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503B1 - 이동형 방송에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방법,및 데이터 구조 - Google Patents

이동형 방송에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방법,및 데이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503B1
KR100753503B1 KR1020050124083A KR20050124083A KR100753503B1 KR 100753503 B1 KR100753503 B1 KR 100753503B1 KR 1020050124083 A KR1020050124083 A KR 1020050124083A KR 20050124083 A KR20050124083 A KR 20050124083A KR 100753503 B1 KR100753503 B1 KR 100753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d
field
program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4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3831A (ko
Inventor
문경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4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503B1/ko
Publication of KR20070063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3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2Synchronization processes, e.g. processing of PCR [Program Clock 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방송 수신기에서 부가 데이터를 서비스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데이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SEI의 유저 영역에 비디오 서비스에 연동된 부가 데이터를 포함하여 전송함으로써, 유저는 비디오에 동기화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DAB, DMB, PAD, 비디오

Description

이동형 방송에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방법, 및 데이터 구조{Apparatus, method, and data structure for supplementary data service in mobile-type broadcast}
도 1은 일반적인 DMB 서비스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DMB 비디오 서비스 프로토콜 스택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오디오 프레임 내 PAD 위치의 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일반적인 X-PAD의 어플리케이션 타입에 따른 데이터 종류의 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일반적인 NAL 유닛 타입에 따른 NAL 유닛에 포함되는 내용들의 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도 5의 NAL 유닛 타입이 6일 때의 NAL 유닛에 포함되는 내용에 대한 신택스 구조를 보인 도면
도 7의 도 6의 sei_message() 신택스 구조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도 7의 페이로드 타입에 따른 페이로드 형태에 대한 신택스 구조를 보인 도면
도 9는 도 7의 페이로드 타입이 5일 때의 유저 데이터 영역에 대한 신택스 구조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서비스를 위한 PAD의 신택스 구조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저 데이터 영역에 PAD가 포함된 예의 신택스 구조를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방송 수신기의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튜너 102 : FIC 디먹스
103 : MCI 파서 104 : FIDC 파서
105 : SI 파서 106 : MSC 파서
107 : TP 디먹스 108 : PSI 파서
109 : 비디오 디코더 111,114 : PAD 디코더
111,113 : 오디오 디코더 112 : 데이터 디코더
본 발명은 이동형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디오에 동기화된 부가 데이터를 서비스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데이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유럽에서 디지털 오디오 방송을 하기 위해 채택한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 : DAB)은 깨끗한 음질을 제공하고 다양한 부가 서비 스를 제공한다. 상기 DAB에서는 깨끗한 음질을 제공하기 위해 MPEG-1 오디오뿐만 아니라 MPEG-2 오디오를 지원하며 교통 정보 및 웹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갖고 있다.
한국에서는 오디오뿐만 아니라 비디오를 제공할 수 있도록 DAB 규격을 확장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DMB)을 정의하였다. 상기 DMB는 DAB을 기반으로 하여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비디오는 MPEG-4/AVC(Advanced Video Coding)(H.264) 방식을 채택하고, 오디오는 MPEG-4/BSAC(Bit Sliced Arithmetic Coding) 방식을 채택하였다. 상기 비디오와 오디오는 MPEG-2 시스템을 통해 MPEG-2 TS(Transport Stream) 형태로 다중화된다. 즉, 상기 DMB는 MPEG-4와 MPEG-2 규격을 이용하여 비디오 서비스까지 가능하게 하였다.
도 1은 상기 DAB/DMB 서비스 구조의 일 예를 보인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콤포넌트가 하나의 서비스를 구성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가 하나의 앙상블(Ensemble)을 구성한다. 즉 DAB/DMB 서비스의 최상위는 앙상블이다.
