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8870B1 -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8870B1
KR100408870B1 KR1019940029612A KR19940029612A KR100408870B1 KR 100408870 B1 KR100408870 B1 KR 100408870B1 KR 1019940029612 A KR1019940029612 A KR 1019940029612A KR 19940029612 A KR19940029612 A KR 19940029612A KR 100408870 B1 KR100408870 B1 KR 100408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r
vacuum
reservoir
circulation pump
di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9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4501A (ko
Inventor
페카누미
Original Assignee
에박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박아베 filed Critical 에박아베
Publication of KR950014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8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10Bowls with closure elements provided between bottom or outlet and the outlet pipe; Bowls with pivotally supported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6Pneumatic sewage disposal system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10Waste-disintegrating apparatus combined with the bow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0Baths, closets, sinks, and spittoons
    • Y10S4/09Meth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318Processes
    • Y10T137/0396Involving pressure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402Distribution systems involving geographic fea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5978With pump
    • Y10T137/86083Vacuum pum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571Multiple inlet with single outlet
    • Y10T137/87587Combining by aspiration
    • Y10T137/87643With condition responsive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배출 장치 진공 하수 시스템 내에서 오물의 운송을 위하여 저감된 압력을 제공하는 진공 발생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그의 작동 매체가 오물 저장조(5)로부터 순환 펌프(6)에 의하여 그로 공급되는 액체 구동 배출기(3)와, 하수관에 분배되는 오물이 상기 배출기(3)를 통하여 저장조(5) 내로 끌어당겨지도록 하나의 체크 밸브(9)를 통하여 진공 하수관(2)에 연결된 상기 배출기(3)의 흡입면(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수관을 통하여 분배되는 오물은 배출기(3)를 통하여 저장조(5)내로 흘러 들어간다. 배출기 방출관(11)의 내강은,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를 통하여 원통형이다. 그것의 길이 (L)는 그것의 내강의 직경 (D)의 8 내지 20 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배이며, 그 관(11)은 저장조(5)의 열린 내부로 직접 방출한다.

Description

배출 장치
본 발명은 진공 하수 시스템용 진공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수 시스템 등에서 온 라인 진공 펌프로서의 배출기의 사용과 관련된 것이다.
배출기는 진공 하수 시스템에서 부분 진공원으로서 오래동안 사용되어 왔다. 그러한 구조는 US-A-4034421 에 나타나 있다. 이 공지 기술에 의하면, 배출기의 작동 매체는 하수 저장조로부터 배출기로 순환 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액체의 흐름이다. 배출기의 흡입면은 체크 밸브를 통하여 진공 하수와 연결되어 있어서 하수구로 들어온 오물이 배출기를 통하여 저장조로 끌려들어 가도록 한다. 그러한 진공 생성 장치의 전체 효율비는 불과 5% 정도이다. 이 것은 순환 펌프의 효율비가 약 40% 이며 그것의 유효 동력의 약 10% 내지 15% 만이 순환 펌프에 의하여 동력을 얻은 배출기 내에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진공 생성 수단의 효율비의 개선은, 그러나, 그 자체로서 일반적으로 그렇게 중요한 것은 아니다.
기체 펌프로서 작동하는 액체 구동 배출기의 전체 효율비의 개선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목적은 배출기의 효율비를 개선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진공 하수 시스템용 진공 발생 장치로서의 배출기의 특수한 적용에 있어서는 배출기로 들어오는 기류를 충분히 높은 진공(보다 높은 진공 = 보다 낮은 절대 압력) 수준에서 최대한으로 하는 것이 보다 중요하다는 인식에 기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발생 장치에서는, 배출기는 저장조로 직접 배출한다 (즉, 대기압에서). 이러한 조건 하에서 배출기로부터의 질량의 흐름의운동 에너지와 압력은 전부 쓰이지는 않으며 이것은 배출기의 작용의 적정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가진다.
