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9148B1 - 통신 시스템, 송신기 및 수신기,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송신기 및 수신기,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9148B1
KR100409148B1 KR10-2001-7005231A KR20017005231A KR100409148B1 KR 100409148 B1 KR100409148 B1 KR 100409148B1 KR 20017005231 A KR20017005231 A KR 20017005231A KR 100409148 B1 KR100409148 B1 KR 100409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frame
power control
time
transmiss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5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2253A (ko
Inventor
야마모토카즈시
무라이히데시
야노야스히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707094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0914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82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2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9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91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3Power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1Reducing phase shif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7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when the channel is in stand-b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taking into account the usage mode, e.g. hands-free, data transmission,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2Aspects of the step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4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connection with interruption of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통상 모드, 또는 소정의 아이들(idle) 시간을 설정 가능한 컴프레스트 모드에서 동작 가능한 송신기(1A) 및 수신기(2A)를 구비하고, 송신기(1A)가 각 모드의 프레임에 대해서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컴프레스트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송신기(1A)는, 아이들 시간 후의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이 가장 작아지도록, 아이들(idle) 시간의 위치를 결정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송신기 및 수신기, 및 통신 방법{Communication system, transmitter and receiver, and communication method}
이하,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CDMA 셀룰러 시스템에서는, 셀 내에서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를 반복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시스템 내에 있어서는, 주파수간 핸드오버의 필요성이 없다. 그러나, 기존의 시스템과 공존하는 경우를 생각하면, 다른 캐리어 주파수간에 있어서의 핸드오버가 필요하게 된다. 이하, 다른 캐리어 주파수간에 있어서의 핸드오버가 발생하는 구체적인 경우를 3가지 든다.
첫번째로는, 인접 셀 사이에서 핸드오버를 행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왕래가 많은 장소에서는, 가입자 수 증대에 따라서 인접 셀에 각각 별도의 캐리어 주파수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그 셀 사이에서의 핸드오버가 필요하게 된다. 두번째로는, 엄브렐라 셀 구성의 셀 사이에서 핸드오버를 행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엄브렐라(umbrella) 셀 구성시에는, 대소의 셀에 다른 캐리어 주파수가 할당되어 있고, 그 셀 사이에서의 핸드오버가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세번째로는, W(Wide)-CDMA 시스템과 같은 제 3 세대 시스템과, 현행의 휴대 전화 시스템과 같은 제 2 세대 시스템 사이에서 핸드오버를 행하는 경우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핸드오버가 행하여지는 경우에는, 다른 주파수 캐리어의 전력을 검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검출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수신기가, 2개의 주파수를 검파할 수 있는 필요가 있다. 그러나, 수신기가 2개의 주파수를 검파하는 경우는, 그 구조에 의해, 수신기의 구성이 커지거나, 또는 그 구성이 복잡해진다.
또한, 핸드오버 방법으로서는, 이동기 주도의 핸드오버(Mobile Assisted Handover=MAHO)와 네트워크 주도의 핸드오버(Network Assisted Handover:NAHO)의 2종류를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AHO와 NAHO를 비교한 경우, NAHO 쪽이 이동기의 부담은 적어지지만, 이를 위해서, 기지국에 있어서는, 각 이동기와의 동기가 필요해지고, 또한, 하나 하나의 이동기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기지국/네트워크의 구성이 더욱 복잡화되고 또한 거대화된다.
이와 같은 점에서, 이동기에서는, MAHO의 실현이 요구되지만, 핸드오버를 「한다」 또는「하지 않는다」의 판단을 위해서, 2개의 다른 주파수 캐리어의 강도를 관측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CDMA 셀룰러 시스템은, 제 2 세대에서 사용되고 있는 시분할 다원 접속(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과 달리, 송신/수신 모두 통상은 연속 송신의 형태를 이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2개의 다른 주파수 캐리어의 강도를 관측하기 위해서는, 2개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수신장치를 준비하지 않는 한, 송신 또는 수신 타이밍을 일단 정지시킨 상태에서 다른 주파수를 관측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통상 모드에서의 송신 정보를 시간 압축하여 단시간에 전송하고, 남은 시간으로 다른 주파수 캐리어를 관측하는 압축 모드(Compressed Mode:컴프레스트 모드)에 관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8-500475호 공보에 기재된 「DS-CDMA 시스템에 있어서의 심리스(seamless) 핸드오버를 위한 불연속 송신」이 있다. 이 공보에는, 사용하는 확산 부호의 확산률을 내림으로써 데이터 송신 시간을 단축하는 압축 모드의 실현 수법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공보에 의한 압축 모드의 실현 수법을 설명한다. 도 20은, 종래의 CDMA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상 모드 및 압축 모드에서의 송신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에 있어서는, 세로축이 전력 속도/송신 전력을 도시하고, 가로축이 시간을 도시하고 있으며, 통상 전송의 프레임간에, 압축 모드 전송이 삽입되어 있다. 예를 들면, 압축 모드시의 전송에서는, 하락 프레임(컴프레스트 프레임) 내에 무전송 시간이 형성되어 있고, 그 시간은,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그리고, 이 무전송 시간은, 다른 주파수 캐리어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아이들 (idle) 시간이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CDMA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는, 압축 모드 프레임 전송 사이에 아이들 시간을 삽입함으로써, 슬롯화 전송을 실현한다.
또한, 이러한 압축 모드 전송에서는, 아이들 시간과 프레임(압축 모드 프레임) 전송 시간의 시간비에 따라서 송신 전력이 증가되기 때문에,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 전송시의 프레임과 비교하여 압축 모드 프레임 쪽이 높은 송신 전력으로 전송된다. 이로서, 압축 모드에서의 프레임 전송에 있어서도 전송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밖에, 압축 모드에 관한 문헌으로서는, 예를 들면, Gustafsson, M.et al: “Compressed Mode Techniques for Inter-Frequency Measurements in a Wide-band DS-CDMA System”, Proc. of 8th IEEE PIMRC '97.이 있다. 이 문헌에는, 확산률을 내리는 경우 외에, 코딩 레이트를 증가시키는 경우, 멀티 코드 전송을 사용하는 경우, 또는, 16QAM 등의 다비트 전송 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압축 모드의 실현 수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CDMA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는, 먼 기지국으로부터의 희망 신호에 가까운 기지국에서의 비희망 신호가 간섭하는 「원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각 기지국에 있어서의 수신 전력이 균등해지도록 이동국으로의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하고 있다. 이로서, 종래의 CDMA 셀룰러 시스템에서는, 페이딩 등의 영향에 의해서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회선 상태를 보정하여, 수신국의 소요 통신 품질을 확보하는 동시에, 회선 용량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송신 전력 제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상 모드 전송시의 송신 전력 제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수신국에서는, 소요 통신 품질을 만족하도록, 목표가 되는 수신 전력, 즉, 타겟 전력을 결정한다. 또한, 이때, 목표로 하는 소요통신 품질에 대해서는, 수신 전력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희망 신호와 간섭 신호의 전력비(SIR = Signal-Interference Ratio)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다음으로, 수신국에서는, 수신한 희망 신호의 전력과 타겟 전력을 비교하여, 희망 신호의 전력이 큰 경우에는, 송신국에 대해서 송신 전력을 내리도록, 한편, 희망 신호의 전력이 작은 경우에는, 송신 전력을 올리도록, 송신국에 대해서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TPC)를 보낸다. 그리고, TPC 커맨드를 수신한 송신국에서는, TPC 커맨드의 내용에 따라서, 규정의 전력 폭(:△)을 이용하여 송신 전력을 변화시킨다. 이때, 송신 전력 제어는, 도시하는 채널 상태(회선 상태)의 변화에 추종하기 위해서 슬롯이라고 불리는 시간 단위로 행하여진다. 또한, △의 값은, 고정치라도, 어떤 일정한 규칙을 기초로 변화하는 값이라도 좋다.
도 22는,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컴프레스트 모드 전송시의 송신 전력 제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통상 모드 전송시와 컴프레스트 모드 전송시에 타겟 전력을 변경하지 않지만, 통상은, 컴프레스트 모드 전송시의 소요 품질을 보증하기 위해서 타겟 전력의 설정치를 변경하는 경우가 있다. 도 22에 있어서, 예를 들면, 채널 상태의 변화에 추종한다는 기본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컴프레스트 모드 전송시에 있어서도 통상 모드 전송시와 같다. 그러나, 컴프레스트 모드 전송시에 있어서는, 수신국이, 컴프레스트 모드의 아이들 시간 중, 신호를 수신하지 않기 때문에, 송신국에 대해서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TPC)를 정확하게 송신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송신측에서는, 채널 상태의 변화에 추종할 수 없게 되고, 송신의 재개시에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컴프레스트모드로 들어가기 직전의 송신 전력으로 신호를 송신하게 되기 때문에, 「송신 전력 제어 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전력 폭(△)을 크게 하는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컴프레스트 모드 전송에 의해서 발생하는 송신 전력 제어 오차를 가능한 한 빨리 수속(convergence)(收束)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송신 재개시부터 송신 전력 제어 오차가 수속하기 까지의 동안(즉, 수신 전력이 타겟 전력 근방으로 회복하기 까지의 동안)을, 이후, 송신 전력 제어 수속 시간이라고 부른다.