상기 앙상블은 방송국에 해당하고, 서비스는 TV나 라디오의 1개 채널에 해당하며, 하나 이상의 서비스 콤포넌트로 구성된다. 즉, 상기 한 서비스에는 방송 편성 정보에 따라 일련의 방송 프로그램을 보내고 있다.
상기 서비스 콤포넌트는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영상, 음성, 교통정보, 혹은 방송 서비스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서비스 콤포넌트는 서브 채널(Sub channel)로 1:1 대응된다.
상기 도 1에서, 'Alpha 1 Radio' 서비스의 주 서비스 콤포넌트(primary service component)인 'Audio' 서비스 콤포넌트는 MSC(Main Service Channel)의 서브 채널 a로 전송된다. 상기 'Audio' 서비스 콤포넌트에는 방송국의 프로그램 가이드 계획에 따라서 시간 순으로 서비스한다. 그리고 상기 DAB/DMB의 FIC(Fast Information Channel)로 전송되는 SI는 서비스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다중화 배열 정보(Multiplex Configuration Information ; MCI)는 상기 앙상블에 다중화되어 있는 서비스와 각 서비스를 구성하는 서비스 콤포넌트가 무엇인지, 서비스 콤포넌트는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를 알려주는 정보로서, FIC로 전송된다.
즉, 상기 DAB/DMB 전송 프레임은 동기 채널(Synchronization Channel)과 FIC(Fast Information Channel), 및 MSC(Main Service Channel)로 구성된다.
상기 MSC는 미디어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채널이고, FIC는 MSC 다중화 배열 정보(MCI), 시스템 정보(SI) 등 미디어 데이터에 앞서 수신기에 전달되어야 할 중요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채널이다.
한편 상기 DMB의 비디오 서비스는 DAB의 스트림 데이터 모드(stream data mode)를 확장하여 정의하였다.
도 2는 상기 DMB 비디오 서비스의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을 보인 것으로서, 수신측에서 본 DMB 서비스의 계층 구조이다. 이때 상기 도 1의 'BETA VIDEO'는 비디오 서비스로서, DMB라는 주 서비스 콤포넌트(primary service component)를 가지며 서브 채널 b로 전송된다. 즉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MPEG-4 방식으로 압축 부호화된 미디어 데이터는 MPEG-4 Sync Layer에서 SL 패킷화 하고, Delivery Layer에서 MPEG-2 TS 형태로 다중화된 후 스트림 모드로 전송된다.
한편 상기 DAB에는 오디오 프레임의 일부 영역을 PAD(Program Associate Data) 영역으로 정의하여 다양한 데이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위한 데이터를 보내고 있다. 그 예로서 오디오 방송의 자막 서비스인 DLS(Dynamic Label Segment)가 있다. 그리고 상기 PAD로 데이터 그룹(data group)을 전송함으로써, 슬라이드 쇼(Slide Show) 서비스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PAD를 통해 TDC(Transparent Data Channel)로 데이터를 보내면 교통방송 정보인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s Group)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 모든 서비스는 DAB 스트림 오디오 모드(stream audio mode)로 전송되는 오디오 프레임(Audio frame)의 PAD(Program Associated Data) 영역으로 전송된다. 상기 PAD는 오디오 신호가 부호화될 때 제작되며 동시에 오디오 신호와 다중화되고, 수신기에서는 오디오 신호가 디코딩될 때에만 PAD 데이터 신호가 검출된다.
이때 상기 DAB 오디오 프레임의 PAD 영역은 도 3과 같이 고정 크기의 F-PAD필드와 가변 크기의 X-PAD 필드로 나뉘며, 일 예로 상기 DLS는 X-PAD 필드를 통해 전송된다.
상기 F-PAD 영역은 바이트 L-1과 바이트 L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상기 F-PAD 영역 내 CI(Content Indicator) 플래그가 '1'이면 X-PAD가 상기 오디오 프레임에 포함되어 있음을 표시한다.
