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6210B1 - 분기관의 보강판구조 - Google Patents

분기관의 보강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6210B1
KR100406210B1 KR10-2000-0061461A KR20000061461A KR100406210B1 KR 100406210 B1 KR100406210 B1 KR 100406210B1 KR 20000061461 A KR20000061461 A KR 20000061461A KR 100406210 B1 KR100406210 B1 KR 100406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pipe
pipe
main pipe
reinforcing plate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1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0950A (ko
Inventor
김나연
Original Assignee
김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나연 filed Critical 김나연
Priority to KR10-2000-0061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6210B1/ko
Publication of KR20020030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0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2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2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using attaching means embracing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기관의 보강판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체 또는 유체가 흐르는 메인관에 분기관을 연결 후 이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메인관과, 상기 메인관과 연결되는 분기관과, 상기 메인관과 분기관의 연결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30a)(30b)은 상측면 및 하측면 중 어느 일측면 상에 분기관결합부(31)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하나 이상의 원형마킹(3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여, 메인관과 분기관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의 대량생산이 용이함에 따라, 시공이 편리하며, 용접되는 보강판의 가장자리의 용접각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가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분기관의 보강판구조{Structure of enforcement pad of branch pipe}
본 발명은 분기관의 보강판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체 또는 유체가 흐르는 메인관에 분기관을 연결 후 이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정용 난방 및 취사를 위하여 도시가스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공급하기 위하여 많은 배관시설이 요구되고 있다. 그 외에도 급수시설이나, 석유화학배관, 열을 수송하기 위한 배관 등과 같이 실생활에서 소비되는 많은 것들이 배관시설을 이용하여 전달되고 있다. 이러한 가스 및 급수공급 등은 이를 공급하는 공장에서 각 주택가나 지역으로 주철, 강관 재질의 메인관이 매설되고, 각 건물 및 주택에 설치된 분기관을 상기 메인관에 연결함으로써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동일 출원인에 의한 2000년05월15일자 특허출원 제25815호에는 메인관과 분기관을 연결하는 연결장치 및 그 연결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이를 참고하면 메인관과 분기관은 서비스티, 또는 연결밸브에 의하여 메인관에 연결이 되게 된다. 메인관에 분기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천공기로 메인관을 천공하여 쿠폰을 제거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되며, 분기된 부분은 반드시 보강이 이루어져야만 된다. 이와 같은 보강판의 보강구조는 보강규정을 두고 있으며, 이하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된다. 즉, 메인관의 직경과, 분기하기 위한 분기관의 직경에 따라 보강판의 두께 및 그 길이를 만족시켜주여야만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메인관과 분기관을 연결하기 위한 분기티의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메인관과 분기관을 연결하여 이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은, 메인관(10)과 연결되는 분기관연결부(21)가 형성된 분기티(20)의 하부에 상기 메인관(10)과 동일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안장부(22)(22')로써 제공된다. 즉, 분기티(20)와 일체로 된 안장부(20)(22')에 의해 메인관(20)과의 연결을 보강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보강판은, 메인관(20)의 직경과, 분기하기 위한 분기관연결부(21)의 직경에 따라 안장부(22)의 두께 및 길이를 달리하여 분기티(20)과 안장부(22)(22')를 제작하여야 하므로, 이론적인 설계치가 없게 되며, 안장부(22)만을 메인관(20)에 용접하여 분기티(20)를 연결하게 되므로, 분기티(20)의 연결작업시 분기티와 안장부의 이음새부분이 압력탱크의 역할을 하여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가 있다.