또한,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인터리브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 컴프레스트 모드시에 있어서의 아이들 시간(무전송 시간)의 설정 위치를,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슬롯으로 구성되는 프레임 내의 중앙 부근에 배치하고, 프레임을 기본 단위로 인터리브를 행한다. 이때, 충분한 인터리브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프레임의 끝에 아이들 시간을 배치하여 인터리브 후의 비트의 범위를 좁게 하는 것보다도, 프레임 중의 비트를 시간적으로 분산하는 프레임의 중앙 부근에 아이들 시간을 배치하는 쪽이 좋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컴프레스트 모드 전송시에는, 실제의 송신 시간이 압축된 상태로, 1프레임 내의 데이터량을 보상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확산률을 내려 전송 레이트를 올리는 방법이나, 또는, 부호화율을 저감하여 전송 레이트를 올리는 방법이 채용된다. 이를 위해서,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의 중앙 부근에 아이들 시간을 배치한 경우,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신 전력 제어 수속 시간에, 확산률을 내린 슬롯, 또는 부호화율을 저감한 슬롯이 배치되게 되어, 신호의 복조 정밀도가 대폭 열화된다. 즉,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아이들 시간에 의한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이, 통상 프레임에 비교하여 대단히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아이들 시간에 의한 송신 전력 제어 오차를 저감하기 위해서, 아이들 시간을 복수로 분산시키고, 시간적으로 분리하여 배치하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한번에 아이들 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처리 시간 등을 고려하면, 다른 주파수 캐리어의 강도를 관측하는 경우의 효율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컴프레스트 모드 전송시의 아이들 시간을 프레임 내에 분산시키지 않고, 아이들 시간에 의한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의 저감을 실현 가능한 통신 시스템, 송신기 및 수신기, 및 통신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동체 통신, 위성 통신 등의 무선 통신에 적응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호 분할 다원 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압축(compressed) 모드 전송시의 특성 열화의 저감을 실현 가능한 통신 시스템, 송신기 및 수신기,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실시예 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송신 제어기(11A)의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수신 제어기(21A)의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컴프레스트 모드 전송의 아이들 시간의 설정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을 고려한 경우에 있어서의 아이들 시간의 최적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7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컴프레스트 모드 전송의 아이들 시간의 설정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아이들 시간 후의 송신 전력 제어 오차가 뒤의 프레임에 미치는 영향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실시예 3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수신 제어기(21B)의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컴프레스트 모드 전송에 있어서의 아이들 시간의 설정 위치(페이딩 주파수가 낮은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컴프레스트 모드 전송에 있어서의 아이들 시간의 설정 위치(페이딩 주파수가 높은 경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실시예 3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실시예 4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송신 제어기(11C)의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컴프레스트 모드 전송에 있어서의 아이들 시간의 설정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송신 전력 제어 오차 수속 시간의 슬롯 수를 감소시킨 경우의 아이들 시간의 최적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송신 전력 제어 오차 수속 시간의 슬롯 수를 감소시킨 경우의 아이들 시간의 최적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실시예 4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20은, 종래의 CDMA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상 모드 및 압축 모드에서의 송신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상 모드 전송시의 송신 전력 제어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컴프레스트 모드 전송시의 송신 전력 제어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종래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컴프레스트 모드 전송시의 아이들 시간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통상 모드, 또는 소정의 무전송 시간을 설정 가능한 압축 모드에서 동작 가능한 송신기 및 수신기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기는 각 모드의 프레임에 대해서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하며, 또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압축 모드에 있어서, 상기 무전송 시간 후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송신 전력 제어 수단과, 상기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의 중심을 압축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하는 프레임 생성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과, 인터리브의 효과를 고려하여, 압축 모드(컴프레스트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아이들 시간)의 중심을, 예를 들면, 압축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압축 모드 전송시의 무전송 시간을 프레임 내에 분산시키는 방법을 취할 필요가 없다.
다음의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리브의 단위를 단일 프레임으로 한 경우, 상기 송신기는, 상기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을, 압축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을 고려하여,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의 중심을, 예를 들면, 압축 프레임(컴프레스트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이 되도록 결정하고, 이 무전송 시간 내에 다른 주파수 캐리어의 관측을 행한다.
다음의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충분한 인터리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압축 프레임 내의 무전송 시간 후에, 적어도 1 슬롯분의 데이터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과, 인터리브의 효과를 고려하여,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의 중심을, 예를 들면, 압축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이 되도록 결정하고, 또한, 압축 프레임 내의 무전송 시간 후에 적어도 1 슬롯분의 데이터를 배치하여, 이 무전송 시간 내에 다른 주파수 캐리어의 관측을 행한다.
다음의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리브의 단위를 단일 프레임으로 하고, 또한 상기 무전송 시간이 2개의 프레임에 걸치는 경우, 상기 송신기는, 상기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을, 앞의 프레임에 길게, 뒤의 프레임에 짧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전송 시간이 전후의 프레임에 걸치는 경우에 있어서도, 송신 전력 제어 오차가 뒤의 프레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충분한 인터리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무전송 시간을, 앞의 프레임에 길게, 뒤의 프레임에 짧게 배치한다.
다음의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상기 수신기는, 최대 도플러 주파수를 추정하고, 그 최대 도플러 주파수를 미리 설정해두는 도플러 주파수의 임계치와 비교하여, 상기 최대 도플러 주파수가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 무전송 시간의 위치 변경에 관한 제어를 행하지 않도록, 송신기와 니고시에이션(negotiation)을 행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최대 도플러 주파수가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 상기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을, 압축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최대 도플러 주파수의 추정치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최대 도플러 주파수의 임계치를 비교하여, 추정치 쪽이 임계치보다 주파수가 낮은 경우에, 무전송 시간을 압축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한다. 한편, 추정치 쪽이 임계치보다 주파수가 높은 경우에, 무전송 시간의 조정을 행하지 않도록, 니고시에이션을 행하여, 무전송 시간을 압축 프레임의 중심 부근에 배치한다. 즉, 여기서는, 페이딩 주파수의 고저에 대응하여 압축 프레임의 무전송 시간의 위치를 변경한다.
다음의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 및 상기 수신기는, 니고시에이션에 의해, 송신 전력 제어에 있어서의 전력의 스텝 사이즈를, 기준치로서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값보다도 크게 설정하고, 또한, 무전송 시간 후의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수속에 필요한 슬롯 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페이딩 주파수에 따라서 송신 전력 제어의 스텝 사이즈를 결정하고, 또한, 그 스텝 사이즈로부터 송신 전력 제어 오차 수속 시간을 추정함으로써, 무전송 시간에 의한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과, 인터리브의 효과를 고려한 무전송 시간의 설정을 행한다.
다음의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고속에서의 이동이 상정되는 에어리어(area)에서는, 무전송 시간의 위치 변경에 관한 제어를 행하지 않고, 고속에서의 이동이 상정되지 않는 에어리어에서는, 상기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을, 압축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셀 반경의 크기에 의해 페이딩 주파수를 추정함으로써, 무전송 시간에 의한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과, 인터리브의 효과를 고려한 무전송 시간의 설정을 행한다.
다음의 발명에 따른 송신기에 있어서는, 통상 모드, 또는 소정의 무전송 시간을 설정 가능한 압축 모드에서 동작하고, 각 모드의 프레임에 대해서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하고, 또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압축 모드에 있어서, 상기 무전송 시간 후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송신 전력 제어 수단과, 상기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의 중심을 압축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하는 프레임 생성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과, 인터리브의 효과를 고려하여,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의 중심을, 예를 들면, 압축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한다.
다음의 발명에 따른 송신기에 있어서는, 인터리브의 단위를 단일 프레임으로 한 경우, 상기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의 중심을, 압축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을 고려하여,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의 중심을, 예를 들면, 압축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이 되도록 결정하고, 다른 주파수 캐리어의 관측을 행한다.
다음의 발명에 따른 송신기에 있어서는, 충분한 인터리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압축 프레임 내의 무전송 시간 후에, 적어도 1 슬롯분의 데이터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과, 인터리브의 효과를 고려하여,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의 중심을, 예를 들면, 압축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이 되도록 결정하고, 또한 압축 프레임 내의 무전송 시간 후에 적어도 1 슬롯분의 데이터를 배치하여, 다른 주파수 캐리어의 관측을 행한다.
다음의 발명에 따른 송신기에 있어서는, 인터리브의 단위를 단일 프레임으로 하고, 또한 상기 무전송 시간이 2개의 프레임에 걸치는 경우, 상기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을, 앞의 프레임에 크게, 뒤의 프레임에 작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전송 시간이 전후의 프레임에 걸치는 경우에 있어서도, 송신 전력 제어 오차가 뒤의 프레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충분한 인터리브의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무전송 시간을, 앞의 프레임에 크게, 뒤의 프레임에 작게 배치한다.
다음의 발명에 따른 송신기에 있어서는, 수신기와의 니고시에이션에 의해, 송신 전력 제어에 있어서의 전력의 스텝 사이즈를, 기준치로서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값보다도 크게 설정하고, 또한, 무전송 시간 후의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수속에 필요한 슬롯 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페이딩 주파수에 따라서 송신 전력 제어의 스텝 사이즈를 결정하고, 또한, 그 스텝 사이즈로부터 송신 전력 제어 오차 수속 시간을 추정하여, 무전송 시간에 의한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과, 인터리브의 효과를 고려한 무전송 시간의 설정을 행한다.
