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4476B1 - 엘리베이터의 부하량 및 부하보상량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부하량 및 부하보상량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4476B1
KR100404476B1 KR10-2000-0003947A KR20000003947A KR100404476B1 KR 100404476 B1 KR100404476 B1 KR 100404476B1 KR 20000003947 A KR20000003947 A KR 20000003947A KR 100404476 B1 KR100404476 B1 KR 100404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elevator
amount
function
elevator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3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3635A (ko
Inventor
이수철
Original Assignee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0-0003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4476B1/ko
Publication of KR20000053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3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4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23Control system configuration, i.e. lay-out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부하량 및 부하보상량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부하량 검출방법은, 엘리베이터 카내의 무부하와 전부하 사이의 적어도 두개 이상의 부하량에 대한 부하검출기 출력데이터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부하검출기의 출력데이터와 부하량사이의 비선형적인 관계함수식을 구하는 과정과, 상기 관계함수식을 기초로 하여 적어도 두개 이상의 함수식중에서 하나를 선정하여 엘리베이터 탑승인원에 대한 부하량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부하보상량 검출방법은, 엘리베이터가 동작하는 최하층과 최상층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적어도 두개 이상의 위치에 대한 부하보상량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부하보상량에 대한 데이터를 기준으로하여 카의 위치와 부하보상량과의 비선형적인 관계식을 구하되, 상기 관계식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간으로 분할되어 각각의 구간에 대한 다항식을 도출하는 관계함수식을 구하는 과정과, 상기 관계함수식을 기초로 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에 대한 부하보상량을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부하량 및 부하보상량 검출방법{METHOD FOR DETECTING LOAD AMOUNT AND LOAD COMPENSATION AMOUNT OF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부하량 및 부하보상량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카 내의 탑승 인원의 중량을 검출하는 부하검출기의 출력특성이 탑승인원의 중량에 비례하는 선형적인 특성을 가지지 않는다 할지라도 이에 대응하여 정확한 탑승인원의 중량검출이 가능하도록 하며, 실제 엘리베이터 카가 위치한 층에 따라서 구동모터의 초기 기동토크를 달리 제어하여 정확한 부하보상량을 검출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출발시 승차감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탑승인원의 만원검출, 층별 승/하차 탑승인원 계산 등의 엘리베이터 이용 상황분석과 같은 운전제어의 기초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 서비스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엘리베이터 부하량 및 부하보상량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부하량 및 부하보상량 검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엘리베이터 카(1) 내부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탑승인원의 중량에 따라 변위량이 변화하는 방진고무(2)와,방진고무(2)의 변위량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부하검출기(3)와,상기엘리베이터 카(1)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검출기(9)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부하검출기(3)의 출력신호는 변환기(4)에 인가되며, 상기 변환기(4)는 부하검출기(3)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입력부(5)에 전송한다. 상기 입력부(5)로 전송된 디지털 신호는 중앙처리부(8)로 전송되어 부하량검출연산식에 의하여 탑승인원에 대한 퍼센트 로드값, 즉, 엘리베이터 카(1)내에 탑승인원이 없을 경우에는 0퍼센트로 하며 탑승인원이 정격부하량 만큼 탑승했을 경우에는 100퍼센트로 연산되는 퍼센트 로드값으로 기억부(6)내의 특정영역에 기록된다. 탑승인원에 대한 퍼센트 로드값은 필요시에 기억부(6)로부터 읽혀져서 소정의 연산식에 의해서 구동모터의 토크신호 및 운전제어 데이터의 기초 데이터로 전환되어 출력부(7)를 거쳐서 출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엘리베이터 부하량 및 부하보상량 검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엘리베이터 카(1) 내의 부하가 '0'인 무부하 상태의 부하검출기(3)출력 데이터를 설정하고 엘리베이터 카(1) 내의 부하가 정격부하인 전부하 상태의 부하검출기(3)출력데이터를 이용하여 부하검출기(3)가 모든 부하 상태에 대하여 선형적인 출력특성을 가진다는 가정하에서 현재 엘리베이터 탑승인원의 부하량을 검출한다.
