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8140B1 - 전지 및 전지의 전기 쉴드의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전지 및 전지의 전기 쉴드의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8140B1
KR100408140B1 KR10-2001-7003543A KR20017003543A KR100408140B1 KR 100408140 B1 KR100408140 B1 KR 100408140B1 KR 20017003543 A KR20017003543 A KR 20017003543A KR 100408140 B1 KR100408140 B1 KR 100408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sitive electrode
lead
negative electrode
electrode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3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6481A (ko
Inventor
시오타히사시
우루시바타히로아키
나카데구치신지
모리야스마사하루
요시오카쇼지
이시다히로이티
하나후사기요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6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1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종래의 전지체를 수납하기 위한 전지 용기(1)로서 적층 시트(sheet)재를 이용한 전지의 경우, 적층 시트재 중의 금속 박은 정극, 부극의 어느 것에도 접하고 있지 않고, 전위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전기 쉴드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지 용기(1)의 밀봉부(3)의 기능을 손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정극 리드 또는 부극 리드(4)와 중첩되는 위치에, 밀봉부(3)로부터 연장한 연장부(6)를 마련하고, 리드(4)와 연장부(6)를 관통하는 도전성 부품(5)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전지 용기(1)의 적층 시트재의 금속 박과 리드(4)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전지 용기(1)의 전위를 정극 또는 부극의 전위로 유지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전지 및 전지의 전기 쉴드의 검사 방법{CELL AND CELL INSPECTING METHOD}
휴대 전자 기기의 소형·경량화으로의 요망은 대단히 크다. 그 실현은 전지의 성능 향상에 크게 의존한다. 이것에 대응하기 위하여 다양한 전지의 개발, 개량이 진행되어 왔다. 전지에 요구되고 있는 특성은, 고 전압, 고 에너지 밀도, 안전성, 형상의 임의성 등이 있다. 지금까지 휴대용 전자 기기에 이용되는 전지로서는, 니켈카드뮴(NiCd) 전지, 니켈수소(NiMH) 전지, 리튬 이온 전지가 있다. 이들 전지에서는, 전지체, 전지 코아 혹은 전지 엘리먼트 등으로 지칭되는, 정극, 세퍼레이터(separator) 및 부극을 묶은 것이 전지 용기에 수납되어 있고, 그 전지 용기로서는, 철이나 스테인레스 혹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의 캔(can)을 이용하고 있었다.
최근, 보다 경량화를 겨냥하여 개발된 전지,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 10-172606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정극, 세퍼레이터, 부극을 접착하여, 일체화한 전지체(전지 엘리먼트)를 이용하는 전지의 경우, 전지 용기의 재료에는, 중량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보다 가벼운 재질인 알루미늄박의 양면에 폴리에틸렌막 등을 적층한, 소위 적층 시트를 이용하고 있다.
전지 용기에 금속 캔을 이용할 때는, 통상, 정극 또는 부극의 어느 한쪽의 극과 전지 캔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금속 캔을 이용한 경우에는 접속은 용이하며, 예컨대, 리튬 이온 전지의 용기에 철이나 스테인레스의 금속 캔을 이용한 경우에는, 금속 캔과 부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알루미늄캔을 이용한 경우에는, 금속 캔과 정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전지 캔의 재질에 의해서, 접속하는 극을 바꾸는 이유는, 전지 캔의 부식 방지를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금속 캔을 이용한 전지의 경우, 캔의 전위는 정극 또는 부극의 전위와 일치하고, 결과로서 전지 엘리먼트와 전지의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기 회로를 전기 쉴드(전자기 쉴드, 정전 쉴드)하는 효과가 발현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적층 시트재를 전지 용기로서 이용한 전지의 경우, 적층 시트 중의 금속 박은 정극, 부극의 어느 것에도 접하고 있지 않고, 전위가 불안정하기 때문에, 전기 쉴드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적층 시트재를 전지 용기에 이용한 전지에 대해, 간편하고, 또한 확실하게, 쉴드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전지는, 정극 및 부극과 이 정극 및 부극 사이에 마련된 전해질층을 갖는 전지체, 상기 정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정극 리드, 상기 부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부극 리드, 고분자 수지와 금속박을 적층한 적층 시트로 이루어져 상기 전지체를 수납함과 동시에, 상기 정극 리드 및 부극 리드를 봉지하여 밀폐 구조로 한 전지 용기, 이 전지 용기의 금속 박과 상기 정극 리드 또는 부극 리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간편하고, 또한 확실하게 전지 용기의 전위를 정극 또는 부극의 전위으로 유지하여, 전지체 및 전지를 접속한 전기 회로를 전기 쉴드(전자기 쉴드, 정전 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전지는, 정극 및 부극과 이 정극 및 부극 사이에 마련된 전해질층을 갖는 전지체, 상기 정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정극 리드, 상기 