본 발명의 한 목적은 진공 하수 시스템에 있어 전형적인 작동 환경에서 청구범위 제 1 항의 전문에 따른 배출기를 사용한 진공 발생 장치의 작용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배출기에 의하여 충분히 높은 진공을 얻는 것과 동시에 배출기를 통한 공기 흐름의 체적이 최대로 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진공 하수 시스템에서의 전형적인 진공 수준은 대기압의 약 절반 정도이나, 이 진공 수준은 여러 상황에서 상당히 다른 차이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것은 이하의 청구범위 제 1 항에 나타나 있다. 배출기에서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확산기 (그것은 흐름 방향으로 원추형으로 점점 커지는 끝단부를 가지는 방출관을 제공한다 )가 필요하지 않게되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발생 장치에서는, 배출기의 방출관의 내강은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원통형이다. 방출관의 길이는 내강 직경의 8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배이다. 배출기는, 그 자체로서 알려진 바와 같이, 저장조의 열린 내부로 직접 배출하며, 즉, 저장조로 연결되는 파이프로 들어가지 않는데, 이것은 그러한 파이프가 배출기의 작용에 영향을 줄 정도로 좁을 수가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배출기를 사용하는 진공 발생 장치는 진공 하수 시스템의 작동 환경에 있어서 종래의 배출기에 기초한 진공 발생 장치에 비하여 훨씬 잘 작동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어떤 적용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의 두 개의 배출기는 종래 배출기에 기초한 진공 발생 장치 다섯 개 만큼의 작용을 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발생 장치에서 사용되는 배출기의 이론적 효율비가 공지의 배출기의 효율비에 비하여 낮을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러하였다.
본 발명을 적용함에 있어서, 순환 펌프에 의하여 발생하는 압력은, 배출기의 바로 위에서, 적어도 1.5 바(bar), 바람직하게는 1.9 바가 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한 높은 공급 압력의 사용은 배출기의 공기 펌핑 용량과 배출기를 통한 작동 매체의 흐름 속도를 높여준다. 따라서 순환 펌프에서 배출기로의 흐름 속도는 적어도 90 m3/h, 바람직하게는 약 100 m3/h 또는 그 이상으로 할 것이 권장된다.
배출기에서의 충분히 높은 펌핑 용량을 얻기 위해서는, 배출기 방출관의 내강의 단면적이, 배출기의 흡입실에서 요구되는 진공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작동 매체가 통과하는 배출기 노즐에서의 가장 작은 구멍의 단면적의 적어도 2.2 배, 바람직하게는 2.5 배가 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 값들은 특히 배출기에서 사용되는 작동 매체의 흐름 속도와 압력에 대하여 상술한 값들과 조합을 이룰 때 유리하게 된다. 상기 비는 그렇게 높지 않아서 충분히 높은 진공이 배출기에 의하여 발생될 수 없다. 적절한 최대치는 보통 약 3 내지 3.5 이다.
배출기의 펌핑 용량 또한 진공 하수구의 끝단부가 배출기의 흡입실에 경사지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므로써 유리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하수관의 배출기의 길이 축에 대한 각도는 45° ± 20° , 바람직하게는 45° ± 10° 이다. 종래의 배출기에 있어서의 문제로 되는 각도는 약 90° 였으나, 배출기를 통하여 흐르는 물질의 흐름 각도의 변화를 줄이기 위해서는 경사진 연결이 훨씬 유리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발생 장치는 여러 작동 상황하에서 여러 진공 하수 시스템에서 작동될 수 있기 때문에, 배출기의 특성이 배출기가 어떠한 적용에서도 그것의 최적 수행 또는 그 근처에서 행해질 수 있도록 조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하는 진공 수준, 공기의 양 그리고 펌프될 오물 등은 여러 적용에서 매우 다를 수가 있다. 코스트 면에서 순환 펌프는 비교적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는 그것이 원하는 배출기 용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배출기는 선택된 순환 펌프에 의하여 발생되는 압력과 흐름 속도에 맞춰져야 한다. 배출기의 특성은 간단한 조정 장치 수단에 의하여 조정될 수 없기 때문에, 배출기는 바람직하게는 그것의 노즐과 배출 부분들이 바람직하게는 분리되고, 분리되어 배출기의 다른 구조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여, 그들을 다른 부분들로 교체할 수 있어 배출기의 특성은 필요에 따라 수정될 수 있다. 