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8082B1 - 인식률 및 가독성이 높은 한글 필기용 광학적 문자인식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인식률 및 가독성이 높은 한글 필기용 광학적 문자인식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8082B1
KR100408082B1 KR10-2001-0045802A KR20010045802A KR100408082B1 KR 100408082 B1 KR100408082 B1 KR 100408082B1 KR 20010045802 A KR20010045802 A KR 20010045802A KR 100408082 B1 KR100408082 B1 KR 100408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neme
neutral
ocr
fi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5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1987A (ko
Inventor
김회율
Original Assignee
(주)유라비젼
김회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라비젼, 김회율 filed Critical (주)유라비젼
Priority to KR10-2001-0045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8082B1/ko
Publication of KR20030011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1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0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8Segmentation of character regions
    • G06V30/153Segmentation of character regions using recognition of characters or words

Landscapes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식률 및 가독성이 높은 한글 필기용 OCR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자인식을 위한 OCR 입력양식을 초성, 중성, 종성이 각 두 개씩 사각영역으로 나뉘어져 구성되어, 각 사각 영역내에 각 단위 자소를 나뉘어 적는 단계; 한글의 구성 모양과 같은 형식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입력에 있어 오류를 줄일 수 있도록 자소의 위치를 좌측 상단에 두 개의 상기 초성영역(1)에 자소를 배치하고, 두 개의 상기 초성 영역(1) 아래 중간부(2a) 및 우측 상중부(2b)에 각각 상기 중성 영역(2a 또는 2b)의 자소를 배치하며, 상기 중성 영역(2a)의 하단에 종성 영역(3)의 두 개의 종성의 자소를 배치하고, 자소의 우측 영역 하단은 사용되지 않는 자소영역(4)으로 구성하여 초성, 중성, 종성 각각 두 개씩 전체 자소형식을 구성하는 단계; 및 초성, 중성, 종성의 단위 자소별 OCR형식 및 초성, 중성, 종성의 각 단위 자소에 대한 인식률을 높이기 위한 가이드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문자인식을 위한 한글 필기용 OCR 입력시 초성, 중성, 종성의 각 단위 자소에 대한 인식률 및 가독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식률 및 가독성이 높은 한글 필기용 광학적 문자인식 입력 방법{Method for inputting OCR form with high-recognition for korean}
본 발명은 인식률 및 가독성이 높은 한글 필기용 OCR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컴퓨터 비전 기술의 하나로 광학 장치를 사용하여 문자를 인식하는 기술 인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기술을 정해진 형식에 맞게 글자를 적어 넣으면 한글 필기용 OCR 입력시 초성, 중성, 종성의 각 단위 자소에 대한 인식률 및 가독성이 높은 한글 필기용 OCR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자를 인식하는 상기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기술은 컴퓨터 비전 기술의 하나로 광학 장치를 사용하여 문자를 인식하는 기술이다.
도 1은 종래의 한글 필기용 OCR 형식 및 예시를 나타낸 도면으로, (1)형식은 구 입학 원서의 방식에 사용된 OCR 형식의 그림이고, (2)형식은 풀어쓰기 방식의 OCR 형식의 그림을 나타낸다.
현재, 기존의 OCR 용지에서 쓰는 방법으로 미세한 가이드 선(점선)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초 중성 종성을 분리하여 적게 하는 방식으로 기계장치의 판독 능력을 높이면서도, 사용자가 편안하게 입력할 수 있다.
풀어쓰기의 경우, 기계로 하여금 각 초ㆍ중성 종성을 따로 쓰게 하여 기계 장치의 판독 능력을 최대화한다.
그러나, 도 1의 (1)형식에서 제시한 방법의 경우, 종성의 경우 쉽게 분리해 낸다는 잇점이 있으나, 중성 즉 모음의 경우, 그 위치에 있어서의 초성과 분리가 어려운 경우가 많이 생기어, 높은 인식률을 가지기 어렵다. 특히 필기체 한글 모양의 유사성으로 인해 인식률에 있어 상당한 문제를 보이게 된다. 예를 들어 '거' 와 '지' 는 조금만 잘못 써도 서로 혼동하기 쉽다. 이런 글자들로는 '키' 와 '귀', '여' 와 '억', '녀' 와 '넉', '겨' 와 '걱' 등 그 수는 수없이 많다. 중요한 정보를입력받는 경우 한 문자의 오인식은 치명적일 수 있다. 또한 중자음을 하나의 단위로 처리함으로 인한 인식의 어려움도 있다.
