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7879A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방법 및 dmb 수신기 - Google Paten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방법 및 dmb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7879A
KR20040107879A KR1020030038527A KR20030038527A KR20040107879A KR 20040107879 A KR20040107879 A KR 20040107879A KR 1020030038527 A KR1020030038527 A KR 1020030038527A KR 20030038527 A KR20030038527 A KR 20030038527A KR 20040107879 A KR20040107879 A KR 20040107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criptor
iod
dmb
audio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7324B1 (ko
Inventor
이철수
양윤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38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7324B1/ko
Priority to EP20040013760 priority patent/EP1487216A3/en
Priority to JP2004175983A priority patent/JP2005006336A/ja
Priority to CNA2004100429884A priority patent/CN1574962A/zh
Priority to US10/868,636 priority patent/US20050002418A1/en
Publication of KR20040107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3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1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decomposing into objects, e.g. MPEG-4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2Generation or processing of Service Information [S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서비스 방법 및 DMB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MPEG4 시스템에서 IOD 신택스의 소정 위치에 오디오 오브젝트의 ES_Descriptor와 영상 오브젝트의 ES_Descriptor를 포함시킨 후 MPEG2 시스템에서 상기 IOD를 PMT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송신 단계와, 수신된 PMT 내의 IOD의 오디오 오브젝트의 ES_Descriptor와 영상 오브젝트의 ES_Descriptor를 MPEG4 시스템이 배제된 DMB 수신기의 MPEG2 시스템에서 파싱하여 오디오나 영상에 관한 논리적 채널을 추출하는 수신 단계로 이루어져, DMB 수신기에서는 MPEG4 시스템에서 규정하는 방법을 위배하지 않고, 장면기술 정보(Scene Descriptor: BIFS)와 오브젝트의 정보(Object Descriptor) 해석을 지원하는 MPEG4 시스템이 없이도 기존의 MPEG2 시스템을 이용하여 MPEG4로 압축 부호화된 A/V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저가격의 DMB 수신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방법 및 DMB 수신기{DMB service method and DMB receiver}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DMB)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이용한 DMB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DMB 수신기에서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4로 압축된 영상과 음향에 관한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DMB 서비스할 수 있는 방법 및 DMB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CD, DVD등 뛰어난 음질의 디지털 오디오 기기가 급격히 보급되어 보편화되면서 고급 음질을 요구하는 디지털 방송에 대한 청취자의 요구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FM 방송이 제공할 수 있는 음질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유럽, 캐나다, 미국 등에서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 ; DAB)을 시행하고 있다. 상기 DAB 시스템은 현재의 AM 방송이나 FM 방송과는 전혀 다른 기술을 이용해 고품질의 음질뿐만 아니라, 이동 중에도 뛰어난 수신 능력을보여주며, 영상이나 문자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도 고속으로 송신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오디오 방송보다는 영상을 포함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강조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이라 부른다.
그리고, 상기 MPEG4는 이동 수신을 목적으로 개발되어 고정 및 이동 수신 환경에서 양질의 프로그램 수신을 보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예를 들면, 차량 단말기, 휴대폰, PDA)를 통해 전달할 수 있어, 개인이동방송서비스 제공을 위한 매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에 DMB 수신기나 DMB 수신팩을 장착하면 이동 단말기에서 MPEG4로 부호화된 동영상을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를 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휴대폰이나 PDA를 통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MPEG4 방식에서는 기존의 H.261 표준, JPEG 표준, 및 MPEG-1 및 MPEG-2 표준에서 사용하는 블록 단위의 변환 부호화 방법을 탈피하고, 영상의 내용(contents)에 근거하여 영상 신호를 부호화한다. 즉, 상기 MPEG4 방식은 내용에 기반한 영상 표현 방법을 사용하며, 화면을 모양 정보, 움직임 정보, 질감 정보라는 속성을 가지는 비디오 오브젝트들로 분리하여 처리한다. 내용기반 영상표현 방법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응용에서 오브젝트 사이의 상호 관계를 정립하여 이들의 접근과 조작을 쉽게 한다. 즉, MPEG4에서의 오브젝트 지향 대화형 기능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액세스에 있어서 화면이나 음향의 오브젝트 요소들을 독립적으로 취급하면서 이들을 서로 링크에 의해 결합해 사용자가 화면이나 음향을 자유로이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화면에서 배경을 그대로 둔 채 주인공만을 교체하는등의 처리가 이전까지는 프로덕션 단계에서만 가능했으나 MPEG4에서는 사용자 단계에서 가능해진다.
