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8783B1 - 기타 프리앰프 하우징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기타 프리앰프 하우징의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8783B1
KR100408783B1 KR10-2001-0049296A KR20010049296A KR100408783B1 KR 100408783 B1 KR100408783 B1 KR 100408783B1 KR 20010049296 A KR20010049296 A KR 20010049296A KR 100408783 B1 KR100408783 B1 KR 100408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uitar
preamplifier
outer housin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9036A (ko
Inventor
이현덕
Original Assignee
(주)덕진기업
(주)케이피비오상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덕진기업, (주)케이피비오상사 filed Critical (주)덕진기업
Priority to KR10-2001-0049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8783B1/ko
Publication of KR20010099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9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7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 G10D1/085Mechanical design of electric guit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3/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 G10H3/1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 G10H3/1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 G10H3/18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using mechanical resonant generators, e.g. strings or percussive instruments, the tones of which are picked up by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 electrical signals being further manipulated or amplified and subsequently converted to sound by a loudspeaker or equivalent instrument using mechanically actuated vibrators with pick-up means using a string, e.g. electric guit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기타몸통(GB)에 장착하는 외부하우징(10)과, 상기 외부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으로 고정되고, 통상의 배터리(21a)와 PCB기판(22)이 구비된 내부하우징(20)과, 상기 내부하우징(20)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기타(GT)의 음량과 음질을 조절하도록 이퀄라이져 노브(31)와 볼륨조절노브(32)가 구비된 콘트롤판넬(30)로 구성된 기타 프리앰프 하우징(1)에 관한 것으로,
상기 외부하우징(10)은 상기 기타몸통(GB)의 외측에 걸리도록 하우징본체(11)보다 돌출된 상부단턱(12)이 형성되고, 양내측에 구비된 조절볼트(13)의 하단과 결합되어 상기 조절볼트(13)를 조임방향으로 회동하면 상단이 상기 기타몸통(GB)의 내부하측에 고정되도록 회동하며 상승하고, 반대로 상기 조절볼트(13)를 풀림방향으로 회동하면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본체(11)의 양측에 형성된 요홈(110)에 회동으로 삽입되며 상기 기타몸통(GB)에 용이하게 탈착하도록 한 하우징홀더(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타본체에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기타 프리앰프 하우징을 탈착하여 기타의 상품가치를 극대화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타 프리앰프 하우징의 장착구조{INSTALL CONSTRUCTION OF GUITAR PREAMP HOUSING}
본 발명은 통상의 기타몸통에 장착되는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삽입으로 고정되고, 통상의 배터리와 PCB기판이 구비된 내부하우징의 상측에 상기 기타의 음량과 음질을 조절하도록 이퀄라이져 노브와 볼륨조절노브가 구비된 콘트롤판넬로 구성된 기타 프리앰프 하우징(Guitar Preamp Housing)에 관한 것으로, 더욱 더 상세하게는 상기 외부하우징의 양외측에 대칭형으로 구비되고, 하단은 양내측에 구비된 조절볼트의 하단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조절나사를 조임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조절나사의 회동방향에 따라 일측으로 회동과 동시에 상승하여 상기 기타몸통의 내부하측에 상단이 지지됨으로써, 고정되도록 하고, 반대로 상기 조절볼트를 풀림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조절나사의 나선에 의해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본체의 양측에 형성된 요홈에 삽입되도록 회동하여 상기 기타몸통으로 부터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하우징홀더로 구성된 기타 앰프 하우징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타몸통에 장착하여 음량 또는 음질을 조절하도록 하는 기타프리앰프 하우징에 대해서는 여러가지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실용신안 공개번호 1999-008484호로 "기타 앰프의 케이스"가 개시된 바가 있는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으로 기타몸통(미도시)에 외부케이스(OH)를 장착하도록 각 모서리에 장착홀(ITH)이 형성되어 통상의 체결수단인 피스볼트(PB)로 상기 장착홀(ITH)을 관통하고, 상기 기타몸통(미도시)에 체결하여 상기 외부하우징(OH)을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OH)의 내측으로는 내부케이스(IH)가 구비되는데, 상기 내부케이스(IH)는 일측으로 입력잭(IJ)과 출력잭(OJ)이 PCB기판(PP)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케이스(OH)의 바닥면에 설치됨과 동시에 PCB기판(PP)에는 입력잭(IJ)과 출력잭(OJ)에 연결된 단자(KB)들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로 돌출되고, 내부케이스(IH) 하부의 단자(IB)와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OH)의 양측에 걸림홈(BH)이 형성되고, 내부케이스(IH)의 양측에는 상기 걸림홈(BH)에 지지되는 