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1480B1 - 파일직물 염색 시스템 - Google Patents

파일직물 염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1480B1
KR100401480B1 KR10-2001-0012708A KR20010012708A KR100401480B1 KR 100401480 B1 KR100401480 B1 KR 100401480B1 KR 20010012708 A KR20010012708 A KR 20010012708A KR 100401480 B1 KR100401480 B1 KR 100401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le fabric
soluble dye
dy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2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7716A (ko
Inventor
김석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성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성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성하이텍
Priority to KR10-2001-0012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1480B1/ko
Publication of KR20010067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4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9/00Solvent-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 D06B9/02Solvent-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solvent-dye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1/00Successive treatments of textil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일직물 염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평면으로 펼쳐진 파일직물을 이송시키기 위해 무한궤도 상의 컨베이어부재가 마련된 프레임; 상기 컨베이어부재에 의해 이송되는 파일직물의 표면에 염료 원액과 물이 혼합된 소정 색상의 수용성 염료를 급분사하도록 상기 컨베이어부재의 진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표면에 각각 소정 개수의 노즐공이 파일직물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면서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서로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노즐군을 포함하는 노즐공 패턴이 형성되며, 양단이 폐쇄된 다수의 파이프형 분사부재; 수용성 염료를 소정 펌핑력에 의해 상기 분사부재측으로 급송하기 위한 펌핑부재를 가진 수용성 염료 공급수단; 상기 펌핑부재의 구동과 상기 분사부재로 공급되는 수용성 염료의 유입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수용성 염료가 분사된 파일직물을 고온 분위기의 스팀으로 히팅하여 고착시키는 고착수단; 및 상기 수용성 염료의 고착이 완료된 파일직물을 수세 및 탈수하여 건조하는 후처리수단;을 구비하여 무늬의 구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색상차가 없을 뿐만 아니라, 경쟁업자와 차별화된 무늬를 구현하여 경쟁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파일직물 염색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일직물 염색 시스템 {System for dying pile textile}
본 발명은 파일직물 염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일직물의 표면으로 염료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파일직물에 균일하고 다양한 패턴의 색상을 실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파일직물 염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일직물(pile textile)은 평면 또는 양면에 파일(pile)을 가진 직물의 총칭으로, 첨모직물이라고도 하며, 기모 및 식모 직물로서 스웨드 의류나 인테리어용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파일직물은 폴리아미드 섬유나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의 합성섬유로 제편되며, 직물 표면에 모우(毛羽)를 솟아오리게 짠 것으로, 파일의 길이에 따라 벨벳(velvet)과, 벨루어(velour)로 구분되며, 파일의 형태에 따라 고리형 파일(loop pile)과, 컷파일(cut pile)로 구분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파일직물은 소정의 무늬를 직물 표면에 프린팅하는날염 방법으로 염색을 한다. 이러한 날염 방법으로는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롤러 프린팅(roller printing) 및 열전사 프린팅(heat transfer printing)법이 있다.
