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721Y1 - 휴대폰용 배터리 인너 팩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배터리 인너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721Y1
KR200396721Y1 KR20-2005-0019414U KR20050019414U KR200396721Y1 KR 200396721 Y1 KR200396721 Y1 KR 200396721Y1 KR 20050019414 U KR20050019414 U KR 20050019414U KR 200396721 Y1 KR200396721 Y1 KR 2003967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battery
circuit module
mobile phone
protection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4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권
Original Assignee
(주)이젠솔루션
김학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젠솔루션, 김학권 filed Critical (주)이젠솔루션
Priority to KR20-2005-00194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7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7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7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휴대폰내부에 장착되는 결합하우징과 배터리셀의 결합력을 더욱 강화시키고, 결합하우징 내부에 안착되는 보호회로모듈이 뒤로 밀려서 휴대폰과의 접촉이 불량 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휴대폰의 컨텍트부(컨넥터 등)와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배터리 셀의 음극단자와 양극단자의 쇼트에 의한 배터리 셀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 셀과 보호회로모듈을 일체화시키기 위한 배터리 하우징으로 구성된 휴대폰용 배터리 인너 팩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고안의 결합하우징은 보호회로모듈이 배터리 셀 쪽으로 밀리거나 눌려지는 것을 막도록 방지하며, 상기 보호회로모듈과 상기 배터리 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Rib)가 형성된다. 또한, 결합하우징과 배터리 셀이 접합되는 접합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합면 일부 또는 전면은 양면 또는 단면 포장테이프로 접착된다. 또한, 배터리 셀의 음극단자와 보호회로모듈은 음극단자판(니켈플레이트(-))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음극단자판이 연장되는 하측부의 배터리 셀의 양극단자 상부 일측에 절연 테이프가 접착된다. 또한, 결합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보호회로기판의 출력단자들이 돌출되도록 다수의 접지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접지구 끝단의 컨넥터 가이드는 상기 결합하우징 외각으로 경사각을 가진다.

Description

휴대폰용 배터리 인너 팩{Battery Inner Pack of Mobile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용 배터리 인너 팩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휴대폰내부에 장착되는 결합하우징과 배터리셀의 결합력을 더욱 강화시키고, 결합하우징 내부에 안착되는 보호회로모듈이 뒤로 밀려서 휴대폰과의 접촉이 불량 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휴대폰의 컨텍터부(컨넥터 등)와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배터리 셀의 음극단자와 양극단자의 쇼트에 의한 배터리 셀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절연을 하며, 배터리 셀과 보호회로모듈을 일체화시키기 위한 배터리 하우징으로 구성된 휴대폰용 배터리 인너 팩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 즉, 전지란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그 중에서 1차 전지(primary battery))는 1회용으로만 사용 가능하여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사용만 하는 전지이다. 이에 반해, 2차 전지(secondary battery)는 저장된 전기를 사용한 후 재충전이 가능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재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를 말한다.
그 종류에는 납 충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수소 전지, 리듐이온 전지, 리듐이온 폴리머 전지가 있습니다. 2차 전지는 고 효율성과 반복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에 디지털기기 및 전문 특수 기기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전자산업의 디지털화와 더불어 전자기기들은 점점 더 소형화, 경량화, 휴대화로 발전되고 있고, 이러한 수용에 부흥하여 2차 전지는 그 수요와 응용분야가 더욱 확장되어가고 있다.
이와 같은 2차 전지 중 그 사용 및 장착 방식에 따라 와이어콘넥트전지 타입, 인너 배터리 팩 타입 및 튜빙전지 타입으로 나뉘어 진다. 그 중 인너 배터리 팩 타입은 휴대폰의 배터리를 내입공간에 결합하우징과 배터리 셀을 일체로 결합시켠 전지본체를 내입시킨 다음 외부 커버를 탈착방식으로 결합시킨 것으로, 다양한 사이즈 및 규격의 모든 휴대폰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여 전지 팩의 사이즈 최소화와 공유화 표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전지 본체를 말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터리 셀 및 보호회로모듈이 결합하우징에 결합된 휴대폰용 배터리 인너 팩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폰용 배터리 인너 팩(Battery Inner Pack)은 배터리 셀(10), 보호회로모듈(20) 및 이들을 결합하는 결합하우징(30)으로 구성된다.
