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1755B1 - 자동차용 연료탱크내 연료유동 저감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연료탱크내 연료유동 저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1755B1
KR100401755B1 KR10-2000-0079331A KR20000079331A KR100401755B1 KR 100401755 B1 KR100401755 B1 KR 100401755B1 KR 20000079331 A KR20000079331 A KR 20000079331A KR 100401755 B1 KR100401755 B1 KR 100401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uel tank
flow
brush
re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0002A (ko
Inventor
정치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9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1755B1/ko
Publication of KR20020050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0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7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60K2015/0775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for reducing movement or slash noise of fu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연료탱크내 연료유동 저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탱크내에서 연료유동을 억제함과 동시에 유동속도를 줄이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연료유동 저감구조로서 스틸재질의 배플 대신 플라스틱재질의 고탄력부재인 유동저감용 브러쉬를 장착함으로써, 연료탱크내에서 연료의 유동으로 발생되는 연료탱크내의 소음과 진동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자동차용 연료탱크내 연료유동 저감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연료탱크내 연료유동 저감구조{Structure for reducing fuel flowage in the fuel tank for an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연료탱크내 연료유동 저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탱크내에서 연료유동을 억제함과 동시에 유동속도를 줄이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연료유동 저감구조로서 스틸재질의 배플 대신 플라스틱재질의 고탄력부재인 유동저감용 브러쉬를 장착함으로써, 연료탱크내에서 연료의 유동으로 발생되는 연료탱크내의 소음과 진동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자동차용 연료탱크내 연료유동 저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가 장착되어 있고, 연료탱크는 얇은 강판으로 이루어진 장방형의 형상으로 소정의 용적을 갖는 통형상이기 때문에 자동차가 급제동되거나 급발진할 때 연료탱크내의 연료는 쏠림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쏠림현상으로 연료탱크의 외측 벽면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연료탱크의 변형, 소음, 진동 등이 일어나기 때문에 통상,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연료탱크의 내측 공간을 구획하는 배플이 설치된다.
첨부한 도 4는 자동차용 연료탱크내에 장착된 배플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플(20)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평판으로서 소정의 크기를 갖는 다수개의 통공(22)이 형성되어 있고, 연료탱크(10) 내측에서 용접되어 수직으로 고정된 채 연료탱크(10)내의 공간을 분할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배플(20)은 자동차가 급제동 또는 급출발할 때 연료탱크(10)내에서 한쪽으로 일시에 쏠리려는 연료를 차단하게 되는데, 통공(22)을 통하여 서서히 통과시킴으로써 배플(20)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면서 연료의 일시적인 쏠림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배플(20)은 스틸로 제작되므로 고가이고, 연료유동시 소음이 잔존하게 되며, 배플(20)에 전달된 충격으로 진동이 발생하여 차체 플로어를 통해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배플(20)은 탱크내 고정시 스폿용접으로 고정하게 되는데, 탱크내 고정시 스폿용접점(24)이 많아 작업시간이 증가되고, 상기 스폿용접점(24)에서의 부식으로 연료의 누유가 자주 발생된다.
또한, 배플(20)의 재질이 스틸이라 연료유동에 의한 충격력이 연료탱크(10)를 구성하는 상/하부패널에 직접 전달되어 스폿용접점(24)부위가 집중응력을 받게 되므로 배플(20)이 연료탱크(10)에서 떨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연료탱크내에서 연료유동을 억제함과 동시에 유동속도를 줄이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연료유동 저감구조로서 스틸재질의 배플 대신 플라스틱재질의 고탄력부재인 유동저감용 브러쉬를 장착함으로써, 연료탱크내에서 연료의 유동으로 발생되는 연료탱크내의 소음과 진동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자동차용 연료탱크내 연료유동 저감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탱크내 연료유동 저감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유동 저감구조에서 유동저감용 브러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유동 저감구조에서 브러쉬 장착용 브라켓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자동차용 연료탱크내에 장착된 배플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료탱크 20 : 배플
22 : 통공 24 : 용접점
30 : 유동저감용 브러쉬 32 : 브러쉬 모
34 : 브러쉬 홀더 34a : 삽입홈
36 : 브러쉬 장착용 브라켓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탱크내 연료유동 저감구조는 브러쉬 홀더(34)에 빼기구배를 갖는 원기둥형상의 브러쉬 모(32)가 일단이 고정된 채 적어도 3열 이상의 규칙적인 다중 배열로 배치된 형태의 유동저감용 브러쉬(30)가 연료탱크(10) 내측의 소정 위치에 브러쉬 장착용 브라켓(36)으로써 소정 갯수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브러쉬 장착용 브라켓(36)은 상기 브러쉬 홀더(34) 양 단부에 형성된 삽입홈(34a)에 일측이 끼워진 채 타측이 상기 연료탱크(10) 내측에 용접되어 상기 유동저감용 브러쉬(3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탱크내 연료유동 저감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유동 저감구조에서 유동저감용 브러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차량주행시 브레이크를 작동하게 되면 관성의 법칙에 의해 연료탱크(10)내의 연료가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유동하면서 연료탱크(10)의 내면을 타격하게 되고, 이때 연료의 유동은 소음과 진동을 유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유동 저감구조는 연료탱크(10)내에서 연료의 유동을 억제함과 동시에 유동속도를 줄이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고탄력부재를 설치하여 연료의 유동으로 발생되는 연료탱크(10)내의 소음과 진동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구조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력부재로서 연료탱크(10)내의 소정 위치에 소정 갯수의 유동저감용 브러쉬(30)가 장착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동저감용 브러쉬(30)를 구성하는 브러쉬 모(32)와 브러쉬 홀더(34)는 플라스틱을 재질로 하여 사출성형제작되며, 상기 브러쉬 모(32)는 빼기구배를 갖는 원기둥형상으로서 브러쉬 홀더(34)에 일단이 고정된 채 배열된다.