도2는 부하검출기(3)의 출력데이터에 대한 엘리베이터 탑승인원의 퍼센트 로드를 검출하는 연산그래프로써, Y축은 엘리베이터 탑승인원의 퍼센트로드를 나타내며 X축은 부하검출기(3)의 출력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때 Ya는 엘리베이터 카(1) 내에 탑승인원이 없을 경우 즉, 무부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0퍼센트 로드값을 가지며, Xa는 무부하 상태에서 부하검출기(3)의 출력데이터를 타나낸다. Yb는 엘리베이터 카(1)내에 정격부하량 만큼 탑승인원이 있을 때 즉, 전부하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써 100퍼센트 로드값을 가지며, Xb는 전부하 상태에서 부하검출기(3)의 출력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러한 무부하 상태의 값에 해당하는 점Q1과 전부하 상태의 값에 해당하는 점Q2는 엘리베이터를 설치할 때 설정되며, 엘리베이터 설치 후에 실제 부하량과 부하량 연산에 의한 부하량 사이에 오차가 발생되면 재설정된다.
여기서, 현재 엘리베이터에 대한 부하량 검출은 점Q1과 점 Q2를 잇는 직선에 대한 1차 함수식 f(x)에 의하여 계산된다. 상기 함수식 f(x)를 a1x + a2로 표현하였을 때, f(x)의 기울기 a1은 (Yb -Ya) / (Xb - Xa) 의 값을 가지며, a2는 점 Q1 과 Q2의 어느 한 값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으며 이렇게 계산된 값들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도1의 기억부(6)에 기억되게 된다.
도4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부하량을 검출할 때의 플로우챠트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그 순서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력부(5)를 통해서 부하검출기(3)의 검출값을 읽어들인다.(단계410). 이때 예를 들어 검출값을 Xc라고 가정해 본다. 그 후, 기억부(6)의 f(x)의 계수값인 a1과 a2를 읽어들인다.(단계420). 구하고자 하는 퍼센트 로드값을 Yc라고 할 때 이 값은 a1x + a2로 계산한다(단계430). 상기 계산 결과는 출력부(7)로 전달된다(단계440).
이상의 부하량 검출을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부하검출기(3)에서 검출한 값이 Xc일 때, 퍼센트 로드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Q1과 Q2를 이은 직선에 Xc로 부터 수직선을 그어서 만나는 점에서 다시 Y축으로 수직으로 선을 긋는다. 이때 Y축과 만나는 점, 즉, Yc가 현재 엘리베이터 카내의 부하 상태에 대한 퍼센트 로드값이 된다.
한편, 엘리베이터가 출발할 때 승차감을 양호하게 유지하도록 구동모터의 초기 기동토크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1)가 무부하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카(1)의 위치영역 및 운전방향에 따른 바이어스량을 각각 설정하는데 이는 초기 기동토크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
구동모터의 초기 기동토크 연산식은 다음과 같다.
초기기동토크=(탑승인원에 대한 중량 x 기동보상게인) + 바이어스량--식(1)
이 식(1)에서 기동보상게인은 전부하 상태에서 초기 기동토크에 대한 보상량이며, 바이어스량은 무부하 상태에서 초기 기동토크에 대한 보상량으로서 엘리베이터 카(1)의 위치영역 및 운전방향에 따라 별도의 값을 가짐으로써 적절한 초기 기동토크를 제어한다.
엘리베이터의 탑승인원에 대하여 초기 기동토크가 작은 상태에서 상향방향으로 주행할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카(1)가 하향방향으로 슬립이 생긴 후 상향방향으로 주행하게 되고, 엘리베이터 탑승인원에 대하여 초기 기동토크가 큰 상태에서 상향방향으로 주행할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카(1)가 상향방향으로 튄 후 설정속도로 주행하게 되는 기동쇼크가 발생되어 승차감을 해치게 된다.