다음의 발명에 따른 수신기에 있어서는, 최대 도플러 주파수를 추정하고, 그 최대 도플러 주파수를 미리 설정해 두는 도플러 주파수의 임계치와 비교하여, 상기 최대 도플러 주파수가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 무전송 시간의 위치 변경에 관한 제어를 행하지 않도록, 송신기와 니고시에이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최대 도플러 주파수의 추정치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최대 도플러 주파수의 임계치를 비교하여, 추정치 쪽이 임계치보다 주파수가 높은 경우에, 무전송 시간의 조정을 행하지 않도록, 니고시에이션을 행하여, 무전송 시간을 압축 프레임의 중심 부근에 배치한다.
다음의 발명에 따른 수신기에 있어서는, 송신기와의 니고시에이션에 의해, 송신 전력 제어에 있어서의 전력의 스텝 사이즈를, 기준치로서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값보다도 크게 설정하고, 또한, 무전송 시간 후의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수속에 필요한 슬롯 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페이딩 주파수에 따라서 송신 전력 제어의 스텝 사이즈를 결정하고, 또한, 그 스텝 사이즈로부터 송신 전력 제어 오차 수속 시간을 추정하여, 무전송 시간에 의한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과, 인터리브의 효과를 고려한 무전송 시간의 설정을 행한다.
다음의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에 있어서는, 통상 모드, 또는 소정의 무전송 시간을 설정 가능한 압축 모드에서 동작하는 송신 스텝 및 수신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스텝에서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하고, 또한, 상기 송신 스텝은 상기 압축 모드에 있어서, 상기 무전송 시간 후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송신 전력 제어 스텝과, 상기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의 중심을 압축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하는 프레임 생성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과, 인터리브의 효과를 고려하여,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의 중심을, 예를 들면, 압축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한다.
다음의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에 있어서, 인터리브의 단위를 단일 프레임으로 한 경우, 상기 송신 스텝에서는, 상기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을, 압축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을 고려하여,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의 중심을, 예를 들면, 압축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이 되도록 결정하고, 다른 주파수 캐리어의 관측을 행한다.
다음의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스텝에서는, 충분한 인터리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압축 프레임 내의 무전송 시간 후에, 적어도 1 슬롯분의 데이터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과, 인터리브의 효과를 고려하여,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의 중심을, 예를 들면, 압축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이 되도록 결정하고, 더욱이 압축 프레임 내의 무전송 시간 후에 적어도 1 슬롯분의 데이터를 배치하여, 다른 주파수 캐리어의 관측을 행한다.
다음의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에 있어서, 인터리브의 단위를 단일 프레임으로 하고, 또한 상기 무전송 시간이 2개의 프레임에 걸치는 경우, 상기 송신 스텝에서는 상기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을, 앞의 프레임에 크게, 뒤의 프레임에 작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전송 시간이 전후의 프레임에 걸치는 경우에 있어서도, 송신 전력 제어 오차가 뒤의 프레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충분한 인터리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무전송 시간을, 앞의 프레임에 크게, 뒤의 프레임에 작게 배치한다.
다음의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 스텝에서는 최대 도플러 주파수를 추정하고, 그 최대 도플러 주파수를 미리 설정해 두는 도플러 주파수의 임계치와 비교하여, 상기 최대 도플러 주파수가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 무전송 시간의 위치 변경에 관한 제어를 행하지 않도록, 송신기와 니고시에이션을 행하고,상기 송신 스텝에서는, 상기 최대 도플러 주파수가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 상기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을, 압축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최대 도플러 주파수의 추정치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최대 도플러 주파수의 임계치를 비교하여, 추정치 쪽이 임계치보다 주파수가 낮은 경우에, 무전송 시간을 압축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한다. 한편, 추정치 쪽이 임계치보다 주파수가 높은 경우에, 무전송 시간의 조정을 행하지 않도록, 니고시에이션을 행하여, 무전송 시간을 압축 프레임의 중심 부근에 배치한다.
다음의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스텝 및 상기 수신 스텝에서는, 니고시에이션에 의해, 송신 전력 제어에 있어서의 전력의 스텝 사이즈를, 기준치로서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값보다도 크게 설정하고, 또한, 무전송 시간 후의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수속에 필요한 슬롯 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페이딩 주파수에 따라서 송신 전력 제어의 스텝 사이즈를 결정하고, 또한, 그 스텝 사이즈로부터 송신 전력 제어 오차 수속 시간을 추정하여, 무전송 시간에 의한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과, 인터리브의 효과를 고려한 무전송 시간의 설정을 행한다.
다음의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에 있어서는, 고속에서의 이동이 상정되는 에어리어에서는, 무전송 시간의 위치 변경에 관한 제어를 행하지 않고, 고속에서의 이동이 상정되지 않는 에어리어에서는, 상기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을, 압축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셀 반경의 크기에 의해 페이딩 주파수를 추정하기 때문에, 무전송 시간에 의한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과, 인터리브의 효과를 고려한 무전송 시간의 설정을 행한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실시예 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을 행하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통신 방법을 사용하는 모든 무선 통신 시스템(이동체 통신, 위성 통신 등)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신기(1A) 및 수신기(2A)로 구성된다. 또한, 이 송신기(1A) 및 수신기(2A)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지국, 이동국의 각각에 형성되고, 여기서는, 기지국과 각 이동국이 CDMA 통신 방식에 의해 무선 통신을 행하고 있다.
우선, 상기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송신기(1A)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있어서, 송신기(1A)는, 송신 제어기(11A), 오류 정정 부호화기(12), 인터리버(13), 프레임화/확산기(14), 및 무선 주파수 송신기(15)를 구비하고 있다. 송신 제어기(11A)에서는, 주로, 수신기(2A)와의 니고시에이션을 통해서 인터리버(13), 프레임화/확산기(14) 및 무선 주파수 송신기(15)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이 송신 제어기(11A)는, 수신기(2A)와의 니고시에이션으로, 통상 모드(비컴프레스트 모드), 압축 모드(컴프레스트 모드)의 각각에 적합한 인터리브 대상을 프레임 수로 지시한다. 또한, 이 송신 제어기(11A)는, 프레임화/확산기(14)에 대해서, 컴프레스트 모드시에, 확산률의 변경과 컴프레스트 모드시의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타이밍을 지시한다. 또한, 이 송신 제어기(11A)는, 무선 주파수 송신기(15)에 대해서 송신 전력의 증가/감소를 지시한다.
또한, 오류 정정 부호화기(12)에서는, 송신 데이터 계열을 오류 정정 부호화하여 부호화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인터리버(13)에서는, 예를 들면, 페이딩에 의해 송신 신호의 연속하는 비트가 전송시에 없어진 경우(버스트성의 데이터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 전송 오류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부호화 데이터에 대해서 비트 단위로 시간적 순서의 배열 교체(인터리브)을 행한다. 또한, 인터리버(13)에서는, 복수 프레임분의 인터리브를 행할 수 있고, 송신 제어기(11A)로부터 인터리브 대상 프레임 수가 지시되고, 그 프레임 수에 따른 인터리브를 행한다.
프레임화/확산기(14)에서는, 통상 모드, 및 컴프레스트 모드의 각각에 따라서 유저 마다의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광대역으로 확산하여, 각 모드에 따른 프레임을 형성한다. 또한, 이 프레임화/확산기(14)는, 송신 제어기(11A)로부터 각 모드에 따른 송신 타이밍이 지시되면, 그 송신 타이밍으로 프레임을 무선 주파수 송신기(15)로 송출한다. 또한, 이 프레임화/확산기(14)는, 컴프레스트 모드시에 송신 제어기(11A)로부터 확산률의 변경이 지시되고, 그 지시에 따라서 통상 모드보다도 낮은 확산률을 사용하여 송신 신호를 생성한다.
무선 주파수 송신기(15)에서는, 프레임화/확산기(14)에서 얻어진 송신 신호를 무선 주파수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이 무선 주파수 송신기(15)는, 송신 제어기(11A)의 제어에 따라서, 송신 전력을 증감하여 송신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통상 모드시와 비교하여 컴프레스트 모드시의 평균 송신 전력을 증가시켜서, 송신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상기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수신기(2A)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수신기(2A)는, 수신 제어기(21A), 오류 정정 복호화기(22), 디인터리버(23), 디프레임화/역확산기(24), 무선 주파수 수신기(25A)를 구비하고 있다. 수신 제어기(21A)에서는, 주로, 송신기(1A)와의 니고시에이션을 통해서, 디인터리버(23) 및 디프레임화/역확산기(24)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이 수신 제어기(21A)는, 송신기(1A)와의 니고시에이션으로 통상 모드, 및 컴프레스트 모드의 각각에 적합한 디인터리버 대상을 프레임 수로 지시한다. 또한, 이 수신 제어기(21A)는, 디프레임화/역확산기(24)에 대해서, 컴프레스트 모드시에, 확산률의 변경과 컴프레스트 모드시의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타이밍을 지시한다.
