 하기 위한 콘텐츠 생성 장치 및 그 방법과,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콘텐츠 관리 장치와, 상기 두 장치를 이용하여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는 지상파 DMB 콘텐츠뿐만 아니라, 디지털 방송용 콘텐츠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지상파 DMB 콘텐츠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에는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지상파 DMB 콘텐츠를 구성할 때 비디오(AVC), 오디오(BSAC) 외에 기본적인 보조 데이터로서 초기 객체 정보(IOD : Initial Object Descriptor), 객체 정보(OD : Object Descriptor), 장면 구성 정보(BIFS : Binary Format for Scene), 및 부가 미디어(JPEG 등)를 구비하였다. 이 때, 부가적인 미디어에 대한 객체 정보나 이를 이용한 장면 구성 정보는 OD, BIFS에 기본적인 AV 관련 정보와 함께 포함되었다.
따라서 대화형 서비스를 위해 저작된 DMB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을 때, 단말기의 여건이나 전송 상황 등에 따라 기본적인 AV 서비스만 제공하여야 할 경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대화형 지상파 DMB 콘텐츠를 활용하여 이를 수행하려면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대화형 지상파 DMB 콘텐츠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지상파 DMB 송출장치에서 지상파 DMB 컨텐츠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 Group, 이하 "JPEG"이라 함)과 같은 부가적인 미디어도 함께 주기적으로 송출하여야만 하였다. 그런데 해당 부가 미디어가 메인 AV 콘텐츠의 처 음부터 끝까지 존재하지 않고 일부 구간에서만 존재할 경우 주기적으로 해당 부가 미디어를 계속 전송하는 것은 망 자원 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이다.
또한 지상파 DMB 콘텐츠는 대화형 서비스를 위해 메인 오디오 스트림(BSAC), 메인 비디오 스트림(AVC) 외에 보조 데이터로서 IOD, OD, BIFS 스트림 및 부가 미디어 스트림(JPEG 등) 등과 같은 다양한 ES(Element Stream, 이하 "ES"라 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지상파 DMB 콘텐츠를 이와 같이 ES별로 관리하는 것은 경우에 따라 번거로울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다양한 대화형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대화형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생성하기 위한 콘텐츠 생성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콘텐츠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두 장치를 이용하여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생성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미디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화형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보조 데이터(초기 객체 정보, 객체 정보, 장면 구성 정보, 전송을 위한 부가 정보)를 저작하기 위한 보조 데이터 저작 수단; 상기 보조 데이터 저작 수단에서 저작한 보조 데이터를 부호화하기 위한 보조 데이터 부호화 수단; 상기 보조 데이터 부호화 수단에서 부호화한 보조 데이터를 외부 기기 또는 부호화 수단으로 선택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제 1 스위칭 수단;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외부 기기 또는 상기 부호화 수단으로 선택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제 2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제 1 또는 제 2 스위칭 수단을 통하여 전달받은 보조 데이터 또는 미디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합 파일(예 : MP4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상기 부호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생성 방법에 있어서, 메인 오디오/비디오(AV) 콘텐츠를 입력받는 단계;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부가 콘텐츠의 저작을 확인하는 단계;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장면 구성을 위해 부가 미디어를 입력받는 단계; 주기적으로 전송되어야 하는 부가 미디어에 대해 전송을 위한 부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다양한 미디어를 이용하여 장면을 구성하고 대화형 기능을 부여하여 대화형 콘텐츠를 저작하는 단계; 및 부호화해야 하는 보조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방법은, 콘텐츠 관리를 위해 상기 부호화한 콘텐츠를 통합 파일(예 : MP4 파일)로 