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882B1 - 엠펙-4 이진 장면 포맷의 서비스 이용 등급 설정을 통한차등적 데이터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엠펙-4 이진 장면 포맷의 서비스 이용 등급 설정을 통한차등적 데이터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882B1
KR100740882B1 KR1020060045185A KR20060045185A KR100740882B1 KR 100740882 B1 KR100740882 B1 KR 100740882B1 KR 1020060045185 A KR1020060045185 A KR 1020060045185A KR 20060045185 A KR20060045185 A KR 20060045185A KR 100740882 B1 KR100740882 B1 KR 100740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fs
service
mpeg
user
usage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5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1101A (ko
Inventor
기명석
이인재
김규헌
홍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45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0882B1/ko
Publication of KR20070061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3Billing, e.g. for subscription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엠펙-4(MPEG-4) 이진 장면 포맷(BIFS)의 서비스 이용 등급 설정을 통한 차등적 데이터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사용자(서비스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 등급에 따라 MPEG-4 비트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이진 장면 포맷(BIFS)의 노드 디코딩에 등급을 둠으로써, 사용자(서비스 이용자)에게 엠펙-4(MPEG-4)의 데이터 서비스를 차등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MPEG-4 BIFS의 서비스 이용 등급 설정을 통한 차등적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엠펙4(MPEG-4) 데이터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별로 MPEG-4 이진 장면 포맷(BIFS) 노드 디코딩을 달리하는 서비스 이용 등급을 설정하는 단계; 단말로부터의 MPEG-4 BIFS 데이터 서비스 접속 요청시, 해당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정보를 확인함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등급 정보를 접속된 상기 단말의 망 전송 포맷에 맞게 변환하여 해당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MPEG-4 BIFS 데이터 서비스 등에 이용됨.
MPEG-4, BIFS, 차등, 레벨, 엠펙-4, 이진 장면 포맷, 등급

Description

엠펙-4 이진 장면 포맷의 서비스 이용 등급 설정을 통한 차등적 데이터 서비스 방법{Method for gradational data service through service level set of MPEG-4 binary format for scene}
도 1 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MPEG-4 비트스트림을 나타낸 설명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MPEG-4 BIFS의 서비스 이용 등급 설정을 통한 차등적 데이터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서비스 이용 등급에 따른 BIFS 디코딩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이용 등급에 따른 BIFS 디코딩에 대한 다른 실시예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엠펙-4(MPEG-4) 이진 장면 포맷(BIFS)의 서비스 이용 등급 설정을 통한 차등적 데이터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서비스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 등급에 따라 엠펙-4(MPEG-4 :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4) 비트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이진 장면 포맷(BIFS : Binary Format of Scene)의 노드 디코딩에 등급을 둠으로써, 사용자(서비스 이용자)에게 엠펙-4(MPEG-4) 데이터 서비스를 차등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MPEG-4 BIFS의 서비스 이용 등급 설정을 통한 차등적 데이터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현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DMB를 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보급도 서서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DMB를 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는 MPEG-4 비트스트림을 이용한 오디오, 비디오,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엠펙-4(MPEG-4) 방식은 DMB 뿐만 아니라, 인터넷 환경에서도 제공 가능한 것으로서, 특히 각각의 미디어 객체와 사용자(서비스 이용자) 간의 상호 작용이 크게 증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지상파 DMB, 위성 DMB 및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의 다양한 디지털 방송 환경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기존 방송과 차별화를 두기 위한 데이터 서비스의 필요성에 따라 다양한 응용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서비스 모델들이 개발되고 있다. MPEG-4 시스템은 영상 내 각각의 미디어들을 객체 단위로 처리할 수 있어 새로운 데이터 서비스가 요구되는 대화형 서비스 구현에 매우 적합하므로, 실제로 이동형 방송/통신 및 인터넷 등에서 MPEG-4 BIFS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등장하고 있다.