무선 주파수 수신기(25A)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로부터 보내지는 수신신호를 복조한다. 디프레임화/역확산기(24)에서는, 통상 모드, 및 컴프레스트 모드의 각각에 따라서, 수신기(2A)의 유저에게 할당된 확산 부호를 사용하여 역확산하고, 각 모드에 따른 프레임을 형성한다. 또한, 이 디프레임화/역확산기(24)는, 수신 제어기(21A)로부터 각 모드에 따른 수신 타이밍이 지시되면, 그 수신 타이밍으로 수신 신호를 무선 주파수 수신기(25A)로부터 받아들인다. 또한, 이 디프레임화/역확산기(24)는, 컴프레스트 모드시에, 수신 제어기(21A)로부터 확산률의 변경이 지시되고, 그 지시에 따라서 통상 모드보다도 낮은 확산률을 사용하여 수신 신호를 생성한다.
디인터리버(23)에서는, 송신기(1A)에서의 인터리버(13)와는 반대의 순서로, 디프레임화/역확산기(24)에서 생성한 프레임에 대해서 비트 단위로 시간적 순서의 배열 교체(디인터리브)를 행한다. 이 디인터리버(23)는, 인터리버(13)와 아울러, 복수 프레임에 걸치는 디인터리브를 행할 수 있고, 수신 제어기(21A)로부터 지시되는 디인터리브 대상 프레임 수에 따라서 디인터리브를 행한다. 또한, 오류 정정 복호화기(22)에서는, 디인터리브된 신호를 오류 정정 복호화하여 복호화 데이터, 즉 수신 데이터열을 생성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송신 제어기(11A) 및 수신 제어기(21A)의 특징적인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송신 제어기(11A)의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111A는 통상 모드/컴프레스트 모드 판정기이고, 112A는 송신 전력 제어기이다. 통상 모드/컴프레스트 모드 판정기(111A)에서는, 수신기(2A)와의 니고시에이션을 통해서 컴프레스트 모드로 이행하는 타이밍을 결정하고, 프레임화/확산기(14)로 확산률의 변경 및 송신 타이밍을 지시한다. 동시에, 컴프레스트 모드시의 데이터의 압축에 의해서 발생하는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하기 위해서 송신 전력 제어기(112A)에 평균 송신 전력의 증가를 지시한다. 그리고, 평균 송신 전력의 증가가 지시된 송신 전력 제어기(112A)에서는, 그 평균 송신 전력과 수신기(2A)로부터의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TPC 커맨드)에서 슬롯 단위의 송신 전력을 결정하고, 그 결정 결과를 무선 주파수 송신기(15)에 지시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신 제어기(21A)의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211A는 통상 모드/컴프레스트 모드 판정기이고, 212는 수신 전력 제어기이다. 통상 모드/컴프레스트 모드 판정기(211A)는, 송신기(1A)와의 니고시에이션을 통해서 컴프레스트 모드로 이행하는 타이밍을 결정하고, 디프레임화/역확산기(24)에 확산률의 변경, 수신 타이밍을 지시한다. 그리고, 수신 전력 제어기(212)에서는, 통상 모드시 및 컴프레스트 모드시에, 소요의 통신 품질을 만족하도록 설정되는 타겟 전력과, 무선 주파수 수신기(25B)로부터 통지되는 수신 전력 제어 정보로부터 알 수 있는 수신 신호의 전력을 비교하여, 수신 신호 전력 쪽이 큰 경우에는, 소정의 전력 폭(△)만큼, 송신기(1A)가 송신 전력을 내리도록, 한편, 수신 신호 전력 쪽이 작은 경우에는, 소정의 전력 폭(△)만큼, 송신기(1A)가 송신 전력을 올리도록, 송신 전력 제어 커맨드를 송신기(1A)에 대해서 통지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컴프레스트 모드 전송의 아이들 시간의 설정 위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컴프레스트 모드 전송에 있어서의 아이들 시간의 설정 위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여기서는, 인터리브의 단위를 1 프레임으로 한다. 예를 들면, 컴프레스트 모드에서는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송신 전력 제어 오차 수속 시간이 같으면, 통상 모드시의 프레임과 비교하여,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에 의한 복조 특성의 열화가 커진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상 모드/컴프레스트 모드 판정기(111A)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송신 타이밍 지시로, 아이들 시간을 컴프레스트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이 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이 지시를 받은 프레임화/확산기 (14)가, 컴프레스트 프레임 내의 원하는 위치에 아이들 시간을 배치한다.
이 때, 컴프레스트 프레임 내에 있어서의 아이들 시간 후의 슬롯 수가 적어지면, 컴프레스트 프레임 내의 인터리브의 효과가 적어지기 때문에, 충분한 인터리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컴프레스트 프레임 내의 아이들 시간 후의 슬롯 수를 적어도 1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인터리브의 단위를 1 프레임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컴프레스트 프레임 내에 있어서의 아이들 시간 후의 슬롯 수를 1이상으로 하였지만, 예를 들면, 인터리브의 단위가 복수 프레임에 걸치는 경우에는, 아이들 시간 후의 슬롯 수를 0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컴프레스트 프레임의 중앙보다도 후방에 아이들 시간을 배치한 경우, 아이들 시간 후의 슬롯, 즉, 송신 전력 제어 수속 시간에 배치되는 확산률을 내린 슬롯, 또는 부호화율을 저감한 슬롯이, 도 23에 도시하는 종래의 슬롯 수보다도 적어지고, 이에 따라서, 신호의 복조 정밀도가 대폭 향상된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신 시스템에서는, 아이들 시간에 의한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이,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대단히 작아진다. 또한, 컴프레스트 프레임 내에 있어서의 아이들 시간 후의 슬롯 수를 1이상으로 한 경우에는, 송신 전력 제어 수속 시간이, 전후의 프레임으로 분할되게 되기 때문에, 즉, 2개의 프레임에 걸치기 때문에, 뒤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복조 정밀도의 열화에 대해서도 완화되게 된다.
또한, 아이들 시간 후의 슬롯 수를 0으로 한 경우에는,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이 최소가 되지만, 그 경우, 슬롯이 컴프레스트 프레임의 전방으로 치우치게 되기 때문에, 반대로 충분한 인터리브의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인터리브의 효과와,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을 고려하여, 아이들 시간을 컴프레스트 프레임의 후방으로 하고, 또한 컴프레스트 프레임 내에 있어서의 아이들 시간 후의 슬롯 수를 1이상으로 하였다.
도 5a 및 도 5b는,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을 고려한 경우에 있어서의 아이들 시간의 최적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예를 들면, 통상 프레임의 1 프레임을 15 슬롯으로 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시하는 TGL(Transmission·gap·length)은 컴프레스트 모드에 있어서의 아이들 시간의 슬롯 수를 나타내고, b는 컴프레스트 프레임에 있어서의 아이들 시간 후의 슬롯 수를 나타내며, 15-TGL-b는 컴프레스트 프레임에 있어서의 아이들 시간 전의 슬롯 수를 나타내고, RL(recovery·length)은 송신 전력 제어 오차 수속 시간을 나타낸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컴프레스트 모드의 아이들 슬롯수(TGL)를 7 슬롯, 송신 전력 제어 오차 수속 시간(RL)을 7 슬롯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컴프레스트 모드시의 아이들 시간이 TGL=7인 경우, 송신기(1A)는, (15-TGL)=8 슬롯으로, 모든 데이터(비트)를 송신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아이들 시간에 의한 영향으로 발생한 송신 전력 제어 오차 수속 시간이 RL=7인 경우에, 슬롯 수(b; 0 내지 4)를 변화시키면, 송신 전력 제어 오차에 의해 영향을 받는 비율, 즉, 데이터를 송신하는 슬롯 수(8 슬롯)에 대한 아이들 시간 후의 슬롯 수(b 슬롯)의 비율(c)은, 도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는, 아이들 시간 후의 슬롯 수(b)가 적을 수록, 아이들 시간에 의한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단,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오류를 랜덤화(randomize)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의 효과를 이끌어 내는 인터리브의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아이들 시간 후의 슬롯 수를 어느 정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컴프레스트 모드시의 아이들 시간을 상기 최적의 위치에 배치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송신기(1A) 및 수신기(2A) 사이의 구체적인 통신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우선, 송신기(1A)의 송신 제어기(11A) 및 수신기(1A)의 수신 제어기(21A)에서는, 컴프레스트 모드 전송을 개시하기 전의 통상 모드 전송시의 니고시에이션으로, 송신 전력 제어 오차 수속용의 프레임 타이밍의 옵셋을 결정한다(스텝S1). 다음으로, 통상 모드/컴프레스트 모드 판정기(111A) 및 통상 모드/컴프레스트 모드 판정기(211A)에서는, 다른 캐리어 주파수의 관측에 필요한 아이들 시간에 근거하여, 인터리브 방법(인터리브 대상 프레임 수 등), 컴프레스트 프레임에 관한 송수신 타이밍, 확산률, 평균 송신 전력 등의 파라미터를 결정한다(스텝S2). 그리고, 송신기(1A) 및 수신기(1B)는, 지정된 인터리브 방법을 이용하여(스텝S21), 결정된 컴프레스트 프레임 타이밍까지 통상 모드에 의한 송수신을 행한다(스텝S22, No, 스텝S31, No).