그런데, 종래와 같은 날염 방식은 무늬의 도안에 한계가 있으며, 양변의 색상차가 크고, 경쟁업자와 차별화된 무늬를 구현할 수 없어 경쟁적 우위를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무늬의 구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양변의 색상차가 없으며, 차별화된 무늬를 구현할 수 있도록 염료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염색하는 구조의 파일직물 염색 시스템을 제공하는 그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일직물 염색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장치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베이어부재와 분사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사부재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2와 다른 구현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프레임 12... 컨베이어부재
13... 구동롤러 14... 피동롤러
15... 컨베이어벨트 16... 지지대
16a... 감지센서 17... 트레이
18... 분사부재 21... 염료 원액 저장용기
22... 물 저장용기 23... 수용성 염료 공급라인
24... 차단밸브 25... 펌핑부재
31... 제어부 32... 고착수단
32a... 하우징 32b... 다공판
32c... 히팅부재 34... 수세부재
35... 수세용기 36... 급수라인
37,40... 배수라인 38... 탈수부재
39... 탈수용기 41... 드럼
42... 건조부재 43... 건조용기
44... 열풍주입라인 51... 노즐공 패턴
52... 노즐군 53... 노즐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평면으로 펼쳐진 파일직물을 이송시키기 위해 무한궤도 상의 컨베이어부재가 마련된 프레임; 상기 컨베이어부재에 의해 이송되는 파일직물의 표면에 염료 원액과 물이 혼합된 소정 색상의 수용성 염료를 급분사하도록 상기 컨베이어부재의 진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표면에 각각 소정 개수의 노즐공이 파일직물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면서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서로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노즐군을 포함하는 노즐공 패턴이 형성되며, 양단이 폐쇄된 다수의 파이프형 분사부재; 수용성 염료를 소정 펌핑력에 의해 상기 분사부재측으로 급송하기 위한 펌핑부재를 가진 수용성 염료 공급수단; 상기 펌핑부재의 구동과 상기 분사부재로 공급되는 수용성 염료의 유입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수용성 염료가 분사된 파일직물을 고온 분위기의 스팀으로 히팅하여 고착시키는 고착수단; 및 상기 수용성 염료의 고착이 완료된 파일직물을 수세 및 탈수하여 건조하는 후처리수단;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노즐군은 파일직물이 진행하는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마련되면 파일직물의 표면에 균일한 염료 분사가 이루어져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성 염료 공급수단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염료 원액과 물이 각각 수용되는 복수의 저장용기; 상기 펌핑부재에 의해 상기 저장용기로부터 흡입된 염료 원액과 물을 상기 분사부재측으로 급유하는 수용성 염료 공급라인;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공급라인을 경유하는 상기 수용성 염료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상기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는 차단밸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착수단은: 상기 수용성 염료가 분포된 파일직물이 수용되며, 내부공간에 소정량의 물이 저장된 하우징; 및 상기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저부에 마련된 히팅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처리수단은: 상기 수용성 염료가 고착된 파일직물을 수세하여 고착되지 않은 염료를 제거하도록 소정량의 물이 급배수되는 수세부재; 상기 수세부재에 의해 수세된 파일직물의 잔류 수분을 탈수하는 탈수부재; 및 상기 파일직물에 남아 있는 미량의 수분을 증발작용으로 제거하는 건조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색상의 염료를 고압으로 동시에 분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무늬의 구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색상차가 없을 뿐만 아니라, 경쟁업자와 차별화된 무늬를 구현하여 경쟁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일직물 염색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일직물 염색 시스템은 프레임(11)과, 프레임(11)에 설치되어 파일직물(P)의 표면으로 수용성 염료를 분사하는 다수의 파이프형 분사부재(18)와, 분사부재(18)측으로 수용성 염료를 공급하기 위한 염료 공급수단과, 분사부재(18)측으로 공급되는 수용성 염료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31)와, 수용성 염료가 분사된 파일직물(P)을 고착시키는 고착수단(32)과, 수용성 염료가 고착된 파일직물(P)을 수세 및 탈수하여 건조하는 후처리수단을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은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염색하고자 하는 파일직물(P)이 수용되는 트레이(17)를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부재(12)가 설치된다. 상기 컨베이어부재(12)는 트레이(17)가 진행하는 방향과 교차하도록 프레임(11)의 대략 상측에 설치되며,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롤러(13)와, 다수의 피동롤러(14)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부재(12)는 구동롤러(13)와 피동롤러(14)를 감싸며, 폐루프 형태로 무한궤도 상을 주행하는 컨베이어밸트(15)가 마련된다. 즉, 컨베이어밸트(15) 상에 올려진 트레이(17)는 구동롤러(13)가 구동됨에 따라 무한궤도로 주행하는 컨베이어밸트(15)를 타고 도면의우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분사부재(18)는 안료 또는 염료 원액과 물이 혼합된 수용성 염료를 컨베이어부재(12)에 의해 이송되는 파일직물(P)의 표면에 급분사하기 위한 것으로써,상기 컨베이어밸트(15)의 표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컨베이어밸트(15)의 진행방향과 교차되도록 프레임(11)의 상측에 마련된 지지대(16)에 다수 설치된다. 상기 분사부재(18)는 양단이 폐쇄된 파이프 형상을 취하고, 각각의 내부로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수용성 염료가 유입되며, 편의상 제1 내지 제4분사부재(18a-18d)로 구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분사부재(18)는 프레임(11) 상에 4개의 제1 내지 제4분사부재(18a-18d)가 설치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부재(18)는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수용성 염료가 직하방으로 급분사되도록 컨베이어밸트(도 2의 15)를 타고 이송되는 파일직물(도 2의 P)의 표면과 대면하는 위치에 노즐공 패턴(51)이 마련된다.
