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6705B1 - 자동차의 선쉐이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선쉐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6705B1
KR100406705B1 KR10-2001-0022179A KR20010022179A KR100406705B1 KR 100406705 B1 KR100406705 B1 KR 100406705B1 KR 20010022179 A KR20010022179 A KR 20010022179A KR 100406705 B1 KR100406705 B1 KR 100406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raking
plate
rod
sunsh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2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2609A (ko
Inventor
권기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2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6705B1/ko
Publication of KR20020082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2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7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22Sliding roof trays o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선쉐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급정거 및 급출발시 바디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은 힘으로써 바디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루프 글래스(40)의 하부에 위치되며, 대략 편평한 판상의 형태를 갖는 바디(100)와; 바디(100)의 좌,우 양측면에 복수 설치되며, 프레임(30)상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200)와; 중심면이 바디(100)상에 고정되고, 양단이 가이드 플레이트(200)에 개재되어 가이드 플레이트(200)를 프레임(30)상에 가압 지지함으로써 바디(100)의 유동을 억제하는 판 스프링(300)과; 바디(100)상에 설치되며, 제동판(411)을 프레임(30)에 삽입하여 바디(100)에 제동력을 선택적으로 부여 및 해제하는 제동수단(40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선쉐이드{A SUNSHAD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선 쉐이드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루프 패널(roof panel)상에는 차내부와 외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켜 차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키거나 또는 신선한 외기를 차 내부로 도입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선 루프(sun roof;10)를채용하고 있다.
즉, 루프 패널(20) 상면에 소정크기의 개방홈(21)을 형성하고, 이 개방홈(21)에 내면에 가이드 홈(미도시)을 갖는 프레임(frame;30)을 마련한 뒤, 이 프레임(30)상에 루프 글래스(roof glass;40)를 상,하로 틸팅 및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이때 루프 글래스(40)가 투명한 것이기 때문에 직사광선이 차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는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프레임(30)상에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선 쉐이드(sunshade;50)를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선 쉐이드(50)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성형된 것으로서, 프레임(30)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이송되면서 루프 글래스를 통해 유입되는 빛의 차광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전술한 선 쉐이드(50)의 상세한 구조를 보면, 크게 바디(body;51)와 가이드 플레이트(guide plate;52) 및 판 스프링(53)으로 대별된다.
바디(51)는 실질적으로 차광률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대략 편평한 판상의 형태를 이루며, 전면 일측에는 손잡이(51a)가 마련된다.
가이드 플레이트(52)는, 바디(51)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3곳 정도 마련되는 것으로서, 전술한 프레임(30)상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판 스프링(53)은, 일단이 가이드 플레이트(52)에 고정되고 타단이 바디(51)상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가이드 플레이트(52)를 프레임(30)으로 가압지지하여, 바디(51)가 프레임(30)을 중심으로 전,후로 유동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선쉐이드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선쉐이드(50)를 개방하고자 전,후로 슬라이딩 시킬 때 판 스프링(53)에 의한 가압력이 크기 때문에 큰 힘이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는 바디(51)가 급정거나 급출발시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많은 판 스프링(53)과 가이드 플레이트(52)를 통해 유동을 억제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사용자가 이 힘을 이기고 전,후로 슬라이딩 시키기란 그리 용이치 않는 것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급정거 및 급출발시 바디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은 힘으로써 바디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의 선쉐이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루프 패널의 상면에 마련된 프레임상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 루프 글래스로 유입되는 빛을 선택적으로 차광하는 선쉐이드에 있어서, 상기 선 루프 글래스의 하부에 위치되며, 대략 편평한 판상의 형태를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좌,우 양측면에 복수 설치되며, 프레임상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중심면이 바디상에 고정되고, 양단이 가이드 플레이트에 개재되어 가이드 플레이트를 프레임상에 가압 지지함으로써 바디의 유동을 억제하는 판 스프링과; 상기 바디상에 설치되며, 제동판을 프레임에 삽입하여 바디에 제동력을 선택적으로 부여 및 해제하는 제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선루프 차량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쉐이드의 평면도.
도 4는 종래 선쉐이드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선 루프 20 : 루프 패널 30 : 프레임
40 : 루프 글래스 100 : 바디 200 : 가이드 플레이트
300 : 판 스프링 400 : 제동수단 410 : 제동로드
411 : 제동판 420 : 스프링 430 : 연동로드
440 : 와이어 500 : 가이더 510 : 안내홈
도 1 및 도 2에 참조되고 도 3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바디(body;100)와 가이드 플레이트(guide plate;200) 그리고 판 스프링(300)과 제동수단(400)으로 대별된다.