즉, 상기 DMB 서비스에 대한 국내 표준화 작업에서 송신측의 멀티미디어는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확장성을 고려하여 MPEG4 시스템에서 압축 부호화한 후 메타 정보와 함께 MPEG2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MPEG2 시스템에서는 입력되는 MPEG4 데이터를 PES 형태로 패킷화한 후 MPEG2 TS(transport) 형태로 만들어 유레카(Eureka-147) 시스템을 통해 전송하는 방식이 논의 중이다. 여기서, 유레카 시스템은 전송 채널에 의한 페이딩 왜곡을 극복하기 위해 시간/주파수 인터리빙 및 오류 정정 부호화와 함께 OFDM 전송 방식을 사용한다.
다시 말해, 상기 DMB 서비스의 경우 A/V 방송의 전송을 위한 다중화와 동기화는 MPEG2 시스템을 사용하여 MPEG2 TS 규격을 따르고, A/V 방송을 제외한 부가 데이터 방송은 MPEG4 시스템을 사용한다.
도 1은 MPEG4 콘텐츠가 일반적으로 어떻게 구성되는가를 도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하기는 MPEG4에서 정의하는 IOD(InitialObjectDescriptor)의 신택스(syntax)를 보이고 있다.
class InitialObjectDescriptor extends ObjectDescriptorBase : bit(8) tag=InitialObjectDescrTag {
bit(10) ObjectDescriptorID;
bit(1) URL_Flag;
bit(1) includeInlineProfileLevelFlag;
const bit(4) reserved=0b1111;
if (URL_Flag) {
bit(8) URLlength;
bit(8) URLstring[URLlength];
} else {
bit(8) ODProfileLevelIndication;
bit(8) sceneProfileLevelIndication;
bit(8) audioProfileLevelIndication;
bit(8) visualProfileLevelIndication;
bit(8) graphicsProfileLevelIndication;
ES_Descriptor esDescr[1 .. 255];
OCI_Descriptor ociDescr[0 .. 255];
IPMP_DescriptorPointer ipmpDescrPtr[0 .. 255];
}
ExtensionDescriptor extDescr[0 .. 255];
}
도 1 및 상기된 IOD 신택스에서 보면, IOD 디스크립터의 ES_descriptor 필드에 Object Descriptor(OD) 스트림에 관한 정보와 Scene Descriptor(SD) 스트림에관한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즉, 상기 IOD는 SD의 BIFS(Binary Format for Scene Description)와 OD를 연결시키는 포인터 역할을 한다. 상기 IOD 신택스에는 데이터 유형으로서 스트림 유형과, 그 스트림 유형에 대응하는 패킷의 식별 번호 즉, 논리적 채널(Elementary Stream IDentifier ; ES_ID)을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유형이 ES_ID_103이면 SD 정보, ES_ID_104이면 OD 정보를 나타낸다.
따라서, DMB 수신기의 MPEG4 시스템에서 IOD를 해석하면 장면 기술에 관한 정보(Scene Descriptor ; SD)와 각각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Object Descriptor ; OD)를 전송하는 논리적 채널(ES_ID)을 얻을 수 있다. 이 후 각각의 논리적 채널에 접근해서 장면을 구성하고, 각각 오브젝트에 관한 정보를 얻은 후에 음향 혹은 영상에 관한 논리적 채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SD에는 압축 부호화된 영상이나 음성 또는, 오브젝트의 계층 관계등이 기술되어 있고, 상기 OD에는 오브젝트의 부호화 방식등을 기술하고 있다.
이때, 상기 IOD에서 ES_ID를 해석하여 얻은 장면에 관한 정보에는 BIFS가 기술되어 있다. 상기 BIFS는 사용자 대화성을 제공할 수 있는 대화형 콘텐츠 표현 방식이 기술되어 있다.