상기 브러쉬 모(32)는 브러쉬 홀더(34)상에서 규칙적인 배열을 이루면서 고정되고, 적어도 3열 이상의 다중 배열로 배치된다.
상기 브러쉬 모(32)는 연료의 흐름을 흡수 및 분산하여 연료유동의 충격력을 약화시키고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즉, 상기 연료탱크(10)내에서 유동중인 연료는 연료탱크(10) 내면을 타격하기 전에 상기 브러쉬 모(32)를 거치면서 유동속도가 줄어들게 되고 충격이 흡수되어 진동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첨부한 도 3에서는 상기 유동저감용 브러쉬를 연료탱크 내부 소정 위치에 장착하기 위한 브러쉬 장착용 브라켓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쉬 홀더(34)의 양 단부에는 브러쉬 장착용 브라켓(36)의 일측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34a)이 구비되고, 상기 브러쉬 장착용브라켓(36)은 상기 삽입홈(34a)에 일측이 끼워진 채 연료탱크(10) 내측에서 스폿용접되어 유동저감용 브러쉬(30)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유동저감용 브러쉬(30)를 장착할 시에는 상기 브러쉬 장착용 브라켓(36)만 연료탱크(10)의 장착위치에 용접하면 되므로, 동일 갯수의 배플 장착시에 비해 용접점의 수를 줄일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응력이 취약한 용접점에서 부식에 의한 연료누유가 줄어들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연료탱크내 연료유동 저감구조에 의하면 고탄력부재인 유동저감용 브러쉬를 채용함으로써, 소음 및 진동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연료탱크의 상품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응력이 취약한 용접점에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플라스틱을 재질로 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접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별도의 브러쉬 장착용 브라켓을 사용하게 되므로 동일 갯수의 배플에 비해 용접으로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고, 용접점 부식에 의한 연료누유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브러쉬 홀더(34)에 빼기구배를 갖는 원기둥형상의 브러쉬 모(32)가 일단이 고정된 채 적어도 3열 이상의 규칙적인 다중 배열로 배치된 형태의 유동저감용 브러쉬(30)가 연료탱크(10) 내측의 소정 위치에 브러쉬 장착용 브라켓(36)으로써 소정 갯수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탱크내 연료유동 저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장착용 브라켓(36)은 상기 브러쉬 홀더(34) 양 단부에 형성된 삽입홈(34a)에 일측이 끼워진 채 타측이 상기 연료탱크(10) 내측에 용접되어 상기 유동저감용 브러쉬(3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연료탱크내 연료유동 저감구조.
KR10-2000-0079331A 2000-12-20 2000-12-20 자동차용 연료탱크내 연료유동 저감구조 KR100401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331A KR100401755B1 (ko) 2000-12-20 2000-12-20 자동차용 연료탱크내 연료유동 저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331A KR100401755B1 (ko) 2000-12-20 2000-12-20 자동차용 연료탱크내 연료유동 저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002A KR20020050002A (ko) 2002-06-26
KR100401755B1 true KR100401755B1 (ko) 2003-10-17

Family

ID=27683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331A KR100401755B1 (ko) 2000-12-20 2000-12-20 자동차용 연료탱크내 연료유동 저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17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912340D0 (en) * 2009-07-16 2009-08-26 Rolls Royce Plc Aircraft power manag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002A (ko) 2002-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018B1 (ko) 서브프레임용 롤로드의 구조
JP4755147B2 (ja) 防振装置
JP5362218B2 (ja) 自動車用のブレーキ液タンク
KR100401755B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내 연료유동 저감구조
US20030188618A1 (en) Manually guided, motor driven implement
KR100569994B1 (ko) 자동차용 서브 프레임 마운팅 구조
KR100986086B1 (ko) 마운팅 부시유닛
CN110816666B (zh) 副车架
KR101232395B1 (ko) 프로펠러 샤프트의 진동저감장치
KR100974593B1 (ko) 유체봉입형 부시
CN219257464U (zh) 转向管柱的安装总成和车辆
KR100460929B1 (ko) 차량용 변속기의 마운팅 장치
KR102447819B1 (ko) 자동차 파워트레인용 하이드로 엔진 마운팅 구조
KR19980045538A (ko) 차량용 서브 프레임 마운팅 구조
KR100192336B1 (ko) 자동차용 액체봉입식 엔진마운트
KR100534250B1 (ko) 자동차의 엔진마운팅 브라켓트
JP5169138B2 (ja) 車体前部構造
KR100986341B1 (ko) 롤마운트와 일체로 형성된 스티어링 기어 박스 구조
KR100384105B1 (ko) 차량용엔진마운팅멤버의충격흡수구조
KR20170020020A (ko) 서브 프레임용 부시 유닛
KR100462683B1 (ko) 카울 크로스 바 보강구조
KR20070040236A (ko) 오디오 지지클립
KR101795073B1 (ko) 엔진 마운트
KR100254341B1 (ko) 블럭고무식 엔진마운트
KR19980026922A (ko)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