바디(100)는, 루프 글래스(40)의 하부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차광률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대략 편평한 판상의 형태를 갖는다.
가이드 플레이트(200)는, 바디(10)의 좌,우 양측면에 각각 2개소씩 설치되는 것으로서, 프레임(30)의 내면에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판 스프링(300)은, 일단이 가이드 플레이트(200)에 결합되고, 타단이 바디(100)상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소정의 탄성력으로 가이드 플레이트(200)를 프레임(30)으로 가압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판 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 플레이트(200)가 어느정도의 가압력으로 프레임(30)에 가압 지지됨으로써 바디(100)의 전,후 방향으로의 유동을 어느정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제동수단(400)은, 바디(100)를 연동시키지 않을 때 바디(100)를 프레임(30)에 견고히 위치 고정시킴으로써 차량의 급출발 또는 급정거시 유동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며, 또한 바디(100)를 연동시킬때에는 제동력을 해제하여 원활한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동수단(400)의 상세한 구조를 보면, 크게 제동로드(410)와 스프링(420) 그리고 연동로드(430)와 와이어(440)로 이루어진다.
제동로드(410)는, 바디의 중심면의 좌,우 하면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단부에는 프레임(30)의 내측에 삽입되며 큰 마찰력을 갖는 제동판(411)이 마련된다.
이와같이 제동판(411)에 큰 마찰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제동판(411)은 고무(rubber)로 성형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스프링(420)은, 바디(100) 외측면과 제동판(411) 사이의 제동로드(410) 외주면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제동판(411)을 프레임(30)을 향해 탄성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연동로드(430)는, 제동로드(41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즉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어 그 단부가 제동로드(410)의 단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바디(100)이 하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특히 전방측에는 핸들(handle;431)이 마련된다.
와이어(440)는, 제동로드(410)의 단부와 이 사이에 위치된 연동로드(430) 사이에 마련되어 이들을 일체로 연결시킴으로써 연동로드(430)의 전,후 이송에 따라 제동로드(410)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전술한 바디(100)의 하면에는 와이어(440)와 연동로드(430)가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하기 위하여 내면에 안내홈(510)을 갖는 가이더(guider;500)를 마련함이 바람직하며, 이에 더하여 제동로드(410)가 안내될 수 있는 가이더(500')를 더 형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선쉐이드는 즉, 실질적으로 차광을 행하는 바디(100)는 초기에는 루프 글래스(40)를 전면적으로 커버링함으로써 차광을 행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의 출발 또는 급정거가 이루어질 때 바디(100)는 판 스프링(300)에 의해 프레임(30) 내측에서 탄력 지지된 가이드 플레이트(200)와 제동수단(400)을 통해 전,후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바디(100)는 판 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 프레임(30)에 가압지지된 가이드 플레이트(200)를 통해서는 충분한 유동 방지효과를 얻을수 없는 것이지만, 제동수단(400) 즉, 스프링(420)에 의해 탄력지지되어 프레임(30) 내면에 가압지지된 제동판(411)을 통해서는 충분한 가압력을 갖게되어 유동발생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직사광선이 유입되지 않거나 또는 외부 빛을 어느정도 차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해서는, 제동수단(400)을 작동시켜 제동판(411)과 프레임(30)간의 가압 마찰력을 해제시킨다.
즉, 연동로드(430)의 단부에 마련된 핸들(431)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견인하게 되면, 이 연동로드(430)의 단부와 와이어(440)를 통해 연결된 제동로드(410)가 좌,우 방향으로 즉, 연동로드(430)의 단부를 향해 이동되고, 이에따라 스프링(420)에 의해 탄력 지지된 제동판(411)이 프레임(30) 내측에서 이탈된다.