순환 펌프는 두 가지 목적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첫째는, 순환 펌프는 배출기의 에너지원으로서 작용하나, 오물 저장조를 또한 때때로 비워야만 한다. 순환 펌프의 동력이 충분하다면, 비우는 것은 순환 펌프가 배출기에 동력을 가하고 있을 때에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순환 펌프의 동력이 너무 낮다면, 배출기는 저장조가 비워지는 동안은 펌프로부터 배출기로의 작동 매체의 흐름을 차단하므로써 배출기를 닫아야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그러한 차단이 요구되지 않으며, 대신 순환 펌프의 동력이 매우 좋아서, 배출기가 작동하고 있더라도, 순환하는 액체의 일부를 적어도 10 미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미터까지 펌프 수준 위로 펌핑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선박의하수구 구조에 적용하면, 선박이 부두에 있는 동안 배출기의 작용을 방해하지 않고 저장조를 비울 수 있다. 배출기는 정상적으로는 계속해서 작동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것의 작용은 진공 하수구 구조 내에 실재하는 진공 수준에 의존할 것이다. 하수구 구조의 압력은 화장실의 변기 또는 하수 구조와 연결된 다른 장치가 비워질 때마다 올라갈 것이다. 구조 내에서의 압력이 일정 한계 수준 이상으로 올라가면, 배출기는 자동적으로 시동할 수 있고 그 다음 하수 구조 내에서 적절한 진공 수준이 다시 얻어질 때까지 작동할 수 있다. 저장조는 계속하여 대기압으로 유지된다.
종래 기술의 배출기의 방출관에서의 종래의 확산기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발생 장치의 배출기에서는 사용될 수 없다. 이것은 배출기로부터의 질량의 흐름이 저장조 내로 자유롭게 배출되기 때문이다. 만약, 배출기의 배출 면적 내에 가령 저장조의 벽과 같은 이웃한 장애물이 있다면, 이것은 배출기의 작용에 좋지않은 영향을 줄 수 있고, 특히 방출관의 바깥 끝단부와 방해물 사이의 거리가 짧다면 더욱 그렇다. 따라서, 배출관의 바깥 끝단부와 그 앞에 있는 가장 가까운 방해물과의 사이의 자유 공간(clearance)은 적어도 0.5 미터, 바람직하게는 1.5 미터로 될 것이 권장된다. 배출기의 배출 면적을 가로 방향에서도 방해물이 없도록 유지하는것 또한 중요하다 (즉, 방출관에 대한 반경 방향에서). 가로방향의 공간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최소 자유 면적은 상당히 작아서, 그것의 길이 측으로부터 측정된 배출관의 직경의 보통 불과 1.5 배, 바람직하게는 두 배 정도이다.
통상의 오물 내에 존재하는 고체, 반고체, 그리고 섬유 물질 및 고무 물질 (콘돔 등과 같은) 등에 의하여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물질들을 분해하기 위하여 그 시스템 내에 일체화된 분쇄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진공 하수 구조 내에 분쇄 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불리한 방식으로 저장조로 가는 오물의 흐름을 저하시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발생 장치 내에서는, 분쇄 장치가 하수 구조 자체 내에서 사용되지 않고, 대신에 순환 펌프의 순환 통로 내, 바람직하게는 순환 펌프의 바로 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 분쇄 장치는 오물관 구조 내에서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며 동시에 그것은 지속적으로 배출기의 작동 조건과 그것의 작동 매체의 조화를 개선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의하여 분쇄기는 전체 진공 발생 장치의 작용 용량에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분쇄 장치는, 그 자체로서 알려진 바와 같이, 순환 펌프와 일체로 되어 순환 펌프의 구동 모우터가 직접적으로 분쇄 장치와 펌프를 모두 수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발생 장치의 하수관 내에는 통상의 분쇄 장치가 없기 때문에, 오물 내의 고체 및 반고체 물질들은 특히 고체 물질에 대한 액체 물질의 비가 낮을 때, 배출기의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이것은 매우 드물게 일어나나, 보다 나은 안전성을 위하여 배출기의 하우징 내, 또는 진공 하수관이 그 배출기와 결합되는 바로 그 지점에 열 수 있는 덮개를 가진 감시 구멍이 있어서, 그것을 통하여 배출기의 작용을 방해하는 어떠한 물질이 필요에 따라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권장된다.