부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관리 장치에 있어서, 외부 기기 또는 외부의 각종 저장 매체로부터 대화형 콘텐츠를 입력받기 위한 콘텐츠 입력부; 상기 콘텐츠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받은 대화형 콘텐츠가 통합 파일( 예 : MP4 파일)임에 따라 ES 형태의 대화형 콘텐츠를 분리하기 위한 콘텐츠 분리부; 상기 콘텐츠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받거나 상기 콘텐츠 분리부로부터 전달받은 대화형 콘텐츠를 등록/검색/수정/삭제하기 위한 콘텐츠 관리부; 상기 콘텐츠 관리부로부터 전달받은 대화형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콘텐츠 출력부;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프로그램 정보에 따라 대화형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프로그램 스케줄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다양한 대화형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고 단말기 상태 또는 전송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다양한 미디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본적인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담고 있는 메인 콘텐츠와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부가 콘텐츠를 구분하여 대화형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메인 오디오/비디오 제공 기능과 부가 기능을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형태로 대화형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대화형 콘텐츠 생성 장치; 및 상기 대화형 콘텐츠 생성 장치에서 생성한 대화형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 한 대화형 콘텐츠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를 기본적인 AV 서비스를 담고 있는 메인 데이터와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부가 데이터로 구분하여 단말기 상태 또는 전송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구성하는 방식과, 보다 편리한 관리를 위해 지상파 DMB 콘텐츠를 ES별이 아닌 통합 파일 형태(예 : MP4 파일, 디지털 방송용 콘텐츠의 경우에도 MP4 형태의 통합 파일로 관리하고, 전송 시 ES별로 분리하여 MPEG-2 전송 스트림에 실어주는 것이 가능함)로 구성하는 방식을 통하여 지상파 DMB 콘텐츠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기본적인 AV 콘텐츠 외에 JPEG과 같이 주기적으로 보내야할 부가적인 미디어 콘텐츠가 존재할 경우, 전체 장면 구성에 있어서 해당 미디어의 반복 횟수(즉, 관련 미디어가 전체 장면 구성에 나타나는 반복 횟수), 장면 구성 시 시작 시간(composition time), 지속 시간(duration) 등에 관한 정보를 부가 정보로 제공함으로써, 지상파 DMB 송출장치 등에서 이러한 부가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부가 미디어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 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지상파 DMB 콘텐츠의 일실시예 구조도이다.
일반적으로 지상파 DMB 콘텐츠는 대화형 서비스를 위하여 메인 오디오, 비디오 외에 초기 객체 정보, 객체 정보, 장면 구성 정보 및 부가 미디어 콘텐츠와 같은 보조 데이터로 구성된다. 그러나 JPEG과 같은 부가적인 미디어 콘텐츠는 지상파 DMB 송출장치에서 전송할 때 주기적으로 보내져야 하므로 해당 미디어가 전체 장면의 처음부터 끝까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주기적으로 계속 보내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JPEG과 같이 주기적으로 전송되어야 하는 부가 미디어 콘텐츠가 사용될 경우 전체 장면 구성에 있어서 해당 미디어가 나타나는 횟수, 장면 구성 시 시작 시간(composition time), 지속 시간(duration) 등에 관한 정보를 부가 정보로 생성하고 부호화하여 보조 데이터의 일부로서 구성한다.
이 때, 주기적으로 전송되어야 하는 부가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전송을 위한 부가 정보를 객체 정보(OD)의 OCI(Object Content Information) 기술자(descriptor)에 포함하여 부호화하거나, 별도의 OCI 스트림으로 부호화시켜 보조 데이터로서 제공한다(11, 13).
또한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지상파 DMB 콘텐츠를 구성함에 있어서, 기본적인 AV 서비스를 위한 메인 지상파 DMB 콘텐츠(12)와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부가적인 지상파 DMB 콘텐츠(13)로 분리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부가적인 지상파 DMB 콘텐츠는 통합 파일 형태(예 : MP4 파일)로 생성해 주고, 메인 지상파 DMB 콘텐츠의 장면 구성 정보에 인라인(inline) 노드로서 연결하여 메인 지상파 DMB 콘텐츠와 부가적인 지상파 DMB 콘텐츠를 연결시켜 준다.