즉,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은 사용자와의 다양한 대화형 서비스를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즉, 이동 통신망이나 인터넷을 통한 다양한 형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이후에 등장하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동영상과 오디오 서비스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다양한 부가 데이터를 제공하여 사용자와의 대화성(interactivity)을 가져야 한다. 이는 또한 다양한 전자 상거래서비스 등과 연결되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등장시키는데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 BIFS는 트리 구조로 표현되는 MPEG4의 콘텐츠의 구성을 표현하는 2진 언어로 대화형 3차원 그래픽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해서 개발된 VRML(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를 그 모체로 하고 있다.
따라서, BIFS를 이용해서 표현되는 콘텐츠 구성 정보는 콘텐츠를 구성하는 각 오브젝트의 구성 정보를 나타내는 OD(Object Descriptor)와 함께 활용되어 콘텐츠 내의 오디오와 비디오 같은 구성 요소를 콘텐츠 구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즉, 도 1의 구성 예에서, 트리 형태로 구성된 콘텐츠 구성 정보의 최하위 노드들은 화면을 구성하는 오디오와 비디오 오브젝트(audio stream, visual stream)를 나타내게 되는데, 상기 OD는 이러한 오브젝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나 비디오 비트 스트림의 특성 및 논리적 채널 정보등을 전달하여 전체 콘텐츠를 구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송신측에서 MPEG4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된 멀티미디어는 MPEG2 시스템에서 PES 포맷에 의해 패킷화되고, 해당 PES 패킷은 고정 길이를 갖는 복수의 MPEG TS 패킷으로 분할된 후 전송된다.
상기 MPEG2 TS는 다수의 비디오와 오디오 개별 비트 스트림을 전송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프로그램 중에서 어느 프로그램을 골라 어느 패킷을 취하여 어떻게 복호해야 하는지에 관한 정보가 필요하게 된다. 즉, MPEG2 TS의 복호에 있어서는 복수 프로그램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다음에 그 프로그램의 복호를 위해 필요한개별 비트 스트림의 트랜스포트 패킷의 패킷 인식 번호(PID)를 알아야 한다. 이 후, 이들 개별 비트 스트림의 파라미터 정보나 연계 정보를 알아야 한다. 이와 같은 다단계 동작을 위하여 다수개의 부가 정보(PSI) 테이블이 필요하다.
상기 다수개의 테이블 중 PAT(Program Association Table)는 PID=0인 패킷에 의해 전송되는 특수 정보이다. 즉, PAT는 각 프로그램 번호마다 그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를 기술하는데, 프로그램 맵 테이블(PMT)을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패킷의 PID를 가리킨다.
상기 프로그램 맵 테이블(PMT)은 프로그램 식별 번호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비디오, 오디오 등의 개별 비트 스트림이 전송되고 있는 트랜스포트 패킷의 PID 리스트와 부속 정보를 기술하고 있다. 즉, PMT의 역할은 개별 PID와 필요한 stream을 매핑(mapping)하는데 있다.
다음은 MPEG2 TS에서 PMT 신택스를 나타내고 있다.
TS_Program_Map_Section () {
table_id
section_syntax_indicator
'0'
reserved
section_length
program_number
reserved
version_number
current_next_indicator
section_number
last_section_number
reserved
PCR_PID
reserved
program_info_length
for (I=0;I<N;I++) {
descriptor(); // IOD descriptor가 들어올 수 있는 자리.
}
for (I=0;I<N1;I++) {
stream_type;
reserved;
elementary_PID;
reserved;
ES_info_length;
for (j=0;j<N2;j++) {
descriptor(); // SL_descriptor가 들어올 수 있는 자리
}
}
CRC_32
}
MPEG4로 압축 부호화된 멀티미디어를 MPEG2 TS로 패킷화할 때, 상기된 PMT 신택스에 MPEG4에서 정의된 IOD descriptor와 SL(Sync Layer)_descriptor가 포함된다. 즉, 상기 IOD 디스크립터에 대한 신택스는 위에서 상세히 기술하고 있으며, MPEG2 TS의 PMT의 항목으로 전송된다. 이때, 두번째 루프에 있는 descriptor()영역에 SL_descriptor를 포함시킴으로써, MPEG4 스트림의 ES_ID와도 같이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SL_descriptor는 MPEG4의 각 오브젝트 데이터간의 동기화를 위해 MPEG4 시스템 규격에서 정의한 것이다.