상기 X-PAD 필드는 데이터 필드와 CI(Content Indicator) 필드로 구성되는데, 상기 CI에 데이터 필드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어플리케이션 타입 (application type)을 저장하고 있다. 도 4를 보면, 상기 데이터 그룹은 어플리케이션 타입 1, 12, 13, 14, 15로 전송되고, 상기 DLS는 어플리케이션 타입 2, 3으로 전송되며, 상기 TDC는 어플리케이션 타입 23으로 전송된다.
상기 DAB은 디지털 라디오 방송 규격이므로 오디오 스트림과 동기화된 부가 데이터를 보냄으로써 다양한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H.264의 유저 데이터 영역을 활용하여 비디오 서비스에 동기화된 프로그램 연동 데이터(PAD)를 서비스하도록 하는 장치, 방법, 및 데이터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방송을 위한 데이터 서비스 방법은, 프로그램 연동 데이터(PAD)를 비디오 서비스에 동기화시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되는 프로그램 연동 데이터를 파싱한 후 해당 비디오 서비스와 연동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송 단계는 비디오 서비스의 유저 영역을 통해 프로그램 연동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비디오 서비스의 SEI 내 유저 영역을 통해 상기 프로그램 연동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방송의 비디오 서비스에 동기화시켜 프로그램 연동 데이터(PAD)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는, 프로그램 연동 데이터임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식별 번호가 할당되는 고유 식별자 필드; 상기 프로그램 연동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플래그 필드; 및 상기 플래그 필드 값에 따라 실제 프로그램 연동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방송 수신기는 특정 채널의 주파수를 튜닝하여 복조하는 수신 신호 처리부; 성기 수신 신호 처리부에서 복조된 전송 프레임 내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 형태로 다중화된 비디오 서비스를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부; 상기 역다중화부에서 역다중화된 비디오 서비스를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딩부; 및 상기 비디오 디코딩부로부터 디코딩된 비디오 서비스 내 유저 영역으로부터 프로그램 연동 데이터를 파싱한 후 상기 비디오 디코딩된 해당 비디오 서비스와 연동하여 디스플레이하는 PAD 디코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프로그램 연동 데이터(PAD)를 비디오 서비스에 동기화시켜 제공하도록 하는데 있다.
특히 본 발명은 NAL(Network Abstraction Layer) 유닛 타입이 6일 때, NAL 유닛에 포함되는 SEI 영역을 통해 상기 PAD를 전송하도록 하는데 있다.
통상 DMB의 비디오 서비스 규격인 H.264에는 네트워크 이식성 향상을 위해 NAL을 채택하고 있다. 상기 NAL 채택으로 H.264 비트스트림은 여러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쉽게 전송될 수 있다.
즉, H.264는 다양한 네트워크에서 자유롭게 이용될 수 있도록, 특히 서로 다른 이종 네트워크간에 손쉬운 데이터 이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동영상 신호를 압축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과 이 정보를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될 수 있는 형태로 데이터를 특정한 형태로 변환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으로 분할하였다. 이 중 압축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을 VCL(Video Coding Layer)이라고 부르며, 네트워크 적응 기능을 담당하는 계층을 NAL이라고 부른다.
이때 이동형 방송 수신기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를 통해 비트스트림 혹은 패킷 형태의 압축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는데, 이 데이터는 모든 네트워크에 걸쳐 동일한 데이터 형식인 NAL 유닛으로 재구성되어 있다.
도 5는 NAL 유닛 신택스에 포함되는 NAL 유닛 타입(nal_unit_type) 코드들과 그 코드들의 내용을 보이고 있다.
도 5를 보면, NAL 유닛 타입이 6일 경우, NAL 유닛의 내용은 SEI(Supplemental Enhancement Information)를 나타낸다. 즉, NAL 유닛 타입이 6일 경우 NAL 유닛에 sei_rbsp 형태의 데이터가 포함된다.
