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6968B1 - Rs-449의 선로오류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Rs-449의 선로오류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6968B1
KR100406968B1 KR10-1999-0018554A KR19990018554A KR100406968B1 KR 100406968 B1 KR100406968 B1 KR 100406968B1 KR 19990018554 A KR19990018554 A KR 19990018554A KR 100406968 B1 KR100406968 B1 KR 100406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signal
unit
voltag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8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4540A (ko
Inventor
편도승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18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6968B1/ko
Publication of KR20000074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4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9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69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flatable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0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tegral, body-bearing projections or protuberan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장치의 장거리 연결에 사용되는 RS-449에 있어서 선로의 정상유무를 송신단 혹은 수신단의 어느 한 부분에서 판단할 수 있는 RS-449의 선로오류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송신단 혹은 수신단의 어느 한쪽선로에만 연결하여 그 검출되는 플러스신호를 각각 서로 다른 기준신호값으로 비교출력하는 제1 내지 제4 비교기와, 상기 제1 내지 제4 비교기의 각 출력을 논리연산하는 제1 및 제2 앤드게이트와, 상기 제1 앤드게이트의 출력단에 지연회로부를 경유하여 출력되는 신호와 제2 앤드게이트의 출력신호를 논리연산하는 제3 앤드게이트로 구성되는 플러스라인 레벨검사부와; 상기 송신단 혹은 수신단중 어느 한 선로에 연결되어 그 검출되는 마이너스신호를 각각 서로 다른 기준신호값으로 비교출력하는 제1 내지 제4 비교기와, 상기 제1 내지 제4 비교기의 각 출력을 논리연산하는 제1 및 제2 앤드게이트와, 상기 제1 앤드게이트의 출력단에 지연회로부를 경유하여 출력되는 신호와 제2 앤드게이트의 출력신호를 논리연산하는 제3 앤드게이트로 구성되는 마이너스라인 레벨검사부와; 상기 플러스라인 레벨검사부과 마이너스라인 레벨검사부로 선로 오류검사에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레벨로 기준전압을 제공하는 기준전압발생부와; 상기 플러스라인 레벨검사부에 의해 검사된 플러스신호선로의 검사결과를 외부로 표시하는 제1 정상신호표시부와; 상기 마이너스라인 레벨검사부에 의해 검사된 마이너스신호선로의 검사결과를 외부로 표시하는 제2 정상신호표시부와; 상기 플러스라인 레벨검사부와 마이너스라인 레벨검사부의 출력을 동시에 인가받아 플러스 및 마이너스신호선로에 이상이 없을 경우 전체 신호가 정상임을 표시하는 전체정상신호표시부를 포함하는 통신선로의 선로오류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RS-449의 선로오류 감지장치{The apparatus for detecting the line errors of RS-449}
본 발명은 각종 장치의 장거리 연결에 사용되는 RS-449에 있어서 선로의 정상유무를 송신단 혹은 수신단의 어느 한 부분에서 판단할 수 있는 RS-449의 선로오류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단말과 모뎀 간의 인터페이스 및 각종 장치간의 인터페이스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장치는 시스템간의 데이터 직렬전송에서의 규격(미국전자공업회: EIA)에 따라 RS-232C, RS-422, RS-485, RS-449 등이 있다.
상기에서 RS-232C는 대 잡음 성능이 나쁘고, 장거리 전송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개인용 컴퓨터 등의 통신 송수신의 표준 인터페이스로 널리 보급되고 있다.
또한, 상기 RS-422는 상기 RS-232C에 비해 신호전압을 높게 하고, 장거리 전송을 가능케 한 것으로 전화의 전송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RS-485, RS-449는 동종으로서 하나의 보드에서 사용되어지기도 하고 여러 통신장치간의 통신선로로 구현되며 상기 RS-422와 마찬가지로 장거리 전송에 사용되어 지고 있다. 또한, 통신선로는 2와이어(wire)나 4와이어(wire) 방식으로 구성이 된다.