이 경우에 스트림 유형(stream type)은 ISO/IEC 14496-1 SL-packetized stream carried in PES packets or in ISO/IEC14496_sections의 형태로 결정된다. 이때, DMB 수신기에서는 송신측과 반대로 유레카(Eureka-147) 시스템을 통해 MPEG2 TS를 전송받아 MPEG2 시스템에서 복호한 후 MPEG4 시스템으로 출력한다.
따라서, MPEG2 시스템에서 MPEG4 시스템으로 출력되는 각각의 스트림이 오디오 데이터인지 비디오 데이터인지 알 수 없다. 이 정보는 OD 스트림을 통해서 전달되므로, 결국 MPEG4 시스템에서 OD 스트림을 해석해야만이 각각의 스트림이 오디오 데이터인지, 비디오 데이터인지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OD 스트림에 대한 정보는 MPEG4에서 정의한 IOD descriptor에 포함되어있다.
하지만, 상기 DMB 서비스의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상기 DMB와 관련된 산업 및 시장의 전개는 기대와는 달리 아직까지는 저조한 편이다. 여러 원인들 중 하나는 대중들이 쉽게 DMB 신호를 시청할 수 있는 DMB 수신기를 보급하지 못한 것이 될 것이다. 이는 DMB에 사용된 기술들이 고난이도의 최근 기술들을 채용해야 하므로 DMB 수신기 개발이 어렵고 제품 가격이 비싸기 때문이다. 특히 데이터 처리에 관련된 소프트웨어 개발에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즉, DMB 서비스에 관련된 사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DMB 수신기 가격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DMB 서비스가 활성화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므로, 초기 DMB 수신기를 장착한 휴대폰이나 PDA에서는 MPEG4로 압축 부호화된 A/V 신호만을 시청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DMB 수신기에서 MPEG4 시스템 없이 MPEG2 시스템만을 이용하여 MPEG4로 압축된 A/V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가격의 DMB 수신기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서비스하는 방법 및 DMB 수신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DMB 서비스 구조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DMB 서비스 구조를 보인 도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방법은, MPEG4 시스템에서 IOD 신택스의 소정 위치에 오디오 오브젝트의 ES_Descriptor와 영상 오브젝트의 ES_Descriptor를 포함시킨 후 MPEG2 시스템에서 상기 IOD를 PMT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송신 단계와, 수신된 PMT 내의 IOD의 오디오오브젝트의 ES_Descriptor와 영상 오브젝트의 ES_Descriptor를 MPEG4 시스템이 배제된 DMB 수신기의 MPEG2 시스템에서 파싱하여 오디오나 영상에 관한 논리적 채널을 추출하는 수신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DMB 수신기는 상기된 과정을 수행하는 MPEG2 시스템과 유레카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MPEG4 시스템에서 규정하는 방법을 위배하지 않고, 장면기술 정보(Scene Descriptor: BIFS)와 오브젝트의 정보(Object Descriptor)가 없이도 MPEG4로 압축 부호화된 A/V 서비스가 가능한 DMB 수신기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은 MPEG4 시스템이 배제된 저가격의 DMB 수신기를 장착한 PDA나 휴대폰에서 MPEG4로 압축 부호화된 A/V 신호를 수신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IOD 신택스의 ES_descriptor 부분에 오디오 오브젝트(Audio object)의 ES_Descriptor와 영상 오브젝트(Visual object)의 ES_Descriptor를 포함시킨다.