도5상향방향시 엘리베이터 카(1)의 위치별 업바이어스량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으로서, X축은 바이어스량을, Y축은 엘리베이터 카(1)의 위치를 나타낸다. 여기서, 최하층에서 설정된 업바이어스량이 점R이며, 중간층에서 설정된 업바이어스량이 점S이며 최상층에서 설정된 업바이어스량이 점T이다.
엘리베이터 카(1)의 위치별 업바이어스량 적용방법은 최하층에서 최상층까지의 거리를 3등분하여 LOW ZONE, MIDDLE ZONE, HIGH ZONE으로 나누어 엘리베이터 카(1)가 LOW ZONE에 위치할 경우에는 점R에 해당하는 업바이어스량을 적용하며, 엘리베이터 카(1)가 MIDDLE ZONE에 위치할 경우에는 점S에 해당하는 업바이어스량을 적용하며, 엘리베이터 카(1)가 HIGH ZONE에 위치할 경우에는 점T에 해당하는 업바이어스를 적용한다.
도6은 상기 방법으로 엘리베이터의 위치별 바이어스량을 적용할 경우에 업 운전상태에서의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엘리베이터 위치검출기(9)에서 출력된 값을 입력부(5)를 통해서 입력시킨다 (단계610). 그 후, 현재 엘리베이터의 운전 방향이 상향방향인지를 판단하는데 여기서는 운전방향이 상향방향이라고 가정한다(단계620). 그 후 현재의 엘리베이터 위치가 HIGH ZONE인지, MIDDLE ZONE인지를 판단한다(단계630, 640). HIGH ZONE으로 판단되면 기억부(6)에서 T값을 읽어오며, MIDDLE ZONE으로 판단되면 기억부(6)에서 S값을 읽어온다 (단계660, 670). 그 후, 상기 읽어온 값을 출력부(7)에 출력하게 된다 (단계680). 만일 현재의 엘리베이터 위치가 상기 두개의 ZONE에 해당하지 않으면, LOW ZONE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여 그에 대응하는 바이어스량 R을 기억부(6)로부터 읽어와서(단계650), 출력부(7)에 출력한다(단계680).
하향방향시의 다운바이어스량도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하며 엘리베이터 카(1)의 위치영역별, 운전방향별 바이어스량은 엘리베이터 초기 설치시에 설정하고, 만약 엘리베이터의 행정거리가 클 경우에는 위치 영역별 바이어스량을 3구간 이상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별 바이어스량을 설정하여 적용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부하량 증가에 따른 부하검출기의 출력데이터의 비선형성으로 인해서 부하량 검출의 에러를 내포하게 되어 정확한 부하량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며, 엘리베이터가 출발할 때 구동모터의 초기 기동토크 연산과정에서 실제 엘리베이터 카가 위치한 층에 따른 바이어스량을 정확히 검출하지 못하여 오차가 발생하므로 정확한 기동토크를 계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부하검출기의 출력특성이 탑승인원의 중량에 따라 비선형적인 특성을 갖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정확한 탑승인원의 중량검출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부하량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제 엘리베이터 카가 위치한 층에 따른 바이어스량을 정확히 검출하여 구동모터의 초기 기동토크를 제어하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부하보상량 검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의 부하량 및 부하보상량 검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2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부하검출기의 출력데이터에 대한 엘리베이터 탑승인원의 퍼센트 로드를 검출하기 위한 연산 그래프.
도3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기억부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4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의 부하량 검출을 위한 플로우차트.
도5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상향방향시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별 업바이어스량을 도시한 도면.
도6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위치별 바이어스량을 적용할 경우에 상향 운전상태에서의 플로우차트.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부하량 및 부하보상량 검출방법이 적용되는 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부하검출기의 출력데이터에 대한 엘리베이터 탑승인원의 퍼센트 로드를 검출하기 위한 연산 그래프.
도9는 부하량이 정격부하의 50%를 기준으로 양분해서 부하량을 검출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플로우챠트.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향방향시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별 업바이어량을 비선형 특성곡선으로 도시한 도면.