따라서 바디(100)는 충분한 가압력을 받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바디(100)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면 바디(10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어느정도 이동시킨 상태에서 연동로드(430)의 핸들(431)를 푸쉬하고 있던 힘을 해제하면, 스프링(420)의 탄성력에 의해 제동판(411)이 프레임(30) 내측에 접촉되어 강한 가압 마찰력을 발휘함으로써 역시 자동차의 주행과정에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제동수단은 구성하고 있는 제동판과 스프링 그리고 판 스프링과 가이드 플레이트를 통해 차광을 행하는 바디가 자동차가 주행하는 과정에서 전,후로 유동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동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연동로드를 연동시킴으로써 제동판과 프레임간의 가압 마찰력을 해제시킬 수 있게되어 바디의 이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사용 편의를 도모한 것으로서 이를 채용한 자동차의 신뢰성을 더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루프 패널의 상면에 마련된 프레임상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 루프 글래스로 유입되는 빛을 선택적으로 차광하는 선쉐이드에 있어서,
    상기 루프 글래스의 하부에 위치되며, 대략 편평한 판상의 형태를 갖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좌,우 양측면에 복수 설치되며, 프레임상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중심면이 바디상에 고정되고, 양단이 가이드 플레이트에 개재되어 가이드 플레이트를 프레임상에 가압 지지함으로써 바디의 유동을 억제하는 판 스프링과;
    상기 바디상에 설치되며, 제동판을 프레임에 삽입하여 바디에 제동력을 선택적으로 부여 및 해제하는 제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선 쉐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수단은, 바디의 중심면의 좌,우 하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에 프레임에 삽입되는 제동판이 마련된 제동 로드와;
    상기 제동판과 바디 외측면 사이에 개재되어 제동판을 프레임을 향해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제동 로드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단부에 핸들이 마련된 연동 로드와;
    상기 연동 로드의 단부와 제동 로드의 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연동 로드의 이동에 따라 제동 로드를 왕복 이송시키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선 쉐이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하면에는 와이어와 연동 로드가 안내될 수 있는 안내홈을 갖는 가이더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선 쉐이드.
KR10-2001-0022179A 2001-04-24 2001-04-24 자동차의 선쉐이드 KR100406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179A KR100406705B1 (ko) 2001-04-24 2001-04-24 자동차의 선쉐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2179A KR100406705B1 (ko) 2001-04-24 2001-04-24 자동차의 선쉐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609A KR20020082609A (ko) 2002-10-31
KR100406705B1 true KR100406705B1 (ko) 2003-11-20

Family

ID=2770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2179A KR100406705B1 (ko) 2001-04-24 2001-04-24 자동차의 선쉐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67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821B1 (ko) 2006-03-27 2008-02-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선루프
KR200457055Y1 (ko) * 2009-08-19 2011-12-02 전대철 선루프
KR101189431B1 (ko) * 2009-11-27 2012-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어 방식의 선세이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814B1 (ko) * 2006-12-06 2008-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선쉐이드 유동방지장치
KR101384521B1 (ko) * 2008-08-20 2014-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선쉐이드 조작력 향상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821B1 (ko) 2006-03-27 2008-02-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선루프
KR200457055Y1 (ko) * 2009-08-19 2011-12-02 전대철 선루프
KR101189431B1 (ko) * 2009-11-27 2012-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어 방식의 선세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2609A (ko) 200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1473A (en) Adjustment apparatus for a sunroof
US3033608A (en) Vehicle roofs
US4274672A (en) Sunshade system in sliding roof system of vehicle
US4685724A (en) Sliding roof for vehicles
SE9000918D0 (sv) Skjut-lyfttak foer fordon
US10618386B2 (en) Electric sunshade and sunroof structure
KR100406705B1 (ko) 자동차의 선쉐이드
US3572822A (en) Slidable vehicle roof assembly
GB2116250A (en) Sliding roof panel assembly
US7780220B2 (en) Shade providing apparatus for vehicle
JPH05338443A (ja) スポイラ屋根
US20140097645A1 (en) Sunshade with automatic closing
GB2174754A (en) Vehicle sliding roof
CN108312817B (zh) 电动遮光罩和天窗的结构
US5609387A (en) Lining panel for a sliding roof for a vehicle
US6419309B1 (en) Open roof construction for a vehicle
US20110254309A1 (en) Extensibly retractable sunvisor equipment
JP2726890B2 (ja) 自動車用屋根開閉装置
KR100803296B1 (ko) 선쉐이드 작동감 개선 구조
CN210885156U (zh) 一种内收式叉车棚组件
CN216636100U (zh) 一种多功能汽车遮光板
KR102621543B1 (ko) 양방향 오픈 선루프 구조
JP3529499B2 (ja) サンルーフ装置
AU2441500A (en) Adjusting device for a multispoiler roof for vehicles
KR101585462B1 (ko) 차량의 선쉐이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