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3822B1 - 레이저센서를 이용한 차종분류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레이저센서를 이용한 차종분류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3822B1
KR100403822B1 KR10-2001-0062937A KR20010062937A KR100403822B1 KR 100403822 B1 KR100403822 B1 KR 100403822B1 KR 20010062937 A KR20010062937 A KR 20010062937A KR 100403822 B1 KR100403822 B1 KR 100403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heel
switch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2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0683A (ko
Inventor
임성빈
우창섭
박상일
김재남
박동연
김영호
임탁규
문광렬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2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3822B1/ko
Publication of KR20030030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0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8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treadles built into the ro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 G01B7/048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length or width of objects while moving for measuring width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1/00Road engineering aspects of Embedding pads or other sensitive devices in paving or other road surfaces, e.g. traffic detectors, vehicle-operated pressure-sensitive actuators, devices for monitoring atmospheric or road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의 윤폭, 윤거 또는 축수를 측정하여 차종을 분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륜에 의한 답압을 전달하는 답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답판의 눌림에 따라서 아래로 이동하는 소정의 갯수의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위치부; 답판에 인가된 답압으로 눌리게 되는 스위치에 의해서 반사되는 광에 의해서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답판조립체; 답판조립체에서 측정한 신호를 직렬통신으로 중계하는 인터페이스부;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중계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답압을 인가하는 차륜의 윤폭 또는 윤거를 산출하는 판별부; 답판조립체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논리부를 포함하므로, 차량의 통행으로 인한 지속적인 진동이나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변위가 발생한 위치를 비접촉식으로 감지함으로써 안정적이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해 진다.

Description

레이저센서를 이용한 차종분류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for classifyng car type using laser senso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윤폭 또는 윤거를 판별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의 폭 방향으로 답판조립체를 배열하여 차량의 윤폭 또는 윤거를 측정하여 차종을 분류하는 차종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답판조립체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저항접접체(110, 120)는 각각 3개의 단자(a, b, c), (a`, b`, c`)를 가지고 있는 바, 이들 중에서 단자(a),(a`)는 각각의 상부 접점체(110a), (120a`)의 쪽단부에 접속되고, 단자(b), (b`)는 저항체(110b), (120b`)의 일측 단부에, 단자(c), (c`)는 저항체(110b), (120b`)의 타측 단부에 각각 접속된다.
여기에서 윤거가 L이고 타이어폭이 l인 차륜을 장착한 차량이 답판조립체 위에 도달해서 저항접접체(110, 120)를 답압했다고 가정한다.
저항접점체(110)는 1차선분의 폭의 차량 통과로의 중앙으로부터 좌측에, 저항접점체(120)는 우측에 각각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의 좌측차륜은 좌측의 저항 접점체(110)를, 우측 차륜은 우측의 저항접점체(120)를 각각 답압한다. 그러면, 좌측의 상부 접점체(110a)의 답압을 받는 부분이 아래쪽으로 가라앉아서 하부의 저항체(110b)에 접촉한다. 마찬가지로 우측의 상부 접접체(120a`)의 답압을 받은 부분도 아래쪽으로 눌려져서 하부 저항체(120b`)에 접촉된다.
여기에서, 접촉구간의 저항체(110b), (120b`)의 저항치를 각각 r2, r5, 또 그 양옆의 비접촉 구간의 저항체(110b), (120b`)의 저항치를 각각 r1, r3, r4, r6, 저항체(110b), (120b`)의 답압 미인가시의 저항치를 R1A, R4A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각각의 저항체(110b), (120b`)의 양단자(b), (c) 및 (b`), (c`)의 각각의 단자 저항치(R1`), (R4`)는 위의 R1A, R4A로부터 각각의 상부 접점체(110a), (120a`)의 접촉에 의한 단락구간의 저항치인 r2, r5를 뺀 저항치가 된다.