도11은 도10의 상기 비선형 특성곡선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업바이어스량을 검출하는 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엘리베이터 카 2: 방진고무
3: 부하검출기 4: 변환기
5: 입력부 6: 기억부
7: 출력부 8: 중앙처리부
9: 위치검출기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카내의 탑승인원에 대한 중량을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부하량 검출방법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내의 무부하와 전부하 사이의 적어도 두개 이상의 부하량에 대한 부하검출기 출력데이터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부하검출기의 출력데이터와 부하량사이의 비선형적인 관계함수식을 구하는 과정과, 상기 관계함수식을 기초로 하여 적어도 두개 이상의 함수식중에서 하나를 선정하여 엘리베이터 탑승인원에 대한 부하량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부하량 검출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의 부하량 검출방법에서, 상기 비선형적인 관계함수식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간으로 분할되어 각각의 구간에 대한 다항식을 도출하며, 이 다항식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탑승인원에 대한 부하량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의 부하량 검출방법에서, 정격부하의 50퍼센트를 기준으로 구분해서 두개의 비선형적인 관계함수식을 도출하고, 입력되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서 해당되는 관계함수식을 적용하여 부하량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의 부하량 검출방법에서, 각 구간별 비선형적 관계함수식은 인터폴레이션 폴리노미얼 방법에 의해서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내 탑승인원에 따라 구동모터의 초기 기동토크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부하보상량 검출방법에 있어서, 엘리베이터가 동작하는 최하층과 최상층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적어도 두개 이상의 위치에 대한 부하보상량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 보상량에 대한 데이터를 기준으로하여 카의 위치와 부하보상량과의 비선형적인 관계식을 구하되, 상기 관계식은 하나 이상의 구간으로 분할되어 각각의 구간에 대한 다항식을 도출하는 관계함수식을 구하는 과정과, 상기 관계함수식을 기초로 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에 대한 부하보상량을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부하보상량 검출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부하량 및 부하보상량 검출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부하량 및 부하보상량 검출방법이 적용되는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의 상세한 도면으로서, 종래의 구성을 도시한 도1과 대체로 동일하며, 단지 엘리베이터의 부하 검출기(3)가 비선형적인 특성을 갖더라도 정확한 부하량 검출 및 부하보상이 가능하도록 중앙처리부(8)가 부하검출구간을 두 구간으로 나누어 비선형특성을 구하여 이를 이용하는 것이 종래의 구성과 차이점이다.
이를 위해서, 중앙처리부(8)는 입력부(5)로부터 엘리베이터 카(1)내의 부하가 '0'인 무부하 상태의 부하검출기(3)출력데이터와, 엘리베이터 카(1)내의 부하가 정격부하인 전부하상태의 부하검출기(3)출력데이터를 받아서 설정한다. 그 후, 엘리베이터 카(1)내의 부하가 정격부하의 20퍼센트, 50퍼센트, 80퍼센트 상태의 부하검출기(3)의 출력데이터를 각각 설정하여 무부하, 정격부하의 20퍼센트 부하, 정격부하의 50퍼센트 부하상태에 설정된 3점을 잇는 비선형적인 2차함수식 f1(x)를 구하고, 정격부하의 50퍼센트 부하, 정격부하의 80퍼센트 부하, 전부하 상태에 설정된 3점을 잇는 비선형적인 2차 함수식f2(x)를 구한다. 이어서, 상기 두 함수식에 의해 부하검출기(3)의 출력데이터에 대한 현재 엘리베이터의 탑승인원의 부하량을 연산하여 검출한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부하검출기(3)의 출력데이터에 대한 엘리베이터 탑승인원의 퍼센트 로드를 검출하는 연산그래프이다. 여기서 Y축은 엘리베이터 탑승인원의 퍼센트로드를 나타내며, X축은 부하검출기(3)의 출력데이터를 나타낸다. 또한, Ya는 엘리베이터 카(1)내에 탑승인원이 없을 경우, 즉, 무부하 상태로서 0퍼센트 로드 값을 가지며, 점P1은 무부하 상태Ya의 부하검출기(3)의 출력데이터Xa에 해당하는 점이다.