이 상태에서, 컴프레스트 프레임 타이밍이 되면(스텝S22, Yes, 스텝S31, Ye s), 송신기(1A)에서는, 송신 제어기(11A)가 프레임화/확산기(14)에 대해서 확산률의 변경, 및 송신 타이밍 지시를 행하고, 그 지시를 받은 프레임화/확산기(14)가, 인터리브 후의 데이터로부터, 아이들 시간을 컴프레스트 프레임 내의 후방에 배치한 송신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한다(스텝S23). 그리고, 송신 제어기(11A)의 제어에 의해 지시된 평균 송신 전력에 따라서(스텝S24), 무선 주파수 송신기(15)가, 컴프레스트 모드에 있어서의 송신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25).
한편, 수신기(2A)에서는, 수신 제어기(21A)가 디프레임화/역확산기(24)에 대해서 확산률의 변경, 및 수신 타이밍 지시를 행하고(스텝S32), 그 지시를 받은 디프레임화/역확산기(24)가, 무선 주파수 수신기(25A)를 통해서 받아들인 수신 신호로부터 수신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며(스텝S33), 또한, 디인터리버(23)가, 소정의 방법으로 디인터리브를 실행하여(스텝S34), 최종적으로 복조 정밀도가 높은 데이터를 얻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과, 인터리브의 효과를 고려하여, 컴프레스트 모드에 있어서의 아이들 시간의 위치를 컴프레스트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이 되도록 결정하기 때문에, 다른 주파수 캐리어의 관측에 따른 통신 품질의 열화를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아이들 시간을 컴프레스트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이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컴프레스트 모드 전송시의 아이들 시간을 프레임 내에 분산시키는 방법을 취하지 않고서, 아이들 시간에 의한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인터리브의 단위를 1 프레임으로 한 경우의 아이들 시간의 위치를 결정하였지만, 예를 들면 인터리브의 단위를 복수 프레임으로 한 경우에 있어서도,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과, 인터리브의 효과를 고려하여, 컴프레스트 모드에 있어서의 아이들 시간의 위치를 결정한다.
도 7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컴프레스트 모드 전송의 아이들 시간의 설정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컴프레스트 모드에 있어서의 아이들 시간이 2 프레임에 걸치고, 또한 인터리브의 단위를 1 프레임으로 한 경우를 상정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신 시스템의 구성, 송신 제어기의 구성, 및 수신 제어기의 구성에 대해서는, 앞에 설명한 실시예 1의 도 1, 도 2, 및 도 3과 같기 때문에, 여기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컴프레스트 모드시의 통신 방법도, 먼저 설명한 도 6의 플로 차트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예를 들면, 상기 조건을 상정한 경우에 있어서, 아이들 시간 후의 송신 전력 제어 오차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뒤의 프레임에만 영향을 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TGL=7, RL=4, 및 아이들 시간이 2 프레임에 걸치는 컴프레스트 프레임을 30 슬롯(통상 모드에 있어서의 1 프레임을 15 슬롯으로 한 경우)으로 한 경우, (a)의 위치에 아이들 시간을 배치하면, 송신 전력 제어 오차 수속 시간이 뒤의 프레임에 미치는 영향은, 4 슬롯/12 슬롯이 된다. 한편, (b)의 위치에 아이들 시간을 배치하면, 송신 전력 제어 오차 수속 시간이 뒤의 프레임에 미치는 영향은, 4 슬롯/14 슬롯이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송신 제어기(11A)의 통상 모드/컴프레스트 모드 판정기(111A)에서는, 아이들 시간이 전후의 프레임에 걸치는 경우, 송신 전력 제어 오차가 뒤의 프레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충분한 인터리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아이들 시간을, 앞의 프레임에 크게, 뒤의 프레임에 작게 배치한다(도 7 참조).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아이들 시간이 2 프레임에 걸치는 경우에 있어서도,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을 고려하여, 뒤의 프레임에 충분한 인터리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아이들 시간을 배치하기 때문에, 컴프레스트 모드에 의한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실시예 3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앞에 설명한 실시예 1에 도시하는 도 1의 구성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CDMA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을 행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통신 방법을 사용하는 모든 무선통신 시스템(이동체 통신, 위성 통신 등)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신기(1A) 및 수신기(2B)로 구성된다. 이 송신기(1A) 및 수신기(2B)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지국, 이동국의 각각에 설치되고, 여기서는, 기지국과 각 이동국이 CDMA 통신 방식에 의해 무선 통신을 행하고 있다. 또한, 송신기(1A)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고, 여기서는, 수신기(2B)에 있어서의 실시예 1과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9에 있어서, 수신기(2B)는, 수신 제어기(21B), 오류 정정 복호기(22), 디인터리버(23), 디프레임화/역확산기(24), 무선 주파수 수신기(25B)를 구비하고 있다. 수신 제어기(21B)에서는, 주로, 송신기(1A)와의 니고시에이션을 통해서 디인터리버(23) 및 디프레임화/역확산기(24)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이 수신 제어기(21B)에서는, 디프레임화/역확산기(24)에 대해서, 컴프레스트 모드시에, 확산률의 변경과 컴프레스트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타이밍을 지시한다. 또한, 이 수신 제어기(21B)에서는, 무선 주파수 수신기(25B)로부터 페이딩 정보로서 통지되는 최대 도플러 주파수(페이딩 주파수)의 추정치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최대 도플러 주파수의 임계치를 비교하여, 추정치의 주파수가 높은 경우에, 아이들 시간의 위치의 제어를 행하지 않도록, 즉, 아이들 시간의 위치를 프레임의 중심 부근에 설정하도록, 송신기(1A)와 니고시에이션을 행한다.
무선 주파수 수신기(25B)에서는, 도시하지 않는 안테나로부터 보내지는 수신 신호를 복조한다. 또한, 수신 신호로부터 최대 도플러 주파수를 추정하여, 그것을페이딩 정보로서 수신 제어기(21B)에 통지한다.
이하, 본 실시예의 수신 제어기(21B)에서의 수신 제어기(21A)와는 다른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수신 제어기(21B)의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있어서, 211B는 통상 모드/컴프레스트 모드 판정기이다. 통상 모드/컴프레스트 모드 판정기(211B)는, 송신기(1A)와의 니고시에이션을 통해서 컴프레스트 모드로 이행하는 타이밍을 결정하고, 디프레임화/역확산기(24)에 확산률의 변경, 수신 타이밍을 지시한다. 또한, 통상 모드/컴프레스트 모드 판정기(211B)는, 무선 주파수 수신기(25B)로부터 통지되는 페이딩 정보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최대 도플러 주파수의 임계치를 비교하여, 페이딩 정보로서 통지되는 최대 도플러 주파수에 관한 추정치의 주파수 쪽이 높은 경우에, 아이들 시간의 조정을 행하지 않도록, 송신기(1A)와 니고시에이션을 행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컴프레스트 모드 전송의 아이들 시간의 설정 위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컴프레스트 모드 전송에 있어서의 아이들 시간의 설정 위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 1보다 최대 도플러 주파수가 높은 경우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페이딩(도시하는 채널 상태) 주파수가 높은 경우에는, 수신 전력이 떨어지는 시간 간격이 비교적 짧고, 오류의 발생이 시간적으로 분산된다. 그 때문에, 송신 전력 제어에 의한 통신 품질 개선의 효과는, 채널 상태의 추종성의 열화에 따라 적어지고, 반대로 오류 정정 부호화/인터리브에 의한 통신 품질의 개선 효과가 커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페이딩 주파수가 높은 경우에, 아이들 시간 위치를 실시예 1과 함께 컴프레스트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하면, 압축된 데이터 비트는, 컴프레스트 프레임 내의 전방에 편재하게 되어, 인터리브에 의한 랜덤(random)화의 효과가 손상되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신 제어기(21B)가, 무선 주파수 수신기(25B)로부터 통지되는 페이딩 정보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최대 도플러 주파수의 임계치를 비교하여, 페이딩 정보로서 통지되는 최대 도플러 주파수의 추정치 쪽이, 주파수가 낮은 경우에,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같이, 아이들 시간을 컴프레스트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한다.
한편, 수신 제어기(21B)가, 무선 주파수 수신기(25B)로부터 통지되는 페이딩 정보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최대 도플러 주파수의 임계치를 비교하여, 페이딩 정보로서 통지되는 최대 도플러 주파수의 추정치 쪽이, 주파수가 높은 경우에, 아이들 시간의 조정을 행하지 않도록, 송신기(1A)와 니고시에이션을 행하여,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이들 시간을 컴프레스트 프레임의 중심 부근에 배치한다.
