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7393B1 - 이동식 작업용 활차 - Google Patents

이동식 작업용 활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393B1
KR100407393B1 KR10-2001-0029891A KR20010029891A KR100407393B1 KR 100407393 B1 KR100407393 B1 KR 100407393B1 KR 20010029891 A KR20010029891 A KR 20010029891A KR 100407393 B1 KR100407393 B1 KR 100407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s
work
vertical
bridge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9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0666A (ko
Inventor
이영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영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영신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동일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01-0029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7393B1/ko
Publication of KR20010070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0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3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상판을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교량의 저부에 설치할 설치물을 교량의 저부에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작업차에 관한 것으로, 작업차의 작업대에 수직기둥과 보조기둥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의 상 단부에 연계되고 전. 후로 이동이 가능한 기중기가 형성된 1차 프레임이 일정한 길이로 진출되고 상기 상부보의 단부에서 연계되어 일정한 길이 만큼 아래 방향으로 진출되어 신축이 가능한 수직보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보와 연계하여 교량의 내측 방향으로 진출되는 이동식 안착구가 형성된 하부보로 형성되어 상기 기중기가 교량 위의 설치물을 운반하여 교량의 내측으로 진출된 3차 프레임에 형성된 안착구에 안착시키면 2차 프레임의 신축 프레임과 3차 프레임이 상승하고 안착구(saddle)가 상승하여 설치물을 상판의 저부에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동식 작업용 활차{A movable working pulley}
본 발명은 이동용 작업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의 상판을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교량의 저부에 설치할 설치물을 교량의 저부에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교량은 수면, 굴곡진 지면에 교통 수단이 이용할 수 있도록 설치된 구조물이면서 그 외의 구조물이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수도관, 가스관, 통신케이블관 등이 통과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시설물을 완성된 교량에 상기와 같은 시설물을 설치하고자 할 때, 종래에는 수면인 경우는 상판에서 운반된 시설물을 수면의 바지선으로 이동하고 다시 바지선에서 상판의 아래까지 운반하여 고정 설치하는 공법을 이용하고 지면인 경우는 비계를 설치하고 지면의 설치물을 운반하여 고정 설치하는 방법으로 시설물 설치작업을 하였으나, 지면인 경우는 지면이라 해도 교통의 운행이 용이하지 못하면 도로를 신설해야하므로 자연 파괴와 토지 수용의 어려움이 있고, 수면인 경우는 수면의 사정에 의해 공사 일정이 결정되므로 안전도에 문제점이 있고, 공기가 불확실하여 공기가 길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작업대에 수직기둥과 보조기둥을 형성하고 상기 기둥의 상 단부에서 상판의 외부 방향으로 전. 후로 이동이 가능한 기중기를 형성한 상부보를 형성하고 그 단부에서 연계하여 수면 방향으로 진출하고 신축이 가능한 수직보를 형성하여 상기 수직보와 연계하고 교량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식 안착구가 형성된 하부보를 형성하여 교량의 상판을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이동하면서 교량의 저부에 설치할 설치물을 교량의 저부에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작업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무게 중심은 이동활차의 기둥에서 시작하여 상부보와 수직보와 하부보의 단부로 이동하여 정지하고, 상기 하부보에 작용하는 하중은 거의 기둥과 수직선상에 있다고 할 수 있고, 실제적으로 기둥의 횡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은 상부보와 수직보와 하부보에 분산하여 작용하므로 하부보의 단부에 작용하는 하중 보다 큰 힘이 작용한다 할 수 있으며 상부보와 기둥의 연계 부분에 작용하는 횡력에 대응하는 구조와 수직보와 하부보의 연계 부분에 작용하는 횡력에 대응하는 구조가 요구된다.
도 1의 A, B, C, D는 작업상태의 차례도.
도 2는 작업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상판 12 : 기둥
13 : 보조기둥 14 : 유압잭(a,b,c,d,e)
15 : 상부보 16 : 수직보
17 : 하부보 18 : 기중기
19 : 작업대(a,b) 21 : 안착구
22 : 사다리 23 : 가이드(a,b)
24 : 지지보(a,b) 25 : 적재대
26 : 힌지 27 : 작업통로
28 : 설치물
본 발명은 이동용 휠(101)과 고정용 유압잭(102)과 상부보(15)와 연계되는 기둥(12)과 기둥(12)의 횡력을 보강하기 위한 보조기둥(13)과 웨이트(103)가 형성되는 작업대(19a)와 상기 기둥(12)과 연계되며 기중기(18)를 전, 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23a)가 형성된 상부보(15)와 상기 상부보(15)와 연계되며 사다리(22)와 신축용 잭(14b,14c)이 형성되고 수직보(16)의 횡력을 보강하기 위한 지지보(24a,24b)가 형성된 수직보(16)와 상기 수직보(16)와 연계되고 유압잭(14e)이 장착된 안착구(21)와 상기 안착구(21)가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23b)가 설치되고 박스형으로 형성된 하부보(17)로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작업 과정을 도시하고자 한 것이고, 도 3은 작업 상태를 상세히 도시하고자 한 것이다.