MPEG-4 시스템은 오디오/비디오 기타 다양한 미디어 객체들을 장면 기술 자(Scene Descriptor)를 통해 하나의 장면으로 구성하고, 하나의 장면 내 각각의 미디어들을 객체 단위로 조작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이때, MPEG-4 BIFS는 이러한 장면을 기술하는 MPEG-4의 표준 기술로서, 오디오/비디오 객체의 시공간 상의 배치를 결정하며, 코딩된 오디오/비디오 객체와 함께 전송된다.
하지만, MPEG-4 시스템 상용화시, MPEG-4 BIFS가 오디오/비디오 객체와 함께 존재하기 때문에, 오디오/비디오 객체와 별도의 채널로 제공되는 타 데이터 서비스와는 달리, MPEG-4 BIFS는 사용자(서비스 이용자) 인증 또는 사용자(서비스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제한하는데 있어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즉, MPEG-4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장면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MPEG-4 BIFS를 해석해야만 하므로, MPEG-4 BIFS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차등적인 과금 또는 제한을 두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차등적인 과금 방식의 일예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 이용 등급관리 방법(한국공개특허 2005-0037897호, 2005. 04. 25 공개)"에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한 등급관리 방법이 개시되어 있지만, 이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기종에 따라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멀티미디어의 등급을 관리할 뿐, MPEG-4 방식의 데이터 서비스를 전송함에 있어서, 사용자(서비스 이용자)의 이용 등급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를 제한하거나 허용하지는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서비스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 등급에 따라 MPEG-4 비트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이진 장면 포맷(BIFS)의 노드 디코딩에 등급을 둠으로써, 사용자(서비스 이용자)에게 엠펙-4(MPEG-4)의 데이터 서비스를 차등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MPEG-4 BIFS의 서비스 이용 등급 설정을 통한 차등적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엠펙4(MPEG-4) 데이터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별로 MPEG-4 이진 장면 포맷(BIFS) 노드 디코딩을 달리하는 서비스 이용 등급을 설정하는 단계; 단말로부터의 MPEG-4 BIFS 데이터 서비스 접속 요청시, 해당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정보를 확인함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등급 정보를 접속된 상기 단말의 망 전송 포맷에 맞게 변환하여 해당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엠펙4(MPEG-4) 데이터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서버로 MPEG-4 BIFS 데이터 서비스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인증 완료후, 상기 서버로부터 서비스 이용 등급 정보를 수신받아, BIFS 노드 디코딩 등급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BIFS 노드 디코딩 등급 정보를 바탕으로, BIFS 노드 디코딩을 차등적으로 수행하는 디코딩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MPEG-4의 비트스트림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EG-4 비트스트림은 헤더(10), 이진 장면 포맷(BIFS)(20), 객체 기술자(OD : Object Descriptor)(30), 그리고 미디어 데이터(40)로 구성된다.
헤더(10)는 MPEG-4 비트스트림에 대한 기본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미디어 데이터(40)는 BIFS 형태로 장면을 구성하고 있는 노드 중 시청각 스트림을 필요로 하는 노드의 실제 오디오/비디오/이미지 객체이다.
BIFS(20)는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MPEG-4 오디오/비디오 객체 및 가공된 MPEG-4 오디오/비디오 객체, 텍스트 및 2차원 그래픽을 결합한 장면을 구성한다.
OD(30)는 이진 장면 포맷(BIFS) 형태로 장면을 구성하고 있는 노드 중 시청각 스트림을 필요로 하는 노드와 실제 미디어 데이터(40)를 연결하는 중간자 역할 을 하는 간접 메커니즘을 제공하고, 장면을 구성하는 다른 노드에 영향을 주지 않고 장면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스트림 전송과 장면 구성을 제공하며, BIFS(20)를 구성하고 있는 노드와 실제 미디어 데이터(40)를 연결시키는 객체 기술자(Object Descriptor)의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OD(30)는 객체 기술자ID(Object DescriptorID)로 유일하게 식별이 되는데, 장면을 구성하고 있는 노드는 이 객체 기술자ID(Object DescriptorID)를 이용하여 특정 객체 기술자(Object Descriptor)를 나타내고, 이 객체 기술자(OD)는 자신과 연결된 시청각 스트림을 식별하는 'ES_Descriptor'들을 소유한다. 이때, 각 'ES_Descriptor'는 노드가 필요로 하는 시청각 스트림을 연결해 주므로 장면을 구성하고 있는 노드가 실제 시청각 스트림과 연결되게 된다.