탄성편(SB)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편(SB)의 외측을 눌러 상기 외부케이스(OH)로 부터 상기 내부케이스(IH)가 탈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타프리앰프 케이스는 기타본체에 피스볼트를 체결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기타본체가 상기 피스볼트의 체결구멍에 의해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제작상으로도 상기 외부케이스 각 모서리에 일일히 피스볼트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과다한 작업 맨 아워(Man Hour)가 투입되는 문제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배터리를 교체하기 위해 외부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내부하우징를 자주 탈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편은 그 탄성력을 잃어 상기 걸림홈에서 다발적으로 이탈되므로써, 사용자들로 부터 신뢰감을 잃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탄성편의 양측을 동시에 눌러서 탈착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므로 한쪽씩 눌러서 탈착하는 과정에서 탈착되지 않은 타측의 탄성편이 파손되어 장착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기타본체에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하지 않고도 기타프리앰프 하우징을 장착할 수 있는 장착구조로 기타의 외형을 손상시키지 않고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제작시에도 양측에 구비된 조절볼트의 회동으로 상기 조절볼트의 하단과 결합된 하우징홀더의 회동, 상승에 의해 용이하게 체결이 완료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하우징의 일측에서 원터치식으로 작동하는 릴리스버튼에 의해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고, 다수회 탈착을 반복하여도 릴리스버튼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되, 탈착은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타프리앰프 하우징의 구성과 장착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기타프리앰프 하우징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의 가)와 나)는 본 발명 기타프리앰프 하우징을 기타몸통에 고정하도록 하는 하우징홀더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A"선을 상세도시한 사시도,
도 4의 가)와 나)는 상기 하우징홀더에 의해 장착이 완료된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내부하우징을 용이하게 착탈하도록 하는 릴리스버튼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 2 "B"-"B"선의 단면도,
도 5의 가)는 상기 릴리스버튼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릴리스버튼에 의해 분리되는 내부하우징 하부에 구비된 탄성수단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기타프리앰프 하우징 10;외부하우징
13;조절나사 20;내부하우징
30;콘트롤판넬 31;이퀄라이져 노브
32;볼륨조절노브 100;하우징홀더
101;요철부 102;나사부
110;요홈 111;제 1요홈
112;제 2요홈
본 발명은 통상의 기타몸통에 장착하는 외부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삽입으로 고정되고, 통상의 배터리와 PCB기판이 구비된 내부하우징과, 상기 내부하우징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기타의 음량과 음질을 조절하도록 이퀄라이져 노브와 볼륨조절노브가 구비된 콘트롤판넬로 구성된 기타 프리앰프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외부하우징은 상기 기타몸통의 외측에 걸리도록 하우징본체 보다 돌출된 상부단턱이 형성되고, 양내측에 구비된 조절볼트의 하단과 결합되어 상기 조절볼트를 조임방향으로 회동하면 상단이 상기 기타몸통의 내부하측에 고정되도록 회동하며 상승하고, 반대로 상기 조절볼트를 풀림방향으로 회동하면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본체의 양측에 형성된 요홈에 회동으로 삽입되며 상기 기타몸통에 용이하게 탈착하도록 한 하우징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기타프리앰프 하우징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의 가)와 나)는 본 발명 기타프리앰프 하우징을 기타몸통에 고정하도록 하는 하우징홀더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A"선을 상세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의 가)와 나)는 상기 하우징홀더에 의해 장착이 완료된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된 내부하우징을 용이하게 착탈하도록 하는 릴리스버튼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 2 "B"-"B"선의 단면도이고, 도 5의 가)는 상기 릴리스버튼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릴리스버튼에 의해 분리되는 내부하우징 하부에 구비된 탄성수단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명칭으로 설명하고 부호만 달리 붙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것은 본 발명 기타 앰프 하우징(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로서, 하측에는 외부하우징(10)이 구비되는데, 상기 외부하우징(10)은 기타몸통(GB)에 형성된 삽입구(IH)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동일규격으로 형성된 하우징본체(11)와 상기 하우징본체(11)의 상측으로는 상기 삽입구(IH)의 상측에 걸리도록 하여 후술하는 하우징홀더(100)의 견고한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상부단턱(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하우징(1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하측에는 통상의 배터리(21a)를 삽입하도록 배터리 트레이(21)가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 트레이(21)의 상측으로 제 1PCB기판(22)이 구비된 내부하우징(20)과, 상기 내부하우징(20) 내부에 구비된 제 1PCB기판(22)과 연결되어 기타(GT)의 음량과 음질을 조절하도록 하는 다수의 이퀄라이져 노브(31)(Equalizer Knob)와 볼륨노브(32)(Volume Knob)가 구비된 제 2PCB기판(30a)과 상기 제 2PCB기판(30a)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내부하우징(20)의 하측을 관통한 통상이 피스볼트(PB)에 의해 일체화된 콘트롤판넬(30)로 대별된다.