상기 SEI는 복호된 데이터의 화면 표현과 관련된 시간 정보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SEI는 도 6과 같은 sei_rbsp() 신택스 구조를 가지며, sei_message()에 해당 정보를 전송한다.
도 7은 상기 sei_message()의 신택스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sei_payload 필드를 통해 유저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sei_payload 필드는 페이로드 타입(payloadType)과 페이로드 사이즈(payloadSize)를 포함한다.
도 8은 상기 페이로드 타입(payloadType)에 따른 유저 데이터의 종류를 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페이로드 타입(payloadType)이 1이면 sei_message()의 페이로드 데이터는 픽쳐 타이밍 정보(pic_timing)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 페이로드 타입(payloadType)이 5일 때, 페이로드에 실릴 수 있는 데이터 user_data_unregistered(payloadSize)로 PAD를 전송하는 것이다.
즉, H.264에서 페이로드 타입(payloadType)이 5일 때 user_data_unregistered의 데이터 구조는 도 9와 같다. 도 9를 보면, 고유 식별자(uuid_iso_iec_11578) 필드와 유저 데이터 페이로드 바이트(user_data_payload_byte) 필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DMB 방송의 비디오 서비스에 동기화시켜 PAD를 전송하기 위해 고유 식별자(Universal Unique Identifier ; uuid)를 할당하고, 상기 도 9의 user_data_payload_byte 영역을 이용하여 도 3의 F-PAD 및 X-PAD를 서비스하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서비스에 동기화된 PAD의 구조를 보이고 있 다. 도 10에서 padFlag 필드는 DMB 비디오 서비스에 PAD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일 예로, 상기 padFlag 필드 값이 1이면 비디오 서비스에 PAD가 포함되어 있음을 의미하고, 0이면 PAD가 포함되어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padFlag 필드 값이 1일 때, 도 10의 F-PAD_type 필드부터 Z 필드까지는 오디오 프레임의 F-PAD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즉, CI_flag 필드 값이 1이면 이후 X-PAD는 CI(Content Indicator)를 갖는다. 상기 CI는 도 4의 어플리케이션 타입(application type)을 저장하고 있으며 이 값에 따라 PAD에 저장된 데이터의 형식이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F-PAD_type 필드 값이 b'00'이고 X-PAD_Indicator 필드 값이 b'01'이면 4byte 길이인 short X-PAD 필드가 위치한다. 상기 X-PAD_Indicator 필드는 X-PAD의 길이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F-PAD_type 필드 값이 b'00'이고 X-PAD_Indicator 필드 값이 b'10'이면 variable_size_X-PAD 필드가 위치한다.
상기 Short X-PAD 필드와 variable_size_X-PAD 필드는 기존 DAB 규격의 오디오 프레임 내에 전송되는 X-PAD와 동일한 구조 및 형식을 갖는다.
단 오디오 프레임 내의 X-PAD는 logical order와 transmission order가 뒤바뀌어져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logical order와 transmission order가 동일하게 유지되므로 수신기에서 PAD를 수신하여 순서를 뒤바꿀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비디오 서비스용 PAD의 고유 식별자(uuid)로 '3639bca4-93ab-4a90-b129-5ba2bb9891f0'를 할당하였다고 가정할 때, 도 11은 user_data_unregistered 영역의 user_data_payload_byte 필드에 포함되는 PAD의 실제 예를 보이고 있다.