도 2는 종래의 메인관과 분기관의 연결에 있어서 분기티를 보강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1과는 달리 분기티(20)와, 보강판인 안장부(30a)(30b)가 분리되어, 먼저 메인관(10)에 분기티(20)를 용접하여 연결한 후 안장부(30a)(30b)를 덧대어 메인관(10)과 분기티(20)를 용접하여 연결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보강판 구조에서도 도 1과 마찬가지로 메인관과 분기관의 직경에 따라 보강판의 두께 및 길이를 달리하여 제작하여야 되므로, 실질적으로 모든 규격의 보강판을 제작하여야만 되므로 대량생산하기에 곤란한 문제점을 갖게 된다. 즉, 필요한 규격의 보강판을 소량으로 수작업에 의해 제작되기 때문에 보강판의 가장자리 용접부의 용접각도가 일정하지 않게 되거나, 보강 면적이 일정치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보강규정을 만족시키면서도 대량생산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보강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분기관의 보강판구조는, 메인관과, 이 메인관으로부터 수직 분기되는 분기관과, 상기 메인관과 상기 분기관의 연결부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상기 분기관의 외주 측과 접하도록 각각 분기관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관과 면 접촉되도록 만곡 형상을 가지며 일측 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구비되는 제1보강판 및 제2보강판으로 구성되며, 특히, 상기 제1보강판 및 제2보강판의 상측 면 또는 하측 면에는 상기 분기관결합부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하나 이상의 원형마킹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분기관의 보강판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분기관의 보강판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분기관의 보강판구조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기관의 보강판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분기관의 보강판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관 20 : 분기티
21 : 분기관연결부 22, 22' : 안장부
30a, 30b : 보강판 31 : 분기관결합부
32 : 원형마킹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분기관 보강판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각각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기관 보강판구조는, 메인관과, 상기 메인관과 연결되는 분기관과, 상기 메인관과 분기관의 연결을 보강하기 위한 분리형 보강판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제1보강판(30a) 및 제2보강판(30b)으로 구성된다.상기 제1보강판(30a) 및 제2보강판(30b)은 상기 분기관의 외주 측과 접하도록 각각 분기관결합부(31)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관과 면 접촉하도록 만곡 형성되어 제1보강판(30a)과 제2보강판(30b)은 일측 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구성된다.특히, 제1보강판(30a) 및 제2보강판(30b)은 상측면 및 하측면 중 어느 일측면 상에 분기관결합부(31)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하나 이상의 원형마킹(32)이 형성됨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보강판(30a) 및 제2보강판(30b)은, 결합시 서로 부합됨을 알 수 있는 메칭선(34)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칭선(34)은, 규격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하는 분리된 형태의 보강판들 중에서 서로 부합하는 한 조의 보강판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가 있으므로 관리 및 취급에 있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분기관 보강판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표 1은 1999년도 한국산업규격(KSD 3631)에서 제시한 규정의 일부를 보여주고 있다.
메인관 호칭지름 두께 분기가능한 직경
80 4.05 40, 50, 65, 80
100 4.5 50,65,80,100
150 4.85 65,80,100,150
200 5.85 100,125,150,200
250 6.4 125,150,200,250
450 7.0 200,300,400,450
550 7.9 200.300,400,550
본 발명의 분기관 보강판구조는, 도 2와 같은 분리형 보강판과 동일하나 보강판(30a)(30b)의 상측면 및 하측면 중 어느 일측면 상에 분기관결합부(31)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원형마킹(32)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표 1에서 메인관 호칭지름이 80인 경우에 분기가능한 분기관의 직경은 4가지가 가능하다. 이 경우에 종래에는 하나의 메인관에 대해 분기가능한 각 분기관의 직경에 따라 보강판을 따로 제작해야만 된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보강판구조는, 예를 들어 메인관 호칭지름이 80인 경우에 분기관결합부(31)의 직경은 최소규격인 40에 해당되도록하며, 상기 분기관결합부(31)를 동심원으로 직경 50, 65, 80의 원형마킹(32)이 표시되어 제작되게 된다. 