하기는 본 발명의 IOD 신택스를 나타내고 있다.
class InitialObjectDescriptor extends ObjectDescriptorBase : bit(8) tag=InitialObjectDescrTag {
bit(10) ObjectDescriptorID;
bit(1) URL_Flag;
bit(1) includeInlineProfileLevelFlag;
const bit(4) reserved=0b1111;
if (URL_Flag) {
bit(8) URLlength;
bit(8) URLstring[URLlength];
} else {
bit(8) ODProfileLevelIndication;
bit(8) sceneProfileLevelIndication;
bit(8) audioProfileLevelIndication;
bit(8) visualProfileLevelIndication;
bit(8) graphicsProfileLevelIndication;
ES_Descriptor esDescr[1 .. 255];
Audio object의 ES_Descriptor
Visual object의 ES_Descriptor
OCI_Descriptor ociDescr[0 .. 255];
IPMP_DescriptorPointer ipmpDescrPtr[0 .. 255];
}
ExtensionDescriptor extDescr[0 .. 255];
}
상기와 같이 IOD 신택스를 변경하면, DMB 수신기의 MPEG2 시스템에서는 IOD_descriptor를 해석하여 바로 오디오 스트림과 비디오 스트림을 구분할 수 있다. 즉, DMB 수신기에서는 MPEG4 시스템이 없이도 MPEG2 시스템에서 IOD 디스크립터의 Audio object의 ES_Descriptor와 Visual object의 ES_Descriptor를 파싱하여 음향 혹은 영상에 관한 논리적 채널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DMB 수신기는 크게 유레카 시스템과 MPEG2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유레카 시스템은 OFDM 방식으로 전송된 DMB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주파수/시간 디인터리빙 및 오류 정정 복호화를 수행하여 전송 채널에 의한 페이딩 왜곡을 보상한 후 MPEG2 시스템으로 출력한다. 상기 MPEG2 시스템은 유레카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DMB 신호를 입력받아 PMT를 파싱한 후 상기 PMT 내의 IOD 디스크립터에 기술된 Audio object의 ES_Descriptor와 Visual object의 ES_Descriptor를 이용한 역다중화를 통해 현재 스트림으로부터 오디오 스트림과 비디오 스트림을 분리하고, 분리된 오디오 스트림과 비디오 스트림은 각각의 디코더에서 해당 알고리즘으로 디코딩한 후 디스플레이를 위해 출력한다.
도 2는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DMB 서비스의 구조를 보인 도면으로서, A/V 서비스만을 제공한다고 가정할 때 DMB 수신기의 MPEG2 시스템에서 PMT에 포함되어전송된 IOD를 파싱하면 상기 IOD에 기술된 Audio object의 ES_Descriptor와 Visual object의 ES_Descriptor를 통해 현재 스트림이 비디오 스트림인지, 오디오 스트림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MPEG2 시스템은 Audio object의 ES_Descriptor와 Visual object의 ES_Descriptor를 이용한 역다중화를 통해 현재 스트림으로부터 오디오 스트림과 비디오 스트림을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오디오 스트림과 비디오 스트림은 각각의 디코더에서 해당 알고리즘으로 디코딩하면 MPEG4 시스템이 없는 DMB 수신기가 장착된 PDA나 휴대폰에서 MPEG4로 압축 부호화된 A/V 신호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DMB 수신기는 OD나 SD 정보의 해석을 지원하는 MPEG4 시스템이 없어도 기존의 MPEG2 시스템에서 MPEG4로 압축 부호화된 A/V 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DMB 수신기의 가격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저가격의 DMB 수신기가 장착된 휴대폰이나 PDA에서 간단하게 MPEG4로 압축 부호화된 A/V 서비스만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특히 효율적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방법 및 DMB 수신기에 의하면, 본 발명의 DMB 수신기에서는 MPEG4 시스템에서 규정하는 방법을 위배하지 않고, 장면기술 정보(Scene Descriptor: BIFS)와 오브젝트의 정보(Object Descriptor) 해석을 지원하는 MPEG4 시스템이 없이도 기존의 MPEG2 시스템을 이용하여 MPEG4로 압축 부호화된 A/V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저가격의 DMB 수신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MPEG4 시스템에 배제된 저가격의 DBM 수신기를 장착한 휴대폰이나 PDA를 통해 MPEG4로 압축 부호화된 A/V 신호를 수신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4)

  1. 송신측에서는 장면기술 정보(BIFS)와 오브젝트 기술 정보(OD)를 연결시키는 포인터 역할을 하는 초기 오브젝트 기술 정보(IOD)를 MPEG4 시스템에서 정의한 후 MPEG2 시스템에서 PMT에 포함시켜 전송하고, DBM 수신기의 MPEG2 시스템에서는 PMT 내의 IOD를 파싱하여 BIFS와 OD 스트림을 분리하고, MPEG4 시스템에서는 상기 OD를 파싱하여 오디오나 영상에 관한 논리적 채널을 추출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MPEG4 시스템에서 IOD 신택스의 소정 위치에 오디오 오브젝트의 ES_Descriptor와 영상 오브젝트의 ES_Descriptor를 포함시킨 후 MPEG2 시스템에서 상기 IOD를 PMT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송신 단계; 그리고
    수신된 PMT 내의 IOD의 오디오 오브젝트의 ES_Descriptor와 영상 오브젝트의 ES_Descriptor를 MPEG4 시스템이 배제된 DMB 수신기의 MPEG2 시스템에서 파싱하여 오디오나 영상에 관한 논리적 채널을 추출하는 수신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단계는
    상기 오디오 오브젝트의 ES_Descriptor와 영상 오브젝트의 ES_Descriptor를 IOD의 ES_descriptor 필드 다음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오디오 오브젝트의 ES_Descriptor와 영상 오브젝트의 ES_Descriptor를 파싱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오디오 스트림과 영상 스트림으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오디오 스트림과 영상 스트림을 각각의 디코더에서 해당 알고리즘으로 디코딩하는 단계;