상기에서 RS-449에 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RS-449의 선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반적인 RS-449의 선로도는 데이터의 전송을 하는 송신단(5)과, 상기 송신단(5)에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단(10)과, 상기 송신단(5)과 수신단(10)의 마이너스(-) 신호를 연결하는 선로인 마이너스신호선로(15)와, 플러스(+) 신호를 연결하는 선로인 플러스신호선로(2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RS-449는 송신장치에 인터페이스된 송신단(5)이 상기 송신장치의 데이터를 마이너스신호선로(15) 및 플러스신호선로(20)를 통하여 전송하고 수신단(10)은 상기 송신장치가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장치에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RS-449에 있어서, 송신단과 수신단을 연결하는 선로에 오결선이나 단선이 일어나게 되면 그 오결선이나 단선을 확인하기 위해서 송신단과 수신단을 동시에 측정하여 그 결과를 확인해야 하나 실제로 송신단과 수신단이 원거리에 있기 때문에 측정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RS-449의 선로에 이상이 생길 경우 즉각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RS-449의 선로오류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송신단과 수신단을 연결하는 통신선로의 오류를 감지하는 장치에서, 상기 송신단 혹은 수신단의 어느 한쪽선로에만 연결하여 그 검출되는 플러스신호를 각각 서로 다른 기준신호값으로 비교출력하는 제1 내지 제4 비교기와, 상기 제1 내지 제4 비교기의 각 출력을 논리연산하는 제1 및 제2 앤드게이트와, 상기 제1 앤드게이트의 출력단에 지연회로부를 경유하여 출력되는 신호와 제2 앤드게이트의 출력신호를 논리연산하는 제3 앤드게이트로 구성되는 플러스라인 레벨검사부와; 상기 송신단 혹은 수신단중 어느 한 선로에 연결되어 그 검출되는 마이너스신호를 각각 서로 다른 기준신호값으로 비교출력하는 제1 내지 제4 비교기와, 상기 제1 내지 제4 비교기의 각 출력을 논리연산하는 제1 및 제2 앤드게이트와, 상기 제1 앤드게이트의 출력단에 지연회로부를 경유하여 출력되는 신호와 제2 앤드게이트의 출력신호를 논리연산하는 제3 앤드게이트로 구성되는 마이너스라인 레벨검사부와; 상기 플러스라인 레벨검사부과 마이너스라인 레벨검사부로 선로 오류검사에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레벨로 기준전압을 제공하는 기준전압발생부와; 상기 플러스라인 레벨검사부에 의해 검사된 플러스신호선로의 검사결과를 외부로 표시하는 제1 정상신호표시부와; 상기 마이너스라인 레벨검사부에 의해 검사된 마이너스신호선로의 검사결과를 외부로 표시하는 제2 정상신호표시부와; 상기 플러스라인 레벨검사부와 마이너스라인 레벨검사부의 출력을 동시에 인가받아 플러스 및 마이너스신호선로에 이상이 없을 경우 전체 신호가 정상임을 표시하는 전체정상신호표시부를 포함하는 통신선로의 선로오류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RS-449의 선로도
도 2는 본 발명인 RS-449의 선로오류 감지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도 2의 플러스라인레벨검사부의 상세블록도
도 4는 도 2의 마이너스라인레벨검사부의 상세블록도
도 5는 도 2의 정상신호표시부의 블록도
도 6은 도 3, 도 4, 도 5의 지연회로부의 상세 블록도
도 7은 도 2의 전체정상신호표시부의 블록도
도 8a는 플러스선로 정상신호범위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8b는 마이너스선로 정상신호범위를 나타내는 예시도
<부호의 상세한 설명>5 : 송신단 10 : 수신단
15 : 마이너스신호선로 20 : 플러스신호선로
25 : 플러스라인레벨검사부 30 : 마이너스라인레벨검사부
25a, 30a : 제1 비교기 25b, 30b : 제2 비교기
25c, 30c : 제3 비교기 25d, 30d : 제4 비교기
25e, 30e : 제1 AND게이트 25f, 30f : 제2 AND게이트
25g, 30g, 45b : 지연회로부 25h, 30h : 제3 AND게이트
35 : 기준전압발생부 40 : 제1 정상신호표시부
45 : 제2 정상신호표시부 45a, 50b : 신호표시부
50 : 전체정상신호표시부 50a : AND게이트
55 : 클럭부 60 : 타이머
65 : 타이머 제어회로부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인 RS-449의 선로오류 감지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데이터의 전송을 하는 송신단(5)과, 상기 송신단(5)에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단(10)과, 상기 송신단(5)과 수신단(10)의 마이너스(-) 신호를 연결하는 선로인 마이너스신호선로(15)와, 플러스(+) 신호를 연결하는 선로인 플러스신호선로(20)와, 상기 플러스신호선로(20)에 연결되어 전압이 하이(high)와 로우(low)로 변할 시 그 전압의 레벨을 검사하여 정상적인 신호인가를 판단하는 플러스라인레벨검사부(25)와, 상기 마이너스신호선로(15)에 연결되어 전압이 하이(high)와 로우(low)로 변할 시 그 전압의 레벨을 측정하여 정상적인 신호인가를 판단하는 마이너스라인레벨검사부(30)와, 상기 플러스라인레벨검사부(25)와 마이너스라인레벨검사부(30)가 플러스신호선로(20) 및 마이너스신호선로(15)의 전압의 레벨을 측정하도록 기준전압을 각각 3V, 2V, 1V, 100mV로 상기 플러스라인레벨검사부(25)와 마이너스라인레벨검사부(30)로 출력하는 기준전압발생부(35)와, 상기 플러스라인레벨검사부(25)가 기준전압발생부(35)에서 인가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플러스신호선로(20)의 전압이 정상적인 전압일 경우 그 결과를 외부로 표시하는 제1 정상신호표시부(40)와, 상기 마이너스라인레벨검사부(30)가 기준전압발생부(35)에서 인가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마이너스신호선로(15)의 전압이 정상적인 전압일 경우 그 결과를 외부로 표시하는 제2 정상신호표시부(45)와, 상기 플러스라인레벨검사부(25)와 마이너스라인레벨검사부(30)에 연결되어 상기 플러스신호선로(20) 및 마이너스신호선로(15)가 동시에 이상이 없을 경우 전체 신호가 정상임을 표시하는 전체정상신호표시부(50)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서 플러스라인레벨검사부(25) 및 마이너스라인레벨검사부(30)에 관하여 도 3,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의 플러스라인레벨검사부의 상세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마이너스라인레벨검사부의 상세블록도이다.