이러한 구성 방법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가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지상파 DMB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으나, 단말기 상황이나 전송 상황에 따라 기본적인 AV 서비스만 제공해야 할 경우 메인 지상파 DMB 콘텐츠만 전송하고, 단말기에서는 메인 지상파 DMB 콘텐츠의 장면 구성 정보 중 인라인(inline) 노드를 무시하는 형태로 전송받은 지상파 DMB 콘텐츠를 동작시켜 주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MP4 콘텐츠의 일실시예 구조도이다.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지상파 DMB 콘텐츠는 메인 오디오 스트림(BSAC), 메인 비디오 스트림(AVC) 외에 보조 데이터로서 초기 객체 정보, 객체 정보, 장면 구성 정보 스트림 및 부가 미디어 스트림(JPEG 등) 등과 같은 다양한 ES들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지상파 DMB 콘텐츠를 ES별로 관리하는 것은 경우에 따라 번거로울 수 있다.
따라서 보다 편리한 관리를 위해 지상파 DMB 콘텐츠를 ES별이 아닌 MP4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지상파 DMB 콘텐츠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 때, 메인 비디오, 오디오 및 부가 미디어를 포함한 보조 데이터를 모두 MP4 파일 내에 포함하여 하나의 MP4 파일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고(21), 메인 비디오와 오디오만을 별도의 ES 형태로 MP4 파일 외부에 존재하도록 두고, 다른 보조 데이터들은 하 나의 MP4 파일 형태로 구성해 줄 수도 있다(22, 23, 24).
만일, 메인 비디오/오디오(AV)를 포함하는 메인 지상파 DMB 콘텐츠와 부가적인 대화형 기능이 존재하는 부가 지상파 DMB 콘텐츠를 분리하여 구성할 경우 각각을 MP4 형태로 구성하되, 부가 지상파 DMB 콘텐츠를 담고 있는 MP4 파일을 메인 지상파 DMB 콘텐츠를 담고 있는 MP4 파일 외부에 존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25, 26, 27).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이동 환경에서 고품질의 음성 및 영상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는 지상파 DMB 서비스에 다양한 대화형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도 1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대화형 DMB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지상파 DMB 콘텐츠 생성 장치(31), 및 상기 지상파 DMB 콘텐츠 생성 장치(31)에서 생성한 지상파 DMB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지상파 DMB 콘텐츠 관리 장치(32)를 포함한다. 상기 각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상파 DMB 콘텐츠 생성 장치(31)는 다양한 미디어 데이터를 받아들이고 이를 기반으로 보조 데이터 정보를 생성하여 부호화한다. 이 때, 부호화된 보조 데이터 및 미디어 데이터는 ES별로 존재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MP4 파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상파 DMB 콘텐츠 생성 장치(31)는 외부로부터 다양한 미디어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기반으로 보조 데이터를 저작하여 부호화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판단에 따른 제어 신호를 입력받거나, 마이크로프로세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상기 부호화된 보조 데이터와 메인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4 파일을 생성한다. 따라서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지상파 DMB 콘텐츠는 사용자의 결정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다수의 ES 형태, 또는 소수의 ES와 MP4 파일 형태, 또는 하나의 MP4 파일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상파 DMB 콘텐츠 관리 장치(32)는 상기 지상파 DMB 콘텐츠 생성 장치(31)로부터 입력되는 지상파 DMB 콘텐츠를 등록/저장/검색/수정/삭제하고 프로그램 스케줄에 따라 적정한 시간에 특정 지상파 DMB 콘텐츠를 지상파 DMB 송출 장치로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지상파 DMB 콘텐츠 생성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지상파 DMB 콘텐츠 생성 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미디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화형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보조 데이터(초기 객체 정보, 객체 정보, 장면 구성 정보, 전송을 위한 부가 정보)를 저작하기 위한 보조 데이터 저작부(41), 상기 보조 데이터 저작부(41)에서 저작한 비압축 상태의 보조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압축하기 위한 보조 데이터 부호화부(42), 상기 보조 데이터 부호화부(42)에서 부호화한 보조 데이터를 상기 지상파 DMB 콘텐츠 관리 장치(32) 또는 통합 파일 부호화부(45)로 선택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제 1 스위칭부(43),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지상 파 DMB 콘텐츠 관리 장치(32) 또는 통합 파일 부호화부(45)로 선택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제 2 스위칭부(44), 및 상기 제 1 또는 제 2 스위칭부(43, 44)를 통하여 전달받은 상기 부호화된 보조 데이터 또는 미디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합 파일(예 : MP4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통합 파일 부호화부(45)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제 1 및 제 2 스위칭부(43, 44)는 외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결정에 따라 입력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스위칭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보조 데이터 저작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데이터 저작부(41)는, 초기 객체 정보(IOD : Initial Object Descriptor)를 생성하기 위한 초기 객체 정보 생성 모듈(51), 장면을 구성하는 미디어 객체들에 대한 객체 정보(OD : Object Descriptor)를 생성하기 위한 객체 정보 생성 모듈(52), 장면을 구성하는 객체들간의 시공간 구성 정보 및 대화형 기능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하는 장면 정보(SD : Scene Description)를 생성하기 위한 장면 정보 저작/생성 모듈(53), 및 메인 오디오/비디오(AV) 이외에 주기적으로 전송되어야 하는 부가 미디어들에 대해 전송을 위한 부가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부가 정보 생성 모듈(54)을 포함한다.