배터리 셀(10)의 내부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양극시트와 음극시트로 구성된 전극적층 유니트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배터리 셀(10)의 상면 중앙으로 음극단자(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음극단자(11)를 제외한 나머지 배터리 셀(10)의 몸체 전체에 양극을 통전시킨 양극단자(13)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배터리 셀(10)의 음극단자(11)는 음극단자판(니켈플레이트(-):41)이 스폿트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또한 배터리 셀의 양극단자(13)는 양극단자판(니켈플레이트(+):43)이 배터리 셀 상면에 스폿트용접으로 결합된다.
보호회로모듈(Protect Circuit Module, PCM : 20)은 상기 배터리 셀(10)의 폭발의 위험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 셀(10)의 음극단자(11)와 양극단자(13) 각각과 결합된 음극단자판(41) 및 양극단자판(43)의 타측과 스폿트용접으로 일체로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결합되는 배터리 셀(10)과 보호회로모듈(20)은 일체형으로 결합하우징(30)에 장착되는데, 상기 결합하우징(30)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는 개구되어 있으며, 상면에 상기 보호회로모듈의 3개의 출력단자((-),(ID),(+))가 삽입되도록 3개의 접지구(39)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셀(10)의 음극단자(11)와 양극단자(13)에서 보호회로모듈(20)을 통하여 결합하우징(30)의 접지구(39)를 통하여 전원을 휴대폰(미도시)에 통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휴대폰용 배터리 인너 팩의 결합하우징(30) 상부에 안착된 보호회로모듈(20)은 상기 배터리 셀(10)의 음극단자(11)와 양극단자(13)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극단자판(41) 및 양극단자판(43)에 의하여 지지력이 약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보호회로모듈(20)이 외부 충격에 의해 또는 휴대폰 컨넥터(미도시)가 접지구(39)를 통하여 결합 시 쉽게 뒤로 밀리거나 눌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보호회로모듈(20)과 결합하우징(30)의 다수의 접지구(39)와의 접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휴대폰 컨넥터와의 접촉불량으로 인한 휴대폰에 전원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휴대폰을 떨어뜨리거나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전달되게 되면 배터리 셀(10)은 결합하우징(30)에서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배터리 셀(10)의 불량률을 높이고 휴대폰 고장의 원인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배터리 셀(10)의 음극단자(11)와 보호회로모듈(2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음극단자판(41)이 상기 배터리 셀(10)의 양극단자(13)와 매우 근접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음극단자판(41)과 양극단자(13)간의 쇼트(short)가 발생될 위험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호회로모듈이 쉽게 뒤로 밀리거나 눌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배터리 셀이 결합하우징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배터리 셀의 음극 및 양극이 쇼트(short) 나는 것을 방지하고, 배터리 셀 및 보호회로모듈의 부품면을 외부의 이물 및 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휴대폰용 배터리 인너 팩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휴대폰 배터리 인너 팩은 상부 중앙부에 돌출된 음극단자와 상기 음극단자 이외의 양극단자를 가지며, 충전된 전원을 휴대폰으로 공급하는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셀 상단부의 음극단자 및 양극단자와 각각 음극단자판 및 양극단자판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보호회로모듈; 및 상기 배터리셀 및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일체형으로 고정시켜 상기 휴대폰의 내부에 삽입되는 결합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하우징은 상기 보호회로모듈이 상기 배터리 셀 쪽으로 밀리거나 눌려지는 것을 막도록 상기 보호회로모듈과 상기 배터리 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하우징과 상기 배터리 셀이 접합되는 접합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합면 일부 또는 전면은 양면 또는 단면 포장테이프로 접착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셀의 음극단자와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상기 음극단자판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음극단자판이 연장되는 하측부의 상기 배터리 셀의 양극단자 상부 일측에 절연 테이프가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결합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보호회로기판의 출력단자들이 돌출되도록 다수의 접지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접지구 끝단의 컨넥터 가이드는 상기 결합하우징 외각으로 