    디코딩된 A/V 신호를 상기 DMB 수신기가 장착된 이동 단말기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방법.
  4. MPEG4 시스템에서 IOD 신택스의 소정 위치에 오디오 오브젝트의 ES_Descriptor와 영상 오브젝트의 ES_Descriptor를 포함시킨 후 MPEG2 시스템에서 상기 IOD를 PMT에 삽입하여 OFDM 방식으로 전송하면 이를 수신하여 디코딩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OFDM 방식으로 전송된 DMB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주파수/시간 디인터리빙 및 오류 정정 복호화를 수행하는 유레카 시스템; 그리고
    상기 유레카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DMB 비디오 신호로부터 PMT를 파싱하고 파싱된 PMT 내의 IOD의 오디오 오브젝트의 ES_Descriptor와 영상 오브젝트의 ES_Descriptor를 이용한 역다중화를 통해 입력되는 DMB 비디오 신호로부터 오디오 스트림과 영상 스트림을 분리한 후 분리된 오디오 스트림과 영상 스트림을 해당 디코딩 알고리즘으로 디코딩하고 디스플레이를 위해 출력하는 MPEG2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
KR20030038527A 2003-06-14 2003-06-14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방법, 송/수신기, 및 데이터 구조 KR100587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8527A KR100587324B1 (ko) 2003-06-14 2003-06-14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방법, 송/수신기, 및 데이터 구조
EP20040013760 EP1487216A3 (en) 2003-06-14 2004-06-11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JP2004175983A JP2005006336A (ja) 2003-06-14 2004-06-14 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放送(dmb)送信機/受信機及びその送信/受信方法
CNA2004100429884A CN1574962A (zh) 2003-06-14 2004-06-14 接收和传输数字多媒体广播的装置和方法
US10/868,636 US20050002418A1 (en) 2003-06-14 2004-06-14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8527A KR100587324B1 (ko) 2003-06-14 2003-06-14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방법, 송/수신기, 및 데이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879A true KR20040107879A (ko) 2004-12-23
KR100587324B1 KR100587324B1 (ko) 2006-06-08

Family

ID=33297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38527A KR100587324B1 (ko) 2003-06-14 2003-06-14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방법, 송/수신기, 및 데이터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002418A1 (ko)
EP (1) EP1487216A3 (ko)
JP (1) JP2005006336A (ko)
KR (1) KR100587324B1 (ko)
CN (1) CN157496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648B1 (ko) * 2004-11-25 2006-09-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생성 장치 및 그 방법과관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0682910B1 (ko) * 2004-12-31 200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Mpeg-4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KR100718415B1 (ko) * 2005-07-12 2007-05-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의 자동 채널 스캐닝방법
KR100744259B1 (ko) * 2006-01-16 2007-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수신기 및 그의 센서노드 표시방법
KR100744785B1 (ko) * 2005-11-21 2007-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Bifs 채널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수신 단말기
KR100754702B1 (ko) * 2005-01-27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Mpeg-2 전송 스트림에서 mpeg-4 객체 정보를관리하는 방법
KR100841080B1 (ko) * 2007-05-14 2008-06-24 한국과학기술원 Mpeg-2 전송 스트림을 이용하여 mpeg-4 객체를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1078470A2 (ko) * 2009-12-22 2011-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장면 기술자를 이용하여 mpeg-2 전송스트림을 포함하는 콘텐츠 저작/재생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12531B2 (en) 2004-07-14 2012-02-07 Nokia Corporation Grouping of session objects
EP1820342A4 (en) * 2004-12-06 2011-05-11 Korea Electronics Telecomm DEVICE AND METHOD FOR STORING INTERACTIVE DMB CONTENT LINK DATA AND DMB RECEPTOR TERMINAL SYSTEM USING THE SAME
KR101408914B1 (ko) * 2005-05-28 2014-06-18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특정 데이터 제공 방법
KR100735235B1 (ko) * 2005-10-12 2007-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상파 dmb 단말 장치에서 pip 기능을 이용한 이종서비스 제공 방법