부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부극 리드, 상기 정극 리드 및 부극 리드와는 별도로 마련된 외장 리드, 고분자 수지와 금속박을 적층한 적층 시트로 이루어져 상기 전지체를 수납함과 동시에, 상기 정극 리드, 부극 리드 및 외장 리드를 봉지하여 밀폐 구조로 한 전지 용기, 이 전지 용기의 금속박과 상기 외장 리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간편하고, 또한 확실한 수단(외부로부터 외장 리드에 소망하는 전위를 인가함)에 의해 전기 용기의 전위를 소망하는 전위로 유지하여 전지체 및 전지를 접속한 전기 회로를 전기 쉴드(전자기 쉴드, 정전 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전지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전지에 있어서, 접속 수단은, 전지 용기를 구성하는 적층 시트와, 리드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고, 이 관통 구멍의 벽면과 접하는 도전성 부재를 거쳐서 상기 전지 용기의 금속박과 상기정극 리드 또는 부극 리드를 전기적으로 접속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매우 간편하고, 확실하게, 또한 여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전기 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4 전지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전지에 있어서, 접속 수단은, 전지 용기를 구성하는 적층 시트의 밀봉부로부터 연장한 연장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밀봉부에 여유가 없는 경우에도, 밀봉 기능은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5 전지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전지에 있어서, 접속 수단은, 전지 용기를 구성하는 적층 시트의 금속박의 외부 표면을 일부 노출시켜 노출부를 형성하고, 이 노출부와 리드를 전기적으로 접속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매우 간편하고, 확실하며, 또한 여분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전기 쉴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전지 검사 방법은, 전지 용기를 구성하는 적층 시트의 금속박의 외부 표면을 일부 노출시켜 노출부를 형성하고, 이 노출부와 리드 사이의 전압과, 정극 리드와 부극 리드 사이의 전압을 비교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전지 검사 방법은, 상기 제 1 전지 검사 방법에 있어서, 금속박의 외부 표면을 일부 노출시키는 방법이, 레이저광에 의한 고분자 수지를 소성 처리(burn out)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 3 전지 검사 방법은, 상기 제 1 전지 검사 방법에 있어서, 금속박의 외부 표면을 일부 노출시키는 방법이, 침 형상의 프로브를 가압 접촉시키는 것에 의한 것이다. 이들 제 1 내지 제 3 전지 검사 방법에 의하면, 전기쉴드의 성능을 간편하고, 또한 확실하게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지를 경량화하고, 또한 쉴드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밀봉(seal) 누설이 없는 신뢰성이 높은 전지를 얻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예 1에 따른 전지를 나타내는 평면도 (a) 및 부분 단면도 (b),
도 2는 전지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전지의 시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예 1에 따른 전지의 전위 변화 측정 결과,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예 2에 따른 전지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예 3에 따른 전지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예 4에 따른 전지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시예 5에 따른 전지의 평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전지에 있어서의 실시예 1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a)는 평면도, (b)는 (a)의 A-A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는 알루미늄 적층 시트(7)로 이루어지는 전지 용기에서, 전지체를 수납하기 위해서, 소위 버터컵(buttercup) 형상으로 성형된 전지체 수납부(2)와, 전지를 수납한 후 밀봉 구조로 하기 위해서 열용융층에 의해서 3 코너를 밀봉한 밀봉부(3)와, 전지 용기(1)의 일부로서 밀봉부(3)로부터 연장한 연장부(6)를 구비하며, 연장부(6)는 후술의 정극 리드와 중첩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4)는 전지체의 정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정극 리드, (5)는 연장부(6)와 정극 리드(4)를 관통하는 도전 부재로 이루어지는 접속 수단, (7a)는 알루미늄 적층 시트(7)의 알루미늄박, (7b)는 알루미늄박(7a)의 외장 시트, (7c)는 알루미늄박(7a)의 내장 시트이며, 도전 부재(5)는 플러그되고, 연장부(6)의 알루미늄박(7a)과 정극 리드(4)가 도전 부재(5)를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도전 부재(5)는 공중의 금속에 의해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중실제의 것이라도 좋고, 또한, 연장부(6)의 알루미늄박(7a)과 정극 리드(4)나 도전 부재(5)를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면 좋고, 도전 부재(5)의 부분에 도전성 수지를 충전하여, 경화시킨 것 등 각종 형태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알루미늄 적층 시드(7)는 알루미늄박(7a)의 외장 시트(7b)로서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시트, 내장 시트(7c)로서 PE(폴리에틸렌)층을 중첩한 것이다. 알루미늄박(7a)의 두께는 20㎛, 내장 시트(7c)의 두께는 90㎛, 외장 시트(7b)의 두께는 12㎛이다.