도 11에서 padFlag 필드 값이 '1'이고 F-PAD_type 필드 값이 b'00'이며, X-PAD_Indicator 필드가 b'01'이므로 Z 필드 이후에는 Short X-PAD가 저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CI_flag 필드가 1이므로 Short X-PAD에는 어플리케이션 타입(application type)을 지정하는 CI(Content Indicator)가 있음을 뜻한다. 이때 CI 필드 값이 2이므로, 도 4를 참조하면 DLS(Dynamic label segment)가 시작함을 알 수 있다. 이 이후에 DLS의 연속 데이터로서, CI 필드 값이 3인 X-PAD가 올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Short X-PAD는 4byte로 고정되어 있고 1byte의 CI와 3byte의 데이터 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3 바이트는 CI 필드 값에 따라 DLS의 시작부분이 된다. 상기 DLS는 16비트의 프리픽스(prefix)와 n 바이트의 캐릭터 스트링(character string)과 CRC로 구성된다. 도 11에서 3byte는 프리픽스 2byte와 캐릭터 스트링 1byte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송신측에서는 비디오 서비스를 전송하는 중에 비디오와 동기화된 부가 데이터(PAD) 정보를 보낼 수 있다. 상기 비디오의 부가 데이터(PAD)로 활용 가능한 서비스는 BWS, Slide Show, DLS, TPEG 등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유저는 오디오 프레임을 통해서만 제공되었던 PAD 서비스 뿐만 아니라, 비디오에 동기화된 PAD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방송 수신기의 디코딩 관련 구성 블록도로 서, 튜너(101), FIC 디먹스(102), MCI 파서(103), FIDC 파서(104), SI 파서(105), MSC 디먹스(106), 트랜스포트(TP) 디먹스(107), PSI 디코더(108), 비디오 디코더(109), PAD 디코더(110), 오디오 디코더(111), 데이터 디코더(112), 오디오 디코더(113), PAD 디코더(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형 방송 수신기의 튜너(101)는 특정 채널의 DMB 서비스를 수신하여 복조한 후 FIC 채널 정보는 FIC 디먹스(102), MSC 채널 정보는 MSC 디먹스(106)로 출력한다.
상기 FIC 디먹스(102)는 FIC 채널로부터 MCI, SI, FIDC를 분리하여 각각 MCI 파서(103), FIDC 파서(104), 및 SI 파서(105)로 제공하여 해당 정보를 파싱하게 한다.
상기 MSC 디먹스(106)는 MSC 채널로 수신된 신호로부터 DMB 방송 서비스를 분리하여 TP 디먹스(107)로 출력하고, EPG와 같은 데이터 서비스를 분리하여 데이터 디코더(112)로 출력하며, 전용 오디오(즉, DAB) 서비스를 분리하여 오디오 디코더(113)로 출력한다.
상기 TP 디먹스(107)는 DMB 방송 서비스로부터 PSI, 비디오, 오디오를 분리한 후 PSI는 PSI 디코더(108)로 출력하고, 비디오는 비디오 디코더(109)로 출력하며, 오디오는 오디오 디코더(111)로 출력한다. 상기된 각 디코더들은 해당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입력 데이터에 대해 디코딩을 수행한다.
이때 비디오 디코더(109)의 출력단과 오디오 디코더(113)의 출력단에는 각각 PAD 디코더(111,114)가 구비된다.
여기서 오디오 디코더(111,113)가 각각 구비되는 것은 DMB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오디오 디코딩 알고리즘과 기존 DAB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오디오 디코딩 알고리즘이 다르기 때문이다. 일 예로, 상기 DMB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오디오 디코딩 알고리즘은 BSAC이며, DAB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오디오 디코딩 알고리즘은 MUSICAM이다.
상기 비디오 디코더(109)의 출력단에 구비되는 PAD 디코더(110)는 H.264 디코딩 알고리즘으로 비디오 디코딩된 DMB 비디오 서비스의 유저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PAD를 파싱한다. 상기 PAD 디코더(110)에서 디코딩된 PAD는 비디오 서비스에 연동되어 표시 장치에 표시된다. 일 예로, 상기 PAD의 종류가 DLS이고, 현재 어떤 사람이 노래를 부르고 있다면, 자막으로 상기 노래의 가사를 보여줄 수도 있다.