이 때, 부가 정보가 별도의 ES로 존재할 경우 이 또한 하나의 객체이므로 객체 정보에 표현될 수 있도록 상기 부가 정보 생성 모듈(54)과 상기 객체 정보 생성 모듈(52)을 서로 연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부가 정보는 객체 정보의 OCI(Object Contents Information) 기 술자(descriptor)에 기술되어 부호화되거나, 별도의 OCI(Object Contents Information: ISO/IEC 14496-1) 스트림으로 부호화되어 보조 데이터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보조 데이터 부호화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데이터 부호화부(42)는, 상기 초기 객체 정보 생성 모듈(51)에서 생성한 초기 객체 정보를 부호화하기 위한 초기 객체 정보 부호화 모듈(61), 상기 객체 정보 생성 모듈(52)에서 생성한 객체 정보를 부호화하기 위한 객체 정보 부호화 모듈(62), 상기 장면 정보 저작/생성 모듈(53)에서 생성한 장면 정보를 부호화하기 위한 장면 정보 부호화 모듈(63), 상기 부가 정보 생성 모듈(54)에서 생성한 부가 정보를 부호화하기 위한 부가 정보 생성 모듈(64), 및 상기 보조 데이터 저작부(41)를 통하여 전달받은 비압축 상태의 미디어 데이터를 부호화하기 위한 미디어 부호화 모듈(65)을 포함한다.
이처럼 상기 보조 데이터 부호화부(42)는 보조 데이터 저작부(41)로부터 전달받은 보조 데이터 및 미디어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스트림으로 생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지상파 DMB 콘텐츠 생성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
먼저, 메인 오디오/비디오(AV) 콘텐츠를 입력받는다(701). 이후,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부가 콘텐츠를 저작할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하여 그 결과를 판단하여(702), 부가 콘텐츠를 저작하지 않으면 바로 "708" 과정으로 진행하고, 부가 콘텐 츠를 저작하고자 하면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장면 구성을 위해 부가 미디어를 입력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하여 그 결과를 판단하여(703) 입력하지 않을 것이면 바로 "707" 과정으로 진행하고, 입력할 것이면 부가 미디어를 입력받는다(704).
이후, 입력받은 부가 미디어가 주기적으로 전송되어야 하는 미디어인지를 판단하여(705) 아니면 바로 "707" 과정으로 진행하고, 주기적으로 전송되어야 하는 부가 미디어이면 전송을 위한 부가 정보를 생성한다(706). 여기서, 부가 정보는 객체 정보(OD)의 OCI 기술자(descriptor)에 기술되거나, 별도의 OCI 스트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후, 입력받은 다양한 미디어를 이용하여 장면을 구성하고 대화형 기능을 부여하여 대화형 콘텐츠를 저작한다(707). 이후, 저작을 종료할 것인지를 문의하여(708) 아니면 "702" 과정으로 진행하고, 저작을 종료하고자 하면 부호화해야 하는 보조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709) 없으면 바로 "711" 과정으로 진행하고, 있으면 해당 보조 데이터를 부호화한다(710).