도 1의 (2)형식에서 제시한 풀어쓰기 방법의 경우, 초ㆍ중ㆍ종성을 따로 분리를 해 놓음으로써, 각 단위별 인식률은 높으나, 사용자가 입력함에 있어서, 판독이 어려움이 따르며, 특히 중자음 또는 중모음의 경우, 사용자의 입력 오인으로 인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문자 인식을 위한 한글 OCR 기술은 입학 원서, 입사 원서, 시험 답안지 등에서 많이 사용이 되고 있으나, 현재의 OCR 기술의 경우 그 정확도의 인하로 인해서 아주 극소 부분의 처리에 사용되고 있고, 정확도가 고려되는 대부분의 경우, 실제로 OMR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OMR의 경우, 공간적 구성 및 적용방법에 많은 제약 및 자원 활용의 한계점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자 인식시 한글 OCR의 가독성과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글자의 인식률을 향상시키면서 사용자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OCR용지에서의 사용자가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입력 오류를 최소화하고, 중자음 및 중모음을 각 단위 자소로 분리하여 인식률을 높이며, 자소의 쓰는 위치 및 쓰는 방법을 개발하여 인식률을 높일 수 있는 인식률 및 가독성이 높은 한글 필기용 OCR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한글 필기용 OCR 형식 및 예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한글 필기용 OCR 형식.
도 3은 자소별 OCR형식 및 가이드라인.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필기용 OCR 형식의 영역별 사용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필기용 OCR 형식의 사용 예.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인식률 및 가독성이 높은 한글 필기용 OCR 입력방법을 설명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초성 영역 2a, 2b : 중성 영역
3 : 종성 영역 4 : 사용되지 않는 자소영역
OCR : 광학적 문자 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한글 필기용 OCR 입력 양식의 구성에 있어서: 문자인식을 위한 OCR 입력양식을 초성, 중성, 종성이 각 두 개씩 사각영역으로 나뉘어져 구성되어(S1), 각 사각 영역내에 각 단위 자소를 나뉘어 적는(S2) 단계; 한글의 구성 모양과 같은 형식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입력에 있어 오류를 줄일 수 있도록 자소의 위치를 좌측 상단에 두 개의 상기 초성영역(1)에 자소를 배치하고, 두 개의 상기 초성 영역(1) 아래 중간부(2a) 및 우측 상중부(2b)에 각각 상기 중성 영역(2a 또는 2b)의 자소를 배치하며, 상기 중성 영역(2a)의 하단에 종성 영역(3)의 두 개의 종성의 자소를 배치하고, 자소의 우측 영역 하단은 사용되지 않는 자소 영역(4)으로 구성하여 초성, 중성, 종성 각각 두 개씩 전체 자소형식을 구성하는 단계(S3); 및 초, 중, 종성의 단위 자소별 OCR형식 및 초성, 중성, 종성의 각 단위 자소에 대한 인식률을 높이기 위한 가이드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식률 및 가독성이 높은 한글 필기용 OCR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한글 필기용 OCR 형식(전체형식)이다. 본 발명의 기술은 한글 OCR의 가독성과 인식률을 높이기 위한 한글 필기용 OCR 입력 양식의 구성에 관한 기술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한글 필기용 OCR 형식의 구성을 나타낸다. 초성, 중성, 종성이 각 2개씩의 사각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사각 영역 내에 각 단위자소를 나뉘어 적는다. 실제 한글의 구성 모양과 같은 형식으로 이뤄져 있으므로 사용자가 입력함에 있어서 오류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자소별 OCR형식 및 가이드라인을 나타내며, 초, 중, 종성의 단위 자소의 형식 및 가이드 라인 표시방법을 나타낸다. 초성과 종성에 있어서 단자음의 경우 두 개의 사각 영역중 하나에 입력하도록 하며, 중자음의 경우, 두 개의 사각 영역에 나뉘어 입력한다. 모음의 경우, 자음의 아래에 들어가는 모음과 자음의 오른쪽에 들어가는 모음으로 나뉘어 입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한글 필기용 OCR 형식의 영역별 사용 예로써 각 단위 자소별 OCR 입력의 예를 보여주며, 도 5에서 전체 한글 입력의 예를 보여준다. 초성, 종성의 단자음 입력에 있어서, 좌우 어느 쪽에 대한 입력도 전체 인식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모음의 가이드의 이용을 통해 전체 시스템의 인식률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한글의 초·중·종성 영역간의 분할 및 복자음, 복모음의 분할 입력을 통해 한글필기체의 명확한 인식이 이뤄질 수 있으며, 전체 영역 구성을 일반적인 한글 구성의 모양과 동일하게 구성하여, 사용자의 입력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 [표 1]에서는 종래의 인식 방법과 본 발명에 의한 방법과의 OCR 인식률의 차이를 보여준다.