상기 노즐공 패턴(51)은 파일직물(P)의 표면과 대면하는 위치에 각각 소정 개수의 노즐공(53)이 분사부재(18) 각각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밀접되게 형성되고, 서로 등간격으로 인접된 다수의 노즐군(52)을 포함한다.
상기 노즐공(53)은 파일직물(P)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되는 개수 예컨대, 3∼12개 단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노즐공(53)은 제1분사부재(18a)에 3개 단위의 노즐군(52)으로 다수 형성되며, 제2분사부재(18b)에 7개 단위의 노즐군(52)으로 다수 형성되고, 제3분사부재(18c)에 8개 단위의 노즐군(52)으로 다수 형성되며, 제4분사부재(18d)에 12개 단위의 노즐군(52)으로 다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노즐군(52)은 파일직물(P)이 진행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노즐군(52)는 노즐공(53)이 분사부재(18)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 배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비연속적인 방사상 또는 비선형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4분사부재(18d)에서 일차적으로 분사된 제1색상의 수용성 염료가 파일직물(P)에 바탕색으로서 다량 피착된 후, 제3분사부재(18b)에서는 상기 제1색상의 수용성 염료와 배합되어 다른 색상을 표현하거나, 독자의 제2색상을 표현하기 위해 제2색상의 수용성 염료가 분사된다. 이후, 제2분사부재(18b) 및 제1분사부재(18a)에 의한 다른 색상의 연출도 동일한 과정으로 진행된다. 파일직물(P)의 진행방향이 좌에서 우로 향하는 경우에는 분사부재(18)의 수용성 염료의 분사순서는 제4분사부재(18d)가 일차적이며, 제3, 제2 및 제1분사부재로부터 분사가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군(52)은 다른 구현예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일직물(P)이 진행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정렬되지 않고, 파일직물(P)이 진행하는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교번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이는 파일직물(P)에 분사되는 수용성 염료가 균일하게 피착될 수 있는 구조적인 개선이며, 이 이외의 다양한 패턴 형태로 노즐군(52)이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분사부재(18)로 유입된 다른 색상의 수용성 염료는 서로 다른 갯수의 노즐공(53)을 가진 다수의 노즐군(52)을 통해 파일직물(P)의 표면으로 급분사되기 때문에, 파일직물(P)의 표면에 각각의 색상이 골고루 분포된다. 또한, 각각의 색상을 가진 수용성 염료가 서로 배합되어 무수한 색상을 표현해 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의 지지대(16)에는 트레이(17)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6a)가 설치된다. 상기 감지센서(16a)는 통상적인 적외선 감지센서로서, 적외선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상기 적외선이 소정 차단물에 의해 차단되어 되돌아 오는 반사파를 수광하는 수광부와, 수광부로 적외선이 반사된 경우 소정의 감지신호를 송출하는 감지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 염료 공급수단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염료 원액과 물이 수용되는 각각의 저장용기(21,22)와, 상기 저장용기(21,22) 내에 수용된 염료 원액과 물을 소정의 펌핑력으로 흡입하는 펌핑부재(25)와, 상기 펌핑부재(25)에 의해 흡입된 염료원액과 물을 분사부재(18)로 급유하는 수용성 염료 공급라인(23)과, 상기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는 차단밸브(24)를 구비한다.