이와 같이, 페이딩 주파수의 고저에 대응하여 컴프레스트 프레임의 아이들 시간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페이딩 주파수가 높은 경우에 있어서의 인터리브의 효과와, 페이딩 주파수가 낮은 경우에 있어서의 송신 전력 제어의 효과를 열화시키지 않도록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면, 고속에서의 이동이 상정되지 않는 에어리어(페이딩 주파수가 낮은 경우)에서는, 실시예 1과 같이, 아이들 시간을컴프레스트 프레임의 뒤 쪽에 배치하고, 고속에서의 이동이 상정되는 에어리어(페이딩 주파수가 높은 경우)에서는, 아이들 시간을 컴프레스트 프레임의 중심 부근에 배치하는 것으로 하여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컴프레스트 모드시의 아이들 시간을 상기 최적의 위치에 배치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송신기(1A) 및 수신기(2B) 사이의 구체적인 통신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스텝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수신기(2B)의 무선 주파수 수신기(25B)는, 컴프레스트 모드 전송을 행하기 이전의 통상 모드 전송시에, 받아들인 수신 신호에 근거하여 최대 도플러 주파수를 추정하고, 그 추정치를 페이딩 정보로서 수신 제어기(21B)에 통지한다(스텝S41). 그리고, 페이딩 정보를 받아들인 수신 제어기(21B)에서는, 그 페이딩 정보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최대 도플러 주파수의 임계치를 비교하여, 추정치의 주파수가 높은 경우에(스텝S42, No), 송신 전력 제어 오차 수속용 아이들 시간의 옵셋의 설정을 정지하고(스텝S43), 아이들 시간을 컴프레스트 프레임의 중심 부근에 배치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추정치의 주파수가 낮은 경우에는(스텝S42, Yes), 이후, 실시예 1과 같이 아이들 시간을 컴프레스트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또한, 페이딩 주파수의 고저에 대응하여 컴프레스트 프레임의 아이들 시간의 위치를 변경하기 때문에, 페이딩 주파수가 높은 경우에 있어서의 인터리브의 효과와, 페이딩 주파수가 낮은 경우에 있어서의 송신 전력 제어의 효과를 열화시키지 않는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최대 도플러 주파수의 추정은, 반드시 수신 신호를 측정하는 것으로 실현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에서는, 일반적으로, 자동차나 열차 등의 이동 속도가 빠른 이동기에 대한 서비스에 대해서는, 기지국에 의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 반경이 크고, 도보나 반 고정국 등의 준 정적인 이동기에 대한 서비스에 대해서는, 셀 반경이 작다. 그 때문에, 일반적으로 셀 반경이 큰 경우에는 페이딩 주파수가 높고, 셀 반경이 작은 경우에는 페이딩 주파수가 낮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는, 셀 반경의 크기에 의해 도플러 주파수(페이딩 주파수)를 추정하여, 상기 제어를 행함으로써,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실시예 4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앞에 설명한 실시예 1에 도시하는 도 1의 구성, 또는 실시예 2에 도시하는 도 9의 구성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CDMA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통신 방법을 사용하는 모든 무선 통신 시스템(이동체 통신, 위성 통신 등)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신기(1C) 및 수신기(2C)에 의해 구성된다. 이 송신기(1C) 및 수신기(2C)는, 시스템을 구성하는기지국, 이동국의 각각에 설치되고, 여기서는, 기지국과 각 이동국이 CDMA 통신 방식에 의해 무선 통신을 행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송신기(1C) 및 수신기(2C) 에서의 실시예 1 또는 2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우선, 상기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송신기(1C)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에 있어서, 송신기(1C)는, 송신 제어기(11C), 오류 정정 부호화부(12), 인터리버(13), 프레임화/확산기(14), 무선 주파수 송신기(15)를 구비하고 있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송신 제어기(11C)의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에 있어서, 111C는 통상 모드/컴프레스트 모드 판정기이고, 112C는 송신 전력 제어기이다. 통상 모드/컴프레스트 모드 판정기(111C)는, 수신기(2C)로부터 통지되는 페이딩 정보에 근거하여, 수신기(2C)와 니고시에이션을 행하여, 송신 전력 제어 스텝 사이즈를 결정하고, 스텝 사이즈 지시 신호를 송신 전력 제어기(112C)에 통지한다. 동시에, 컴프레스트 모드시의 아이들 시간 후에 발생하는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수속 시간을 상기 페이딩 정보와 상기 송신 전력 제어 스텝 사이즈로부터 추정한다. 그리고,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과, 인터리브의 효과를 고려하여, 아이들 시간의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이외의 통상 모드/컴프레스트 모드 판정기(111C)의 동작은, 실시예 1과 같다.
또한, 송신 전력 제어기(112C)는, 상기 통상 모드/컴프레스트 모드 판정기(111C)로부터 보내지는 스텝 사이즈 지시 신호에 따라서, 송신 전력 제어의 전력 폭을 제어한다. 또한, 이외의 송신 전력 제어기(112C)의 동작은, 실시예 1과 같다.
다음으로, 상기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수신기(2C)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에 있어서, 수신기(2C)는, 수신 제어기(21C), 오류 정정 복호기(22), 디인터리버(23), 디프레임화/역확산기(24), 무선 주파수 수신기(25B)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수신 제어기(21C)는, 주로, 송신기(1C)와의 니고시에이션을 통해서 디인터리버(23) 및 디프레임화/역확산기(24)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이 수신 제어기(21C)는, 디프레임화/역확산기(24)에 대해서, 컴프레스트 모드시에, 확산률의 변경과, 컴프레스트 프레임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타이밍을 지시한다. 또한, 이 수신 제어기(21C)는, 무선 주파수 수신기(25B)로부터 페이딩 정보로서 통지되는 최대 도플러 주파수의 추정치를 송신기(1C)에 통지하고, 송신기(1C)와의 니고시에이션에 의해 송신 전력 제어 오차 수속 시간을 추정하여, 송신 전력 제어 스텝 사이즈, 및 아이들 시간의 옵셋량을 결정한다.
도 16은, 상기의 동작에 의해 설정한, 컴프레스트 모드 전송에 있어서의 아이들 시간의 설정 위치, 및 송신 제어 스텝 사이즈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6에 있어서는, 컴프레스트 프레임의 아이들 시간 전의 스텝 사이즈를 △로 하고, 아이들 시간 후의 스텝 사이즈를 a△(a>1)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송신 제어 스텝 사이즈를, 실시예 1일 때보다도 크게 설정함으로써, 아이들 시간 후의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수속에 필요한 슬롯 수를 감소시키고 있다.
또한, 도 17a 내지 도 17e 및 도 18a 내지 도 18c는, 상기의 동작으로 송신 제어 스텝 사이즈를 변경함으로써, 아이들 시간 후의 송신 전력 제어 오차 수속 시간의 슬롯 수를 감소시킨 경우의, 컴프레스트 모드에 있어서의 아이들 시간의 최적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는, 아이들 시간 후의 슬롯 수(b)가 적을수록, 아이들 시간에 의한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이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단,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오류를 랜덤화(randomize)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의 효과를 이끌어 내는 인터리브의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아이들 시간 후의 슬롯 수를 어느 정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도 14에 도시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컴프레스트 모드시의 아이들 시간을 상기 최적의 위치에 배치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송신기(1C) 및 수신기(2C)간의 구체적인 통신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스텝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수신기(2C)의 무선 주파수 수신기(15B)는, 컴프레스트 모드 전송을 행하기 이전의 통상 모드 전송시에, 받아들인 수신 신호에 근거하여 최대 도플러 주파수를 추정하고, 그 추정치를 페이딩 정보로서 수신 제어기(21C)에 통지한다(스텝S51). 그리고, 수신기(2C)에서는, 상기 추정한 최대 도플러 주파수를, 또한, 송신기(1C)의 송신 제어기(11C)에 통지한다(스텝S52). 그 후, 송신 제어기(11C) 및 수신 제어기(21C)에서는, 통지된 도플러 주파수에 근거하여, 송신 전력 제어에 있어서의 스텝 사이즈를 결정하고, 송신 전력 제어 오차가 수속하는 시간을 추정하는 동시에, 아이들 시간 위치를 결정하도록 니고시에이션을 행한다(스텝S53). 또한, 이후의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같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페이딩 주파수에 따라서 송신 전력 제어의 스텝 사이즈를 결정하고, 또한, 그 스텝 사이즈로부터 송신 전력 제어 오차 수속 시간을 추정하기 때문에, 아이들 시간에 의한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과, 인터리브의 효과를 고려한 컴프레스트 모드에 있어서의 아이들 시간의 설정이 가능해지고, 따라서, 컴프레스트 모드에 의한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최대 도플러 주파수의 추정은, 반드시 수신 신호를 측정하는 것으로 실현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에서는, 일반적으로, 자동차나 열차 등의 이동 속도가 빠른 이동기에 대한 서비스에 대해서는, 기지국에 의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셀 반경이 크고, 도보나 반 고정국 등의 준 정적인 이동기에 대한 서비스에 대해서는, 셀 반경이 작다. 그 때문에, 일반적으로 셀 반경이 큰 경우에는 페이딩 주파수가 높고, 셀 반경이 작은 경우에는 페이딩 주파수가 낮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는, 셀 반경의 크기에 의해 도플러 주파수(페이딩 주파수)를 추정하여, 상기 제어를 행함으로써,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과, 인터리브의 효과를 고려하여, 압축 모드(컴프레스트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아이들 시간)의 중심을, 예를 들면, 압축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한다. 이로서, 종래와 같이, 압축 모드 전송시의 무전송 시간을 프레임 내에 분산시키는 방법을 취하지 않고서, 무전송 시간에 의한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통신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다음의 발명에 따르면,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을 고려하여,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의 중심을, 예를 들면, 압축 프레임(컨프레스트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이 되도록 결정하기 때문에, 다른 주파수 캐리어의 관측에 따른 통신 품질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다음의 발명에 따르면,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과, 인터리브의 효과를 고려하여,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의 중심을, 예를 들면, 압축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이 되도록 결정하고, 또한 압축 프레임 내의 무전송 시간 후에 적어도 1 슬롯분의 데이터를 배치하기 때문에, 다른 주파수 캐리어의 관측에 따른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통신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다음의 발명에 따르면, 무전송 시간이 후방의 프레임에 걸치는 경우에 있어서도, 송신 전력 제어 오차가 뒤의 프레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충분한 인터리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무전송 시간을 앞의 프레임에 크게, 뒤의 프레임에 작게 배치하기 때문에, 압축 모드에 의한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다음의 발명에 따르면, 최대 도플러 주파수의 추정치와, 적용 가능되어 있는 최대 도플러 주파수의 임계치를 비교하여, 추정치 쪽이 임계치보다 주파수가 낮은 경우에, 무전송 시간을 압축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한다. 