또한, 도 3의 가)와 나)에 도시한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타몸통(GB)에 장착되는 본 발명 외부하우징(10)의 양측에 구비된 하우징홀더(100)의 동작과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가)에 도시한 것은 상기 기타몸통(GB)의 내부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우징홀더(100)가 요홈(1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나)는 기타몸통(GB)의 내부에 외부하우징(10)을 삽입한 후, 상기 하우징홀더(100)에 의해 기타몸통(GB)의 내부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부하우징(10)의 양측에 구비된 하우징홀더(100)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술한 기타몸통(GB)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요철(凹凸)부(10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외부하우징(10)의 내측에 구비된 조절볼트(13)의 하단과 나사결합된 나사부(10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타몸통(GB)의 내부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본 발명의 하우징홀더(100)는 상기 외부하우징(10)의 양측으로 높이가 다른 요홈(110)이 형성되는데, 상기 요홈(110)의 깊이는 상기 하우징홀더(100)의 두께보다는 다소 깊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로는 상기 하우징홀더(100)가 요홈(110)의 내부에 삽입될 때, 상기 기타몸통(GB)에 형성된 삽입구(미도시)에 상기하우징홀더(100)가 돌출되어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이하,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상기 요홈(110)중 높이가 낮은 쪽을 제 1요홈(111)으로 칭하고, 높이가 높은 쪽은 제2요홈(112)으로 칭한다.)
도 3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홈(110) 내부에 하우징홀더(100)가 삽입된 상태에서 기타몸통(GB)의 내부에 삽입하고,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볼트(13)를 조임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하우징홀더(100)도 소정각도로 회동하며 돌출되어 기타몸통(GB)의 하부에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 외부하우징(10)의 내측에 구비된 조절볼트(13)는 외측의 제 1요홈(111)으로 하단이 돌출되어 하우징홀더(100)의 나사부(102)와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1요홈(111)의 일측에는 높이가 높은 제 2요홈(112)이 형성되어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홀더(100)가 삽입되어 기타몸통(GB)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가)와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절볼트(13)를 조임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조절볼트(13)의 하단과 나사결합된 하우징홀더(100)는 상기 회동방향을 따라 회동하다가 상기 제 1요홈(111)의 외측("a"표시부위)에 하단이 걸리게 되면 더이상 회동할 수 없게 되고, 상기 조절볼트(13)와 나사결합된 나사부(101)에 의해 상기 하우징홀더(100)는 상기 제 1요홈(110)의 외측("a")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일측에 단면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홀더(100)의 상단이 기타몸통(GB)의 하부를 지지하며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일측만 설명하였으나, 타측도 방법은 동일하다. 다만 요홈(110)이 형성된 방향만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절볼트(13)의 조임방향 회동에 의해 돌출되며 상승하도록 하기 위해 반대편으로 형성된 것이 다르다.
