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5402B1 - 재봉물 이송기의 모우터 회전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재봉물 이송기의 모우터 회전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5402B1
KR100405402B1 KR10-2001-0058881A KR20010058881A KR100405402B1 KR 100405402 B1 KR100405402 B1 KR 100405402B1 KR 20010058881 A KR20010058881 A KR 20010058881A KR 100405402 B1 KR100405402 B1 KR 100405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sewing machine
spacer
rotating pl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8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5709A (ko
Inventor
박보인
Original Assignee
박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보인 filed Critical 박보인
Priority to KR10-2001-0058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5402B1/ko
Publication of KR20030025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4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10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drives
    • D05B69/12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drives using rotary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10Work-feeding means with rotary circular feed members
    • D05B27/14Work-feeding means with rotary circular feed members rotating discontinuously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발명은 재봉기의 재봉물 이송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봉기의 구동축에 회전축을 회전용이토록 결합시키고 상기 회전축상에는 비스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제1스페이서와 제2스페이서 그리고 제3스페이서의 사이사이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되는 회전판의 외주면으로 불규칙적인 간격 또는 등간격의 공간부를 형성시킨뒤 상기 불규칙적인 간격 또는 등간격의 공간부를 회로기판상의 블록에 결합된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하여 재봉물 이송기의 이송로울러를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회전수로 회전시킬수 있도록 모우터를 제어할수 있도록 된 것으로 재봉바늘에 의해 재봉되는 재봉물의 이송 속도에 맞춰 이송기의 이송로울러가 적정의 회전수로 회전하면서 재봉물을 잡아 당길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재봉물의 이송이 가능하게 되고 간단한 구조에 의해 재봉물의 이송속도와 이송로울러의 회전속도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게 되므로 최적의 상태에서 재봉이 이루어질 수 있는 동시에 능률적인 재봉작업에 의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봉물 이송기의 모우터 회전제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재봉물 이송기의 모우터 회전제어장치{MOTOR CONTROL APPARATUS FOR FEEDING MACHINE}
본발명은 재봉기의 재봉물 이송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봉기의 구동축에 회전축을 회전용이토록 결합시키고 상기 회전축상에는 비스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제1스페이서와 제2스페이서 그리고 제3스페이서의 사이사이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되는 회전판의 외주면으로 불규칙적인 간격 또는 등간격의 공간부를 형성시킨뒤 상기 불규칙적인 간격 또는 등간격의 공간부를 회로기판상의 블록에 결합된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하여 재봉물 이송기의 이송로울러를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회전수로 회전시킬수 있도록 모우터를 제어할수 있도록 된 것으로 재봉바늘에 의해 재봉되는 재봉물의 이송 속도에 맞춰 이송기의 이송로울러가 적정의 회전수로 회전하면서 재봉물을 잡아 당길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재봉물의 이송이 가능하게 되고 간단한 구조에 의해 재봉물의 이송속도와 이송로울러의 회전속도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게 되므로 최적의 상태에서 재봉이 이루어질 수 있는 동시에 능률적인 재봉작업에 의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봉물 이송기의 모우터 회전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재봉기에 부착되는 재봉물 이송장치는 재봉기 자체의 동력을 분할하여 전달받아 동력전달장치에 의해 이송기로 전달함으로서 이송기의 이송로울러가 회전하여 재봉바늘에 의해 재봉 완료된 재봉물을 잡아 당겨 외부로 인출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제작 및 조립시의 많은 인력과 시간등을 