또한, Xb는 엘리베이터 카(1)내에 탑승인원이 정격부하량 만큼 탑승하였을 경우, 즉, 전부하 상태를 나타내고 100퍼센트 로드 값을 가지며, 점P5는 전부하 상태Yb의 부하검출기(3)의 출력데이터Xb에 해당하는 점이다. 그리고 Yc는 엘리베이터 카(1)내에 탑승인원이 정격부하량의 20퍼센트에 해당하는 부하량이며, 점P2는 정격부하량의 20퍼센트에 해당하는 부하량상태Yc의 부하검출기(3)의 출력데이터Xc에 해당하는 점이다.
또한, Yd는 엘리베이터 카(1)내에 탑승인원이 정격부하량의 50퍼센트에 해당하는 부하량이며, 점P3는 정격부하량의 50퍼센트에 해당하는 부하량상태Yd의 부하검출기3의 출력데이터Xd에 해당하는 점이다. 그리고, Ye는 엘리베이터 카(1)내에탑승인원이 정격부하량의 80퍼센트에 해당하는 부하량이며 점P4는 정격부하량의 80퍼센트에 해당하는 부하량상태Ye의 부하검출기(3)의 출력데이터Xe에 해당하는 점이다. 이와 같은 점P1-P5는 엘리베이터 설치시에 설정되며 엘리베이터 설치 후 실제 부하량과 부하량 연산에 의한 부하량 사이에 오차가 발생되면 재설정한다.
현재, 엘리베이터의 탑승인원에 대한 부하량 검출은 점P1-P3에 해당하는 2차함수식 f1(x)와 점P3-P5에 해당하는 2차 함수식 f2(x)에 의하여 결정되며, 부하검출기(3)의 출력데이터가 Xa와 Xd사이일 때는 2차 함수식 f1(x)에 의해서 탑승인원에 대한 부하량이 결정되며 부하검출기(3)의 출력데이터가 Xd보다 크고 Xb보다 작은 경우에는 2차 함수식f2(x)에 의하여 탑승인원에 대한 부하량이 결정된다.
각 구간별 부하량 검출 연산식 f1(x) 와 f2(x)는 2차 함수식이므로 부하검출기(3)의 특성이 비선형적인 특성을 갖더라도 이에 대응할 수 있으며 연산식 f1(x)와 f2(x)는 인터폴레이션 폴리노미얼(interpolation polynomial) 방법에 의해서 아래와 같이 구한다.
점P1(Xa, Ya), 점P2(Xc,Yc), 점P3(Xd,Yd)의 연산식 f1(x)는 하기식과 같다.
f1(x) = Ya + (X-Xa) f[Xa,Xc] + (X-Xa)(X-Xc) f[Xa,Xc,Xd] -----식(2)
상기식(1)에서 f[Xa,Xc,Xd]는
f[Xa,Xc,Xd] = (f[Xc,Xd] - f[Xa,Xc] ) / (Xd,Xa) --------------식(3)
상기식(2)와 식(3)에서 f[Xc,Xd] = (Yd - Yc) / (Xd - Xc) 이다.
그리고, f2(x)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이때, 상기의 방법으로 구한 2차 함수식 f1(x)와 f2(x)의 계수들은 도7의 기억부(6)에 저장하게 된다.
도9는 부하량이 정격부하의 50%를 기준으로 양분해서 부하량을 검출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부하검출기(3)의 출력값을 입력부(5)를 통해서 입력하고, 부하가 정격부하의 50퍼센트 이상인지를 판단한다(단계910, 920). 상기 판단 결과로서 부하가 정격부하의 50퍼센트 이하이면 기억부(6)에 기억되어 있는 f1(x) 계수값을 읽어들이고, f1(x) 함수로부터 부하량을 계산한다(단계960, 970). 그 후, 출력부(7)에 계산된 부하량을 출력한다(단계 980).