경사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폰 배터리 인너 팩은 상기 결합하우징 전면에 상기 배터리 셀 및 보호회로 모듈을 보호하기 위하여 덮어지는 딱딱한 재질의 폴리에틸렌테이프 필름; 및 상기 베터리 셀, 보호회로 및 상기 폴리에틸렌 테이프가 조립된 결합하우징의 4면 또는 6면을 덮기 위한 부드러운 폴리에틸렌 재질의 외부포장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 및 보호회로모듈이 결합하우징에 결합된 휴대폰용 배터리 인너 팩의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배터리 인너 팩(Battery Inner Pack)은 도 1의 종래기술과 같이 배터리 셀(10), 보호회로모듈(20) 및 이들을 결합하는 결합하우징(3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셀(10), 보호회로모듈(20) 및 이들을 결합하는 결합하우징(30)의 구성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간략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배터리 인너 팩은 상부 중앙부에 형성된 음극단자(110)와 상기 음극단자를 제외한 부분의 양극단자(130)를 가지며, 충전된 전원을 휴대폰으로 공급하는 배터리 셀(100)과 상기 배터리 셀(100)의 음극단자(110) 및 양극단자(130)와 각각 음극단자판(니켈플레이트(-):410) 및 양극단자판(니켈플레이트(+):430)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호회로모듈(200) 및 상기 배터리 셀(100) 및 상기 보호회로모듈(200)을 일체형으로 고정시켜 상기 휴대폰의 내부에 삽입되는 결합하우징(300)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하우징(300)은 상기 보호회로모듈(200)이 안착될 상부는 전면만 개방되어 있고, 상기 배터리 셀(100)이 안착될 몸체부는 전후방 모두 개방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배터리 인너 팩의 상기 결합하우징(300)은 상기 보호회로모듈(200)이 상기 배터리 셀(100) 쪽으로 밀리거나 눌려지는 것을 막도록 상기 보호회로모듈(200)과 상기 배터리 셀(100)이 안착되는 사이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다수의 지지돌기(Rib : 310, 330, 350, 370)를 가진다.
상기 다수의 지지돌기(310, 330, 350, 370)는 결합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호회로모듈(200)이 뒤로 밀리거나 외부충격에 의하여 눌려지는 것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ㄴ' 또는 '┴'또는' 」' 형상과 같이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지지돌기 (310, 330, 350, 370)는 상기 보호회로모듈(200)이 상기 결합하우징(300)에 쉽게 결합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넓어지게 (즉, 경사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 인너 팩의 결합하우징(300)에 다수의 지지돌기(310, 330, 350, 370)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보호회로모듈(200)이 외부 충격에 의해 또는 휴대폰 컨넥터(미도시)가 접지구(390)를 통하여 결합 시 쉽게 뒤로 밀리거나 눌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보호회로모듈(200)과 결합하우징(300)의 다수의 접지구(390)와의 접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휴대폰 컨넥터와의 접촉불량으로 인한 휴대폰에 전원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하우징(300)은 외각 양면에 턱(395)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배터리 인너 팩을 마지막으로 포장할 때 결합하우징(300)의 4면 또는 6면 전체에 부착할 외부포장 테이프를 부착 후 외부힘에 의해 상기 외부포장 테이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 셀(100)의 결합 과정에서 상기 배터리 셀(100)은 상기 결합하우징(300)의 내부 3면과 접합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배터리 인너 팩은 상기 배터리 셀(100)이 상기 결합하우징(300)의 내부 3면에 확고하게 접합되도록 3개의 접합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합면 일부 또는 전면에 양면 또는 단면 포장테이프(510, 530)로 접착한다. 도 2에서는 좌측 및 하측 일부에 양면 또는 단면 포장테이프로 접착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1면 이상의 일부 또는 전면에 양면 또는 단면 포장테이프로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면 또는 단면 포장테이프 대신에 액상의 접착제로 접합 할 수도 있고, 양면테이프는 절연물질로 이루어 질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양면 또는 단면 포장테이프(510,530)로 상기 배터리 셀(100)과 결합하우징(300)을 접합함으로써, 앞서 살펴본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휴대폰을 떨어뜨리거나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배터리 셀(100)이 결합하우징(300)에서 쉽게 이탈되어 배터리 셀(100)의 불량률을 높이고 휴대폰 고장의 원인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셀(100)의 음극단자(110)와 상기 보호회로모듈(200)은 도전성 음극단자판(410)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음극단자판(410)은 상기 음극단자(110)와 용접되어 좌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보호회로모듈(200)의 일측에 연결된다. 