본 발명을 이제 예로서만, 참조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 1 도에 있어서, 부호 (1)은 진공 하수관(2)과 연결된 화장실의 변기를 나타낸다. 하수 구조 내에서 대기압의 약 50% 정도의 부분 진공이 배출기(3)에 의하여 발생된다. 화장실 변기(1)의 수는 배출기(3) 하나에 대하여 100 개 또는 그 이상으로 될 수 있다. 각 화장실 변기(1)의 바로 옆에는 화장실 변기(1)의 내부와 부분 진공으로 유지되는 하수관을 직접 연결하는, 보통 밀폐되어 있는 하수 밸브(1a)가 있다. 배출기(3)의 흡입관(4)은 하수관(2)의 바깥쪽 끝단(2a)과 연결되어 있다. 배출기(3)는 하수 저장조(5) 내로 배출한다. 역동적인 순환 펌프(6)는 저장조(5)내에 존재하는 주로 액체 오물을 저장조로부터 파이프(7)를 통하여 끌어 당겨 그것을 파이프(8)를 통하여 배출기(3)로 펌프시키고, 거기서 펌프(6)에 의하여 분배된 흐름은 배출기를 작동시키는 작동 매체로 작용하여, 배출기(3)의 흡입실(이것은 파이프(4)를 포함한다) 내와 또한 하수관(2) 내에서 처음으로 부분 진공이 발생된다. 하수관의 바깥쪽 끝단(2a)과 배출기(3)의 흡입실 사이에는 비복귀 밸브(non-return valve)(9)(제 2 도를 참조하라)와 통상의 개폐 오프 밸브(normally-openshut-off valve)(10)가 있다. 배출기(3)의 작동 매체와 하수관을 통하여 배출기(3)로 끌어당겨진 오물과 공기는 고속으로 배출기의 배출관(11)을 통하여 저장조(5)의 내부로 흘러 들어간다.
순환 펌프(6)의 상부에는 통상의 개폐 오프 밸브(12)와 오물 속의 고체 물질을 분쇄하는 분쇄 장치(13)가 있다. 분쇄 장치(13)는 순환 펌프(6)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고 그것은 또한 예를 들어, 펌프 로우터인 같은 축 상에 있도록 일체화되어 펌프에 연결될 수 있다. 펌프(6)에 의하여 발생하는 흐름 속도는 논의되는 실시예에서, 100 m3/h 이상이다. 배출기(3)의 바로 상부에서, 파이프(8) 내의 압력은 약 2 바 정도이다. 펌프(6)는 저장조(5)를 비울 수 있고 동시에 배출기(3)를 구동시킬 수 있다. 비우는 단계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원격 조정되는 비음 밸브(14)가 열리고, 그에 의해 일부, 예를 들어 20% 정도의 펌프(6)에 의해 순환되는 매체의 흐름이 파이프(8)로부터 파이프(15)로 흘러간다. 펌프(6)의 동력은 충분히 높아서, 배출기(3)가 적절한 동력에서 열려 있을 때에도, 파이프(15)로 펌프되는 매체의 흐름은 펌프(6) 수준 위로 약 10 내지 20미터 정도의 높이(h)까지 올라갈 수 있다.