상기 보강판의 길이(L)는 보강규정에 따라 분기관결합부의 직경(d) 80에 두 배이상인 160이 되도록 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작된 분기관 보강판은, 작업장에서 호칭지름이 80인 메인관에 대해 40의 분기관을 연결하고자 하면, 본 발명의 보강판을 바로 용접연결하게 시공하게 되며, 호칭지름이 50인 분기관을 연결하고자 하면 본 발명의 보강판에서 50이 표시된 원형마킹(32)부분만을 절단한 후에 보강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보강판구조는, 보강규정을 만족하면서도 분기관의 직경은 고려할필요가 없이 메인관의 직경만을 고려하여 보강판을 제작할 수가 있으므로, 대량생산이 용이하며, 이에 따라 용접부위(33)의 정확한 용접각도(A,B)를 갖는 보강판을 제공할 수 있는 등의 잇점을 가질 수가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보강판(30a)(30b)이 한조를 이루어 보강하도록 설명하였으나, 도 1의 종래의 보강판 구조와 같이 하측 안장부(22')를 본 발명의 보강판구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가 있는 것이다. 즉, 하측 안장부를 추가로 구성하여, 메칭선을 하측 안장부까지 연장하여 표시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분기관 보강판구조는, 종래의 분리형 보강판의 상측 또는 하측면에 분기관결합부를 동심원으로 하는 다 수의 기설정된 직경의 원형마킹가 구비됨으로써, 메인관과 분기관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을 대량생산 가능하도록 하여, 시공이 편리하며, 용접되는 보강판의 가장자리의 용접각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가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분리된 형태의 보강판에 메칭선을 표시함으로써 관리 및 취급에 있어 편리한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메인관과, 이 메인관으로부터 수직 분기되는 분기관과, 상기 메인관과 상기 분기관의 연결부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판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상기 분기관의 외주 측과 접하도록 각각 분기관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관과 면 접촉되도록 만곡 형상을 가지며 일측 단부가 서로 접하도록 구비되는 제1보강판 및 제2보강판으로 구성되며,
    특히, 상기 제1보강판 및 제2보강판의 상측 면 또는 하측 면에는 상기 분기관결합부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하나 이상의 원형마킹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의 보강판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판 및 제2보강판은, 결합시 서로 부합됨을 알 수 있는 메칭선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관의 보강판구조.
KR10-2000-0061461A 2000-10-19 2000-10-19 분기관의 보강판구조 KR100406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461A KR100406210B1 (ko) 2000-10-19 2000-10-19 분기관의 보강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461A KR100406210B1 (ko) 2000-10-19 2000-10-19 분기관의 보강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950A KR20020030950A (ko) 2002-04-26
KR100406210B1 true KR100406210B1 (ko) 2003-11-20

Family

ID=19694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1461A KR100406210B1 (ko) 2000-10-19 2000-10-19 분기관의 보강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621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950A (ko) 200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38954A1 (en) Protected welded joint for fluid transport pipes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US20020167171A1 (en) Sanitary Fitting
KR100406210B1 (ko) 분기관의 보강판구조
JP2018062944A (ja) 仮設配管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仮設配管路
CN2163289Y (zh) 分体式鞍形补强板
JP3682031B2 (ja) 配管分岐弁装置及びその分岐方法
CN100424400C (zh) 多面熔接复合管接头及其专用熔具
GB2032563A (en) Pipe union assembly
CN211101722U (zh) 在用管道带压开孔装置及封堵装置
CN205578999U (zh) 一种用于油气管道增引支线的管件
KR20090095691A (ko) 변곡형 합성수지관 커플러
JP2002089768A (ja) 配管用交叉管
JP2002089753A (ja) 交叉配管用管
US5988199A (en) Corporation stop assembly
KR200389186Y1 (ko) 배관이음구
CN204592557U (zh) 曲线钢顶管的铰接管张开量控制装置
KR200362348Y1 (ko) 조립형 이음관
CN216462796U (zh) 管道焊接辅助系统
CN107314164A (zh) 双壁螺旋焊管
KR200331958Y1 (ko) 파이프
JPH039892Y2 (ko)
CN2416313Y (zh) 沟槽式阀门
KR200163954Y1 (ko) 상부용접형 배관의 분기티
JP6955980B2 (ja) 分岐継手ユニット
KR20000020531U (ko) 보강판이 일체로 성형된 배관분기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