그리고 오디오 디코더(113)의 출력단에 구비되는 PAD 디코더(114)는 MUSICAM 디코딩 알고리즘으로 오디오 디코딩된 DAB 오디오 서비스의 오디오 프레임으로부터 PAD를 파싱한다. 상기 PAD 디코더(114)에서 디코딩된 PAD는 오디오 서비스에 연동되어 표시 장치에 표시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 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에 동기화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구조,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형 방송 수신기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DMB 비디오 서비스에서도 비디오/오디오에 동기화된 또는 동기화가 필요 없는 부가 데이터의 서비스가 가능하다.
둘째, 규모가 큰 DMB 미들웨어 또는, BIFS 없이도 기존 DAB 기술을 활용하여 비디오에 동기화된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4)

  1. 프로그램 연동 데이터(PAD)를 비디오 서비스에 동기화시켜 SEI(Supplemental Enhancement Information) 내 유저 영역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되는 프로그램 연동 데이터를 파싱한 후 해당 비디오 서비스와 연동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방송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EI는 NAL 유닛 타입이 6일 때 NAL 유닛에 포함되는 부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이동형 방송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연동 데이터(PAD)를 비디오 서비스에 동기화시켜 SEI(Supplemental Enhancement Information) 내 유저 영역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그램 연동 데이터임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식별 번호와, 상기 프로그램 연동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플래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되는 프로그램 연동 데이터를 파싱한 후 해당 비디오 서비스와 연동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고유 식별 번호가 프로그램 연동 데이터임을 표시하고, 상기 플래그 정보가 프로그램 연동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음을 표시하는 경우에만 전송되는 프로그램 연동 데이터를 파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방송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연동 데이터는
    BWS, 슬라이드 쇼, DLS, TPEG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방송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EI 내 유저 영역의 데이터 구조는,
    프로그램 연동 데이터임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 식별 번호가 할당되는 고유 식별자 필드;
    상기 프로그램 연동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플래그 필드; 및
    상기 플래그 필드 값에 따라 실제 프로그램 연동 데이터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방송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필드는
    F-PAD 타입을 표시하는 F-PAD 타입 필드;
    상기 F-PAD 타입 필드 값이 b'00'이면 포함되는 X-PAD 지시 필더와 Byte_L 지시 필더;
    상기 F-PAD 타입 필드 값이 b'00'이고 X-PAD 지시 필드 값이 b'01'이면 포함되는 short X-PAD 필드; 및
    상기 F-PAD 타입 필드 값이 b'00'이고 X-PAD 지시 필드 값이 b'10'이면 포함되는 variable_size_X-PAD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방송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필드는
    상기 F-PAD 타입 필드 값이 b'00'이면 Byte_L 데이터 필드, CI 플래그 필드, 및 Z 필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방송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
  10. 특정 채널의 주파수를 튜닝하여 복조하는 수신 신호 처리부;
    성기 수신 신호 처리부에서 복조된 전송 프레임 내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 형태로 다중화된 비디오 서비스를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부;
    상기 역다중화부에서 역다중화된 비디오 서비스를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딩부; 및
    상기 비디오 디코딩부로부터 디코딩된 비디오 서비스의 SEI(Supplemental Enhancement Information) 내 유저 영역으로부터 프로그램 연동 데이터를 파싱한 후 상기 비디오 디코딩된 해당 비디오 서비스와 연동하여 디스플레이하는 PAD 디코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방송 수신기.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SEI는 NAL 유닛 타입이 6일 때 NAL 유닛에 포함되는 부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이동형 방송 수신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PAD 디코더는
    상기 유저 영역 내 고유 식별 번호가 프로그램 연동 데이터임을 표시하고, 플래그 정보가 프로그램 연동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음을 표시하는 경우에만 상기 비디오 서비스로부터 프로그램 연동 데이터를 파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방송 수신기.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연동 데이터는
    BWS, 슬라이드 쇼, DLS, TPEG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방송 수신기.