저장조(5)에는 두개의 수위 표시계(16a, 16b)가 있는데, 저장조 내에 액체가 너무 적을 때에는 그 중의 하부의 것(16a)이 경보로서 작용하고, 액체의 수위가 너무 높아서 저장조(5)를 비워야 할 때는 상부의 것(16b)이 경보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도시된 하수 시스템은 저장조(5)내의 액체의 수위가 상부의 수위 표시계(16b)에 의하여 정해지는 수위 이상으로 올라갈 때와 배출기(3)의 배출관(11)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저장조(5) 내에서 액체 수위 이하로 내려가더라도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그러나, 액체의 수위는 항상 배출기(3)의 배출관(11) 이하, 예를 들어 배출관의 길이 방향 축 아래의 배출관 내강의 직경의 1.5 내지 2 배의 거리만큼 분명히 아래에 있다. 배출관(11)의 바깥쪽 끝단부로부터 그것의 앞에 있는 가장 가까운 벽(또는 다른 장애물)까지의 거리(d)는 0.5 미터로 권장되는 일정한 최소 거리보다 작아서는 안되며, 계획된 가장 높은 배출기 동역에서 작동하는 배출기의 경우에는 1.0 미터까지 증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발생 장치는 예를 들어 큰 여객선 등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약 200 개의 화장실 변기가 하나의 배출기에 의하여 힘을 받는 하나의 관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도에 의한 여러개의 배출기 구조들에서, 각각은 그 자체의 순환 펌프(6)를 포함하며, 동일한 저장조(5)로 공급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그들은 그 다음에 모두 동일한 하수관(2)으로 통하는 하나의 공통관을 통하여 간편하게 연결된다. 저장조(5)의 체적은 보통 10 m3또는 그 이상이다. 그것은 대기압으로 유지된다. 동일한 저장조(5)에 연결된 모든 배출기(3)들은 저장조(5)를 비우기 위하여 동시에 여러개의 순환 펌프(6)를 사용하여 비우는 속도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저장조 비우는 장치를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다.
배출기(3)의 구성 요소들은 제 2 도에 상세히 나타나 있다. 배출기(3)의 흡입관(4)내의 체크 밸브(9)는 유연한 고무 덮개의 형태를 가져서, 배출기가 작동할 때는 흡입관(4)의 넓어지는 부분(4a)내의 위치(9a)로 올라간다. 이 넓어지는 부분의 케이싱에는 분리할 수 있는 감시 커버(17)가 마련되고, 그것을 제거하면 배출기의 흡입실 내부로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다. 배출기(3)의 작동 매체(제 1 도)용 분배관(8)은 플랜지(18)에 연결되어 있다. 노즐 부재(19)는 플랜지(18)와 배출기 케이싱(22) 사이에서 나사 볼트(20)에 의하여 유지된다. 따라서, 배출기의 특성을 바꾸기를 원한다면, 노즐 부재(19)는 다른 노즐로 쉽게 교체될 수 있다. 배출기의 길이 방향 축(21)과 흡입관(4)의 길이 방향 축(4b) 사이의 각 v 는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약 45° 이다.
배출기(3)의 원통형 배출관(11)은, 플랜지 연결(24) 수단에 의하여 배출기의 케이싱(22)에 부착된다. 배출관(11)은 따라서, 만약 예를 들어, 노즐 부재(19)의 교환이 다른 배출관의 사용을 요한다면, 쉽게 제거되고 교체될 수 있다. 배출관(11)과 동시에 전체 배출기(3)는 플랜지(25) 수단에 의하여 저장조(5)에 연결되고, 이들은 하나의 쇠테(collar)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파이프(11) 위에 조정할 수 있게 장착될 수 있어서, 파이프(11)의 길이 방향에서 새로운 자리에 장착될 수도 있다.
배출관(11)의 길이(L)는 내강 직경(D)의 8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배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배출관(11)의 자유로운 구멍의 단면적은 배출기(3)의 노즐 부재(19)의 가장 작은 구멍(26)의 면적의 2.5배 보다 약간 크다.