이후, 보다 편리한 콘텐츠 관리를 위해 통합 파일(예 : MP4 파일)로 부호화(생성)할 것인지를 문의하여(711) 아니면 바로 "713" 과정으로 진행하고, 통합 파일 형태로 부호화하고자 하면 통합 파일로 부호화(생성)한 후에(712), 상기 부호화한 지상파 DMB 콘텐츠를 전송 또는 저장한다(713).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3의 지상파 DMB 콘텐츠 관리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 콘텐츠 관리 장치(32) 는, 상기 지상파 DMB 콘텐츠 생성 장치(31) 또는 각종 저장 매체로부터 지상파 DMB 콘텐츠를 입력받기 위한 콘텐츠 입력부(81), 상기 콘텐츠 입력부(81)를 통하여 입력받은 지상파 DMB 콘텐츠가 통합 파일임에 따라 ES(Element Stream) 형태의 지상파 DMB 콘텐츠를 분리하기 위한 콘텐츠 분리부(82), 상기 콘텐츠 입력부(81)를 통하여 입력받거나 상기 콘텐츠 분리부(82)로부터 전달받은 지상파 DMB 콘텐츠를 등록/검색/수정/삭제하기 위한 콘텐츠 관리부(83), 상기 콘텐츠 관리부(83)로부터 전달받은 지상파 DMB 콘텐츠를 지상파 DMB 송출장치 등으로 출력하기 위한 콘텐츠 출력부(84), 상기 지상파 DMB 콘텐츠 관리 장치(32)의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85), 및 프로그램 정보에 따라 적정한 시간에 지상파 DMB 콘텐츠가 지상파 DMB 송출장치 등으로 출력되도록 프로그램 스케줄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관리부(86)를 포함한다.
이처럼 지상파 DMB 콘텐츠 관리 장치(32)는 지상파 DMB 콘텐츠 생성 장치(31) 또는 각종 저장 매체로부터 지상파 DMB 콘텐츠를 입력받아 등록/검색/수정/삭제하고, 프로그램 스케줄 정보에 따라 특정 시간에 필요한 지상파 DMB 콘텐츠를 지상파 DMB 송출장치로 출력하는데, 이 때, 지상파 DMB 콘텐츠를 등록/검색/수정/삭제를 위해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콘텐츠 관리부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관리부(83)는, 메인 비디오/오디오 및 부가 미디어를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로 구성된 지상파 DMB 콘텐츠를 등록하기 위한 데이터 등록 모듈(91), 상기 데이터 등록 모듈(91)을 통하여 등록된 지상파 DMB 콘텐츠 중 원하는 지상파 DMB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데이터 검색 모듈(92), 상기 데이터 등록 모듈(91)을 통하여 등록된 지상파 DMB 콘텐츠를 수정하기 위한 데이터 수정 모듈(93), 및 상기 데이터 등록 모듈(91)을 통하여 등록된 지상파 DMB 콘텐츠 중 원하는 지상파 DMB 콘텐츠를 삭제하기 위한 데이터 삭제 모듈(94)을 포함한다.