일정한 넓이로 형성된 작업대(19a)는 4개의 지점에 다수개의 이동용 휠(101)이 형성되며 상기 휠(101)과 인접하여 다수개의 고정용 잭(102)이 형성되고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어느 한 변(중앙 방향)에는 신축이 가능한 웨이트(103)의 적재대(25)가 형성되며 다른 한 변(인도 방향) 가장자리 상부에는 상부보(15)를 지지하는 한 쌍의 기둥(12)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12)의 상 단부에는 기둥(12)의 횡력을 보강하기 위한 보조기둥(13)이 결합 고정되어 작업대(19a)의 중앙에 결합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작업대(19a)의 한 쌍의 기둥(12) 상 단부에는 일정한 길이의 상부보(15)가 견고히 고정되고 상판(11)의 외측 방향으로 진출된다. 상기 상부보(15)에는 한 쌍의 기중기(18)가 형성되고 기중기(18)는 상부보(15)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23a)에 지지된다.
상기 상부보(15)의 단부에는 수직보(16)가 상판(11)의 아랫 방향으로 진출되며 상부보(15)와 수직보(16)는 힌지(26)로 결합되고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직보(16)의 수직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신축용 잭(14a)이 결합된다.
상기 수직보(16)는 상. 하 2단으로 신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그 하 단부에는 하부보(17)가 결합되며 상기 수직보(16)와 하부보(17) 결합 부분의 후방에 장력을 크게 하기 위한 유압잭(14d)이 설치되고 교량의 내측으로 진출되며, 상기 하부보(17)는 장력을 크게 하기 위해 박스형으로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가이드(23b)가 하부보(17)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23b)에는 상. 하 작동용 유압잭(14e)이 설치된 안착구(21)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각 보(15,16,17)의 균형을 고려하여 수직보(16)의 상단부에 상부보(15)와 같은 높이로 수직보(16)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보(24a)가 형성되고 수직보(16)의 중간 지점에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직보(16)와 수직보(16) 사이에 지지보(24b)와 작업통로(27a)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24b)는 상판(11)과 같은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보(17)의 상부는 하부보(17) 위를 크로스 하여 작업대(19b)가 형성되며 상기 작업대(19b)의 가장자리에는 작업통로(27b)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보(24b)와 하부보(17) 사이에는 왕래할 수 있는 사다리(22)가 형성된다.
상기 잭(14a,14b,14c,14d,14e)의 작동은 유압으로 작동되며 상기 유압의 작동은 작업대(19a)에 설치된 엔진(104)의 작동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엔진(104)에 의해 작업차의 휠(101)이 구동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모양의 작업대(19a)가 형성되고 각 지점에는 4개의 휠(101)이 형성되어 엔진(104)의 작동에 의해 작업차가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휠(101)에 근접하여 유압 고정 잭(102)이 형성되어 작업 장소에서는 상기 휠(101)의 작동이 정지되고 유압 고정 잭(102)이 신장되도록 작동시켜 상기 작업대(19a)를 수평으로 형성하고 기둥(12) 하중의 중심을 후방에 위치하기 위해 웨이트(103)의 적재대(25)에 거치된 유압 잭(도시되지 않음)을 작동시켜 상기 웨이트 적재대(25)를 후방으로 신장시킨다. 상기 웨이트 적재대(25)의 저부에는 전방향으로 회동되며 구동되는 다수개의 휠(106)이 장착되어 적재대(25)의 하중이 분산토록 구성되고 상기 적재대(25)의 신축 작용은 유압 잭(도시되지 않음)의 신축에 의해 작동되며 시설물(28)의 하중에 따라 신축 거리를 임의로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작업대(19a)에 적용되는 하중이 안정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평면 작업대(19a)의일측(상판의 인도방향) 상부에 복수개의 기둥(12)이 한 쌍으로 두 쌍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서 상부보(15)가 상판(11)의 외부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 만큼 진출되고 진출된 단부에서 수직보(16)가 수직보(16)의 방향 조절이 용이하도록 힌지(26)로 결합되고 상기 수직보(16)의 방향 조절은 상부보(15)와 수직보(16) 사이에 결합 고정된 유압 잭(14a)의 신축에 의해 가능하며 상기 수직보(16)는 수면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 만큼 진출하되 3단으로 구성되고 3단 수직보(111)는 2단 수직보(112)에 형성된 유압잭(14c)의 신축에 의해 2단 수직보(112)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신축되고 2단 수직보(112)는 1단 수직보(113)에 형성된 유압잭(14b)의 신축에 의해 1단 수직보(113)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신축된다. 상기 3단 수직보(111)의 단부에서 상판(11) 내측으로 하부보(17)가 일정한 길이 만큼 진출하되 수평으로 진출되며 3단 수직보(111)와 하부보(17)의 결합 부분에는 3단 수직보(111)와 하부보(17) 사이의 인장력을 크게 하기 위해 유압잭(14d)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보(17) 위에서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각 하부보(17)를 크로스 하여 하부보(17) 위에 작업대(19b)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보(17) 상부에는 가이드(23b)가 하부보(17)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23b)에는 안착구(21)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구(21) 저부에는 상기 안착구(21)를 업. 다운시키는 유압잭(14e)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각 보(15,16,17)의 횡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상부보(15)와 상부보(15) 사이와 수직보(16)와 수직보(16) 사이에 지지보(24a,24b)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보와(16) 수직보(16) 사이에 형성된 지지보(24b)는 상판(11)의 높이와 같은 높이로 구성되어 작업통로(27a)가 형성되며 상기 작업통로(27)는 이동식으로형성되고 상기 지지보(24a)와 하부보(17) 사이에는 수직보(16)에 지지되는 사다리(22)가 형성되어 상판(11)과 지지보(24b)와 하부보(17)를 통과할 수 있는 통로(27b)가 형성된다.