도 1의 MPEG-4 비트스트림은 서버가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BIFS 비트스트림으로서, MPEG-4 비트스트림에 필요한 최소 기본 요소들만 도시해 놓은 것이다.
BIFS(20)와 OD(30)는 텍스트(text) 파일이 이진화로 압축된 것으로, 단말장치는 서버로부터 BIFS 비트스트림을 전달받아 MPEG-4 표준에 정의된 장면을 구성하는 노드 정보인 'NT(Node Table)', 'NCT(Node Coding Table)' 및 'NDT(Node Data Type)'를 바탕으로 BIFS 디코더(decoder)(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BIFS 파서(50)를 이용하여 BIFS(20)를 텍스트(text) 형태로 해석하며, OD 디코더(decoder)(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OD 파서(60)를 이용하여 OD(30)를 텍스트(text) 형태로 해석한다. 또한, 단말장치는 BIFS 파서(50)와 OD 파서(60)에 의해 텍스트(text) 형태로 해석된 BIFS(20)와 OD(30)의 정보를 장면에 이용하기 위해 텍 스트(text) 형태로 해석된 BIFS(20)와 OD(30)의 정보 및 미디어 데이터(실제 오디오/비디오/이미지 객체)(40)를 BIFS 디코더(decoder)와 OD 디코더(decoder)를 이용하여 디코딩함으로써, 장면 트리(장면을 위한 노드 단위의 구조(structure))(70)를 생성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장면 트리(70)를 생성함에 있어서, 장면을 구성하고 있는 노드의 디코딩시 사용자(서비스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 등급에 따라 등급을 달리하여 MPEG-4의 데이터 서비스를 차등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MPEG-4 BIFS의 서비스 이용 등급 설정을 통한 차등적 데이터 서비스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서비스 이용자)가 단말장치를 통해 서버로 BIFS 데이터 서비스 접속을 요청하면(201), 서버는 사용자(서비스 이용자)의 접속 요청을 받아, 인증 절차에 따라 해당 사용자(서비스 이용자)의 인증 정보를 확인한다(202).
이때, 서버의 사용자(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인증은, DMB를 통해 BIFS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경우에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또는 '기타 양방향 채널'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인터넷을 통해 BIFS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경우에는 '업채널(Up Channel)'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서비스 이용자) 인증의 방법의 일예로, 사용자(서비스 이용자)로 하여금 인증키를 입력하도록 하거나 단말장치의 하드웨어 주소(MAC Address)를 통해 인증하는 등의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후, 사용자(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되면, 사전에 설정된 사용 자(서비스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 등급에 대한 정보를 단말장치로 전달한다(203).
여기서, 서버가 단말장치로 사용자(서비스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 등급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203)은, 망에 따라 해당 망에 사용되는 별도의 포맷으로 변환하여 전달할 수 있다(예를들어, 단말장치가 인터넷을 사용하는 경우는 'IP(Internet Protocol) 패킷' 등을 통해 사용자(서비스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 등급 정보를 단말장치로 전달함).
한편, 서버의 사용자(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 이용 등급을 구분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버는 사용자(서비스 이용자)의 과금체계 등으로 서비스 이용 등급을 구분하여 설정해 둘 수 있다.
다음으로, 서버로부터 사용자(서비스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 등급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은 단말장치는 수신된 사용자(서비스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 등급 정보에 따라 BIFS 노드 디코딩 등급을 설정하고(204), 설정된 BIFS 노드 디코딩 등급을 바탕으로 사용자(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이 허용된 서비스인지를 확인하여(205), 사용자(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이 허용된 서비스 노드에 대해서는 BIFS 디코딩을 수행하고(206), 사용자(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이 허용되지 않은 서비스 노드에 대해서는 예외처리를 수행한다(207).