OCR 인식률 비교(종래의 방법과 본 발명에 의한 방법)
성능/방법 종래 방법(1) 종래 방법(2) 본 발명
초성·종성간 필기구분 모호 X 명확
가독성 높음 낮음 높음
인식률 95% 98% 99%
※ 인식률의 경우 OCR형식을 위배하지 않았을 경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인식률 및 가독성이 높은 한글 필기용 OCR 입력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한글 필기용 OCR 입력 양식의 구성에 있어서, 문자인식을 위한 OCR 입력양식을 초성, 중성, 종성이 각 두 개씩 사각영역으로 나뉘어져 구성되어(단계 S1), 각 사각 영역 내에 각 단위 자소를 나뉘어 적는다(단계 S2).
한글의 구성 모양과 같은 형식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입력에 있어 오류를 줄일 수 있도록 자소의 위치를 좌측 상단에 두 개의 상기 초성영역(1)에 자소를 배치하고, 두 개의 상기 초성 영역(1) 아래 중간부(2a) 및 우측 상중부(2b)에 각각 상기 중성 영역(2a 또는 2b)의 자소를 배치하며, 상기 중성 영역(2a)의 하단에 종성 영역(3)의 두 개의 종성의 자소를 배치하고, 자소의 우측 영역 하단은 사용되지 않는 자소 영역(4)으로 구성하여 초성, 중성, 종성 각각 두 개씩 전체 자소형식을 구성한다(단계 S3).
초, 중, 종성의 단위 자소별 OCR형식 및 초성, 중성, 종성의 각 단위 자소에 대한 인식률을 높이기 위한 가이드 라인을 형성하여(단계 S4) 한글 필기용 OCR 입력시 초성, 중성, 종성의 각 단위 자소에 대한 인식률 및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OCR 기술의 개발은 한글 필기의 입력을 필요로 하는 업무에 응용할 수 있으며 기존 OCR 형식의 가독성을 유지하여 사용자의 가독성을높이고 한글 필기 OCR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식률 및 가독성이 높은 한글 필기용 OCR(광학적 문자 인식) 입력 방법은 한글 필기 OCR 인식률을 높임으로서 문서처리에 걸리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시켜 주고, 본 발명의 기술을 통해 입학원서, 지원서 및 한글 필기의 입력을 필요로 하는 모든 업무에 응용할 수 있으며, 기존 OCR 형식의 가독성을 유지하여 입력의 검토에 용이하며 한글 필기의 입력을 필요로 하는 업무에 응용할 수 있으며 기존 OCR 형식의 가독성을 유지하여 한글 필기용 OCR 입력시 초성, 중성, 종성의 각 단위 자소에 대한 인식률 및 사용자 가독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한글 필기용 OCR 입력 양식의 구성에 있어서:
    문자인식을 위한 OCR 입력양식을 초성, 중성, 종성이 각 두 개씩 사각영역으로 나뉘어져 구성되어(S1), 각 사각 영역 내에 각 단위 자소를 나뉘어 적는(S2) 단계;
    한글의 구성 모양과 같은 형식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입력에 있어 오류를 줄일 수 있도록 자소의 위치를 좌측 상단에 두 개의 상기 초성영역(1)에 자소를 배치하고, 두 개의 상기 초성 영역(1) 아래 중간부(2a) 및 우측 상중부(2b)에 각각 상기 중성 영역(2a 또는 2b)의 자소를 배치하며, 상기 중성 영역(2a)의 하단에 종성 영역(3)의 두 개의 종성의 자소를 배치하고, 자소의 우측 영역 하단은 사용되지 않는 자소 영역(4)으로 구성하여 초성, 중성, 종성 각각 두 개씩 전체 자소형식을 구성하는(S3) 단계; 및
    초성, 중성, 종성의 단위 자소별 OCR형식 및 초성, 중성, 종성의 각 단위 자소에 대한 인식률을 높이기 위한 가이드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식률 및 가독성이 높은 한글 필기용 광학적 문자인식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 중, 종성의 단위 자소별의 OCR 형식 및 가이드 라인 형성 단계는,
    초성과 종성에 있어서 단자음의 경우 두 개의 사각 영역중 하나에 입력하도록 하며, 중자음의 경우, 두 개의 사각 영역에 나뉘어 입력하는 단계; 및
    모음의 경우, 자음의 아래에 들어가는 모음과 자음의 오른쪽에 들어가는 모음으로 나뉘어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식률 및 가독성이 높은 한글 필기용 광학적 문자인식 입력 방법.