즉, R1` = R1A - r2, R2` = R4A - r5가 되어, 결과적으로 답압을 받았을 때 저항체(110b)의 저항치는 R1A에서 R1`로, 저항체(120b`)의 저항치는 R4A에서 R4`로 각각 변화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항 접점체(110), (120)의 차량 통과로의 노면상에 있어서의 설치위치는 노면의 횡단방향을 따라서 중앙으로부터 각각 죄우 도로 가장자리 방향으로 뻗은 소정의 위치이기 때문에, 단자(a)와 단자(b) 사이의 저항 및 단자(a`)와 단자(b`) 사이의 저항을 더한 값은 차량의 윤거와 밀접한 관계를 나타낸 값이 된다. 이들에 의해서 타이폭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윤폭 또는 윤거를측정하기 위해서 도로의 바닥에 매설되어 접촉식 측정이므로 하중을 많이 받게 되고 진동 및 온도/습도의 변화 등 열악한 환경하에서 동작하므로 인쇄회로기판상에 실장된 칩형태의 저항으로는 내구성을 가지질 못하고 답판센서는 방수구조로 밀폐되어 있어 고장 발생시에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수리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답압으로 인한 윤폭 또는 윤거의 측정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답판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답압으로 인한 윤폭 또는 윤거의 측정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답판조립체를 이용한 답판센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윤폭 또는 윤거를 측정하여 차량을 분류하는 차종분류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답판조립체의 전기적인 구성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윤폭 또는 윤거를 측정하는 답판조립체의 단면도(도 2a)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윤폭 또는 윤거를 측정하는 답판조립체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답판조립체를 구성하는 스위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답판조립체를 구성하는 스위치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답판조립체의 센싱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답판조립체에서 측정한 거리를 나타내는 신호로 윤폭 또는 윤거를 산출하는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답판조립체 위를 진행하는 차량이 한 측면으로 붙어서 진입하는 경우에 대한 윤폭 또는 윤거를 산출하는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리센서를 이용한 답판센서장치에 대한 블럭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윤폭 또는 윤거를 측정하여 차종을 분류하는 차종분류장치의 블럭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윤폭 또는 윤거를 측정하기 위해서 거리센서를 이용한 답판조립체로부터 스위치가 눌린 위치에 대한 신호로를 수신하여 차종을 분류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답판조립체는, 차륜에 의한 답압을 전달하는 답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답판의 눌림에 따라서 아래로 이동하는소정의 갯수의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위치부; 상기 답판에 인가된 답압으로 눌리게 되는 스위치에 의해서 반사되는 광에 의해서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답판센서장치는, 차륜에 의한 답압을 전달하는 답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답판의 눌림에 따라서 아래로 이동하는 소정의 갯수의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답판에 인가된 답압으로 눌리게 되는 스위치에 의해서 반사되는 광에 의해서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윤폭 또는 윤거 측정을 위한 답판조립체;상기 답판조립체에서 측정한 신호를 직렬통신으로 중계하는 인터페이스부;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중계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답압을 인가하는 상기 챠륜의 윤폭 또는 윤거를 산출하는 판별부;상기 답판조립체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논리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종분류장치는, 차량의 윤폭 또는 윤거를 판별한 신호를 발생하고 차량의 답압을 전달하는 답판을 구비하는 답판센서장치; 상기 차량에 상기 답판의 점유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광센서부; 상기 답판센서장치 또는 광센서부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차종을 분류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종분류방법은, (a) 차륜에 의한 답압으로 눌려진 스위치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b) 상기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차륜의 윤폭 또는 윤거를 판별하는 단계;(c) 상기 판별된 윤폭 또는 윤거에 의해서 차종을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윤폭 또는 윤거를 측정하는 답판조립체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2a는 답판조립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는 도면이고 도 2b는 답판조립체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c는 답판조립체의 스위치부(220)를 구성하는 스위치들 중에서 하나의 스위치(260)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로써, 하나의 스위치(260)는 스위치 헤드(261), 스위치핀(263) 및 스프링(265)으로 구성된다.
스위치(260)를 구성하는 스위치헤드(261)는 차륜에 의한 답압을 인가받고 스위치핀(263)은 센서가 주사하는 광을 반사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스프링(265)은 스위치(260)에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차량이 진입하여 차륜(251 및 253)이 답판조립체의 답판(210)에 답압을 인가하면 고탄력성의 고무판으로 된 답판(210)은 그 압력으로 눌려지게 되어 스위치부(220)의 스위치 221, 222, 223, 224, 225 및 226이 눌려져 아래쪽으로 밀려가 스위치 지지금속판(230)까지 밀려 내려간다. 스위치부(220)의 각 스위치들은 스프링(265)으로 고정되어 답판(210)에 답압이 해제되면 원상 복귀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센서부(240)의 거리센서(241 및 243)는 답압으로 눌린 스위치(221, 222 및 223)는 스위치핀(263)이 거리센서(241 및 243)에서 주사하는 광의 통로를 차단하여 반사시키므로 거리센서(241 및 243)는 그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여 거리센서(241 및 243)가 설치된 위치에서 좌측차륜(251)에 의해서 눌린스위치(221, 222 및 223)까지 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차륜에 의해서 눌린 스위치들(221 내지 226) 중에서 거리센서(241)로부터 최근거리에 배치된 스위치(221)의 위치는 거리센서(241)에 의해서 측정이 되고 거리센서(243)에서 최근거리에 위치한 스위치(223)의 위치는 거리센서(243)에 의해서 측정된다. 또한 우측 차륜(253)에 의해서 눌린 스위치(224, 225 및 226)의 위치는 거리센서(245 및 247)에 의해서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거리센서(241, 243, 245 및 247)는 광을 주사하여 거리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출력하는 레이저센서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답판조립체를 구성하는 스위치에 대한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하나의 스위치(360)는 스위치헤드(361), 자성을 띠는 스위치핀(363) 및 스위치핀(363)과 동일한 극성을 가지는 자석부(365)로 구성된다.