상기 음극단자판(410)은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배터리 셀(100)의 양극단자(130)와 근접하게 연장되기 때문에 쇼트(short)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음극단자판(410)이 연장되는 하측부의 상기 배터리 셀(100)의 양극단자(130) 상부 일측에 절연 테이프(600)가 접착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음극단자판(410)이 연장되는 하측부의 상기 배터리 셀(100)의 양극단자(130) 상부 일측에 절연 테이프(600)를 접착함으로써, 상기 음극단자판(410)과 상기 배터리 셀(100)의 양극단자(130)가 쇼트(short)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배터리 인너 팩은 휴대폰 내부에 삽입되고, 결합하우징(300)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접지구(390)를 통하여 노출된 출력단자(210)는 휴대폰의 메인보드(미도시)의 컨텍트부(컨넥터 등)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배터리 인너 팩이 휴대폰의 내부에 장작될 때, 상기 컨넥터는 결합하우징(300)의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접지구(390)의 끝단(이하, '컨넥터 가이드'라 한다.)으로부터 밀려 출력단자(210)와 결합된다. 상기 접지구(390)의 컨넥터 가이드가 직각으로 형성된 경우 배터리 인너 팩 장착시 휴대폰의 컨넥터가 부드럽게 밀려 출력단과 결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배터리 인너 팩의 평면도의 I-I'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인너 팩은 결합하우징(300) 상부에 접지구(390)가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 보호회로모듈(200)의 출력단자(210)가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지구(390)의 컨넥터 가이드(도 3에서 A 로 나타낸다.)는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휴대폰 메인보드와 연결된 컨넥터가 상기 경사각을 가지는 컨넥터 가이드(A)로부터 부드럽게 밀려 상기 출력단(210)과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컨넥터 가이드(A) 경사각은 도 3에서는 약 35도로 예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약 30도 내지 약 50도 사이의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인너 팩의 전체 결합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인너 팩의 전체 구성요소는 배터리 셀(100), 보호회로모듈(200), 결합하우징(300)을 포함하며, 더 나아가, 폴리에틸렌 테이프(700) 및 외부포장 테이프(800)를 더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인너 팩의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배터리 셀(core pack:100)과 보호회로모듈(PCM: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다음으로, 상기 배터리 셀(core pack:100)과 보호회로모듈(PCM:200)을 결합하우징(300)에 조립한다.
이후, 상기 조립된 결합하우징(300)의 윗면에 결합하우징(300) 크기 면적의 폴리에틸렌테이프 필름(Polyethylene Tape(PET) film:700)을 덮어 붙여서 보호회로모듈(200)의 부품부를 보호하며, 후술할 외부포장 테이프(800)의 부착시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폴리에틸렌테이프 필름(700)은 딱딱한 재질로 상기 결합하우징의 전면에 부착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폴리에틸렌테이프 필름(700)이 결합된 결합하우징(300)을 외부포장 테이프(800)로 4면 또는 6면에 부착하여 포장한다. 상기 외부포장 테이프(800)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PE)재질의 테이프로서, 부드럽게 휘어지는 연성(flexible)을 지녔다. 이와 같은 외부포장 테이프를 결합하우징의 4면 또는 6면에 부착하여 평면도를 유지하며, 배터리 인너 팩을 견고하게 해준다. 이때, 외부포장 테이프(800)의 두께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하우징(300)의 외각 양면에 턱(395)을 만들어서 외부포장 테이프(800)를 부착 후 외부힘에 의해 외부포장 테이프(800)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배터리 인너 팩의 결합하우징에 다수의 지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보호회로모듈(200)이 쉽게 뒤로 밀리거나 눌러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휴대폰 컨넥터와의 접촉불량으로 인한 휴대폰에 전원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셀과 결합하우징을 상기 양면테이프로 접합함으로써, 휴대폰을 떨어뜨리거나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배터리 셀이 결합하우징에서 쉽게 이탈되어 배터리 셀의 불량률을 높이고 휴대폰 고장의 원인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음극단자판이 연장되는 하측부의 배터리 셀의 양극단자 상부 일측에 절연 테이프를 접착함으로써, 음극단자판과 배터리 셀의 양극단자가 쇼트(short)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합하우징의 접지구 끝단의 컨넥터 가이드를 일정 경사각을 둠으로써, 휴대폰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넥터가 부드럽게 밀려 보호회로모듈의 출력단과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호회로모듈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결합하우징 전면에 폴리에틸렌테이프 필름(딱딱한 재질)을 덮어 붙여서 외부의 힘에 의한 부품손상을 방지한다.