KR100789382B1 (ko) * 2005-12-09 2007-12-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상파 dmb 비디오, 오디오, 부가 데이터의 제한수신 시스템
GB2433170A (en) * 2005-12-12 2007-06-13 Amino Holdings Ltd An adapter for converting a TV signal between different formats
JP4354957B2 (ja) * 2006-01-05 2009-10-28 Kddi株式会社 放送コンテンツ伝送装置、放送コンテンツ伝送システム、放送コンテンツ伝送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131856B1 (ko) * 2006-11-03 2012-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송 신호 송수신방법
KR20080048308A (ko) * 2006-11-28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본 장치와 확장 장치의 연동 장치 및 방법
US9398346B2 (en) 2007-05-04 2016-07-19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dictive capacity allocation
CN101690200B (zh) * 2007-05-04 2012-06-20 韩国电子通信研究院 用于在数字多媒体广播系统中提供高质量多媒体服务的方法和设备
KR101292893B1 (ko) 2007-05-08 2013-09-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계층적 부호화 장치 및 방법, 계층적 복호화 장치 및 방법
US9060208B2 (en) 2008-01-30 2015-06-16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dictive delivery of content over a network
KR101201206B1 (ko) * 2008-12-22 2012-11-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mb 기반의 다중화 장치와 방법 및 역다중화 장치와 방법
US11076189B2 (en) 2009-03-30 2021-07-27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Personal media channel apparatus and methods
US9215423B2 (en) 2009-03-30 2015-12-15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Recommendation engine apparatus and methods
US9027062B2 (en) * 2009-10-20 2015-05-05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Gateway apparatus and methods for digital content delivery in a network
US8396055B2 (en) 2009-10-20 2013-03-12 Time Warner Cab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media functionality in a content-based network
US8997136B2 (en) 2010-07-22 2015-03-31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packetized content delivery over a bandwidth-efficient network
JP5652642B2 (ja) * 2010-08-02 2015-01-14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生成装置およびデータ生成方法、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US9602414B2 (en) 2011-02-09 2017-03-21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rolled bandwidth reclamation
US8978079B2 (en) 2012-03-23 2015-03-10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aging delivery of content in a network with limited bandwidth using pre-caching
US9467723B2 (en) 2012-04-04 2016-10-11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automated highlight reel creation in a content delivery network
CN103533404B (zh) * 2012-07-04 2016-12-21 扬智电子科技(上海)有限公司 数字广播电视的接收方法
US20140082645A1 (en) 2012-09-14 2014-03-20 Peter Stern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enhanced or interactive features
KR101408915B1 (ko) * 2012-09-26 2014-06-19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데이터 제공 방법
CN103150340B (zh) * 2013-02-05 2016-06-22 上海达梦数据库有限公司 多媒体数据的快速装载系统及方法
CN104469485B (zh) * 2014-12-10 2018-05-01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针对视力障碍者的播放方法
US10116676B2 (en) 2015-02-13 2018-10-30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Apparatus and methods for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service modification based on online activit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1616A (ja) * 2000-03-02 2001-09-14 Media Glue Corp 多重化音響・動画圧縮符号化信号変換方法、装置および変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US7216288B2 (en) * 2001-06-27 2007-05-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scene description emulation for playback of audio/visual streams on a scene description based playback system
MXPA04001197A (es) * 2001-08-08 2004-05-20 Thomson Licensing Sa Dispositivo de comunicacion remoto de mpeg-4.