본 발명은 나타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데, 이는 그것의 여러가지 수정이 이하의 청구 범위 내에서 쉽기 때문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발생 장치를 채용한 진공 하수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제 2 도는 제 1 도의 시스템의 배출기를 통과하는 세로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변기 2 : 진공 하수관
2a : 하수관의 바깥쪽 끝단 3 : 배출기
4 : 흡입관 5 : 하수 저장조
6 : 순환 펌프 7,8 : 관
9 : 비복귀 밸브 10,12 : 개폐 밸브
11 : 방출관 13 : 분쇄 장치
16a,16b : 수위 표시계 17 : 감시 덮개
18,25 : 플랜지 19 : 노즐 부재
20 : 나사 볼트 22 : 배출기 케이싱
24 : 플랜지 접속 26 : 작은 구멍

Claims (10)

  1. 그의 작동 매체가 오물 저장조(5)로부터 순환 펌프(6)에 의하여 그로 공급되는 액체 구동 배출기(3)와, 하수관에 분배되는 공기 및 오물이 상기 배출기(3)를 통하여 저장조(5)내로 끌어당겨지도록 하나의 체크 밸브(9)를 통하여 진공 하수관(2)에 연결된 상기 배출기(3)의 흡입면(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 하수 시스템 내에서 오물의 운송을 위하여 저감된 압력을 제공하는 진공 발생 장치에 있어서,
    그를 통하여 공기 오물 및 배출기의 작동 매체가 저장조(5)로 방출되는 상기 배출기의 방출관(11)의 내강(bore)이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를 통하여 원통형이며, 상기 방출관(11)의 길이(L)이 내강 직경(D)의 8 내지 20 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배이며, 상기 관(11)은, 그 자체로서 알려진 바와 같이, 저장조(5)의 열려진 내부로 직접 방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발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순환 펌프(6)에 의하여 작동 매체 내에서 발생하는 압력은 배출기(3) 바로 상부에서 게이지압으로 적어도 1.5바(bar),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9 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발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순환 펌프(6)에 의하여 배출기로 공급되는 작동 매체의흐름이 적어도 90m3/h, 바람직하게는 100m3/h 또는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발생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기의 방출관(11)내강의 자유 단면의 면적이, 상기 배출기(3)내에 마련된 작동 매체용 노즐(19)의 최소 구멍(26)의 단면적의 적어도 2.2 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발생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기(3)에 연결된 진공 하수관(2)의 끝단부(2a)가 배출기(3)내에서 배출기(3)의 방출관(11)을 향한 방향에서 흡입실(4a)과 연결되며 방출관(11)의 길이 축에 대하여 45° ± 20° , 바람직하게는 45° ± 10° 의 각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발생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기의 방출관(11)과 노즐 부재(19)가 배출기(3)의 다른 구조적 부분들로 뗄 수 있게 부착되어서 배출기(3)의 펌핑 특성을 변화하기 위하여 다른 부분들과 상호교환 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발생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순환 펌프(6)의 동력은 배출기(3)의 요구되는 작동 매체의 흐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선택되고, 상기 펌프(6)는, 배출기(3)가 진공 발생기로서 작동하고 있을 때에도, 저장조(5)의 내용물의 일부를 펌프(6)수준의 위로 적어도 10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m 의 높이까지 펌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발생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기(3)의 방출관(11)의 바깥쪽 끝단과 그것의 앞에 있는 가장 가까운 장애물과의 사이에 마련되는 자유 공간(clearance)이 적어도 0.5 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발생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순환 펌프(6)의 위쪽에 순환 펌프로 흘러 들어오는 오물을 분쇄하는 분쇄 장치(13)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발생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출기(3)내부로 접근할 수 있도록 마련된 열 수 있는 감시 덮개(17)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발생 장치.
KR1019940029612A 1993-11-11 1994-11-11 배출장치 KR1004088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34978A FI98644C (fi) 1993-11-11 1993-11-11 Ejektorilaite
FI934978 1993-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501A KR950014501A (ko) 1995-06-16
KR100408870B1 true KR100408870B1 (ko) 2004-03-09

Family

ID=8538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9612A KR100408870B1 (ko) 1993-11-11 1994-11-11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5535770A (ko)
EP (1) EP0653524B1 (ko)
JP (1) JP3556980B2 (ko)
KR (1) KR100408870B1 (ko)
CN (1) CN1075582C (ko)
AU (1) AU674792B2 (ko)
CA (1) CA2135331A1 (ko)
DE (1) DE69416488T2 (ko)
DK (1) DK0653524T3 (ko)
ES (1) ES2128515T3 (ko)
FI (1) FI98644C (ko)
GR (1) GR3029897T3 (ko)
NO (1) NO944284L (ko)
PL (1) PL176252B1 (ko)
SG (1) SG526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6007C2 (sv) * 1993-12-20 1997-11-03 Evac Ab Vakuumavloppssystem med ejektor
US5873135A (en) * 1994-12-16 1999-02-23 Evac Ab Air pressure driven vacuum sewer system