또한, 나)에 도시한 것은 상술한 기타몸통(GB)에 장착하는 것과는 달리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조절볼트(13)는 상술한 반대방향인 풀림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제 1요홈(111)의 내측("b"표시부위)에 하우징홀더(100)의 하단이 접촉하며 회동하지 못하고 상기 조절볼트(13)와 나사결합된 나사부(102)에 의해 하우징홀더(100)는 전체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또한, 하강하던 상기 하우징홀더(100)는 상기 제 1요홈(110)의 내측("b")을 벗어나면 자유롭게 되어 조절볼트(13)의 풀림방향으로 회동하며 상기 제 2요홈(112)에 회동으로 삽입되며 상기 기타몸통(GB)에서 분리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생산라인에서는 상술한 외부하우징(10)을 기타몸통(GB)에 삽입 후, 조절볼트(13)를 조임방향으로 회동하는 것만으로도 장착이 가능하여 대량생산의 생산성을향상시킨 것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요홈(110)의 하측을 막아 상기 하우징홀더(100)를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 하여 상기 하우징홀더(1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것은 상술한 외부하우징(10)의 장착이 완료되면, 내부에 콘트롤판넬(30)과 일체화된 내부하우징(20)을 삽입하도록 하는데, 상기 외부하우징(10)의 내부하측에는 탄성수단(300)이 구비되어 상기 내부하우징(20) 하측의 배터리 트레이(21)에 배터리(21a)를 교환하고자 할 때, 상기 내부하우징(20)을 밀어 올리도록 하여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고, 장착되었을 때는 외부하우징(10)의 걸림턱(10a)과 릴리스버튼(20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4의 가)와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하우징(20)의 후단을 상기 외부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하고, 릴리스버튼(200)이 구비된 선단을 하측으로 삽입함으로써, 기타프리앰프 하우징(1)의 장착이 완료되는 것으로, 일측에 상세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하우징(10)의 후단에 돌출로 형성된 걸림턱(10a)을 내부하우징(20) 후단의 삽입공(20a)에 삽입하여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턱(10a)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 수록 돌출된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상기한 삽입공(20a)에 삽입은 용이하도록 하되, 장착이 완료되면 상측으로의 이탈은 방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후단을 걸림턱(10a)에 1차적으로 걸리도록 하고, 본 발명의 릴리스버튼(200)이 구비된 선단을 누르면 상세 도시한 바와 같이, 릴리스버튼(200)의 걸림편(220)이 외부하우징(10)의 걸림공(10b)에 걸림으로써, 장착이 완료된다.
도 5의 가)에 도시한 것은 상기 릴리스버튼(20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으로, 상기 릴리스버튼(200)은 콘트롤판넬(30)의 상측에서 지지공(33)에 삽입되는 작동구(210)와, 상기 작동구(210) 하측에 형성된 경사돌기(211)가 삽입되고, 상기 경사돌기(211)와 동일한 경사를 구비한 경사요홈(221)이 형성된 걸림편(220)과, 상기 걸림편(220)의 전방에 구비되어 스프링(SP)의 탄성력으로 상기 걸림편(220)이 상기 콘트롤판넬(3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외부하우징(10)에 형성된 걸림공(10b)에 걸리도록 하는 스프링 지지구(230)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 지지구(230)는 상기 내부하우징(20) 내측에 형성된 체결돌기(23)의 상측에 통상의 체결수단인 피스볼트(PB)로 체결된다.
상기 스프링 지지구(230)에 지지된 스프링(SP)의 탄성력으로 상기 걸림편(220)은 콘트롤판넬(30)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외부하우징(10)의 걸림공(10b)에 걸린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부하우징(20)을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상측에 구비된 작동구(210)를 누르면 상기한 경사돌기(211)의 경사부(211a)와 맞닿은 경사요홈(221)에 의해 걸림편(220)은 후퇴하며 걸림공(10b)에서 벗어나고, 상기 외부하우징(10)의 하부에 구비된 탄성수단(300)의 탄성력으로 상부로 밀려 올라감으로써, 해체된다.
상기 작동구(210)는 상기 콘트롤판넬(30)에 형성된 지지공(33)의 하측으로 삽입하면 양측에 돌출된 이탈방지돌기(212)가 상기 콘트롤판넬(30)의 하측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상측에서 누르는 것은 용이하되, 상기 콘트롤판넬(30)의 상측으로 이탈은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릴리스버튼(200)을 상부에서 원터치식으로 누르는 동작만으로도 용이하게 내부하우징(20)의 분리가 가능하여 배터리(21a)의 교환이 용이하다.