도 2는 전지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8)는 정극, (9)은 전해액을포함하는 세퍼레이터 등의 전해질층, (10)은 부극, (11)은 정극 집전체, (12)은 정극 활물질, (13)은 부극 활물질, (14)은 부극 집적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전지체 혹은 이 전지체를 복수 적층한 것을, 도 1에 나타낸 전지 용기 중에 수납하여 전지를 형성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 부재(5)에 의해 정극 리드(4)와 플러그되는 연장부(6)는 열용융층 밀봉 부분(3)보다도 외측에 연장하고 있다. 연장하는 폭과 길이는, 도전 부재(5)의 직경 상당이면 충분하다. 도전 부재(5)의 직경 상당 이하이어도, 정극 리드(4)와의 접합은 가능하지만, 적층 시트 중의 금속박과 도전 부재(5)가 접촉하는 확률이 저하하게 된다.
또한, 밀봉 부분(3)의 폭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연장이 0, 즉, 밀봉 부분(3)에 도전 부재(5)를 박아 넣더라도, 목적인 전지 용기(1)의 쉴드 기능은 얻어지나, 밀봉 부분(3)의 폭에 여유가 없을 때에는, 밀봉 능력이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전 부재(5)의 직경은, 리드(4)의 폭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리드 폭보다 큰 직경의 도전 부재(5)에서는, 리드(4)를 절단하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 예에서는, 폭 3㎜의 리드(4)에 대해, 직경 1.2㎜의 도전 부재(5)를 이용하였다. 리드(4) 및 연장부(6)의 도전 부재(5)가 관통하는 구멍은, 미리 개방하여 놓더라도 좋고, 도전 부재(5)를 박아 넣음으로써 동시에 개방하더라도 좋다. 미리 개방할 때의 구멍 직경은, 도전 부재(5)의 직경과 동일하든지, 작은 쪽이 바람직하다. 도전 부재(5)의 직경보다 큰 구멍을 개방한 경우, 리드(4) 및 연장부(6) 중의금속박과 도전 부재(5)가 접촉하는 확률이 저하하게 된다.
도전 부재(5)에 의해 리드(4)와 연장부(6)를 플러그하는 위치는, 도전 부재(5)와 리드(4)와 연장부(6) 중의 금속박이 접촉하는 위치이면 어디라도 무방하나, 리드(4)의 폭의 중심 선상으로 하는 것이, 접촉 확률이 더욱 높아지게 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연장부(6)는 당연 리드(4)와 중첩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지 용기(1) 표면의 PET 막의 일부를 탄산 가스 레이저에 의해 소성 처리하고, 알루미늄박 표면을 노출시킨 노출 부분(9)에 리드선(10)을 접속하고, 정극 리드(4)와 부극 리드(8) 사이의 전압 변화 및 정극 리드(4)와 리드선(10) 사이의 전압 변화를 측정하였다. 도 4는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용량 500mAh의 전지를 500㎃ 정전류로 충방전하였을 때의 정극 리드(4)와 부극 리드(8) 사이의 전압 변화 및 정극 리드(4)와 리드선(10) 사이의 전압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정극 리드(4)와 부극 리드(8) 사이의 전압 변화는 정상의 전압 변화를 나타내고, 정극 리드(4)와 리드선(10) 사이의 전압은 0V로 일정하였다. 이 결과는 전지 용기(1)의 전위가 안정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정극 리드와 전지 용기의 알루미늄박을 접속하도록 하였으나, 알루미늄박을 이용한 적층 시트가 아니고, 스테인레스박을 이용한 적층 시트의 경우에는 부극 리드와 접속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전지 용기재의 내층 시트가 전기 화학적인 이온 전도성을 가질 때에는, 어느 쪽의 극의 리드에 접속하더라도 무방하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전지에 있어서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1)는 탄산 가스 레이저에 의해 PET 층을 소성 처리하고, 알루미늄박 표면을 노출시킨 노출 부분, (12)은 스테인레스제의 클립(clip)이다. 정극 리드(4)를 노출 부분(11)에 중첩되도록 절곡하고, 클립(12)에 의해 샌드위치되어 고정하였다. PET 층의 소성 처리는, 표 1의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전지 용기(1) 표면에 침 형상의 프로브를 꽂고, 이 프로브와 부극 리드 사이의 전압과, 정극 리드(4)와 부극 리드(8) 사이의 전압을 비교한 바, 동일한 전압이었다. 