허비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상기 재봉기의 자체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풀리에 흔들편을 결합하여 상기 흔들편의 흔들동작에 의해 동력전달장치로 동력이 전달되고 또한 상기 동력전달장치에 결합된 2개의 축과 상기 2개의 축을 연결하는 연결봉등을 경유하면서 연결축을 통해 이송기로 동력이 전달되었기 때문에 동력의 로스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장치의 많은 부분을 경유하면서 동력을 전달하는 까닭에 최종적으로 이송기의 이송로울로로 전달된 동력은 모자라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로울러로 공급되는 동력이 모자라면 이송로울러의 회전수가 정해진 회전수보다 낮게 회전을 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송로울러의 회전수가 부족하게 되면 재봉 완료된 재봉물의 이송속도와도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재봉바늘과 이송로울러 사이에서 재봉물이 적체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재봉물의 적체 현상은 작업능률을 저하시키게 되고 아울러 생산성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게 되므로 시급히 시정되어야 할 사항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송로울러의 회전수가 부족하지 않게 하기 위해 동력을 정해진 량 보다 많이 공급을 하였을 경우에는 이송로울러가 재봉물의 이송속도 보다 빨리 회전하기 때문에 미끄럼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원활한 이송작용을 얻을 수없게 되고 이송로울러에 의해 재봉물의 표면을 손상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재봉물의 이송속도에 맞는 이송로울러의 회전속도를 정확하게 일치시키가 매우 어려웠었기 때문에 재봉생산량이 적어지게 되고 불량률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본인이 선출원한 2000년 특허출원 제 54956 호 "재봉기의 재봉물 이송장치"는 비교적 종래의 문제점등을 많이 해결하고 있지만 재봉기의 풀리에 마그네트테이프를 부착하고 있는 구성이므로 정확한 위치로 마그네트테이프를 부착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테이프는 일정 기간을 사용하면 접착부위가 탈거되는 현상이 잦아 잦은 교환을 해야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본발명의 목적은,
재봉바늘에 의해 재봉되는 재봉물의 이송 속도에 맞춰 이송기의 이송로울러가 적정의 회전수로 회전하면서 재봉물을 잡아 당길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재봉물의 이송이 가능하게 되고 간단한 구조에 의해 재봉물의 이송속도와 이송로울러의 회전속도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게 되므로 최적의 상태에서 재봉이 이루어질 수 있는 동시에 능률적인 재봉작업에 의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오랜기간 탈거현상이 없이 고장이 없는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발명은,
재봉기의 구동축에 회전축을 회전용이토록 결합시키고 상기 회전축상에는 비스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제1스페이서와 제2스페이서 그리고 제3스페이서의 사이사이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되는 회전판의 외주면으로 불규칙적인 간격 또는 등간격의 공간부를 형성시킨뒤 상기 불규칙적인 간격 또는 등간격의 공간부를 회로기판상의 블록에 결합된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하여 재봉물 이송기의 이송로울러를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회전수로 회전시킬수 있도록 모우터를 제어하면 본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발명 모우터 회전제어장치가 재봉기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2는 본발명의 모우터 회전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3(a)(b)(c)는 본발명 회전판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작용도
도4(a)(b)는 본발명 회전판의 또 다른 회전판의 실시에를 나타낸 작용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회전판 102-공간부
103-감지센서 104-블록
105-회로기판 111-회전축
112-베어링 113-제1스페이서
114-제2스페이서 115-제3스페이서
116-비스 117-케이스
121-재봉기 122-구동축
123-재봉바늘 124-톱니판
125-재봉물이송기 126-이송로울러
127-모우터 128-체인
본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재봉기(121)의 구동축(122)에 일측부가 결합되고 중간부는 베어링(112)의해 케이스(117)로 결합되는 회전축(111)과
상기 회전축(111)의 타측부로 비스(116)에 의해 고정되는 제1스페이서(113)와 제2스페이서(114) 그리고 제3스페이서(115)의 사이사이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되는 불규칙적인 간격의 공간부(102)가 형성된 다수개의 회전판(101)과,
상기 회전판(101)의 회전시 회전판(101)에 불규칙적인 간격으로 형성된 공간부(102)를 감지하여 재봉물이송기(125)의 이송로울러(126)를 불규칙적인 회전수로 회전시킬수 있도록 모우터(127)를 제어하기 위해 회로기판(105)의 다수개의 블럭(104)에 결합되는 감지센서(103)를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101)의 공간부(102)를 회전판상에 등간격으로 형성시켰다.