한편, 상기 판단 결과로서 부하가 정격부하의 50퍼센트 이상이면, 기억부(6)에 기억되어 있는 f2(x)로부터 계수값을 읽어들이고, f2(x)로부터 부하량을 계산한다(단계930,940). 그 후, 출력부(7)에 계산된 부하량을 출력한다(단계950).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부하보상량 검출장치의 구성과, 엘리베이터 기동모터의 초기 기동토크를 구하기 위한 연산식은 종래와 대체로 유사하다. 그러나, 도7에서 볼 수 있듯이, 엘리베이터 카(1)의 위치에 대한 바이어스량은 카의 행정거리와 관계없이 최하층, 중간층, 최상층에서의 바이어스량만 각각 설정하고 설정된 3점을 잇는 비선형적인 2차함수식을 구하는데, 상기 2차함수식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카(1)가 위치한 층에 대한 바이어스량을 검출한다.
엘리베이터 카(1)의 위치에 대한 바이어스량 연산 함수식은 2차 함수식이므로 엘리베이터 카(1)가 어떤 위치에 있더라도 각기 다른 바이어스량을 검출하여 대응하므로 적절한 바이어스량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10본 발명에 따른 업방향시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별 업바이어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X축은 바이어스량을, Y축은 엘리베이터 카(1)의 위치를 나타내며, 최하층에서 설정된 상향 바이어스량이 점O이며, 중간층에서 설정된 상향 바이어스량이 점P이며, 최상층에서 설정된 상향 바이어스량이 점Q이다. 현재 엘리베이터 카(1)의 위치별 상향 바이어스량은 점O, 점P, 점Q에 해당하는 2차 함수식 f3(x)에 의하여 결정되며 이 f3(x)를 구하는 방법은 하기와 같다.
점O(Xa,Ya), 점P(Xb,Yb), 점Q(Xc,Yc)의 연산식 f3(x)는
f3(x) = Yb + (X-Xa) f[Xa,Xb] + (X-Xa)(X-Xb) f[Xa,Xb,Xc] ----식(4)
상기식(4)에서 f[Xa,Xb,Xc]는
f[Xa,Xb,Xc] = (f[Xb,Xc] -f[Xa,Xb] ) / (Xc - Xa) ------------식(5)
이와 같이 구해진 비선형 특성곡선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의 부하검출 및 부하보상에 이용한다.
도11은 상기 비선형 특성곡선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부하검출 및 부하보상에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엘리베이터 위치검출기의 출력값을 입력하고, 현재의 운전방향이 상향인지를 판단하는데, 여기서는 운전방향이 상향방향이라고 가정한다 (단계 1110,1120). 그후, 기억부(6)에 기억되어 있는 상향 바이어스량 비선형 특성곡선식 계수를 읽어들인다(단계1130). 그 후, 비선형 특성곡선과 엘리베이터의 현재 위치를 이용하여 현재 엘리베이터 위치에 대한 바이어스량을 계산하고, 계산 결과를 출력부(7)에 출력시킨다(단계1140,1150).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출발시에 현재 엘리베이터 카내의 탑승인원에 대한 부하량과 엘리베이터 카가 위치한 층에 대한 바이어스량으로 연산된 부하보상량을 모터측 초기 기동토크에 인가함으로써 초기 출발시 엘리베이터 카의 슬립현상을 방지하게 되어 엘리베이터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엘리베이터 설치시에 카의 행정거리가 클 경우에도 전체층을 여러 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에 대한 특성 곡선을 구하므로 엘리베이터 카가 위치한 층에 대한 정확한 바이어스량을 검출하게 되며, 이에 따라서 엘리베이터 설치조정에 대한 편리성을 제공함과 아울러서 엘리베이터 제어에 대한 서비스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카내의 탑승인원에 대한 중량을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부하량 검출방법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내의 무부하와 전부하 사이의 적어도 두개 이상의 부하량에 대한 부하검출기 출력데이터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부하검출기 출력데이터를 기준으로 부하검출기의 출력데이터와 부하량사이의 비선형적인 관계함수식을구하되, 두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할되어 각각의 구간에 대한 다항식을 도출하는 비선형적인 관계함수식을구하는 과정과,
    상기 관계함수식을 기초로 하여 적어도 두개 이상의 함수식중에서 하나를 선정하여 엘리베이터 탑승인원에 대한 부하량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부하량 검출방법.