이와 같이 동일한 전압이라고 하는 것은, 전지 용기(1)의 알루미늄박이 정극과 동일한 전위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리드(4) 또는 (8)을 절곡하는 것에 의해 노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였지만, 도전성 페이스트 도포하거나, 또는 도전성의 시트를 고정하는 등, 각종 접속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6은 본 발명의 전지에 있어서의 실시예 3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에 있어서, (13)는 외장 리드, (6)는 밀봉부(3)로부터 전지 용기(1)의 일부로서 연장한 연장부, (5)는 도전 부재에 의해, 연장부(6)와 외장 리드(13)를 관통하여, 플러그된 도전 부재(5)를 거쳐서, 연장부(6)의 알루미늄박과 외장 리드(13)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지체는 도 2에 나타낸 구조의 것을 사용하고, 전지 용기(1)의 재료로서 알루미늄 적층 시트를 사용하고 있다. 전지 용기(1)는 전지체를 수납하는, 소위 버터컵 형상으로 성형된 성형부(2)를 갖는 전지체 수용부측과, 이 전지체 수용부측에 중첩하여 밀폐 구조로 하기 위한 덮개로 이루어지며, 전지체 수용부측에 덮개를 중첩하여 4 코너를 밀봉부(3)에 의해 밀봉하고 있다.
알루미늄 적층 시트는, 알루미늄박의 외장에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시트, 내장에 CCP(미연신(未延伸) 폴리프로필렌)를 중첩한 것이다. 알루미늄박의 두께는 100㎛, CCP 층의 두께는 40㎛, PET 층의 두께는 12㎛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 부재(5)에 의해 외장 리드(13)와 플러그되는 연장부(6)는 밀봉부(3)보다도 외측에 연장하고 있다. 연장하는 폭과 길이는, 도전 부재(5)의 직경 상당이면 충분하다. 도전 부재(5)의 직경 상당 이하이어도, 리드와의 접합은 가능하지만, 연장부(6)중의 금속박과 도전 부재(5)가 접촉하는 확률이저하하게 된다. 도전 부재(5)의 직경은, 외장 리드(13)의 폭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외장 리드(13)의 폭보다 큰 직경의 도전 부재(5)에서는, 외장 리드(13)를 절단하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 예에서는, 폭 3㎜의 리드에 대해, 직경 1.2㎜의 도전 부재(5)를 이용하였다. 외장 리드(13) 및 연장부(6)의 도전 부재(5)가 관통하는 구멍은, 미리 개방해 놓더라도 무방하고, 도전 부재(5)를 박아 넣음으로써 동시에 개방하더라도 무방하다. 미리 개방할 때의 구멍 직경은, 도전 부재(5)의 직경과 동일하든지, 작은 쪽이 바람직하다. 도전 부재(5) 직경보다 큰 구멍을 개방한 경우, 외장 리드(13)나 연장부(6) 중의 금속박과 도전 부재(5)가 접촉하는 확률이 저하하게 된다. 도전 부재(5)에 의해 외장 리드(13)와 연장부(6)를 플러그하는 위치는, 도전 부재(5)와 외장 리드(13)와 연장부(6) 중의 금속박이 접촉하는 위치이면 어디든지 무방하나, 외장 리드(13)의 폭의 중심 선상으로 하는 것이, 접촉 확률이 더욱 높아지게 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연장부(6)는 물론 외장 리드(13)와 중첩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위 4 코너 밀봉 타입에서는, 전지체 수용부측과 덮개측의 2 부분에 걸쳐 외장 리드(13)가 접촉하도록 배치하고, 도전 부재(5)를 관통시켜 플러그한다. 이와 같이 정극 리드 및 부극 리드와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외장 리드(13)를 형성하면, 통상의 정극이나 부극과 상이한 소망하는 전위를 외부의 전기 회로에 의해 외장 리드(13)를 거쳐서 전지 용기(1)에 인가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7은 전지 용기의 형상이 소위 필로우(pillow)형이라고 불리는 전지이다. 이 전지는 알루미늄 적층 시트의 양단부를 접합(접합부(14))하여 알루미늄 적층 시트를 원통 형상으로 하고, 이 원통의 내부에 전지체를 수납한 후, 원통의 양측을 밀봉(밀봉부(3))함으로써 밀폐 구조로 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전지 용기의 형상을 도 6에 나타낸 필로우형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한 전지이다.