KR1020050124083A 2005-12-15 2005-12-15 이동형 방송에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방법,및 데이터 구조 KR100753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083A KR100753503B1 (ko) 2005-12-15 2005-12-15 이동형 방송에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방법,및 데이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4083A KR100753503B1 (ko) 2005-12-15 2005-12-15 이동형 방송에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방법,및 데이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831A KR20070063831A (ko) 2007-06-20
KR100753503B1 true KR100753503B1 (ko) 2007-08-31

Family

ID=38363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4083A KR100753503B1 (ko) 2005-12-15 2005-12-15 이동형 방송에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방법,및 데이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5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480B1 (ko) * 2008-08-27 2011-07-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신호 송수신장치와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8612A (ko) * 1996-03-05 1997-10-13 정장호 디지탈 dbs의 자막/문자 신호 전송 시스템
WO2001030074A1 (en) 1999-10-19 2001-04-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ransmitter and receiver
KR20030078354A (ko) * 2002-03-29 2003-10-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데이터 삽입 장치 및그 방법
KR20060039728A (ko) * 2004-11-03 2006-05-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디오/비디오 서비스와 데이터 서비스의 동기화를 위한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송/수신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8612A (ko) * 1996-03-05 1997-10-13 정장호 디지탈 dbs의 자막/문자 신호 전송 시스템
WO2001030074A1 (en) 1999-10-19 2001-04-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ransmitter and receiver
KR20030078354A (ko) * 2002-03-29 2003-10-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데이터 방송을 위한 동기화 데이터 삽입 장치 및그 방법
KR20060039728A (ko) * 2004-11-03 2006-05-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디오/비디오 서비스와 데이터 서비스의 동기화를 위한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송/수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831A (ko) 200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1378B1 (ko) 이동 tv 서비스에서의 정보전송방법
KR100552678B1 (ko) 데이터 패킷의 접근 지연 시간 단축을 위한 송/수신 장치및 그 방법
KR100587324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방법, 송/수신기, 및 데이터 구조
US20080244678A1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and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EP1085750A2 (en) Reception system and digital broadcasting system
JP2006217636A (ja) デジタルオーディオ放送でのビデオサービスの提供及び受信方法、並びにその装置
KR101191180B1 (ko) 프로그램 안내를 위한 데이터 구조, 방법, 및 이를 적용한방송 장치
KR20130029369A (ko) 방송 신호로 전송되는 비실시간 방송 서비스 및 콘텐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070077000A (ko) 디지털 방송 신호 및 디지털 방송 신호 디코딩 방법 및장치
KR100710248B1 (ko) 방송 수신기, 방송 서비스 구분 방법, 및 데이터 구조
KR100501909B1 (ko) 엠펙-4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 다중화하는 장치와 그 방법 및 그 역다중화 방법
KR100753503B1 (ko) 이동형 방송에서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방법,및 데이터 구조
KR20180040571A (ko)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KR20070082460A (ko) 방송 수신 장치, 방송 프로그램 정보 송수신방법 및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
EP2093911A2 (en) Receiving system and audio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0755838B1 (ko) 이동형 방송수신기 및 부가 데이터 서비스 방법
KR101420188B1 (ko) 재난방송 제공 방법, 방송 중계 장치, 다중화기 및 다중화 방법
KR100755839B1 (ko) 음성 다중을 지원하는 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755845B1 (ko) 프로그램 안내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이동형 방송 수신기
KR101221886B1 (ko) 프로그램 안내를 위한 데이터 구조, 방법, 및 이를 적용한방송 장치
KR100725928B1 (ko) 방송콘텐츠의 고속 복호화를 위한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수신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KR101206001B1 (ko) 통합 역다중화 장치 및 방법
KR101241878B1 (ko) 프로그램 안내를 위한 데이터 구조, 방법, 그리고 방송수신기
KR101227492B1 (ko) 프로그램 안내를 위한 데이터 구조, 방법, 그리고 방송수신기
JP2005012552A (ja) デジタル放送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