먼저, 플러스라인레벨검사부(25)에 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기준전압발생부(35)의 전압중 3V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플러스신호선로(20)의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3V보다 낮으면 1을 높으면 0을 출력하는 제1 비교기(25a)와, 상기 기준전압발생부(35)의 전압중 2V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플러스신호선로(20)의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2V보다 낮으면 0을 높으면 1을 출력하는 제2 비교기(25b)와, 상기 기준전압발생부(35)의 전압중 1V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플러스신호선로(20)의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1V보다 낮으면 1을 높으면 0을 출력하는 제3 비교기(25c)와, 상기 기준전압발생부(35)의 전압중 100mV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플러스신호선로(20)의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100mV보다 낮으면 0을 높으면 1을 출력하는 제4 비교기(25d)와, 상기 제1 비교기(25a), 제2 비교기(25b)에 연결되어 출력값에 따라서 AND연산을 하는 제1 AND게이트(25e)와, 상기 제3 비교기(25c), 제4 비교기(25d)에 연결되어 출력값에 따라서 AND연산을 하는 제2 AND게이트(25f)와, 상기 제1 AND게이트(25e)에 연결되어, 상기 제1 AND게이트(25e)의 출력값을 상기 제2 AND게이트(25f)의 다음 출력값과 연산되도록 그 주기를 연장시키는 지연회로부(25g)와, 상기 지연회로부(25g)의 출력값과 상기 제2 AND게이트(25f)의 출력값과 AND연산을 하는 제3 AND게이트(25h)로 구성된다.
마이너스라인레벨검사부(30)에 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기준전압발생부(35)의 전압중 3V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마이너스신호선로(15)의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3V보다 낮으면 1을 높으면 0을 출력하는 제1 비교기(30a)와, 상기 기준전압발생부(35)의 전압중 2V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마이너스신호선로(15)의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2V보다 낮으면 0을 높으면 1을 출력하는 제2 비교기(30b)와, 상기 기준전압발생부(35)의 전압중 1V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마이너스신호선로(15)의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1V보다 낮으면 1을 높으면 0을 출력하는 제3 비교기(30c)와, 상기 기준전압발생부(35)의 전압중 100mV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플러스신호선로(20)의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100mV보다 낮으면 0을 높으면 1을 출력하는 제4 비교기(30d)와, 상기 제1 비교기(30a), 제2 비교기(30b)에 연결되어 출력값에 따라서 AND연산을 하는 제1 AND게이트(30e)와, 상기 제3 비교기(30c), 제4 비교기(30d)에 연결되어 출력값에 따라서 AND연산을 하는 제2 AND게이트(30f)와, 상기 제2 AND게이트(30f)에 연결되어, 상기 제2 AND게이트(30f)의 출력값을 상기 제1 AND게이트(30e)의 다음 출력값과 연산되도록 그 주기를 연장시키는 지연회로부(30g)와, 상기 제1 AND게이트(30e)의 출력값과 지연회로부(30g)의 출력값과 AND연산을 하는 제3 AND게이트(30h)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정상신호표시부(40)와 제2 정상신호표시부(45)의 구성에 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2의 정상신호표시부의 블록도이다.