US6618866B1 (en) 2000-02-08 2003-09-16 Sealand Technology, Inc. Vacuum tank construction
DE10022148A1 (de) * 2000-05-08 2002-02-07 Katrin Riebensahm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inigung häuslicher Abwässer
FI20001759A0 (fi) * 2000-08-07 2000-08-07 Evac Int Oy Alipaineviemärijärjestelmä
WO2002035018A1 (en) * 2000-10-26 2002-05-02 Stephen Paul Holdings Pty Limited Hydraulic services for residential and hotel buildings
US6374431B1 (en) * 2000-12-19 2002-04-23 Sealand Technology, Inc. Vacuum toilet system with single pump
FI113395B (fi) * 2001-05-03 2004-04-15 Evac Int Oy Venttiilielin
AT9161U1 (de) * 2006-01-16 2007-05-15 Magna Steyr Fahrzeugtechnik Ag System zur versorgung eines verbrauchers mit gasförmigem brennstoff und verfahren
FI125301B (fi) * 2006-12-21 2015-08-31 Evac Oy Alipaineviemärijärjestelmä ja menetelmä alipaineviemärin käyttämiseksi
US20090288715A1 (en) * 2008-05-20 2009-11-26 Granger Sr Gregory Michael Hot water recirculator using piping venturi
US8083495B2 (en) * 2008-08-14 2011-12-27 General Electric Company Ejectors with separably secured nozzles, adjustable size nozzles, or adjustable size mixing tubes
EP2331403B1 (en) * 2008-10-03 2020-11-25 B/E Aerospace, Inc. Flush valve arrangement
SE535185E (sv) * 2010-09-10 2019-03-07 Ovivo Luxembourg Sarl Apparat för att blanda in en andra fluid i en första fluid innefattande en reglerenhet
US8770176B2 (en) * 2011-07-18 2014-07-08 Eaton Corporation Fluid control valve assembly
US8490223B2 (en) 2011-08-16 2013-07-23 Flow Control LLC Toilet with ball valve mechanism and secondary aerobic chamber
DE102012108429A1 (de) * 2012-09-10 2014-03-13 Roediger Vacuum Gmbh Rückstau-Einrichtung eines Unterdruckabwassersystems
US10301805B2 (en) 2015-03-30 2019-05-28 B/E Aerospace, Inc. Aircraft vacuum toilet system splashguard
DE102015205825B4 (de) 2015-03-31 2021-09-23 Siemens Mobility GmbH Verfahren zur Frostentleerung eines Frischwasserbehälters für ein Schienenfahrzeug des Personenverkehrs und Schienenfahrzeug des Personenverkehrs mit einer Frostentleerungseinrichtung
EP3085968A1 (en) * 2015-04-22 2016-10-26 Ellehammer A/S A set of parts for being assembled to form an ejector pump and a method of using an ejector pump
CN105582685B (zh) * 2016-01-25 2018-05-08 山东豪迈机械制造有限公司 液体处理设备
CN105888011A (zh) * 2016-04-11 2016-08-24 王圳 一种射流真空排污系统
US9631347B1 (en) * 2016-08-29 2017-04-25 Mell H. Kuhn System and method for stabilizing chlorine residual in a dead end water main
WO2018112115A1 (en) * 2016-12-13 2018-06-21 Gl&V Usa, Inc. High speed injector with an improved steam valve
KR200489496Y1 (ko) 2018-12-13 2019-06-26 제트코리아 주식회사 진공 화장실 시스템
NO20220667A1 (en) * 2022-06-13 2023-12-14 Jets As Lid or lid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2756A (en) * 1976-05-10 1977-10-11 Whiteman Sr Marvin E Wet type marine jet toilet
US4313233A (en) * 1979-01-29 1982-02-02 Inca-One Corporation Waterless flush toilet system
US4791688A (en) * 1985-12-12 1988-12-20 Chamberlain Manufacturing Corporation Jet pump macerator pump sewage handling system
JPH05148883A (ja) * 1991-05-23 1993-06-15 Evac Ab 下水システム
KR930019791U (ko) * 1992-02-21 1993-09-23 호산실업 주식회사 진공흡입 압축공기배출식 변이동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47116A (en) * 1937-03-13 1941-06-24 Josam Mfg Company Inlet fitting for swimming pools
FR1001371A (fr) * 1946-04-26 1952-02-22 Perfectionnement aux égouts et chasse d'air
SE389882B (sv) * 1975-04-23 1976-11-22 Ifoe Ab Anordning vid vakuumklosett med uppsamlingsbehallare
US4188968A (en) * 1977-10-28 1980-02-19 Johnson Controls, Inc. Flow system with pressure level responsive air admission control
US4214324A (en) * 1978-08-18 1980-07-29 Monogram Industries, Inc. Human waste storage and disposal systems for railroads or the like
SE7901303L (sv) * 1979-02-14 1980-08-15 Evak Sanitaer Ab Avloppssystem for avfallsvatten
US4691731A (en) * 1983-12-08 1987-09-08 Burton Mechanical Contractors, Inc. Vacuum sewerage system with in pit breather
FI77082C (fi) * 1987-04-06 1989-01-10 Waertsilae Oy Ab Vakuumavloppsanordning.