여기서, 서비스 이용 등급에 따른 BIFS 노드 디코딩 등급은 하기의 [표 1] 및 [표 2]에서와 같이 서버와 단말장치 간에 기 약정된 것이다.
이때, 상기 예외처리는 단말장치가 사용자(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이 허용되지 않은 노드에 대한 BIFS 디코딩을 스킵(skip)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럼, 서버가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사용자(서비스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 등급 정보에 대한 일예를 하기의 [표 1]에서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서비스 이용 등급 0 인증받은 사용자(서비스 이용자)만이 방송 스트림 자체를 이용할 수 있는 등급(즉, 방송 스트림 자체 이용 불가 등급)
서비스 이용 등급 1 오디오/비디오만 시청할 수 있고, 그 외의 데이터 서비스는 인증받은 서비스 이용자만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급(즉, 오디오/비디오만 시청할 수 있는 등급)
서비스 이용 등급 2 오디오/비디오 서비스 및 로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는 해당 인증을 받아야만 이용할 수 있는 등급(즉,오디오/비디오 서비스 및 로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등급)
서비스 이용 등급 3 MPEG-4 BIFS가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등급
서버는 사전에 설정된 사용자(서비스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 등급에 대한 정보(상기 [표 1]의 서비스 이용 등급 정보)를 단말장치로 전송한다.
BIFS 노드의 프로파일은 'Core2D 그래픽스 프로파일'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본 발명도 이를 기준으로 한다. 장면 그래프 프로파일로는 'Anchor', 'ColorInterpolator', 'Conditional', 'CoordinateInterpolator2D', 'Inline', 'InputSensor', 'MediaControl', 'MediaSensor', 'OrderedGroup', 'PositionInterpolator2D', 'QuantizationParameter', 'ScalarInterpolator', 'Sound2D', 'ServerCommand', 'Switch', 'TimeSensor', 'TouchSensor', 'Transform2D', 'Valuator', 'Node Update', 'AudioClip', 'AudioSource', 'Route', 'Route Update' 및 'Scene Update' 등이 있고, 그래픽스 프로파일로는 'Appearance', 'Background2D', 'Bitmap', 'Circle', 'Color', 'Coordinate2D', 'FontStyle', 'IndexedFaceSet2D', 'Material2D', 'PixelTexture', 'Rectangle', 'Shape', 'Text', 'MovieTexture' 및 'ImageTexture' 등이 있다.
하기 [표 2]에서는 서버로부터 사용자(서비스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 등급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은 단말장치의 BIFS 노드 디코딩 등급 설정에 대한 일예를 보여준다.
서비스 이용 등급 0 BIFS 디코딩을 위한 MPEG-4 IOD(Initial Object Descriptor) 자체를 디코딩하지 않는다.
서비스 이용 등급 1 오디오/비디오(OrderedGroup, Transform2D, Shape, Sound2D, Bitmap, Appearance, MovieTexture) 노드만 디코딩한다.
서비스 이용 등급 2 'Anchor', 'Inline', 'ServerCommand'를 제외한 모든 노드들을 디코딩하고, 이벤트 설정을 위한 경로(Route)들에서 디코딩 대상에서 벗어난 노드들에 대한 경로(Route)들은 예외처리 한다.
서비스 이용 등급 3 해당 모든 장면 정보를 디코딩한다.
상기 [표 2]와 같이, 단말장치는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서비스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 등급에 따라 BIFS 노드 디코딩 등급을 설정하여, 이에 따라 서비스 노드를 BIFS 디코딩한다.