이와같이된 본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재봉기(121)의 시작보턴을 누르면 통상적으로 재봉기(121)의 자체 동력에 의해 재봉바늘(123)이 상,하 왕복운동을 하면서 재봉물에 밖음질을 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구동축(122)도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구동축(122)와 재봉바늘(123)은 동일 동력에 의해 작동되기 때문에 구동축(122)의 회전은 재봉바늘(112)의 동작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동축(122)이 회전되면 구동축(122)에 결합된 회전축(111)이 회전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111)의 회전에 의해 이에 비스(116)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제1스페이서(113),제2스페이서(114),제3스페이서(115), 다수개의 회전판(101)등이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판(101)에 형성된 불규칙적인 간격으로 형성된 공간부(102) 또는 등간격으로 형성된 공간부(101)들을 회로기판(105)의 블록(104)으로 결합된 감지센서(103)들이 감지를 하게 된다.
즉, 도3은 불규칙적인 간격으로 공간부(102)가 형성된 회전판(101)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의 감지센서(103)는 공간부(102)만을 감지하게 된다.
다시말해서, 도3(a)와 같이 회전판(101)의 몸체가 감지센서(103)를 가리면 감지센서(103)가 작동을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모우터(127)가 정지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이송로울러(126)도 회전을 하지 않게 되므로 재봉물을 압지만 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도3(b)와 같이 회전판(101)에 불규칙적인 간격으로 형성된 공간부 (102)가 위치되면 감지센서(103)가 작동되면서 콘트롤박스(도시안됨)로 신호를 보내게 되고 상기 콘트롤박스의 지시에 의해 모우터(127)를 구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우터(127)의 회전력은 체인(128)에 의해 재봉물이송기(125)의 이송로울러(126)로 전달되어 이송로울러(126)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재봉물을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3(c)는 회전판(101)의 몸체부가 감지센서(103)를 가지고 있는 상태이므로 도1(a)와 동일하게 모우터(127)및 이송로울러(126)가 회전을 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판(101)의 공간부(102)가 불규칙적인 간격을 가짐으로 인해 이송로울러(126)는 잠깐의 회전과 잠깐의 정지를 하게 되고 급기야는 긴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두께 차이나 재질등이 특별한 재봉물의 재봉시에 안성맞춤이며 상기의 동작은 재봉기(121)의 톱니판(124)운동과 연계되기 때문에 특수한 경우에 사용을 하게 된다.
한편, 도4는 규칙적인 등간격으로 공간부(102)가 형성된 회전판(101)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의 감지센서(103)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간부(102)만을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등간격으로 형성된 공간부(102)에 의해 이송로울러(126)는 회전,정지를 반복적으로 행하면서 지속적인 회전을 하게 되므로 평상시의 재봉물에 재봉시 안성맞춤이 된다.
그리고, 상기 특수한 경우의 재봉와 평상시의 재봉은 콘트롤박스에 부착되는 보턴에 의해 선택적으로 사용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발명의 회전판(101)에 형성된 불규칙적인 간격의 공간부(102) 또는 규칙적인 등간격을 갖는 공간부(102)를 감지센서(103)의 감지에 의해 모우터(127)를 제어하여 이송로울러(126)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서 이송로울러(126)와 재봉바늘(123)사이에 재봉물이 적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어떠한 재질의 재봉물이더라도 원활한 이송을 시켜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된 본발명은 재봉기의 구동축에 회전축을 회전용이토록 결합시키고 상기 회전축상에는 비스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제1스페이서와 제2스페이서 그리고 제3스페이서의 사이사이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되는 회전판의 외주면으로 불규칙적인 간격 또는 등간격의 공간부를 형성시킨뒤 상기 불규칙적인 간격 또는 등간격의 공간부를 회로기판상의 블록에 결합된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하여 재봉물 이송기의 이송로울러를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회전수로 회전시킬수 있도록 모우터를 제어함으로서,
재봉바늘에 의해 재봉되는 재봉물의 이송 속도에 맞춰 이송기의 이송로울러가 적정의 회전수로 회전하면서 재봉물을 잡아 당길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재봉물의 이송이 가능하게 되고 간단한 구조에 의해 재봉물의 이송속도와 이송로울러의 회전속도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게 되므로 최적의 상태에서 재봉이 이루어질 수 있는 동시에 능률적인 재봉작업에 의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오랜기간 탈거현상이 없이 고장이 없는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재봉기의 구동축에 일측부가 결합되고 중간부는 베어링의해 케이스로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타측부로 비스에 의해 고정되는 제1스페이서와 제2스페이서 그리고 제3스페이서의 사이사이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되는 불규칙적인 간격의 공간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회전시 회전판에 불규칙적인 간격으로 형성된 공간부를 감지하여 재봉물 이송기의 이송로울러를 불규칙적인 회전수로 회전시킬수 있도록 모우터를 제어하기 위해 회로기판의 다수개의 블럭에 결합되는 감지센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물이송기의 모우터 회전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의 공간부를 회전판상에 등간격으로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물이송기의 모우터 회전제어장치.