또한, 도 5의 나)에 도시한 것은 본 발명 기타프리앰프 하우징(1)의 또 다른 실시예인 탄성수단(3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의 가)와 나)에 도시한 외부하우징(10)의 하측에 구비된 지지브라켓(310)에 회동편(320)의 후단이 힌지결합되고, 선단은 상기 힌지결합된 후단에 의해 상하로 힌지회동한다.
상기 지지브라켓(310)과 회동편(320)의 사이에는 스프링(301)(비틀림코일 스프링(KS B 2399-82)이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301)의 탄성력으로 상술한 내부하우징(20)의 하측을 지지하여 외부하우징(10)에 결합시에는 견고한 지지력을 유지하도록 하고, 상술한 릴리스버튼(200)의 동작에 의해 내부하우징(20)을 분리할 때에는 상기 탄성수단(300)의 탄성력으로 내부하우징(20)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밀어올려 상측으로 돌출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타몸통(GB)에 외부하우징(10)을 장착할 때, 볼트를 체결하기 위해 구멍을 뚫지 않아도 본 발명의 하우징홀더(100)에 의해 견고하게 장착이 가능하고, 배터리(21a)의 교환 또는 PCB기판을 수리하는 과정에서 내부하우징(20)을 분리할 때에도 본 발명의 릴리스버튼(200)에 의해 원터치식으로 분리가 가능하여 제작자와 사용자들에게 신뢰감을 얻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본 발명 청구항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타본체에 별도의 체결수단에 의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기타프리앰프 하우징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기타의 외관을 해치지 않고, 기타의 상품가치를 극대화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제작시에도 외부하우징의 양측에 구비된 조절볼트를 회동하는 것만으로도 장착이 가능하여 대량생산공장의 생산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하우징의 일측에서 원터치식으로 작동하는 릴리스버튼에 의해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내부하우징에 배터리의 교환을 위해 다수회 탈착을 반복하여도 릴리스버튼이 손상되지 않되, 용이하게 탈착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통상의 기타몸통(GB)에 장착하는 외부하우징(10)과, 상기 외부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으로 고정되고, 통상의 배터리(21a)와 PCB기판(22)이 구비된 내부하우징(20)과, 상기 내부하우징(20)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기타(GT)의 음량과 음질을 조절하도록 이퀄라이져 노브(31)와 볼륨조절노브(32)가 구비된 콘트롤판넬(30)로 구성된 기타 프리앰프 하우징(1)에 관한 것으로,
    상기 외부하우징(10)은 상기 기타몸통(GB)의 외측에 걸리도록 하우징본체(11)보다 돌출된 상부단턱(12)이 형성되고, 양내측에 구비된 조절볼트(13)의 하단과 결합되어 상기 조절볼트(13)를 조임방향으로 회동하면 상단이 상기 기타몸통(GB)의 내부하측에 고정되도록 회동하며 상승하고, 반대로 상기 조절볼트(13)를 풀림방향으로 회동하면 하강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본체(11)의 양측에 형성된 요홈(110)에 회동으로 삽입되며 상기 기타몸통(GB)에 용이하게 탈착하도록 한 하우징홀더(1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 프리앰프 하우징의 장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홀더(100)는 "ㄴ"자로 형성된 상단에는 상기 기타몸통(GB)의 하측에서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형성된 요철(凹凸)부(101)와, 상기 요철부(101)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외부하우징(10)의 양내측에 구비된 조절볼트(13)의 하단과 나사결합되어 상기 조절나사(13)의 회동방향으로 회동하고, 하우징홀더(100)가 구비된 요홈(110)의 단턱에 걸려 회동되지 않으면 상,하로 작동하도록 하는 나사부(10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 프리앰프 하우징의 장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프리앰프 하우징(1)는 상기 콘트롤판넬(30)과 일체화된 내부하우징(20)의 일측은 상기 외부하우징(10)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10a)에 의해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외부하우징(10)의 걸림공(10b)에 삽입으로 지지된 걸림편(220)을 후퇴시켜 분리되도록 하는 릴리스버튼(2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 프리앰프 하우징의 장착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버튼(200)은 콘트롤판넬(30)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공(33)의 하측에서 삽입되는 작동구(210)와, 상기 작동구(210) 하측에 형성된 경사돌기(211)가 삽입되고, 상기 경사돌기(211)와 동일한 경사를 구비한 경사요홈(221)이 형성된 걸림편(220)과, 상기 걸림편(220)의 전방에 구비되어 스프링(SP)의 탄성력으로 상기 걸림편(220)이 상기 콘트롤판넬(3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외부하우징(10)에 형성된 걸림공(10b)에 걸리도록 하는 스프링 지지구(2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 프리앰프 하우징의 장착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10)과 내부하우징(20) 사이에 구비된 지지브라켓(310)과, 상기 지지브라켓(310)에 후단이 힌지결합되어 선단이 힌지회동하도록 하는 회동편(320)과, 상기 지지브라켓(310)과 회동편(320)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편(320)을 탄성력으로 상향하도록 하는 스프링(301)에 의해 상기 내부하우징(20)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탄성수단(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 프리앰프 하우징의 장착구조.