만약, 서버가 단말장치로 '서비스 이용 등급 0'을 전달한 경우, 단말장치는 '서비스 이용 등급 0' (방송 시청 자체에 대한 권한이 없음([표 1] 참조))에 해당하는 BIFS 노드 디코딩 등급([표 2]의 '서비스 이용 등급 0'을 참조)에 따라 MPEG-4 IOD(Initial Object Descriptor) 자체를 디코딩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방송 사업자가 사용자(서비스 이용자)의 시청을 금지하고자 할 경우, 서버가 단말장치로 '서비스 이용 등급 0'을 전달하면, 이에 따라 단말장치는 BIFS 노드 디코딩 등급 0으로 설정함으로써 MPEG-4 IOD(Initial Object Descriptor) 자체를 디코딩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서비스 이용자)의 시청을 금지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의 서비스 이용 등급에 따른 BIFS 디코딩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3의 설명에 해당하는 '장면'은 오디오 객체와, 비디오 객체와, 이미지 객체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가 단말장치로 '서비스 이용 등급 1'을 전달할 경우, 단말장치는 '서비스 이용 등급 1'에 해당하는 BIFS 노드 디코딩 등급([표 2]의 '서비스 이용 등급 1'을 참조)에 따라 오디오/비디오 노드([도 3]에서 'Shape' 노드의 자식 노드인 'Movie Texture'가 포함되어 있는 노드)만 디코딩하고, 이미지 노드([도 3]에서 'ImageTexture')는 디코딩하지 않고 예외처리(스킵(skip))한다.
위의 디코딩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단말은 서버로부터 '서비스 이용 등급 1'을 전달받아 '서비스 이용 등급 1'에 해당하는 BIFS 노드 디코딩 등급([표 2]의 '서비스 이용 등급 1'을 참조)을 확인하여, 이에 따라 'MovieTexture' 이상의 모든 노드('OrderedGroup', 'Sound2D', 첫번째 'Shape')를 디코딩하나, 'ImageTextre'는 '서비스 이용 등급 1'에 해당하는 BIFS 노드 디코딩 등급(상기 [표 2]의 '서비스 이용 등급 1'을 참조)에서 디코딩이 허용되지 않은 노드이므로, 'ImageTexture' 뿐만 아니라, 그 상위 노드 두번째 'Shape'의 디코딩도 무시한다.
한편, 서버가 단말장치로 '서비스 이용 등급 2'를 전달할 경우, 단말장치는 '서비스 이용 등급 2'에 해당하는 BIFS 노드 디코딩 등급(상기 [표 2]의 '서비스 이용 등급 2'를 참고)에 따라 오디오/비디오 및 로컬 데이터 서비스에 해당되는 노드만 디코딩하고, 양방향 데이터와 관련된 'ServerCommand', 'Inline' 및 'Anchor' 노드와 관련된 노드는 디코딩하지 않고 예외처리(스킵(skip))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이용 등급에 따른 BIFS 디코딩에 대한 다른 실시예 설명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가 단말장치로 '서비스 이용 등급 1'을 전달할 경우, 단말장치는 '서비스 이용 등급 1'에 해당하는 BIFS 노드 디코딩 등급(상기 [표 2]의 '서비스 이용 등급 2'를 참조)에 따라 BIFS 디코더(decoder)를 이용하여 'group1'에 포함된 노드(기본적인 오디오/비디오(A/V)에 대한 노드들)만을 디코딩하고, 서버가 단말장치로 '서비스 이용 등급 2'를 전달할 경우에는 단말장치는 BIFS 디코더(decoder)를 이용하여 'group1'과, 'group2'와 관계되는 이벤트 설정에 관한 경로(route)들이 포함되어 있는 노드(기본적인 오디오/비디오(A/V)에 대한 노드들, 단방향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노드들)을 디코딩한다. 또한, 서버가 단말장치로 '서비스 이용 등급 3'을 전달할 경우에는 단말장치는 'group1'과, 'group2'와, 'group3'에 포함된 노드(기본적인 오디오/비디오(A/V)에 대한 노드들, 단방향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노드들,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에 해당하는 노드들)를 디코딩한다.