실시 예로 설명하면,
직경이 600㎜인 상수도관(28)을 교량 상판(11) 저면에 가설하고자 할 때, 작업차를 이동시켜 작업위치에 정지시키고 엔진(104)을 가동시킨다. 엔진(104)이 가동된 후에는 유압이 작동되므로 작업대(19a) 4개의 지점에 설치된 유압 고정잭(102)을 신장시켜 상기 작업대(19a)가 수평을 유지토록 하고 지면에 고정시킨다. 상수도관(28)의 하중을 고려하여 하중의 중심을 후방에 위치하기 위해 웨이트의 적재대(25)가 작업대(19a)와 수평으로 거치된 유압 잭(도시되지 않음)을 작동시켜 상기 웨이트 적재대(25)를 작업대(19a)의 후방으로 신장시킨다.
상기와 같이 작업대(19a)가 고정되면 상부보(15)와 수직보(16)의 연결 부위에 설치된 유압잭(14a)을 작동하여 수직보(16)의 방향을 조절한 후, 지지보(24b)를 작동하여 상판(11)과 근접시켜 작업자는 상판(11)에서 지지보(24b)의 작업통로(27a)를 이용하여 각 잡업 장소로 산개하여 대기 한 후, 전동으로 작동되는 2개의 기중기(18)를 상판(11) 위에 적재된 상수관(28)의 위치로 작동시켜 상수관(28)을 도 1의 A와 같이 상부보(15)의 저부 까지 인양하여 도 1의 B와 같이 수직보(16) 근처까지 이동시키고 하강시켜 하부보(17)에 형성된 안착구(21)에 안착시킨다.
상기 상수관(28)이 안착구(21)에 안착되면 하부보(17)의 단부 까지 이동시킨다. 상기 안착구(21)는 가이드(23b)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수관(28)의 길이에 걸쳐 동일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수관(28)이 하부보(17)의 단부에 이동되면 3단 수직보(111)를 2단 수직보(112) 까지 상승시키고 2단 수직보(112)를 1단 수직보(113) 까지 상승시켜 상수관(28)을 상판(11) 저부 방향으로 상승시킨 후, 안착구(21)의 저부에 형성된 유압잭(14e)을 작동시켜 상수관(28)을 업. 다운시킬 수 있으므로 상수관(28)의 설치 위치에 따라 정밀한 조정이 가능하여 상기 상수관(28)을 정확한 위치에 설치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는 종래의 시설물 설치 방법을 크게 개선한 것으로, 교량의 상판과 연계하여 작업을 할 수 있으므로 수면의 사정과 관계없이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작업 일정대로 작업을 완료할 수 있고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는 공사비의 절감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Claims (5)

  1. 교량의 상판 저부에 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한 작업차에 있어서, 상부에는 웨이트(103)와 엔진(104)이 설치되고 고정 유압 잭(102)에 의해 수평으로 고정되며 기둥(12)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작업대(19a)와 상기 기둥(12)에서 수평으로 외부 방향으로 진출되며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23a)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23a)에 지지되어 이동하는 기중기(18)가 형성된 상부보(15)와 상기 상부보(15)의 단부에서 수직으로 하강하여 진출되며 상부보(15) 단부와 힌지(26)되고 상부보(15)의 단부에 형성되어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유압잭(14a)과 연결되는 수직보(16)와 상기 수직보(16)의 단부에서 수평으로 진출되고 그 상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23b)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23b)와 결합되어 이동하는 안착구(21)가 형성되고 작업대(19b)와 작업통로(27)가 형성되며 교량의 내측으로 진출되는 하부보(1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용 활차.