차륜에 의해서 답판(310)에 답압이 인가되면 스위치 헤드(361)는 스위치지지 금속판(330)까지 눌려지고 스위치핀(363)은 자석부(365)까지 눌려지게 된다. 차륜이 통과하면 답판(310)의 자체 복원력에 의해서 원상태로 돌아가고 스위치핀(363)과 자석부(365)는 동일한 극성이므로 반반력에 의해서 스위치(360)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답판조립체의 센싱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거리센서 A1 및 A2에 의한 측정범위(410)외 거리센서 B1 및 B2에 의한 측정범위(420)를 나타낸다.
각 측정범위(410 내지 420)에는 스위치가 배열되어 있고 겹치는측정범위(430)를 가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답판조립체에서 측정한 거리를 나타내는 신호로 윤폭 또는 윤거를 산출하는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답판조립체 위를 진행하는 차량이 한 측면으로 붙어서 진입하는 경우에 대한 윤폭 또는 윤거를 산출하는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차륜에 의해서 답판에 압력이 인가되면, 답판조립체의 스위치들 중에서 답압을 인가받는 스위치들이 눌려지게 되는데, 윤폭 W를 산출하기 위해서 답압으로 눌려지는 스위치의 위치는 거리센서 A1으로부터의 거리 L1, 거리센서 A2로부터의 거리 L2, 거리센서 B1로부터의 거리 L3 및 거리센서 B2로부터의 거리 L4를 나타내는 신호에서 윤폭 또는 윤거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수학식 1 및 2에서 구할 수 있다.
윤폭(W) = 답판조립체의 전체길이(L) - L1 - L2
= 답판조립체의 전체길이(L) - L3 - L4
윤거(L5) = L3 - L1 = L2 - L4
그러나, 짧은 윤거를 가진 차량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붙어서 진입하는 경우예를 들면, 도 6에서와 같이 거리센서 A1 및 A2의 감지영역으로 두바퀴가 다 지나가게 된다면, 거리센서 A2로부터의 거리(l2) 및 거리센서 B2로부터의 거리(l4)는 같게 되므로, 거리센서 B1 및 B2에서 거리(l3 및 l4)로부터 바퀴의 측정한 스위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거리가 같게 되어 거리센서 B1에서 측정한 거리 l3 및 거리센서 B2에서 측정한 거리 l4로부터 윤폭을 산출하면, 이하의 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윤폭(W) = 답판조립체의 전체 길이(L) - l3 - l4
윤거(l5) = l3 - l1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리센서를 이용한 답판센서장치의 블럭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답판조립체(710)에서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판별부(770)에서 차량의 윤폭을 판별한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차량이 진입하여 차륜에 의한 답압을 답판조립체(710)에 인가를 하면, 답판조립체(710)는 양측면에 설치된 거리센서로 차륜에 의해서 눌린 스위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고 인터페이스부(730)는 거리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별부(770)로 직렬통신으로 중계하고 판별부(770)는 메모리부(760)로 전송하여 그 신호를 저장한다. 판별부(770)는 메모리부(760)에 저장되어 있는 신호들에서 차량의 윤폭 또는 윤거를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정전압회로부(740)는 답판조립체의 거리센서에 정전압을 인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논리부(780)는 답판조립체(710), 정전압회로부(740), 메모리부(760) 및 판별부(770)를 제어하는 제어논리신호를 발생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윤폭 또는 윤거를 측정하여 차종을 분류하는 차종분류장치(800)의 블럭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차종분류장치(800)에서 차종을 분류한 신호를 수신하여 차종에 따른 통행요금징수료를 징수하는 통행료징수장치(840)와 연결되어 있는 블럭도를 나타낸다.