상기 정상신호표시부는 플러스라인레벨검사부(25) 및 마이너스레벨검사부(30)에서 출력되는 출력값을 인가받으면 그 것을 육안으로 인식이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신호표시부(45a)와, 상기 신호표시부(45a)로 인가되는 출력값을 인가받아 일정시간 지연시켰다가 상기 신호표시부(45a)로 다시 인가하여 리셋(reset)시켜서 상기 신호표시부(45a)가 일정시간 온되어 정상임을 표시한 후 다시 오프되도록 하는 지연회로부(45b)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플러스라인레벨검사부(25), 마이너스라인레벨검사부(30), 제1 정상신호표시부(40), 제2 정상신호표시부(45)의 지연회로부(25g, 30g, 45b)에 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3, 도 4, 도 5의 지연회로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상기 지연회로부(25g, 30g, 45b)는 일정주기에 맞게 계속해서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부(55)와, 입력되는 신호값을 일정시간 지연시켜 출력하기 위해 상기 클럭부(55)에서 입력되는 클럭신호를 카운팅하여 일정 시간이 되면 상기 입력 신호값을 외부로 출력하는 타이머(60)와, 상기 타이머(60)를 제어하여 클럭부(55)에서 입력되는 클럭신호의 카운팅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제어회로부(65)로 구성되어 상기 플러스라인레벨검사부(25) 및 마이너스라인레벨검사부(30)의 지연회로부(25g, 30g, 45b)는 통신속도에 맞추어 지연을 시키며, 상기 제1 정상신호표시부(40), 제2 정상신호표시부(45)는 정상임을 표시하는 시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맞추어 지연시킨다.
또한, 상기 전체정상신호표시부(50)에 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2의 전체정상신호표시부의 블록도이다.
상기 전체정상신호표시부(50)는 상기 플러스라인레벨검사부(25)와 마이너스라인레벨검사부(30)에서 출력되는 출력값을 AND연산하는 AND게이트(50a)와, 상기 AND게이트(50a)에서 연산한 결과값이 "1"인 경우 상기 플러스신호선로(20)와 마이너스신호선로(15)에 이상이 없음을 표시하는 신호표시부(50b)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는 플러스선로 정상신호범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b는 마이너스선로 정상신호범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동작은 두가지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첫 번째는 플러스신호선로(20)와 마이너스신호선로(15)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 와 두 번째는 플러스신호선로(20)와 마이너스신호선로(15)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생겼을 때이다.
첫 번째에 관해서 설명하면, 상기 플러스신호선로(20)의 신호레벨은 상기 도 8a와 같이 3V ~ 2V 사이의 하이(high)값과 1V ~ 100mV 사이의 로우(low)값을 가지고 주기적으로 진동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마이너스신호선로(15)의 신호레벨은 상기 도 8b와 같이 1V ~ 100mV 사이의 로우(low)값과 3V ~ 2V 사이의 하이(high)값을 가지고 주기적으로 진동한다. 상기와 같은 레벨을 가지는 신호에서 플러스신호선로(20)는 플러스라인레벨검사부(25)로 마이너스신호선로(15)는 마이너스라인레벨검사부(30)로 인가된다. 상기 플러스신호선로(20)에서 플러스라인레벨검사부(25)로 인가된 플러스신호는 처음에 레벨이 도 8a와 같이 3V ~ 2V 사이이기 때문에 상기 제1 비교기(25a)에서는 "1"의 결과값이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비교기(25b)에서는 "1"이 출력되고, 상기 제3 비교기(25c)에서는 "0"이 출력되고 제4 비교기(25d)에서는 "1"이 출력된다. 상기 각 비교기에서 출력된 출력값 중 제1 비교기(25a), 제2 비교기(25b)의 출력값 "1", "1"은 제1 AND게이트(25e)에서 연산되어 출력값 "1"이 지연회로부(25g)로 출력되고, 제3 비교기(25c), 제4 비교기(25d)의 출력값 "0", "1"은 제2 AND게이트(25f)에서 연산되어 출력값 "0"을 상기 제3 AND게이트(25h)로 출력한다. 상기에서 지연회로부(25g)로 인가된 출력값 "1"은 상기 제2 AND게이트(25f)의 다음 출력값이 출력될 때까지 지연된다.
상기 플러스신호선로(20)에서 플러스라인레벨검사부(25)로 인가된 플러스신호의 레벨이 도 8a와 같이 처음 3V ~ 2V 사이에서 1V ~ 100mV 사이로 강하하게 되면, 상기 제1 비교기(25a)에서는 "1"의 결과값이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비교기(25b)에서는 "0"이 출력되고, 상기 제3 비교기(25c)에서는 "1"이 출력되고 제4 비교기(25d)에서는 "1"이 출력된다. 상기 각 비교기에서 출력된 출력값 중 제1 비교기(25a), 제2 비교기(25b)의 출력값 "1", "0"은 제1 AND게이트(25e)에서 연산되어 출력값 "0"이 지연회로부(25g)로 출력되고, 제3 비교기(25c), 제4 비교기(25d)의 출력값 "1", "1"은 제2 AND게이트(25f)에서 연산되어 출력값 "1"을 상기 제3 AND게이트(25h)로 출력한다.