KR10-2001-0058881A 2001-09-22 2001-09-22 재봉물 이송기의 모우터 회전제어장치 KR100405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881A KR100405402B1 (ko) 2001-09-22 2001-09-22 재봉물 이송기의 모우터 회전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881A KR100405402B1 (ko) 2001-09-22 2001-09-22 재봉물 이송기의 모우터 회전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709A KR20030025709A (ko) 2003-03-29
KR100405402B1 true KR100405402B1 (ko) 2003-11-14

Family

ID=27725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8881A KR100405402B1 (ko) 2001-09-22 2001-09-22 재봉물 이송기의 모우터 회전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54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980A (ko) * 2002-02-02 2003-08-09 서명원 재봉기의 회전속도 감지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8164A (en) * 1978-09-12 1980-03-17 Tokico Ltd Cloth feed gear
KR840002926A (ko) * 1981-12-18 1984-07-21 피터 틸만즈, 프리드리히 클라이 모서리 봉합장치를 가진 재봉틀
KR880000622U (ko) * 1986-02-01 1988-02-19 이효덕 고무 체인
JPH0426493U (ko) * 1990-06-26 1992-03-03
KR920010589A (ko) * 1990-11-30 1992-06-26 정몽헌 자기 기록 장치의 타임 마진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38164A (en) * 1978-09-12 1980-03-17 Tokico Ltd Cloth feed gear
KR840002926A (ko) * 1981-12-18 1984-07-21 피터 틸만즈, 프리드리히 클라이 모서리 봉합장치를 가진 재봉틀
KR880000622U (ko) * 1986-02-01 1988-02-19 이효덕 고무 체인
JPH0426493U (ko) * 1990-06-26 1992-03-03
KR920010589A (ko) * 1990-11-30 1992-06-26 정몽헌 자기 기록 장치의 타임 마진 측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709A (ko) 200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9180A (en) Winder for use with bag-making machine
JP2018020293A (ja) 籾摺機
KR100405402B1 (ko) 재봉물 이송기의 모우터 회전제어장치
CN201604371U (zh) 自动滚印盖章装置
KR100373625B1 (ko) 재봉기의 재봉물 이송장치
US5338281A (en) Wicket servo method and device in a bag making machine
US5373765A (en) Apparatus for driving two tool parts for punching, cutting and stamping
EP0925909B1 (en) Box blank supply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2035027A (ja) 着用物品の製造設備
CN207044649U (zh) 双螺杆挤出机
KR100447807B1 (ko) 산업용 필터의 절곡장치
JP3592797B2 (ja) トランスファ成形機における原料樹脂ペレットの整列移送装置
KR200347010Y1 (ko) 포장박스용 고속 스티칭 제어장치
KR200313228Y1 (ko) 보빈 자동 와인딩 장치
KR200344242Y1 (ko) 종이컵 성형기의 밑지 이송 클러치장치
KR200428623Y1 (ko) 자동 호스 커팅장치
CN211966764U (zh) 一种同步旋转装置
CN213949673U (zh) 全自动高速水印机废料传送机
GB2207628A (en) A machine for sealing and cutting plastic bag material into plastic bags
JPH05293872A (ja) Tダイのリップ間隔調整装置
JPS61155155A (ja) 感光材料の搬送装置
AU566602B2 (en) Web transport system with electro-optical label detection
JPH0620620Y2 (ja) 謄写輪転機
CN207791858U (zh) 回转平台及其回转机构
CN105692292A (zh) 拉布机伺服自动跟随驱动送布滚轮的传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