또한, 최종적으로 외부포장 테이프를 결합하우징의 4면 또는 6면에 부착하여 평면도를 유지하며, 배터리 인너 팩을 견고하게 해준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터리셀 및 보호회로모듈이 결합하우징에 결합된 휴대폰용 배터리 인너 팩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 및 보호회로모듈이 결합하우징에 결합된 휴대폰용 배터리 인너 팩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배터리 인너 팩의 평면도의 I-I'부분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인너 팩의 전체 결합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 100 : 배터리 셀 11, 110 : 음극단자
13, 130 : 양극단자 20, 200 : 보호회로모듈
21, 210 : 출력단자 30, 300 : 결합하우징
310, 330, 350, 370 : 지지돌기 39, 390 : 접지부
41, 410 : 음극단자판 43, 430 : 양극단자판
510, 530 : 양면단면 포장테이프 600 : 절연 테이프
700 : 폴리에틸렌테이프 필름 800 : 외부포장 테이프

Claims (5)

  1. 상부 중앙부에 돌출된 음극단자와 상기 음극단자 이외의 양극단자를 가지며, 충전된 전원을 휴대폰으로 공급하는 배터리 셀;
    상기 배터리 셀 상단부의 음극단자 및 양극단자와 각각 음극단자판 및 양극단자판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보호회로모듈; 및
    상기 배터리셀 및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일체형으로 고정시켜 상기 휴대폰의 내부에 삽입되는 결합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하우징은 상기 보호회로모듈이 상기 배터리 셀 쪽으로 밀리거나 눌려지는 것을 막도록 상기 보호회로모듈과 상기 배터리 셀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인너 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하우징과 상기 배터리 셀이 접합되는 접합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합면 일부 또는 전면은 양면 또는 단면 포장테이프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인너 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의 음극단자와 상기 보호회로모듈은 상기 음극단자판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음극단자판이 연장되는 하측부의 상기 배터리 셀의 양극단자 상부 일측에 절연 테이프가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인너 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하우징의 상부에는 상기 보호회로기판의 출력단자들이 돌출되도록 다수의 접지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접지구 끝단의 컨넥터 가이드는 상기 결합하우징 외부로 소정의 경사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인너 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배터리 인너 팩은,
    상기 결합하우징 전면에 상기 배터리 셀 및 보호회로 모듈을 보호하기 위하여 덮어지는 딱딱한 재질의 폴리에틸렌테이프 필름; 및
    상기 베터리 셀, 보호회로 및 상기 폴리에틸렌 테이프가 조립된 결합하우징의 4면 또는 6면을 덮기 위한 부드러운 폴리에틸렌 재질의 외부포장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배터리 인너 팩.
KR20-2005-0019414U 2005-07-04 2005-07-04 휴대폰용 배터리 인너 팩 KR2003967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414U KR200396721Y1 (ko) 2005-07-04 2005-07-04 휴대폰용 배터리 인너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414U KR200396721Y1 (ko) 2005-07-04 2005-07-04 휴대폰용 배터리 인너 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721Y1 true KR200396721Y1 (ko) 2005-09-27

Family

ID=43697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414U KR200396721Y1 (ko) 2005-07-04 2005-07-04 휴대폰용 배터리 인너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7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43653B2 (en) 2009-11-30 2013-01-01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43653B2 (en) 2009-11-30 2013-01-01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7953B2 (ja) バッテリパック
KR101227870B1 (ko) 보호회로모듈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EP2337120B1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pack
JP5121751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
KR100973311B1 (ko) 배터리 팩
KR102168675B1 (ko) 보호회로모듈을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팩
US20100203363A1 (en) Connector assembly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US8668996B2 (en) Battery pack
US8669004B2 (en) Battery pack
KR20170050510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30030285A (ko) 이차전지 팩
CN110114932B (zh) 电池模块以及包括电池模块的电池组和车辆
KR102452328B1 (ko)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036060B1 (ko)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KR20170040636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0396721Y1 (ko) 휴대폰용 배터리 인너 팩
KR101166024B1 (ko) 외부단자 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전지 팩
KR100995408B1 (ko) 전지 팩
KR102637306B1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60239A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20200076909A (ko) 조립 구조가 개선되고 멀티셀렉팅 기능의 배터리관리시스템을 포함한 배터리팩
KR20160054268A (ko) 이차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N219658854U (zh) 一种锂离子电池
KR200474834Y1 (ko) 커버케이스결합부를 포함하는 결합구조가 단순화된 배터리팩
KR200474833Y1 (ko) 커버케이스결합부를 갖는 접속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결합구조가 단순화된 배터리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