또, 본 실시예의 필로우형 전지에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5)
도 8은 전지 용기의 형상이, 소위 밑바닥 덮개형이라고 불리는 전지이며, (b)는 평면도, (a)는 측면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 전지는 알루니늄 적층 시트의 양단부를 접합(접합부(14))하여 알루미늄 적층 시트 원통 형상으로 하고, 이 원통의 내부에 전지체를 수납한 후, 원통의 양측에 도 8(a)에 나타내는 형상의 밑바닥 덮개를 부착하여, 밀봉(밀봉부(3))함으로써 밀폐 구조로 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전지 용기의 형상을 도 8에 나타낸 밑바닥 덮개형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한 전지이다.
또, 본 실시예의 밑바닥 덮개형 전지에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전지는, 전기 쉴드(전자기 쉴드, 정전 쉴드)를 필요로 하는 휴대용의 전화기, 무선기,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전원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정극 및 부극과 이 정극 및 부극 사이에 마련된 전해질층을 갖는 전지체,
    상기 정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정극 리드,
    상기 부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부극 리드,
    고분자 수지와 금속박을 적층한 적층 시트로 이루어져 상기 전지체를 수납함과 동시에, 상기 정극 리드 및 부극 리드를 봉지하여 밀폐 구조로 한 전지 용기,
    상기 전지 용기의 금속박과 상기 정극 리드 또는 부극 리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2. 정극 및 부극과 이 정극 및 부극 사이에 마련된 전해질층을 갖는 전지체,
    상기 정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정극 리드,
    상기 부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부극 리드,
    상기 정극 리드 및 부극 리드와는 별도로 마련된 외장 리드,
    고분자 수지와 금속박을 적층한 적층 시트로 이루어져 상기 전지체를 수납함과 동시에, 상기 정극 리드, 부극 리드 및 외장 리드를 봉지하여 밀폐 구조로 한 전지 용기,
    상기 전지 용기의 금속박과 상기 외장 리드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전지 용기를 구성하는 적층 시트의 금속박의 외부 표면을 일부 노출시켜 노출부를 형성하고, 이 노출부와 리드 사이의 전압과, 정극 리드와 부극 리드 사이의 전압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의 전기 쉴드의 검사 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01-7003543A 1999-07-23 1999-07-23 전지 및 전지의 전기 쉴드의 검사 방법 KR100408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9/003940 WO2001008248A1 (en) 1999-07-23 1999-07-23 Cell and cell inspect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481A KR20010106481A (ko) 2001-11-29
KR100408140B1 true KR100408140B1 (ko) 2003-12-01

Family

ID=14236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3543A KR100408140B1 (ko) 1999-07-23 1999-07-23 전지 및 전지의 전기 쉴드의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03162B2 (ko)
EP (1) EP1120846A4 (ko)
KR (1) KR100408140B1 (ko)
CN (1) CN1160821C (ko)
WO (1) WO20010082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3681A (ja) * 2001-05-11 2002-11-29 Meidensha Corp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
US20040161664A1 (en) * 2001-08-14 2004-08-1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 Corporation Of Japan) Plate shaped battery pack and portable radio terminal
JP4604441B2 (ja) * 2002-07-18 2011-01-05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ィルム外装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EP1475852B1 (en) * 2003-05-05 2017-01-11 Enax, Inc. Lead outlet structure of secondary battery in sheet type
KR100544119B1 (ko) * 2003-06-24 2006-0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JP4564781B2 (ja) * 2004-05-14 2010-10-20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5219587B2 (ja) * 2008-03-31 2013-06-26 三洋電機株式会社 ラミネート式電池及びそのラミネート式電池を備えた電池モジュール
JP4858510B2 (ja) * 2008-08-12 2012-01-18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5375179B2 (ja) * 2008-09-30 2013-12-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絶縁性低下部位特定方法