여기서,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DBMS(Data Base Management System)를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추가·저장·삭제하거나 검색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콘텐츠를 기본적인 AV 서비스를 담고 있는 메인 데 이터와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부가 데이터로 구분하여 단말기 상태 또는 전송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구성하는 방식을 통하여 콘텐츠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편리한 관리를 위해 지상파 DMB 콘텐츠를 ES별이 아닌 통합 파일 형태(예 : MP4 파일, 디지털 방송용 콘텐츠의 경우에도 MP4 형태의 통합 파일로 관리하고, 전송 시 ES별로 분리하여 MPEG-2 전송 스트림에 실어주는 것이 가능함)로 구성하는 방식을 통하여 지상파 DMB 콘텐츠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본적인 AV 콘텐츠 외에 JPEG과 같이 주기적으로 보내야할 부가적인 미디어 콘텐츠가 존재할 경우, 전체 장면 구성에 있어서 해당 미디어의 반복 횟수, 장면 구성 시 시작 시간(composition time), 지속 시간(duration) 등에 관한 정보를 부가 정보로 제공함으로써, 지상파 DMB 송출장치 등에서 이러한 부가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부가 미디어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상파 DMB 기술을 이용하여 언제·어디서나 다양한 콘텐츠를 향유할 수 있는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뿐만 아니라, 방송 콘텐츠의 단순 시청을 벗어나 시청자 대화형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부가 서비스를 포함하는 대화형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7)

  1.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다양한 대화형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고 단말기 상태 또는 전송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다양한 미디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본적인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담고 있는 메인 콘텐츠와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부가 콘텐츠를 구분하여 대화형 콘텐츠를 생성하거나 메인 오디오/비디오 제공 기능과 부가 기능을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형태로 대화형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대화형 콘텐츠 생성 장치; 및
    상기 대화형 콘텐츠 생성 장치에서 생성한 대화형 콘텐츠를 관리하기 위한 대화형 콘텐츠 관리 장치
    를 포함하는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형 콘텐츠 생성 장치는,
    부가 콘텐츠를 메인 콘텐츠의 장면 구성 정보에 인라인(inline) 노드로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형 콘텐츠 생성 장치는,
    기본적인 오디오/비디오(AV) 콘텐츠 외에 주기적으로 전송해야 하는 부가 미디어 콘텐츠가 존재함에 따라, 해당 미디어가 전체 장면 구성에 나타나는 반복 횟수, 장면 구성 시 시작 시간(composition time), 지속 시간(duration)과 같은 정보를 부가 정보로 생성하고 부호화하여 보조 데이터의 일부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형 콘텐츠 생성 장치는,
    상기 주기적으로 전송되어야 하는 부가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전송을 위한 부가 정보를 객체 정보(OD)의 OCI(Object Content Information) 기술자(descriptor)에 포함시켜 부호화하여 보조 데이터의 일부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형 콘텐츠 생성 장치는,
    상기 주기적으로 전송되어야 하는 부가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전송을 위한 부가 정보를 별도의 OCI 스트림으로 부호화하여 보조 데이터의 일부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형 콘텐츠 생성 장치는,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부가 콘텐츠를 ES(Element Stream)별이 아닌 통합 파일 형태(예 : MP4 파일 형태)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형 콘텐츠 생성 장치는,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대화형 콘텐츠를 다수의 ES 형태, 또는 소수의 ES와 MP4 파일 형태, 또는 하나의 MP4 파일 형태 중 어느 한 형태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8.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생성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미디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화형 서비스를 위해 필요 한 보조 데이터(초기 객체 정보, 객체 정보, 장면 구성 정보, 전송을 위한 부가 정보)를 저작하기 위한 보조 데이터 저작 수단;
    상기 보조 데이터 저작 수단에서 저작한 보조 데이터를 부호화하기 위한 보조 데이터 부호화 수단;
    상기 보조 데이터 부호화 수단에서 부호화한 보조 데이터를 외부 기기 또는 부호화 수단으로 선택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제 1 스위칭 수단;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외부 기기 또는 상기 부호화 수단으로 선택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제 2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제 1 또는 제 2 스위칭 수단을 통하여 전달받은 보조 데이터 또는 미디어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합 파일(예 : MP4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상기 부호화 수단