US7251277B2 (en) * 2002-12-04 2007-07-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fficient means for creating MPEG-4 textual representation from MPEG-4 intermedia format
US20040223547A1 (en) * 2003-05-07 2004-11-11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MPEG-4 random access broadcast capability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648B1 (ko) * 2004-11-25 2006-09-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화형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생성 장치 및 그 방법과관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0682910B1 (ko) * 2004-12-31 200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Mpeg-4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 장치
KR100754702B1 (ko) * 2005-01-27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Mpeg-2 전송 스트림에서 mpeg-4 객체 정보를관리하는 방법
KR100718415B1 (ko) * 2005-07-12 2007-05-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에서의 자동 채널 스캐닝방법
KR100744785B1 (ko) * 2005-11-21 2007-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Bifs 채널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 방법, 및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수신 단말기
KR100744259B1 (ko) * 2006-01-16 2007-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수신기 및 그의 센서노드 표시방법
KR100841080B1 (ko) * 2007-05-14 2008-06-24 한국과학기술원 Mpeg-2 전송 스트림을 이용하여 mpeg-4 객체를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1078470A2 (ko) * 2009-12-22 2011-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장면 기술자를 이용하여 mpeg-2 전송스트림을 포함하는 콘텐츠 저작/재생 장치 및 방법
WO2011078470A3 (ko) * 2009-12-22 2011-10-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장면 기술자를 이용하여 mpeg-2 전송스트림을 포함하는 콘텐츠 저작/재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02418A1 (en) 2005-01-06
CN1574962A (zh) 2005-02-02
EP1487216A2 (en) 2004-12-15
KR100587324B1 (ko) 2006-06-08
EP1487216A3 (en) 2006-08-30
JP2005006336A (ja) 200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7324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방법, 송/수신기, 및 데이터 구조
KR100531378B1 (ko) 이동 tv 서비스에서의 정보전송방법
US9432724B2 (en) Method for processing a web service in an NRT service and a broadcast receiver
US8359615B2 (en) Method and digital broadcasting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SG
US200800921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electronic service guide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20120097378A (ko)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송 수신 장치
KR100710248B1 (ko) 방송 수신기, 방송 서비스 구분 방법, 및 데이터 구조
CN201369799Y (zh) 一种数字电视系统中的广告插入设备
US200700677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ement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JP2024040224A (ja) 送信方法及び送信装置、並びに受信方法及び受信装置
KR20070082460A (ko) 방송 수신 장치, 방송 프로그램 정보 송수신방법 및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
EP2093911A2 (en) Receiving system and audio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0755839B1 (ko) 음성 다중을 지원하는 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435815B1 (ko) 방송 시스템 및 오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Lee et al. Development of portable T-DMB receiver for data services
KR101531510B1 (ko) 수신 시스템 및 오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883366B1 (ko)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에서 통합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dmb 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74818A (ko) 인터넷 콘텐츠 기반의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데이터송수신방법
KR100753503B1 (ko) 이동형 방송에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방법,및 데이터 구조
KR101435826B1 (ko) 방송 수신기의 방송 신호 처리 방법
KR100755845B1 (ko) 프로그램 안내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이동형 방송 수신기
KR100725928B1 (ko) 방송콘텐츠의 고속 복호화를 위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수신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KR100950982B1 (ko) 디지털 방송방법, 이를 위한 인코더, 디코더 및 이디코더를 사용하는 수신기
KR100755838B1 (ko) 이동형 방송수신기 및 부가 데이터 서비스 방법
Lee et al. Development of a T-DMB 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