한편, 추정치 쪽이 임계치보다 주파수가 높은 경우에, 무전송 시간의 조정을 행하지 않도록, 니고시에이션을 행하여, 무전송 시간을 압축 프레임의 중심 부근에 배치한다. 이와 같이, 페이딩 주파수의 고저에 따른 압축 프레임의 무전송 시간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페이딩 주파수가 높은 경우에 있어서의 인터리브의 효과와, 페이딩 주파수가 낮은 경우에 있어서의 전송 전력의 제어 효과를 열화시키지 않는 제어가 가능한 통신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다음의 발명에 따르면, 페이딩 주파수에 따라서 송신 전력 제어의 스텝 사이즈를 결정하고, 또한 그 스텝 사이즈로부터 송신 전력 제어 오차 수속 시간을 추정하기 때문에, 무전송 시간에 의한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과, 인터리브의 효과를 고려한 무전송 시간의 설정이 가능해지며, 또한 압축 모드에 의한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다음의 발명에 따르면, 셀 반경이 큰 경우에는 페이딩 주파수가 높고, 셀 반경이 작은 경우에는 페이딩 주파수가 낮다. 따라서 셀 반경의 크기에 의해 페이딩 주파수를 추정하기 때문에, 무전송 시간에 의한 전송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과, 인터리브의 효과를 고려한 무전송 시간의 설정이 가능해지고, 또한 압축 모드에 의한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다음의 발명에 따르면,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과, 인터리브의 효과를 고려하여,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의 중심을, 예를 들면, 압축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한다. 이로서, 종래와 같이, 압축 모드의 전송시의 무전송 시간을 프레임 내에 분산시키는 방법을 취하지 않고서, 무전송 시간에 의한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송신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다음의 발명에 따르면,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을 고려하여,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의 중심을, 예를 들면, 압축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이 되도록 결정하기 때문에 다른 주파수 캐리어의 관측에 따른 통신 품질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송신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다음의 발명에 따르면,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과, 인터리브의 효과를 고려하여,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의 중심을, 예를 들면, 압축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이 되도록 결정하고, 또한, 압축 프레임 내의 무전송 시간 후에 적어도 1 슬롯분의 데이터를 배치하기 때문에, 다른 주파수 캐리어의 관측에 따른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송신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다음의 발명에 따르면, 무전송 시간이 전후의 프레임에 걸치는 경우에 있어서도, 송신 전력 제어 오차가 뒤의 프레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충분한 인터리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무전송 시간을, 앞의 프레임에 크게, 뒤의 프레임에 작게 배치하기 때문에, 압축 모드에 의한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송신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다음의 발명에 따르면, 페이딩 주파수에 따라서 송신 전력 제어의 스텝 사이즈를 결정하고, 또한, 그 스텝 사이즈로부터 송신 전력 제어 오차 수속 시간을 추정하기 때문에, 무전송 시간에 의한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과, 인터리브의 효과를 고려한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의 설정이 가능해지고, 또한, 압축모드에 의한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송신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다음의 발명에 따르면, 최대 도플러 주파수의 추정치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최대 도플러 주파수의 임계치를 비교하여, 추정치 쪽이 임계치보다 주파수가 높은 경우에, 무전송 시간의 조정을 행하지 않도록, 니고시에이션을 행하여, 무전송 시간을 압축 프레임의 중심 부근에 배치한다. 이와 같이, 페이딩 주파수에 대응하여 압축 프레임의 무전송 시간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페이딩 주파수가 높은 경우에 있어서의 인터리브의 효과를 열화시키지 않는 제어가 가능한 수신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다음의 발명에 따르면, 페이딩 주파수에 따라서 송신 전력 제어의 스텝 사이즈를 결정하고, 또한, 그 스텝 사이즈로부터 송신 전력 제어 오차 수속 시간을 추정하기 때문에, 무전송 시간에 의한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과, 인터리브의 효과를 고려한 무전송 시간의 설정이 가능해지고, 또한, 압축 모드에 의한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수신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다음의 발명에 따르면,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과, 인터리브의 효과를 고려하여,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의 중심을, 예를 들면, 압축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한다. 이로서, 종래와 같이, 압축 모드 전송시의 무전송 시간을 프레임 내에 분산시키는 방법을 취하지 않고서, 무전송 시간에 의한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통신 방법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다음의 발명에 따르면,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을 고려하여,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의 중심을, 예를 들면, 압축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이 되도록 결정하기 때문에, 다른 주파수 캐리어의 관측에 따른 통신 품질의 열화를 막는 것이 가능한 통신 방법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다음의 발명에 따르면,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과, 인터리브의 효과를 고려하여,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의 중심을, 예를 들면, 압축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이 되도록 결정하고, 또한, 압축 프레임 내의 무전송 시간 후에 적어도 1 슬롯분의 데이터를 배치하기 때문에, 다른 주파수 캐리어의 관측에 따른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통신 방법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다음의 발명에 따르면, 무전송 시간이 전후의 프레임에 걸치는 경우에 있어서도, 송신 전력 제어 오차가 뒤의 프레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충분한 인터리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무전송 시간을, 앞의 프레임에 크게, 뒤의 프레임에 작게 배치하기 때문에, 압축 모드에 의한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방법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다음의 발명에 따르면, 최대 도플러 주파수의 추정치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최대 도플러 주파수의 임계치를 비교하여, 추정치 쪽이 임계치보다 주파수가 낮은 경우에, 무전송 시간을 압축 프레임의 후방에 배치한다. 한편, 추정치 쪽이 임계치보다 주파수가 높은 경우에, 무전송 시간의 조정을 행하지 않도록, 니고시에이션을 행하여, 무전송 시간을 압축 프레임의 중심 부근에 배치한다. 이와 같이 페이딩 주파수의 고저에 대응하여 압축 프레임의 무전송 시간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페이딩 주파수가 높은 경우에 있어서의 인터리브의 효과와, 페이딩 주파수가 낮은 경우에 있어서의 송신 전력 제어의 효과를 열화시키지 않는 등의 제어가 가능한 통신 방법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다음의 발명에 따르면, 페이딩 주파수에 따라서 송신 전력 제어의 스텝 사이즈를 결정하고, 또한, 그 스텝 사이즈로부터 송신 전력 제어 오차 수속 시간을 추정하기 때문에, 무전송 시간에 의한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과, 인터리브의 효과를 고려한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의 설정이 가능해지고, 또한, 압축 모드에 의한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방법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다음의 발명에 따르면, 셀 반경이 큰 경우에는 페이딩 주파수가 높고, 셀 반경이 작은 경우에는 페이딩 주파수가 낮다. 따라서, 셀 반경의 크기에 의해 페이딩 주파수를 추정하기 때문에, 무전송 시간에 의한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영향과, 인터리브의 효과를 고려한 무전송 시간의 설정이 가능해지고, 또한, 압축 모드에 의한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방법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 송신기 및 수신기, 및 통신 방법은, 이동체 통신, 위성 통신 등의 무선 통신에 유용하며, 특히 압축 모드시에, 다른 주파수 캐리어를 관측하고, 그 관측 결과에 근거하여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CDMA 통신 시스템에 적합하다.

Claims (30)

  1. 통상 모드, 또는 소정의 무전송 시간을 설정 가능한 압축 모드에서 동작 가능한 송신기 및 수신기를 구비하고, 해당 송신기가 각 모드의 프레임에 대해서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압축 모드에 있어서, 상기 무전송 시간 후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송신 전력 제어 수단과, 상기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의 중심을 압축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하는 프레임 생성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통상 모드, 또는 소정의 무전송 시간을 설정 가능한 압축 모드에서 동작하고, 각 모드의 프레임에 대해서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하는 송신기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상기 압축 모드에 있어서, 상기 무전송 시간 후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송신 전력 제어 수단과, 상기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의 중심을 압축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하는 프레임 생성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최대 도플러 주파수를 추정하고, 그 최대 도플러 주파수를 미리 설정해 두는 도플러 주파수의 임계치와 비교하여, 상기 최대 도플러 주파수가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 무전송 시간의 위치 변경에 관한 제어를 행하지 않도록, 송신기와 니고시에이션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4. 송신기와의 니고시에이션에 의해, 송신 전력 제어에 있어서의 전력의 스텝 사이즈를, 기준치로서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값보다도 크게 설정하고, 또한, 무전송 시간 후의 송신 전력 제어 오차의 수속에 필요한 슬롯 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기.