KR10-2001-0045802A 2001-07-30 2001-07-30 인식률 및 가독성이 높은 한글 필기용 광학적 문자인식입력 방법 KR100408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802A KR100408082B1 (ko) 2001-07-30 2001-07-30 인식률 및 가독성이 높은 한글 필기용 광학적 문자인식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802A KR100408082B1 (ko) 2001-07-30 2001-07-30 인식률 및 가독성이 높은 한글 필기용 광학적 문자인식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987A KR20030011987A (ko) 2003-02-12
KR100408082B1 true KR100408082B1 (ko) 2003-12-03

Family

ID=27717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802A KR100408082B1 (ko) 2001-07-30 2001-07-30 인식률 및 가독성이 높은 한글 필기용 광학적 문자인식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80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823B1 (ko) 2007-12-05 2009-11-12 황병익 문자 인식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2276A (ko) * 1993-10-15 1995-05-16 모리시따 요이찌 인쇄된 문서의 광학 문자 인식(ocr)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수단
JPH08129604A (ja) * 1994-11-02 1996-05-21 Tomiyoshi Yoshihama データ記入用シート
KR19990049667A (ko) * 1997-12-13 1999-07-05 구자홍 한글 문자체 인식 방법
KR20000034645A (ko) * 1998-11-30 2000-06-26 정선종 대용량 인쇄체 문자인식을 위한 특징 추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2276A (ko) * 1993-10-15 1995-05-16 모리시따 요이찌 인쇄된 문서의 광학 문자 인식(ocr)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수단
JPH08129604A (ja) * 1994-11-02 1996-05-21 Tomiyoshi Yoshihama データ記入用シート
KR19990049667A (ko) * 1997-12-13 1999-07-05 구자홍 한글 문자체 인식 방법
KR20000034645A (ko) * 1998-11-30 2000-06-26 정선종 대용량 인쇄체 문자인식을 위한 특징 추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823B1 (ko) 2007-12-05 2009-11-12 황병익 문자 인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1987A (ko) 200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00130B2 (ja) 手書き文字の認識システム及び認識方法
US588988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mediate response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that handles multiple character sets
CN102449640B (zh) 识别手写单词
JP3452774B2 (ja) 文字認識方法
JP5790082B2 (ja) 文書認識装置、文書認識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0408082B1 (ko) 인식률 및 가독성이 높은 한글 필기용 광학적 문자인식입력 방법
JP2008084136A (ja) 携帯電子機器
JP2008084137A (ja) 携帯電子機器
Sodhar et al. Romanized Sindhi rules for text communication
Brocklehurst The NPL electronic paper project
KR20010096061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에서의 수기 입력 방법
Unger Japanese orthography in the computer age
Huerst et al. Interactive error repair for an online handwriting interface
KR20060046392A (ko) 아시아 언어들을 위한 수기 입력
JP4101345B2 (ja) 文字認識装置
JPH10302025A (ja) 手書き文字認識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Ubul et al. Creation of Uyghur offline handwritten database
JPH03252894A (ja) 文字認識装置
KR20220003447A (ko)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Malik et al. Analysis of NOORI Nasta’leeq for MAJOR Pakistani Languages
KR20220039487A (ko)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KR20220039486A (ko) 전자장치에서의 문자입력모드 또는 문자입력방법 자동 변경 방법
KR20010048062A (ko) 온라인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시 한글을자소로 표현하는 장치 및 방법
Kuklinski Graphical context as an aid to character recognition
JPH04353964A (ja) 文書作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