답판센서장치(810)에서 진입한 차량의 윤폭 또는 윤거를 판별하여 신호를 출력하면, 주제어부(830)는 광센서부(820)에서 차량의 답판 점유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확인하고 차량이 답판을 점유하고 있을 동안을 한대의 차량으로 인식하여 답판센서장치(810)의 눌림여부로 축수를 판별하고 답판센서장치(810)로부터 수신한 윤폭 또는 윤거를 판별한 신호에서 차종을 판별하여 통행요징수장치(840)로 전송하게 된다. 주제어부(830)에는 각종 차량에 대한 윤폭, 윤거 또는 축수에 따른 차종을 데이터베이스하여 저장하고 있고 답판센서부(81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해당하는 차종을 검색하여 통행료징수장치(840)로 전송하게 된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윤폭 또는 윤거를 측정하기 위해서 거리센서를 이용한 답판조립체로부터 스위치가 눌린 위치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차종을 분류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차량이 유료도로를 통과하기 위해서 진입하면, 광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을 검지(910단계)한다. 차량이 차로에 설치된 답판조립체 위를 지나가면 차륜에 의한 답압이 답판조립체에 인가(920단계)된다. 답판조립체에는 눌린스위치로 구성되는 2열의 스위치부가 배치되어 있는데, 그 스위치들 중에서 답압으로 눌린 스위치에 대한 위치를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거리센서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한 신호를 발생(930단계)한다. 인터페이스부에서는 그 신호를 수신(940단계)하여 래치하거나 시프팅하여판별부로 출력한다. 판별부는 수신한 신호에서 수학식 1 내지 4의 방법으로 윤폭 또는 윤거를 측정한다. 또한 차륜에 의한 답판의 눌림횟수를 파악한 신호와 윤거 또는 윤폭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950단계)하게 된다.
광센서부에서는 차량이 완전히 통과하였다는 신호를 전송하면 주제어부에는 차륜에 의한 답판의 눌림횟수에 의해서 축수를 판별(960단계)하고 그 축수, 윤폭 및 윤거에 해당하는 차종을 판별(970단계)하게 된다. 차종이 분류되면 차종에 대한 신호를 요금징수장치로 전송(980단계)하여 통행요금을 징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답판조립체에 스프링으로 복원력을 인가하는 스위치를 사용하여 그 스위치의 눌린 위치를 거리센서로 측정하면 차량의 통행으로 인한 지속적인 진동이나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변위가 발생한 위치를 비접촉식으로 감지함으로써 안정적이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해 진다.
유료도로에서 통행요금을 징수할 때 보통 차량의 용도 및 크기 등에 따라 요금에 차이가 있으며, 요금 징수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할 경우, 차종 판별은 중요한 기능으로 요구되어진다. 그러나 다양한 제원의 차량이 계속 출시되기 때문에 차종 판별은 매우 까다로워지고 있으며, 차량의 외형(전장,전고 등)만으로는 정확한 차종의 판별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차종분류이 있어서 필수적인 축수 및 윤거, 윤폭을 측정하므로서 정확한 차종 분류를 가능하게 한다.

Claims (17)

  1. 차륜에 의한 답압을 전달하는 답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답판의 눌림에 따라서 아래로 이동하는 소정의 갯수의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답판에 인가된 답압으로 눌리게 되는 스위치에 의해서 반사되는 광에 의해서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윤폭 또는 윤거 측정을 위한 답판조립체.
  2.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소정의 개수의 스위치들을 상기 답판이 설치되는 도로의 횡방향으로 2열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윤폭 또는 윤거 측정을 위한 답판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에서,
    상기 스위치들로 구성되는 각 열에 있어서, 각 열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스위치를 가지고 상기 도로의 종방향으로 소정의 갯수의 스위치만이 일치되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윤폭 또는 윤거 측정을 위한 답판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들은 상기 답판에 의해서 압력을 받는 스위치버튼, 상기 스위치버튼을 지지하는 스위치핀 및 상기 스위치핀을 감싸면서 복원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윤폭 또는 윤거 측정을 위한 답판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들은 상기 답판에 의해서 압력을 받는 스위치버튼, 상기 스위치버튼을 지지하는 스위치핀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핀은 자성을 띄어 자력의 반반력으로 북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윤폭 또는 윤거 측정을 위한 답판조립체.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2개의 스위치 배열의 각 단부에 거리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센서로부터상기 스위치들 중에서 상기 답압으로 눌린 스위치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윤폭 또는 윤거 측정을 위한 답판조립체.