JP2530687Y2 (ja) * 1992-01-07 1997-03-26 株式会社イナックス 汚水収集システムにおける真空弁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2756A (en) * 1976-05-10 1977-10-11 Whiteman Sr Marvin E Wet type marine jet toilet
US4313233A (en) * 1979-01-29 1982-02-02 Inca-One Corporation Waterless flush toilet system
US4791688A (en) * 1985-12-12 1988-12-20 Chamberlain Manufacturing Corporation Jet pump macerator pump sewage handling system
JPH05148883A (ja) * 1991-05-23 1993-06-15 Evac Ab 下水システム
KR930019791U (ko) * 1992-02-21 1993-09-23 호산실업 주식회사 진공흡입 압축공기배출식 변이동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944284D0 (no) 1994-11-10
FI934978A (fi) 1995-05-12
ES2128515T3 (es) 1999-05-16
DE69416488D1 (de) 1999-03-25
US5535770A (en) 1996-07-16
PL305741A1 (en) 1995-05-15
FI934978A0 (fi) 1993-11-11
CA2135331A1 (en) 1995-05-12
FI98644B (fi) 1997-04-15
EP0653524A2 (en) 1995-05-17
AU674792B2 (en) 1997-01-09
JPH07180207A (ja) 1995-07-18
KR950014501A (ko) 1995-06-16
AU7769394A (en) 1995-05-18
NO944284L (no) 1995-05-12
EP0653524A3 (en) 1996-02-14
FI98644C (fi) 1997-07-25
CN1112179A (zh) 1995-11-22
EP0653524B1 (en) 1999-02-10
PL176252B1 (pl) 1999-05-31
JP3556980B2 (ja) 2004-08-25
CN1075582C (zh) 2001-11-28
DE69416488T2 (de) 1999-06-24
GR3029897T3 (en) 1999-07-30
DK0653524T3 (da) 1999-09-20
SG52663A1 (en) 1998-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8870B1 (ko) 배출장치
KR0141360B1 (ko) 진공배수장치
EP0659948B1 (en) Air pressure driven vacuum sewer system
US4435193A (en) Controlling operation of a centrifugal pump
US6241485B1 (en) Wastewater flow control system
US6629821B1 (en) Pump apparatus
US5356569A (en) Liquid aerating apparatus
US5873135A (en) Air pressure driven vacuum sewer system
US2615397A (en) Pumping apparatus
US4134711A (en) Submersible pump apparatus
US3035274A (en) Marine sewage pump and disposal system
AU777155B2 (en) Vacuum sewer system
US2651259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domestic water systems
US4734943A (en) Waste disposal system
CA1081044A (en) Centrifugal slurry pump and method
AU3793899A (en) Sewer system
US6474357B2 (en) Vacuum sewer system
US3319579A (en) Fluid flow pump and boosting apparatus
US353927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iminating cavitation
WO2002097275A1 (en) Liquid seal pump of the helical screw type
US5284424A (en) Osmotic water purification pumping system with flush valve
JP3961649B2 (ja) 脱気装置
US2546963A (en) Float gate
JP2956901B2 (ja) 貫流水車
JPS5826079Y2 (ja) 曝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