JP5521409B2 (ja) * 2008-10-03 2014-06-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
DE102009025579A1 (de) * 2009-06-19 2010-12-23 Li-Tec Battery Gmbh Batterieanordnung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2011070989A (ja) * 2009-09-28 2011-04-07 Toyota Motor Corp 電圧検出端子の接続方法及び電池
JP5148579B2 (ja) * 2009-09-29 2013-02-2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二次電池異常予見システム
JP2012028023A (ja) * 2010-07-20 2012-02-09 Nissan Motor Co Ltd 電池
KR101458259B1 (ko) * 2011-01-13 2014-11-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US9136509B2 (en) * 2011-05-27 2015-09-15 Apple Inc. Battery cell with an integrated pouch metal foil terminal
JP6088145B2 (ja) * 2012-02-13 2017-03-01 オートモーティブエナジーサプライ株式会社 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導電性検査装置
KR101487496B1 (ko) * 2012-05-10 2015-0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절연성 검사 방법 및 장치
US9164151B2 (en) 2013-08-07 2015-10-20 Lg Chem, Ltd.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isolation resistances of a battery pack
CN106841357B (zh) * 2017-01-20 2019-06-28 中天储能科技有限公司 一种三电极体系测试装置及其测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11763A (ja) * 1984-04-05 1985-10-24 Hitachi Maxell Ltd 薄形電池の製造方法
JPS62131469A (ja) * 1985-12-03 1987-06-13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薄形密閉鉛蓄電池
FR2652450B1 (fr) * 1989-09-22 1991-11-29 Accumulateurs Fixes Procede de fabrication d'une electrode a support de type mousse pour generateur electrochimique et electrode obtenue par ce procede.
US5231356A (en) * 1992-06-16 1993-07-27 Robert Parker Flexible battery tester with a variable length resistive heater
JP3630510B2 (ja) * 1996-10-02 2005-03-16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導電性端子およびポリマーシートパッケージ電池
JP3767151B2 (ja) * 1997-02-26 2006-04-19 ソニー株式会社 薄型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16279A1 (en) 2001-08-23
CN1160821C (zh) 2004-08-04
EP1120846A1 (en) 2001-08-01
CN1319262A (zh) 2001-10-24
KR20010106481A (ko) 2001-11-29
EP1120846A4 (en) 2005-03-30
WO2001008248A1 (en) 2001-02-01
US6703162B2 (en) 2004-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8140B1 (ko) 전지 및 전지의 전기 쉴드의 검사 방법
KR100496305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와 이의 제조 방법
KR100723668B1 (ko) 리튬 이온 배터리
EP2426751B1 (en) Rechargeable battery
CN101414668B (zh) 电池组及其制造方法
KR20040054128A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US8785021B2 (en) Battery pack
JP2006147574A (ja) 二次電池及びその形成方法
JP2004146362A (ja) キャップ組立体、これを具備した2次電池及び、キャップ組立体の製造方法
KR100865399B1 (ko) 이차전지
KR100646520B1 (ko) 이차 전지 및 그 조립방법
KR101329830B1 (ko) 이차 전지
JP2011154989A (ja) 電極組立体、その製造方法及び二次電池
KR20180022429A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20010090787A (ko) 밀폐형 전지
KR100788559B1 (ko) 이차전지
JP7405326B2 (ja) 二次電池およ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101201815B1 (ko) 이차 전지
KR100467702B1 (ko) 각형 리튬이차 전지
KR100686831B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
KR100760786B1 (ko) 이차 전지 및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
KR20040005242A (ko) 단락방지수단이 형성된 젤리-롤형의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리튬이차전지
US20040131935A1 (en) [Cell]
US20240063483A1 (en) Secondary battery
KR200396721Y1 (ko) 휴대폰용 배터리 인너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