상기에서 제3 AND게이트(25h)로 제2 AND게이트(25f)의 출력값 "1"이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지연회로부(25g)에서 지연되고 있었던 첫 번째 출력값인 "1"이 출력되면 상기 제3 AND게이트(25h)의 출력값은 "1"과 "1"의 AND연산에 의해 "1"이 출력된다.
상기에 의해 제3 AND게이트(25h)에서 출력된 "1"은 제1 정상신호표시부(40)로 인가되고, 상기 제1 정상신호표시부(40)의 신호표시부(45a)는 출력값 "1"을 인가받아 플러스신호선로(20)가 정상임을 알리는 표시를 하게된다. 또한, 상기 제1 정상신호표시부(40)의 지연회로부(45b)는 상기 제3 AND게이트(25h)에서 출력값을 인가받아 일정시간, 즉 플러스신호선로(20)가 정상임을 알리는 표시시간 동안 지연시킨 뒤 상기 신호표시부(45a)를 리셋(reset)시키는 출력값을 신호표시부(45a)에 출력하여 정상신호임을 알리는 표시를 멈추게 한다.
또한, 상기 마이너스신호선로(15)에서 마이너스라인레벨검사부(30)로 인가된 마이너스신호는 처음에 레벨이 도 8b와 같이 1V ~ 100mV 사이이기 때문에 상기 제1 비교기(30a)에서는 "1"의 결과값이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비교기(30b)에서는 "0"이 출력되고, 상기 제3 비교기(30c)에서는 "1"이 출력되고 제4 비교기(30d)에서는 "1"이 출력된다. 상기 각 비교기에서 출력된 출력값 중 제1 비교기(30a), 제2 비교기(30b)의 출력값 "1", "0"은 제1 AND게이트(30e)에서 연산되어 출력값 "0"을 상기 제3 AND게이트(30h)로 출력하고, 제3 비교기(30c), 제4 비교기(30d)의 출력값 "1", "1"은 제2 AND게이트(30f)에서 연산되어 출력값 "1"을 지연회로부(30g)로 출력한다. 상기에서 지연회로부(30g)로 인가된 출력값 "1"은 상기 제1 AND게이트(30e)의 다음 출력값이 출력될 때까지 지연된다.
상기 마이너스신호선로(15)에서 마이너스라인레벨검사부(30)로 인가된 마이너스신호의 레벨이 도 8b와 같이 처음 1V ~ 100mV 사이에서 3V ~ 2V 사이로 상승하게 되면, 상기 제1 비교기(30a)에서는 "1"의 결과값이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비교기(30b)에서는 "1"이 출력되고, 상기 제3 비교기(30c)에서는 "0"이 출력되고 제4 비교기(30d)에서는 "1"이 출력된다. 상기 각 비교기에서 출력된 출력값 중 제1 비교기(30a), 제2 비교기(30b)의 출력값 "1", "1"은 제1 AND게이트(30e)에서 연산되어 출력값 "1"이 제3 AND게이트(30h)로 출력되고, 제3 비교기(30c), 제4 비교기(30d)의 출력값 "0", "1"은 제2 AND게이트(30f)에서 연산되어 출력값 "0"을 상기 지연회로부(30g)로 출력한다.
상기에서 제3 AND게이트(30h)로 제1 AND게이트(30e)의 출력값 "1"이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지연회로부(30g)에서 지연되고 있었던 첫 번째 출력값인 "1"이 출력되면 상기 제3 AND게이트(30h)의 출력값은 "1"과 "1"의 AND연산에 의해 "1"이 출력된다.
상기에 의해 제3 AND게이트(30h)에서 출력된 "1"은 제2 정상신호표시부(45)로 인가되고, 상기 제2 정상신호표시부(45)의 신호표시부(45a)는 출력값 "1"을 인가받아 마이너스신호선로(15)가 정상임을 알리는 표시를 하게된다. 또한, 상기 제2 정상신호표시부(45)의 지연회로부(45b)는 상기 제3 AND게이트(30h)에서 출력값을 인가받아 상기 제1 정상신호표시부(40)와 마찬가지로 일정시간 지연시킨 후 상기 신호표시부(45a)를 리셋(reset)시켜 정상신호임을 알리는 표시를 멈추게 한다.
상기에 의해 플러스신호선로(20)와 마이너스신호선로(15)가 정상으로 표시됨과 동시에 상기 플러스라인레벨검사부(25)와 마이너스라인레벨검사부(30)의 출력값인 "1", "1"은 전체정상신호표시부(50)의 AND게이트(50a)로 인가되어 AND연산 된 후 그 결과값 "1"에 의해 신호표시부(50b)는 플러스신호선로(20) 및 마이너스신호선로(15) 전체에 이상이 없음을 알리는 표시하게된다.