  2. 제1항에 있어서, 작업대(19a)는 작업대(19a)의 하중을 분산하기 위해 작업대(19a)의 후부에 유압잭의 신축으로 웨이트(103)의 적재대(25)가 작업대(19a)의 후방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용 활차.
  3. 제1항에 있어서, 수직보(16)는 2단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3단 수직보(111)는 신축되어 2단 수직보(112)에 수용되고 2단 수직보(112)는 신축되어 1단수직보(113)에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용 활차.
  4. 제1항에 있어서, 안착구(21)는 그 저부에 유압잭(14e)이 설치되어 업. 다운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용 활차.
  5. 제1항에 있어서, 기둥(12)과 각 보(15,16,17)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각 보(15,16,17) 사이의 장력을 보강하기 위해 수직보(16)의 상부와 중간부에 지지보(24a,24b)가 형성되며 상기 중간 지지보(24b)와 작업대(19b) 사이에 작업자의 통행을 위한 사다리(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작업용 활차.
KR10-2001-0029891A 2001-05-30 2001-05-30 이동식 작업용 활차 KR100407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891A KR100407393B1 (ko) 2001-05-30 2001-05-30 이동식 작업용 활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891A KR100407393B1 (ko) 2001-05-30 2001-05-30 이동식 작업용 활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985U Division KR200245277Y1 (ko) 2001-05-30 2001-05-30 이동식 작업용 활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666A KR20010070666A (ko) 2001-07-27
KR100407393B1 true KR100407393B1 (ko) 2003-12-03

Family

ID=19710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891A KR100407393B1 (ko) 2001-05-30 2001-05-30 이동식 작업용 활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73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694B1 (ko) * 2007-03-20 2007-08-30 주식회사 엠코리아 교량 슬래브 작업차의 작업리프트 접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63469A1 (en) * 2003-01-13 2004-07-29 Hankookb & B 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bridge moving
KR100833750B1 (ko) * 2007-03-19 2008-05-29 주식회사 엠코리아 교량 슬래브 작업차의 회전장치
KR101330469B1 (ko) * 2012-01-30 2013-11-20 신용찬 교량 공사용 크레인
CN104929039A (zh) * 2015-06-29 2015-09-23 河南易博联城规划建筑设计有限公司洛阳分公司 一种桥墩检修吊装架
CN112342909A (zh) * 2020-11-03 2021-02-09 温州融宸科技有限公司 一种桥梁检修装置及其使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694B1 (ko) * 2007-03-20 2007-08-30 주식회사 엠코리아 교량 슬래브 작업차의 작업리프트 접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666A (ko) 200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1772901U (zh) 一种空间异型钢箱拱肋安装装置
KR101970581B1 (ko) 철근 사각 케이지 제조용 지그장치와 이를 이용한 절첩 가능한 철근 사각 케이지 제조방법
JP5394334B2 (ja) 高所作業用作業床の施工方法
JP6348888B2 (ja) 重量物の階段揚重装置及び階段揚重方法
KR100407393B1 (ko) 이동식 작업용 활차
KR200245277Y1 (ko) 이동식 작업용 활차
KR20100086469A (ko) 이동 장치의 중량 부품의 조립 또는 보수에 사용하는 갠트리 장치
CN113685035A (zh) 一种用于建筑工地调整钢筋位置的提吊装置
JP2015101440A (ja) 重量物の階段揚重装置及び階段揚重方法
KR20190109873A (ko) 고소 작업용 승강작업대
JP4353343B2 (ja) 大型昇降ステージとこれを用いた揚重方法および逆打工法
JP2016142097A (ja) 可搬式昇降装置および水平部材の解体方法
KR102204933B1 (ko) 고소 작업대 승강장치
CN112945588A (zh) 反力横梁升降定位机构
CN111749058A (zh) 一种钢轨道梁安装胎具及钢轨道梁安装方法
KR101310013B1 (ko) 유압 잭을 이용한 가설 장치
JP7415657B2 (ja) 屋根施工システム及び屋根施工方法
JP7435025B2 (ja) 機械構台及び屋根施工方法
JP3413760B2 (ja) 乗客コンベアの据付装置
KR20030021549A (ko) 선박 프로펠러 조립용 대차
KR200256842Y1 (ko) 교량 작업용 이동식 활차
KR20100041242A (ko) 교량설치용 빔 적재장치
CN217758366U (zh) 桥面负弯矩张拉移动式吊笼
CN213231269U (zh) 一种钢结构模块化吊装施工设备
CN217537949U (zh) 一种装配式剪力墙运输吊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