[도 3]에서 보여준 '서비스 이용 등급에 따른 BIFS 디코딩에 대한 일실시예'는 장면이 복잡해지면 예외처리를 하는 프로세스가 복잡해질 수 있는 반면에, [도 4]의 '서비스 이용 등급에 따른 BIFS 디코딩에 대한 다른 실시예'는 각 서비스 이용 등급에 따른 'group'을 설정하여, 'group'별로 BIFS 디코딩을 수행함으로써, 서비스 이용 등급에 따른 처리에 대해 유동성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MPEG-4 BIFS 데이터 서비스에 있어서, 각 사용자(서비스 이용자) 또는 데이터마다 설정되어 있는 서비스 이용 등급에 따라 BIFS 노드 디코딩을 차등적으로 수행하여, MPEG-4 BIFS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서비스 이용자)의 과금에 차등을 둘 수 있고, 사용자(서비스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엠펙4(MPEG-4) 데이터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별로 MPEG-4 이진 장면 포맷(BIFS) 노드 디코딩을 달리하는 서비스 이용 등급을 설정하는 단계;
    단말로부터의 MPEG-4 BIFS 데이터 서비스 접속 요청시, 해당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정보를 확인함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등급 정보를 접속된 상기 단말의 망 전송 포맷에 맞게 변환하여 해당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서버의 MPEG-4 BIFS의 서비스 이용 등급 설정을 통한 차등적 데이터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비스 이용 등급 정보에 따른 BIFS 노드 디코딩 등급에 따라, BIFS 노드 디코딩을 차등적으로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버의 MPEG-4 BIFS의 서비스 이용 등급 설정을 통한 차등적 데이터 서비스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이용 등급 정보는,
    사용자의 과금체계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의 MPEG-4 BIFS의 서비스 이용 등급 설정을 통한 차등적 데이터 서비스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은,
    양방향 데이터 채널을 통해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의 MPEG-4 BIFS의 서비스 이용 등급 설정을 통한 차등적 데이터 서비스 방법.
  5. 엠펙4(MPEG-4) 데이터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서버로 MPEG-4 BIFS 데이터 서비스 접속을 요청하는 단계;
    인증 완료후, 상기 서버로부터 서비스 이용 등급 정보를 수신받아, BIFS 노드 디코딩 등급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BIFS 노드 디코딩 등급 정보를 바탕으로, BIFS 노드 디코딩을 차등적으로 수행하는 디코딩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의 MPEG-4 BIFS의 서비스 이용 등급 설정을 통한 차등적 데이터 서비스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단계에서는,
    상기 BIFS 노드 디코딩 등급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허용되지 않는 서비스 노드에 대해서 BIFS 노드 디코딩을 스킵(skip)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MPEG-4 BIFS의 서비스 이용 등급 설정을 통한 차등적 데이터 서비스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이용 등급 정보는,
    사용자의 과금체계를 기반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MPEG-4 BIFS의 서비스 이용 등급 설정을 통한 차등적 데이터 서비스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IFS 노드 디코딩 등급 정보는,
    상기 서비스 이용 등급 정보에 의거하여, 미디어 객체의 각 노드별로 BIFS 디코딩 허용/불가를 정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MPEG-4 BIFS의 서비스 이용 등급 설정을 통한 차등적 데이터 서비스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IFS 노드 디코딩 등급 정보는,
    상기 서비스 이용 등급 정보에 의거하여, 서비스 등급에 따른 그룹별 사용 권한을 정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MPEG-4 BIFS의 서비스 이용 등급 설정을 통한 차등적 데이터 서비스 방법.