  5. 삭제
  6. 제4 항에 있어서, 정격부하의 50퍼센트를 기준으로 구분해서 두개의 비선형적인 관계함수식을 도출하고, 입력되는 부하의 크기에 따라서 해당되는 관계함수식을 적용하여 부하량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부하량 검출방법.
  7. 4항에있어서, 각 구간별 비선형적 관계함수식은 인터폴레이션 폴리노미얼 방법에 의해서 구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부하량 검출방법.
  8. 삭제
  9. 삭제
  10. 엘리베이터 카내 탑승인원에 따라 구동모터의 초기 기동토크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부하보상량 검출방법에 있어서,
    엘리베이터가 동작하는 최하층과 최상층 사이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적어도 두개 이상의 위치에 대한 부하보상량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된부하보상량에 대한 데이터를 기준으로하여 카의 위치와 부하보상량과의 비선형적인 관계식을 구하되,두개의구간으로 분할되어 각각의 구간에 대한 다항식을 도출하는비선형적인관계함수식을 구하는 과정과,
    상기 관계함수식을 기초로 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에 대한 부하보상량을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부하보상량 검출방법.
KR10-2000-0003947A 1999-01-29 2000-01-27 엘리베이터의 부하량 및 부하보상량 검출방법 KR100404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947A KR100404476B1 (ko) 1999-01-29 2000-01-27 엘리베이터의 부하량 및 부하보상량 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02924 1999-01-29
KR1019990002924 1999-01-29
KR10-2000-0003947A KR100404476B1 (ko) 1999-01-29 2000-01-27 엘리베이터의 부하량 및 부하보상량 검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635A KR20000053635A (ko) 2000-08-25
KR100404476B1 true KR100404476B1 (ko) 2003-11-05

Family

ID=26634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3947A KR100404476B1 (ko) 1999-01-29 2000-01-27 엘리베이터의 부하량 및 부하보상량 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44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756A (ko) 2020-02-11 2021-08-19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카 부하 보상 장치를 포함하는 도어 인버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0675A (ja) * 1992-07-21 1994-02-15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乗降人数検出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940014133A (ko) * 1992-12-31 1994-07-16 이희종 엘리베이터 부하 검출회로
JPH09290965A (ja) * 1996-04-26 1997-11-11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起動補償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0675A (ja) * 1992-07-21 1994-02-15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乗降人数検出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940014133A (ko) * 1992-12-31 1994-07-16 이희종 엘리베이터 부하 검출회로
JPH09290965A (ja) * 1996-04-26 1997-11-11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起動補償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756A (ko) 2020-02-11 2021-08-19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카 부하 보상 장치를 포함하는 도어 인버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635A (ko) 200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6628B1 (en) Non-linear load detection and compensation for elevators
CN101959783B (zh) 电梯轿厢再平层期间的动态补偿
EP0613850B1 (en) Bias torque for elevator hoist drive to avoid rollback, rollforward
KR950002524B1 (ko)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100404476B1 (ko) 엘리베이터의 부하량 및 부하보상량 검출방법
JP3527524B2 (ja) エレベーターの重量検出装置
JP4727234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295067B2 (ja) エレベーター秤装置特性測定システム
JP2011001169A (ja) エレベータの起動秤自動調整装置
JP3806287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13233268A (zh) 电梯运行控制方法、控制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5170537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3334335B2 (ja) エレベーターの負荷検出調整装置
JP4216671B2 (ja) エレベータ用秤装置の較正装置、及びエレベータ用秤装置の較正方法
JPH0769557A (ja) エレベータの速度制御装置
KR920010416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US4852694A (en) Elevator starting compensa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20117320A (ja) 制御装置、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3499095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H11335027A (ja) エレベータ用はかり装置
KR102208244B1 (ko) 엘리베이터 카의 부하 보상 방법
JP2605990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GB2285687A (en) Weight detecting apparatus for elevator
KR101913592B1 (ko) 엘리베이터의 안티롤백 기동방법
CN116331968A (zh) 电梯轿厢负载变化检测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