    을 포함하는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생성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데이터 저작 수단은,
    기본적인 오디오/비디오(AV) 콘텐츠 외에 주기적으로 전송해야 하는 부가 미디어 콘텐츠가 존재함에 따라, 해당 미디어가 전체 장면 구성에 나타나는 반복 횟수, 장면 구성 시 시작 시간(composition time), 지속 시간(duration)과 같은 정보를 부가 정보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생성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데이터 저작 수단은,
    상기 주기적으로 전송되어야 하는 부가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전송을 위한 부가 정보를 객체 정보(OD)의 OCI(Object Content Information) 기술자(descriptor)에 포함시켜 저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생성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데이터 저작 수단은,
    상기 주기적으로 전송되어야 하는 부가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전송을 위한 부가 정보를 별도의 OCI 스트림으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생성 장치.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데이터 저작 수단은,
    초기 객체 정보(IOD : Initial Object Descriptor)를 생성하기 위한 초기 객체 정보 생성 모듈;
    장면을 구성하는 미디어 객체들에 대한 객체 정보(OD : Object Descriptor)를 생성하기 위한 객체 정보 생성 모듈;
    장면을 구성하는 객체들간의 시공간 구성 정보 및 대화형 기능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장면 정보(SD : Scene Description)를 생성하기 위한 장면 정보 저작/생성 모듈; 및
    메인 오디오/비디오(AV) 이외에 주기적으로 전송되어야 하는 부가 미디어들에 대해 전송을 위한 부가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부가 정보 생성 모듈
    을 포함하는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생성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데이터 부호화 수단은,
    상기 초기 객체 정보 생성 모듈에서 생성한 초기 객체 정보를 부호화하기 위한 초기 객체 정보 부호화 모듈;
    상기 객체 정보 생성 모듈에서 생성한 객체 정보를 부호화하기 위한 객체 정보 부호화 모듈;
    상기 장면 정보 저작/생성 모듈에서 생성한 장면 정보를 부호화하기 위한 장면 정보 부호화 모듈;
    상기 부가 정보 생성 모듈에서 생성한 부가 정보를 부호화하기 위한 부가 정보 생성 모듈; 및
    상기 보조 데이터 저작 수단을 통하여 전달받은 미디어 데이터를 부호화하기 위한 미디어 부호화 모듈
    을 포함하는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생성 장치.
  14.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생성 방법에 있어서,
    메인 오디오/비디오(AV) 콘텐츠를 입력받는 단계;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부가 콘텐츠의 저작을 확인하는 단계;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장면 구성을 위해 부가 미디어를 입력받는 단계;
    주기적으로 전송되어야 하는 부가 미디어에 대해 전송을 위한 부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다양한 미디어를 이용하여 장면을 구성하고 대화형 기능을 부여하여 대화형 콘텐츠를 저작하는 단계; 및
    부호화해야 하는 보조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생성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콘텐츠 관리를 위해 상기 부호화한 콘텐츠를 통합 파일(예 : MP4 파일)로 부호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생성 방법.
  16.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관리 장치에 있어서,
    외부 기기 또는 외부의 각종 저장 매체로부터 대화형 콘텐츠를 입력받기 위한 콘텐츠 입력부;
    상기 콘텐츠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받은 대화형 콘텐츠가 통합 파일( 예 : MP4 파일)임에 따라 ES 형태의 대화형 콘텐츠를 분리하기 위한 콘텐츠 분리부;
    상기 콘텐츠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받거나 상기 콘텐츠 분리부로부터 전달받은 대화형 콘텐츠를 등록/검색/수정/삭제하기 위한 콘텐츠 관리부;
    상기 콘텐츠 관리부로부터 전달받은 대화형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콘텐츠 출력부;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프로그램 정보에 따라 대화형 콘텐츠가 출력되도록 프로그램 스케줄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관리부
    를 포함하는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관리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부는,
    메인 비디오/오디오 및 부가 미디어를 포함하는 보조 데이터로 구성된 대화형 콘텐츠를 등록하기 위한 데이터 등록 모듈;
    상기 데이터 등록 모듈을 통하여 등록된 대화형 콘텐츠 중 원하는 대화형 콘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데이터 검색 모듈;
    상기 데이터 등록 모듈을 통하여 등록된 대화형 콘텐츠를 수정하기 위한 데이터 수정 모듈; 및
    상기 데이터 등록 모듈을 통하여 등록된 대화형 콘텐츠 중 원하는 대화형 콘텐츠를 삭제하기 위한 데이터 삭제 모듈
    을 포함하는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관리 장치.