두 번째에 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선 플러스신호선로(20)에 이상이 있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8a에서의 파형에서 하이(high)일 때에는 3V 이상이고 로우(low)일 때에는 100mV이하일 경우로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상기 플러스신호선로(20)에서 플러스라인레벨검사부(25)로 인가된 플러스신호는 처음에 레벨이 3V 이상이기 때문에 상기 제1 비교기(25a)에서는 "0"의 결과값이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비교기(25b)에서는 "1"이 출력되고, 상기 제3 비교기(25c)에서는 "0"이 출력되고 제4 비교기(25d)에서는 "1"이 출력된다. 상기 각 비교기에서 출력된 출력값 중 제1 비교기(25a), 제2 비교기(25b)의 출력값 "0", "1"은 제1 AND게이트(25e)에서 연산되어 출력값 "0"이 지연회로부(25g)로 출력되고, 제3 비교기(25c), 제4 비교기(25d)의 출력값 "0", "1"은 제2 AND게이트(25f)에서 연산되어 출력값 "0"을 상기 제3 AND게이트(25h)로 출력한다. 상기에서 지연회로부(25g)로 인가된 출력값 "0"은 상기 제2 AND게이트(25f)의 다음 출력값이 출력될 때까지 지연된다.
상기 플러스신호선로(20)에서 플러스라인레벨검사부(25)로 인가된 플러스신호의 레벨이 처음 3V 이상에서 100mV 이하로 강하하게 되면, 상기 제1 비교기(25a)에서는 "1"의 결과값이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비교기(25b)에서는 "0"이 출력되고, 상기 제3 비교기(25c)에서는 "1"이 출력되고 제4 비교기(25d)에서는 "0"이 출력된다. 상기 각 비교기에서 출력된 출력값 중 제1 비교기(25a), 제2 비교기(25b)의 출력값 "1", "0"은 제1 AND게이트(25e)에서 연산되어 출력값 "0"이 지연회로부(25g)로 출력되고, 제3 비교기(25c), 제4 비교기(25d)의 출력값 "1", "0"은 제2 AND게이트(25f)에서 연산되어 출력값 "0"을 상기 제3 AND게이트(25h)로 출력한다.
상기에서 제3 AND게이트(25h)로 제2 AND게이트(25f)의 출력값 "0"이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지연회로부(25g)에서 지연되고 있었던 첫 번째 출력값인 "0"이 출력되면 상기 제3 AND게이트(25h)의 출력값은 "0"과 "0"의 AND연산에 의해 "0"이 출력된다.
상기에 의해 제3 AND게이트(25h)에서 출력된 "0"은 제1 정상신호표시부(40)로 인가되고 상기에 의해 신호표시부(45a)는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게 되어, 즉 플러스신호선로(20)에 이상이 생겼음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너스신호선로(15)에서 마이너스라인레벨검사부(30)로 인가된 마이너스신호는 상기 첫 번째 경우와 동일하게 작동하기 때문에 상기 제2 정상신호표시부(45)의 신호표시부(45a)는 마이너스신호선로(15)가 정상임을 알리는 표시를 하게된다.
상기에 의해 플러스신호선로(20)는 이상이 있고 마이너스신호선로(15)는 정상으로 표시됨과 동시에 상기 플러스라인레벨검사부(25)와 마이너스라인레벨검사부(30)의 출력값인 "0", "1"은 전체정상신호표시부(50)의 AND게이트(50a)로 인가되어 AND연산 된 후 그 결과값 "0"에 의해 신호표시부(50b)는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게 되어 전체 선로에 이상이 생겼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플러스라인레벨검사부(25) 및 마이너스라인레벨검사부(30)의 지연회로부(25g, 30g)와, 제1 정상신호표시부(40) 및 제2 정상신호표시부(45)의 지연회로부(45b)에 관하여 설명하면, 상기 지연회로부(25g, 30g, 45b)의 클럭부(55)는 일정 주기의 클럭을 생성하고 타이머(60)는 그 클럭을 카운팅한다. 상기 타이머(60)에 의해 클럭이 카운팅되면 타이머제어회로부(65)는 주어진 시간이 되면 지연회로부(25g, 30g, 45b)로 입력된 신호를 출력시킨다. 즉 상기 타이머제어회로부(65)의 시간제어에 따라 입력된 신호의 지연시간이 결정되는데, 본 발명의 플러스라인레벨검사부(25) 및 마이너스라인레벨검사부(30)에서는 지연시간을 첫 번째 출력값이 두 번째 출력값에 대응하여 연산되도록 지연시키고, 제1 정상신호표시부(40) 및 제2 정상신호표시부(45)에서는 신호표시부(45a)가 정상임을 표시하는 시간동안 입력된 신호를 지연시키고 그 지연시간이 지나면 신호표시부(45a)를 리셋(reset)시켜서 정상임을 알리는 표시를 멈추게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선로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는 본원에서 예시한 경우 이외에도 다양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동작에 의해서 모든 이상유무는 검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RS-449 선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상유무를 검출할 수 있도록 송신단에서 수신단으로 전송되는 플러스라인 및 마이너스라인의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전압이 일정레벨에 속하지 않는 경우 각 라인별로 이상이 있음을 표시하고 전압이 정상적인 레벨에 속하는 경우는 각 라인별로 