KR10-2001-0049296A 2001-08-16 2001-08-16 기타 프리앰프 하우징의 장착구조 KR100408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296A KR100408783B1 (ko) 2001-08-16 2001-08-16 기타 프리앰프 하우징의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296A KR100408783B1 (ko) 2001-08-16 2001-08-16 기타 프리앰프 하우징의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036A KR20010099036A (ko) 2001-11-09
KR100408783B1 true KR100408783B1 (ko) 2003-12-06

Family

ID=19713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296A KR100408783B1 (ko) 2001-08-16 2001-08-16 기타 프리앰프 하우징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87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7679U (ko) * 1995-01-28 1996-08-17 고준웅 기타의 이퀄라이저(equalizer) 장치
US5693898A (en) * 1996-03-08 1997-12-02 Fishman; Lawrence R. Hinged control panel for electrified acoustic guitar
KR19980021980U (ko) * 1996-10-25 1998-07-15 채성용 기타에 장착된 이퀄라이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바테리 수납케이스의 착탈장치
KR19990008484U (ko) * 1997-08-05 1999-03-05 임병열 기타 앰프의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7679U (ko) * 1995-01-28 1996-08-17 고준웅 기타의 이퀄라이저(equalizer) 장치
US5693898A (en) * 1996-03-08 1997-12-02 Fishman; Lawrence R. Hinged control panel for electrified acoustic guitar
KR19980021980U (ko) * 1996-10-25 1998-07-15 채성용 기타에 장착된 이퀄라이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바테리 수납케이스의 착탈장치
KR19990008484U (ko) * 1997-08-05 1999-03-05 임병열 기타 앰프의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036A (ko) 200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2081B2 (en) Decorative cover plate assembly
US5616052A (en) Screw mounting kit for use within connector
KR100225059B1 (ko) 휴대용 컴퓨터의 스피커 고정장치
US7208675B2 (en) Shielding cover
US20040240962A1 (en) Captive screw
KR100408783B1 (ko) 기타 프리앰프 하우징의 장착구조
US20040201333A1 (en) Computer enclosure incorporating mounting apparatus for disk drives
EP1983813A2 (en) A Coupling Boss and Plasma Display Device
US6903269B2 (en) Cover support structure of shield case
CN210101250U (zh) 一种内置pcb板的空调控制器
US20100032181A1 (en) Installation construction for electrical box
GB2406550A (en) Snap-in cluster attachment
USD480250S1 (en) Venetian blind headrail
CN217400650U (zh) 推拉门用吊轮插板组件及门扇
JP4880217B2 (ja) 自動販売機用商品見本取付補助具
CN217137863U (zh) 一种马桶上盖翻转连接结构
CN213129201U (zh) 一种空气炸锅的壳体扣合结构
KR100505874B1 (ko) 카오디오의 장착구조
KR970005550Y1 (ko) 기타용 이퀄라이저
KR0136717Y1 (ko) 전자제품의 pcb기판조립장치
JPS5842651Y2 (ja) 取付けナツト
JPH08141179A (ja) パチンコ機の外枠
KR100537010B1 (ko) 자동차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글래스 고정구조
KR930006027Y1 (ko) V. t. r의 프론트 페닐(front panel) 고정 장치
KR0137461Y1 (ko) 오디오 장식장의 선반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