KR1020040097719A 2004-11-25 2004-11-25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생성 장치 및 그 방법과관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0626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719A KR100626648B1 (ko) 2004-11-25 2004-11-25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생성 장치 및 그 방법과관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719A KR100626648B1 (ko) 2004-11-25 2004-11-25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생성 장치 및 그 방법과관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609A KR20060058609A (ko) 2006-05-30
KR100626648B1 true KR100626648B1 (ko) 2006-09-21

Family

ID=37153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7719A KR100626648B1 (ko) 2004-11-25 2004-11-25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생성 장치 및 그 방법과관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66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347A (ko) 2020-06-10 2021-12-17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공유 콘텐츠 제공 및 활용 방법과 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982B1 (ko) * 2008-01-28 2010-04-02 주식회사 픽스트리 디지털 방송방법, 이를 위한 인코더, 디코더 및 이디코더를 사용하는 수신기
KR101521595B1 (ko) * 2008-10-14 2015-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인터렉티브 컨텐츠 구성을 위한 데이터 처리 장치, 그 방법및 기록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102A (ko) * 2001-02-23 2002-08-29 주식회사 에어코드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그 제작 방법
KR20030062138A (ko) * 2002-01-16 2003-07-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지상파 데이터 방송을 위한 데이터 부호화 장치 및그 방법
KR20040044679A (ko) * 2002-11-21 2004-05-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데이터 방송 기반의 부가 데이터 검색 장치 및 그방법
KR20040107879A (ko) * 2003-06-14 2004-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방법 및 dmb 수신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102A (ko) * 2001-02-23 2002-08-29 주식회사 에어코드 데이터 방송용 컨텐츠 제작 시스템 및 그 제작 방법
KR20030062138A (ko) * 2002-01-16 2003-07-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지상파 데이터 방송을 위한 데이터 부호화 장치 및그 방법
KR20040044679A (ko) * 2002-11-21 2004-05-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데이터 방송 기반의 부가 데이터 검색 장치 및 그방법
KR20040107879A (ko) * 2003-06-14 2004-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방법 및 dmb 수신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347A (ko) 2020-06-10 2021-12-17 리모트솔루션주식회사 공유 콘텐츠 제공 및 활용 방법과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609A (ko) 200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1831B1 (ko) 미디어 파일에서 트랙 관계를 표시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6463445B1 (en) Multimedia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and method including format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CN102037731B (zh) 压缩视频中属于互相关性层的图片的通知和抽取
CN100399824C (zh) 用于jvt视频的通用适配层
CN101578884A (zh) 提供和使用译码的媒体流的互操作点的预定信令的系统和方法
KR102464061B1 (ko) 미디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6847681B2 (en) Data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of data processing
CN1298162C (zh) 为便携设备从多个不同源提供媒体内容的编辑系统和方法
WO2009077849A1 (en) Embedding interactive data into an audiovisual content by watermarking
WO200706701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ding video, audio and additional data according to conditional access of terrestrial dmb and conditional access system using the same
US7149770B1 (en) Method and system for client-server interaction in interactive communications using server routes
KR20020026166A (ko) 제2 유형의 데이터를 제1 유형의 입력 스트림에 삽입하는방법
KR101792519B1 (ko)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CN100383764C (zh) 交互通信中客户机-服务器交互方法和系统
KR101032744B1 (ko)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과,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캐리어 신호
KR100626648B1 (ko)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생성 장치 및 그 방법과관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20130084972A (ko) 인터넷 기반 컨텐츠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CN105812961A (zh) 自适应流媒体处理方法及装置
US7398543B2 (en) Method for broadcasting multimedia signals towards a plurality of terminals
Kang et al. Metadata broadcasting for personalized service: A practical solution
JP4598804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KR101603976B1 (ko) 동영상 파일 결합 방법 및 그 장치
JP2002077855A (ja) マルチメディア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740882B1 (ko) 엠펙-4 이진 장면 포맷의 서비스 이용 등급 설정을 통한차등적 데이터 서비스 방법
US200800127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decoder configu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