이상이 없음을 표시하고 이에 따라 전체에 이상이 없으면 전체 이상없음을 표시하여 RS-449선로에서 발생하는 선로의 이상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송수신 양끝단에서 동시에 측정하던 것을 양끝단의 어느 한쪽 단을 선택하여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송신단과 수신단을 연결하는 통신선로의 오류를 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 혹은 수신단의 어느 한쪽선로에만 연결하여 그 검출되는 플러스신호를 각각 서로 다른 기준신호값으로 비교출력하는 제1 내지 제4 비교기와, 상기 제1 내지 제4 비교기의 각 출력을 논리연산하는 제1 및 제2 앤드게이트와, 상기 제1 앤드게이트의 출력단에 지연회로부를 경유하여 출력되는 신호와 제2 앤드게이트의 출력신호를 논리연산하는 제3 앤드게이트로 구성되는 플러스라인 레벨검사부와;
    상기 송신단 혹은 수신단중 어느 한 선로에 연결되어 그 검출되는 마이너스신호를 각각 서로 다른 기준신호값으로 비교출력하는 제1 내지 제4 비교기와, 상기 제1 내지 제4 비교기의 각 출력을 논리연산하는 제1 및 제2 앤드게이트와, 상기 제1 앤드게이트의 출력단에 지연회로부를 경유하여 출력되는 신호와 제2 앤드게이트의 출력신호를 논리연산하는 제3 앤드게이트로 구성되는 마이너스라인 레벨검사부와;
    상기 플러스라인 레벨검사부과 마이너스라인 레벨검사부로 선로 오류검사에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레벨로 기준전압을 제공하는 기준전압발생부와;
    상기 플러스라인 레벨검사부에 의해 검사된 플러스신호선로의 검사결과를 외부로 표시하는 제1 정상신호표시부와;
    상기 마이너스라인 레벨검사부에 의해 검사된 마이너스신호선로의 검사결과를 외부로 표시하는 제2 정상신호표시부와;
    상기 플러스라인 레벨검사부와 마이너스라인 레벨검사부의 출력을 동시에 인가받아 플러스 및 마이너스신호선로에 이상이 없을 경우 전체 신호가 정상임을 표시하는 전체정상신호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선로의 선로오류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스라인 레벨검사부의 제1비교기는 기준전압발생부의 전압중 최고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플러스신호선로의 전압이 상기 기준최고전압보다 낮으면 "1"을, 높으면 "0"을 출력하고; 상기 플러스라인 레벨검사부의 제2비교기는 상기 기준전압발생부의 전압중 두 번째로 높은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플러스신호선로의 전압이 상기 두 번째 전압보다 낮으면 "0"을, 높으면 "1"을 출력하고; 상기 플러스라인 레벨검사부의 제3비교기는 상기 기준전압발생부의 전압중 세 번째로 높은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플러스신호선로의 전압이 상기 세 번째 전압보다 낮으면 "1"을, 높으면 "0"을 출력하고; 상기 플러스라인 레벨검사부의 제3비교기는 상기 기준전압발생부의 전압중 최저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플러스신호선로의 전압이 상기 최저전압보다 낮으면 "0"을, 높으면 "1"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선로의 선로오류 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너스라인 레벨검사부의 제1비교기는 기준전압발생부의 전압중 최고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마이너스신호선로의 전압이 상기 기준최고전압보다 낮으면 "1"을, 높으면 "0"을 출력하고; 상기 마이너스라인 레벨검사부의 제2비교기는 상기 기준전압발생부의 전압중 두 번째로 높은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마이너스신호선로의 전압이 상기 두 번째 전압보다 낮으면 "0"을, 높으면 "1"을 출력하고; 상기 마이너스라인 레벨검사부의 제3비교기는 상기 기준전압발생부의 전압중 세 번째로 높은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마이너스신호선로의 전압이 상기 세 번째 전압보다 낮으면 "1"을, 높으면 "0"을 출력하고; 상기 마이너스라인 레벨검사부의 제3비교기는 상기 기준전압발생부의 전압중 최저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마이너스신호선로의 전압이 상기 최저전압보다 낮으면 "0"을, 높으면 "1"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선로의 선로오류 감지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상신호표시부와 제2 정상신호표시부의 각각은 인가되는 플러스라인 레벨검사부및 마이너스라인 레벨검사부의 출력신호를 표시하는 신호표시부와, 상기 플러스라인 레벨검사부 및 마이너스라인 레벨검사부의 출력신호를 일정시간 지연시킨 다음 신호표시부로 인가하는 지연회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선로의 선로오류 감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정상신호표시부는 상기 플러스라인 레벨검사부와 마이너스라인 레벨검사부의 출력신호를 AND연산하는 AND게이트와,
    상기 AND게이트에 의해 연산한 결과값에 따라 플러스신호선로와 마이너스신호선로의 이상유무를 표시하는 신호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선로의 선로오류 감지장치.