  7. 차륜에 의한 답압을 전달하는 답판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답판의 눌림에 따라서 아래로 이동하는 소정의 갯수의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답판에 인가된 답압으로 눌리게 되는 스위치에 의해서 반사되는 광에 의해서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차량의 윤폭 또는 윤거 측정을 위한 답판조립체;
    상기 답판조립체에서 측정한 신호를 직렬통신으로 중계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중계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답압을 인가하는 상기 챠륜의 윤폭 또는 윤거를 산출하는 판별부; 및
    상기 답판조립체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논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답판센서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받은 거리를 나타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차륜에 대한 윤폭 또는 윤거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답판센서장치.
  9. 차량의 윤폭 또는 윤거를 판별한 신호를 발생하고 차량의 답압을 전달하는 답판을 구비하는 답판센서장치;
    상기 차량에 상기 답판의 점유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광센서부; 및
    상기 답판센서장치 또는 광센서부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차종을 분류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부는
    상기 차량으로 인한 광의 차단을 확인하여 차량의 진입여부 또는 통과여부를 판별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답판센서장치 또는 상기 광센서부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광센서부가 차량의 진입 또는 통과여부를 나타내는 신호 및 상기 답판센서장치에서 출력하는 상기 차량의 윤폭 및 윤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차량의 축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장치.
  13. (a) 차륜에 의한 답압으로 눌려진 스위치의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b) 상기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차륜의 윤폭 또는 윤거를판별하는 단계; 및
    (c) 상기 판별된 윤폭 또는 윤거에 의해서 차종을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차량의 진입 또는 통과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답압으로 눌려진 스위치의 위치를 4개의 거리센서로 좌우 차륜에 의해서 눌린 스위치들의 위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차량의 진입 및 통과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 차륜에 의한 답압이 인가되는 횟수를 파악하여 상기 (b)단계에서 판별한 윤폭 또는 윤거에 해당하는 차종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종분류방법.
  17. 제 13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1-0062937A 2001-10-12 2001-10-12 레이저센서를 이용한 차종분류장치 및 그 방법 KR100403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937A KR100403822B1 (ko) 2001-10-12 2001-10-12 레이저센서를 이용한 차종분류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937A KR100403822B1 (ko) 2001-10-12 2001-10-12 레이저센서를 이용한 차종분류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683A KR20030030683A (ko) 2003-04-18
KR100403822B1 true KR100403822B1 (ko) 2003-10-30

Family

ID=29564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2937A KR100403822B1 (ko) 2001-10-12 2001-10-12 레이저센서를 이용한 차종분류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38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956B1 (ko) * 2008-09-16 2009-04-09 김학선 통합교통량 측정장치
KR101030191B1 (ko) * 2008-11-06 2011-04-22 휴앤에스(주) 자전거 통행 시스템
CN108447269A (zh) * 2018-05-17 2018-08-24 南京艾飞特智能电子科技有限公司 车辆信息提取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683A (ko) 200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5911B2 (en) Vehicle tyre checking system
US6405141B1 (en) Dynamic track stiffness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US5959259A (en) System and method for accurately weighing and characterizing moving vehicles
KR100796998B1 (ko) 차종 판별용 답판센서 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 차종 판별시스템
KR101014244B1 (ko) 축거 및 축수 기반 차종 인식 시스템
US7024064B2 (en) Road traffic monitoring system
KR100403822B1 (ko) 레이저센서를 이용한 차종분류장치 및 그 방법
US200401647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assifying vehicles
KR20090031050A (ko) 차종판별용 답판 센서 유니트
JPH07225891A (ja) 車種判別装置の踏板
JPH0423731B2 (ko)
US57500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vehicle types
KR100403821B1 (ko) 인쇄저항패턴을 이용한 차종분류장치
JPS589358Y2 (ja) 踏圧感知素子
KR100433293B1 (ko) 전도성 고무를 이용한 차량감지센서 및 차종분류장치
KR101309676B1 (ko) 비접촉식 차종분류장치
JPH0468680B2 (ko)
KR100597000B1 (ko) 차륜의 윤거와 윤폭의 정확한 측정을 위한 차종판별장치의디딤판 스위치
JPS62183000A (ja) 車種判別装置
KR100536053B1 (ko) 차종 판별용 답판장치
KR860002209B1 (ko) 차종 판별 장치
JPH0423732B2 (ko)
JPH0427600B2 (ko)
KR20010097490A (ko) 차량의 축수계수 및 타이어 크기에 따른 비접촉식차종판별장치 및 차종판별방법
KR200264894Y1 (ko) 분리형 답판센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