KR1020060045185A 2005-12-08 2006-05-19 엠펙-4 이진 장면 포맷의 서비스 이용 등급 설정을 통한차등적 데이터 서비스 방법 KR100740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185A KR100740882B1 (ko) 2005-12-08 2006-05-19 엠펙-4 이진 장면 포맷의 서비스 이용 등급 설정을 통한차등적 데이터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743 2005-12-08
KR20050119743 2005-12-08
KR1020060045185A KR100740882B1 (ko) 2005-12-08 2006-05-19 엠펙-4 이진 장면 포맷의 서비스 이용 등급 설정을 통한차등적 데이터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101A KR20070061101A (ko) 2007-06-13
KR100740882B1 true KR100740882B1 (ko) 2007-07-19

Family

ID=38357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185A KR100740882B1 (ko) 2005-12-08 2006-05-19 엠펙-4 이진 장면 포맷의 서비스 이용 등급 설정을 통한차등적 데이터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0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4496A (ko) * 2007-06-26 2008-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 콘텐츠를 이용하여 장면을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543A (ko) * 1998-06-29 2000-01-25 미다라이 후지오 인증장치,인증방법,인증시스템,및기억매체
KR20010106544A (ko) * 2000-05-20 2001-12-07 노용만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내용에 기반한 워터마킹 인증 방법
KR20050043289A (ko) * 2003-11-05 2005-05-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컨텐츠 보호 장치 및 방법
KR20050079086A (ko) * 2004-02-04 2005-08-09 주식회사 케이티 동영상 데이터 암호화 송수신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543A (ko) * 1998-06-29 2000-01-25 미다라이 후지오 인증장치,인증방법,인증시스템,및기억매체
KR20010106544A (ko) * 2000-05-20 2001-12-07 노용만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내용에 기반한 워터마킹 인증 방법
KR20050043289A (ko) * 2003-11-05 2005-05-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컨텐츠 보호 장치 및 방법
KR20050079086A (ko) * 2004-02-04 2005-08-09 주식회사 케이티 동영상 데이터 암호화 송수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101A (ko)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60375B (zh) 使用可扩展视频编码的数字线性tv节目的递送方法
JP4446082B2 (ja) ビデオ及びデ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を取得し配送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CN101159577B (zh) 接收自适应广播信号的装置及其方法
US8429284B2 (en) Method of transmitting/receiving digital contents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igital contents
US885059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ransport stream splicing for programming information security
US20230412857A1 (en) Per-segment parameters for content
US8407734B2 (en) Broadcasting receiver and method of transmitting /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KR100859095B1 (ko) 원격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iptv 서비스 시스템 및그 송수신 방법
KR101666246B1 (ko) 메타데이터 우선제공 증강방송 장치 및 방법
KR100740882B1 (ko) 엠펙-4 이진 장면 포맷의 서비스 이용 등급 설정을 통한차등적 데이터 서비스 방법
JP6919085B1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保護処理方法
TW200926816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advertisement in a digital broadcasting
KR20070104754A (ko) 미리 보기가 가능한 아이피 네트워크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시스템 및 디지털 방송 방법
KR101460800B1 (ko) 사용자 정의 채널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6919086B2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保護処理方法
KR101435834B1 (ko) Iptv 수신기, 상기 iptv 수신기에서 콘텐츠를재생하는 방법과 iptv 환경에서 콘텐츠를 전송하는방법
KR20100001045A (ko) 아이피 티브이 방송서비스에서 방송 컨텐츠의 불법 이용을방지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69948B1 (ko) 사용자 기반의 iptv 콘텐츠를 연속하여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7183820A (ja) 放送受信装置
KR101144339B1 (ko) 방송 서비스의 시청허가 방법
KR20170026329A (ko) 시청각 콘텐츠 스트림을 mpeg2 사설 섹션내에 캡슐화하는 방법, mpeg2 전송 스트림 내에 멀티플렉스되어질 mpeg2 사설 섹션내에 시청각 콘텐츠를 캡슐화하는 장치, 디지털 tv용의 양방향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장치, 시청각 콘텐츠 또는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방법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
JP2022003812A (ja) コンテンツ保護処理方法
JP2021170850A (ja) 放送番組のコンテンツのコピー制御方法
JP2021078134A (ja) コンテンツ保護処理方法
KR20090060599A (ko) 채널 서핑 시간의 단축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