  7. 제1항 또는 제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회로부는 일정주기에 맞게 계속해서 클럭을 발생하는 클럭부와, 상기 입력되는 신호값을 일정시간 지연시키기위해 상기 클럭부의 클럭신호를 카운팅하여 출력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의 동작을 조작하여 클럭부의 클력신호의 카운팅시간을 제어하는 타이머제어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선로의 선로오류 감지장치.
KR10-1999-0018554A 1999-05-21 1999-05-21 Rs-449의 선로오류 감지장치 KR100406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554A KR100406968B1 (ko) 1999-05-21 1999-05-21 Rs-449의 선로오류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554A KR100406968B1 (ko) 1999-05-21 1999-05-21 Rs-449의 선로오류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540A KR20000074540A (ko) 2000-12-15
KR100406968B1 true KR100406968B1 (ko) 2003-11-28

Family

ID=19587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8554A KR100406968B1 (ko) 1999-05-21 1999-05-21 Rs-449의 선로오류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696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5081A (en) * 1981-08-27 1982-05-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eration display device
JPH02228825A (ja) * 1989-03-02 1990-09-11 Fujikura Ltd 通信線路の切替装置における故障診断装置
JPH0472937A (ja) * 1990-07-13 1992-03-0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故障診断装置
US5295132A (en) * 1991-08-27 1994-03-15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Multiplex transmission apparatus with transmission line fault detection
US5483639A (en) * 1993-03-12 1996-01-09 Mercedes-Benz Ag Device for detecting transmission errors in balanced two-wire bus lines and two-bus interfac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5081A (en) * 1981-08-27 1982-05-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eration display device
JPH02228825A (ja) * 1989-03-02 1990-09-11 Fujikura Ltd 通信線路の切替装置における故障診断装置
JPH0472937A (ja) * 1990-07-13 1992-03-0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故障診断装置
US5295132A (en) * 1991-08-27 1994-03-15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Multiplex transmission apparatus with transmission line fault detection
US5483639A (en) * 1993-03-12 1996-01-09 Mercedes-Benz Ag Device for detecting transmission errors in balanced two-wire bus lines and two-bus interfa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540A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8919B2 (en) Collision detection in EIA-485 bus systems
EP3657187B1 (en) Fault detection in a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system
US8982968B2 (en) Apparatus for converting terminal polarity for R S communication
US5315597A (en) Method and mean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nd correcting a polarlity error in twisted-pair media
KR100406968B1 (ko) Rs-449의 선로오류 감지장치
CN107294762B (zh) 用于可编程逻辑控制器的电信系统
CN112630689A (zh) 一种断线诊断装置及相关组件
US10530366B1 (en)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fault detector
US6538865B1 (en) Fault-detecting device for communication system
CN110133481B (zh) Io桥接短路的测试方法及测试电路
KR100306349B1 (ko) 데이타통신시스템과그시스템을위한장치
CN109188248B (zh) 一种电路诊断的装置、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H08265374A (ja) 平行に案内された2本のデータラインでのデジタルデータメッセージの直列伝送を監視する方法
JP2900781B2 (ja) ケーブル接続異常検出回路およびその方法
JP3036991B2 (ja) 平衡伝送路断線検出回路
US200500474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response time of a differential signal pair squelch detection circuit
JP7189853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
JPH08233890A (ja) ケーブル誤接続検出装置
KR19980072411A (ko) 버스(bus)방식 시스템의 통신선로 점검장치 및 점검방법
JPH07245629A (ja) 伝送路の異常検出装置
CN112162141A (zh) 电流检测装置及电路检测方法
JPS61126847A (ja) デ−タ伝送システムの回線断線検出装置
KR0184781B1 (ko) 센서의 모니터장치
KR20110029281A (ko) 유선통신시스템에서의 링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JPH11308251A (ja) データ伝送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