  15. 통상 모드, 또는 소정의 무전송 시간을 설정 가능한 압축 모드에서 동작하는 송신 스텝 및 수신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 스텝에서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하는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스텝은 상기 압축 모드에 있어서, 상기 무전송 시간 후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송신 전력 제어 스텝과, 상기 압축 모드에 있어서의 무전송 시간의 중심을 압축 프레임의 중심보다 후방에 배치하는 프레임 생성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부호화 데이터에 대하여 시간적 순서의 배열 교체를 행하여, 상기 프레임 생성 수단으로 출력하는 인터리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3. 제 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생성 수단은 상기 압축 프레임이 복수의 슬롯을 포함할 경우, 적어도 1개의 슬롯을 상기 압축 프레임의 상기 무전송 시간 후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4. 제 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생성 수단은 상기 무전송 시간을 연속되는 2개의 프레임에 걸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무전송 시간을 앞의 압축 프레임에 크게, 뒤의 압축 프레임에 작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부호화 데이터에 대하여 시간적 순서의 배열 교체를 행하여, 상기 프레임 생성 수단으로 출력하는 인터리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26. 제 8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생성 수단은 상기 압축 프레임이 복수의 슬롯을 포함할 경우, 적어도 1개의 슬롯을 상기 압축 프레임의 상기 무전송 시간 후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27. 제 8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생성 수단은 상기 무전송 시간을 연속되는 2개의 프레임에 걸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무전송 시간을 앞의 압축 프레임에 크게, 뒤의 압축 프레임에 작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
  2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스텝은 부호화 데이터에 대하여 시간적 순서의 배열 교체를 행하여, 상기 프레임 생성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9. 제 15 항 또는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생성 스텝은 상기 압축 프레임이 복수의 슬롯을 포함할 경우, 적어도 1개의 슬롯을 상기 압축 프레임의 상기 무전송 시간 후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0. 제 15 항 또는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생성 스텝은 상기 무전송 시간을 연속되는 2개의 프레임에 걸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무전송 시간을 앞의 압축 프레임에 크게, 뒤의 압축 프레임에 작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KR10-2001-7005231A 1999-08-27 2000-06-29 통신 시스템, 송신기 및 수신기, 및 통신 방법 KR1004091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41217 1999-08-27
JP24121799A JP4387001B2 (ja) 1999-08-27 1999-08-27 移動局および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253A KR20010082253A (ko) 2001-08-29
KR100409148B1 true KR100409148B1 (ko) 2003-12-11

Family

ID=17070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5231A KR100409148B1 (ko) 1999-08-27 2000-06-29 통신 시스템, 송신기 및 수신기,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829489B2 (ko)
EP (7) EP2251988B1 (ko)
JP (1) JP4387001B2 (ko)
KR (1) KR100409148B1 (ko)
CN (1) CN1185806C (ko)
CA (1) CA2348511C (ko)
DE (1) DE60043840D1 (ko)
WO (1) WO20010171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82133A (zh) * 1998-03-26 2008-10-08 三菱电机株式会社 频谱扩展通信装置和频谱扩展通信方法
EP1124340B1 (en) * 2000-02-08 2003-12-03 Alcatel A method for setting a transmission quality target value for power control in a mobile radiocommunication system
JP2001230756A (ja) * 2000-02-17 2001-08-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dma方式を適用したデータ送信装置及びデータ送信方法
KR100800884B1 (ko) 2001-03-29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링크의 송신 제어 방법
EP1422853A4 (en) * 2001-08-30 2009-09-30 Ntt Docomo Inc RADIO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TRANSMISSION STATION APPARATUS, AND RECEPTION STATION APPARATUS, USED IN THIS RADIO TRANSMISSION SYSTEM
DE50101572D1 (de) 2001-12-04 2004-04-01 Alcatel Sa Basisstation für UMTS zur Übertragung von Zeitschlitztypen
JP3574446B2 (ja) * 2002-09-19 2004-10-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基地局装置
CN1993906B (zh) * 2004-07-22 2010-04-28 三菱电机株式会社 基站以及移动设备
KR100719339B1 (ko) * 2004-08-13 2007-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입력 다중 출력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을통한 프레임 송수신 방법
US20060068831A1 (en) * 2004-09-30 2006-03-30 Stewart Kenneth A Predictive power control in a digital diversity receiver
US20100240409A1 (en) * 2006-01-04 2010-09-23 Shinya Muraok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base station, wireless terminal station,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US8064855B2 (en) 2006-10-25 2011-11-22 Panasonic Corporation Transmission power controller
EP2091144B1 (en) * 2006-10-25 2017-12-0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Transmission method and transmission device
US8094554B2 (en) * 2006-10-26 2012-01-10 Qualcomm Incorporated Compressed mode operation and power control with discontinuous transmission and/or reception
US8000663B2 (en) * 2006-12-14 2011-08-16 Panasonic Corporation Mode shift calibration in power amplifiers
CN101682853A (zh) * 2007-05-31 2010-03-2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间隙辅助测量方法
KR101453131B1 (ko) 2007-12-14 2014-10-27 톰슨 라이센싱 가변 대역폭 채널을 통한 동시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453132B1 (ko) 2007-12-18 2014-10-27 톰슨 라이센싱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들을 통한 파일 사이즈 추정 장치 및 방법
JP5108095B2 (ja) * 2008-05-29 2012-12-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フェムトセル用無線基地局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JP5109856B2 (ja) 2008-07-30 2012-12-26 富士通株式会社 無線移動局装置および無線基地局装置
WO2011045548A1 (fr) * 2009-10-15 2011-04-21 France Telecom Codage/decodage parametrique bas debit optimise
CN102196542B (zh) * 2011-05-27 2014-06-25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功率控制方法、设备和系统
WO2015163013A1 (ja) * 2014-04-25 2015-10-29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7028373A (ja) 2015-07-16 2017-02-02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US9516617B1 (en) * 2015-11-04 2016-12-06 The Boeing Company High-speed platform telemetry system
JP7020409B2 (ja) * 2016-07-12 2022-02-16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管理サーバ、方法及び記録媒体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4652A (en) 1983-07-13 1985-04-30 Sundstrand Corporation Liquid cooled high speed synchronous machine
AU677079B2 (en) * 1993-06-14 1997-04-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ime alignment of transmission in a down-link of a CDMA system
TW306102B (ko) * 1993-06-14 1997-05-21 Ericsson Telefon Ab L M
JP3302168B2 (ja) * 1994-04-05 2002-07-15 株式会社東芝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
US5883899A (en) * 1995-05-01 1999-03-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Code-rate increased compressed mode DS-CDMA systems and methods
US5896368A (en) * 1995-05-01 1999-04-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ulti-code compressed mode DS-CDMA systems and methods
JP3407558B2 (ja) * 1996-08-23 2003-05-19 ソニー株式会社 送信方法、送信装置、受信方法、受信装置、多元接続方法及び多元接続システム
UA53669C2 (uk) * 1996-11-18 2003-02-17 Сіменс Акцієнгезельшафт Спосіб та система базової станції для конфігурування радіоінтерфейсу між мобільною станцією та базовою станцією мобільної радіосистеми пакетної передачі даних з часовим мультиплексуванням
JP2914444B2 (ja) * 1997-07-22 1999-06-28 日本電気株式会社 Cdma送受信機
JPH1198066A (ja) * 1997-09-19 1999-04-09 Hitachi Denshi Ltd 復調器及び復調方法
KR100377394B1 (ko) 1997-12-04 2003-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핸드오프수행장치및방법
US6154652A (en) * 1997-12-04 2000-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handoff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1999043105A1 (en) * 1998-02-19 1999-08-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 ga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512750B1 (en) * 1999-04-16 2003-01-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wer setting in CDMA systems employing discontinuous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36839B1 (en) 2013-09-25
CN1185806C (zh) 2005-01-19
CA2348511A1 (en) 2001-03-08
EP2288052B1 (en) 2013-04-03
EP2251989B1 (en) 2013-12-04
JP4387001B2 (ja) 2009-12-16
JP2001069075A (ja) 2001-03-16
EP2251989A1 (en) 2010-11-17
EP1133079A4 (en) 2008-01-23
EP2251988B1 (en) 2013-10-16
EP1936840A2 (en) 2008-06-25
US20020013156A1 (en) 2002-01-31
KR20010082253A (ko) 2001-08-29
EP1133079B1 (en) 2010-02-17
EP2288052A1 (en) 2011-02-23
DE60043840D1 (de) 2010-04-01
EP2251990B1 (en) 2014-05-07
WO2001017139A1 (fr) 2001-03-08
EP2251988A1 (en) 2010-11-17
EP1936839A2 (en) 2008-06-25
EP1133079A1 (en) 2001-09-12
EP2251990A1 (en) 2010-11-17
US6829489B2 (en) 2004-12-07
EP1936839A3 (en) 2008-07-09
CA2348511C (en) 2005-11-01
CN1336047A (zh) 2002-02-13
EP1936840A3 (en) 2008-07-09
EP1936840B1 (en) 2012-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9148B1 (ko) 통신 시스템, 송신기 및 수신기, 및 통신 방법
JP4426120B2 (ja) 断続的な送信を採用するcdmaシステムにおける電力設定方法
US7876730B2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pplied i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3961832B2 (ja) 移動体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パワー制御のための伝送品質目標値を設定する方法
US8014375B2 (en)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device and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method
JPH11136185A (ja) 無線通信のための切替え制御方法及び装置
EP1143634A1 (en) A method for setting compressed mode parameters and for setting a transmission quality target value for power control in a mobile radiocommunication system
JP4361119B2 (ja) 移動局
JP2008154273A (ja) 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