상기 저장용기(21,22)는 각기 다른 색상의 염료 또는 안료가 수용되는 염료 원액 저장용기(21)와, 상기 염료 또는 안료 원액과 혼합되어 수용성 염료를 형성하도록 소정량의 물이 저장된 물 저장용기(22)로 구분된다.
상기 수용성 염료 공급라인(23)은 각각의 염료 원액과 물이 수용된 저장용기(21,22)와 분사부재(18)에 각각 연결되어 펌핑부재(25)의 펌핑력으로 염료 원액과 물을 흡입하여 상기 분사부재(18)로 공급하는 관체이다.
상기 펌핑부재(25)는 염료 공급라인(23)과 연결되며, 소정의 펌핑력으로 각각의 염료 원액과 물을 흡입함과 동시에, 흡입된 수용성 염료를 분사부재(18)로 급송한다.
상기 차단밸브(24)는 염료 공급라인(23) 상에 설치되며, 감지센서(16a)로부터 소정 신호를 제공받은 제어부(31)에 의해 염료 공급라인(23)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상기 제어부(31)는 프레임(11)에 설치된 감지센서(16a)와 신호체계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센서(16a)가 트레이(17)의 진입을 감지할 경우, 그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차단밸브(24)에 개방신호를 제공하고, 감지센서(16a)로부터 감지해제신호를 제공받게 되면 차단밸브(24)에 폐쇄신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펌핑부재(25)와 컨베이어부재(12)의 온-오프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고착수단(32)은 고온의 스팀으로 파일직물(P)에 분포된 수용성 염료를 고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파일직물(P)이 수용되며, 소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32a)과, 하우징(32a) 내에 마련되어 파일직물(P)이 올려지는 다공판(32b)과, 물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다공판(32b)의 하방에 마련된 히팅부재(32c)를 구비한다.
상기 후처리수단은 수용성 염료가 고착된 파일직물(P)을 수세하는 수세부재(34)와, 수세된 파일직물(P)의 잔류 수분을 탈수하는 탈수부재(38)와, 파일직물(P)에 남아 있는 미량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건조부재(42)를 구비한다.
상기 수세부재(34)는 수세용기(35)와, 수세용기(35)의 일측에 마련되어 수세용기(35)의 내부공간으로 소정량의 물을 급수하는 급수라인(36)과, 수세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라인(37)을 구비한다.
상기 탈수부재(38)는 통상적인 드럼형 탈수기 구조로서, 탈수용기(39)와, 상기 탈수용기(39) 내에 마련되어 소정 동력으로 정역회전되며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드럼(41)과, 탈수용기(39)의 저부에 마련되어 드럼(41)의 회전에 의해 탈수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라인(40)을 구비한다.
상기 건조부재(42)는 열풍으로 파일직물(P)에 잔존하는 미량의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한 것으로, 소정의 내부공간을 가진 건조용기(43)와, 건조용기(43)의 내부공간으로 열풍을 분사하는 열풍주입라인(44)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일직물 염색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 공정 예컨대, 표면에 묻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련 공정 등을 거친 파일직물(P)을 트레이(17)에 담아 넓게 펼친다. 이어서, 사용자는 제어부(31)를 조작하여 컨베이어부재(12)와 펌핑부재(25)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컨베이어부재(12)의 컨베이어밸트(15)는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주행하고, 다수의 염료 원액 저장용기(21)에 저장된 서로 다른 색상의 염료 원액과, 물 저장용기(22)에 저장된 물은 펌핑부재(25)의 펌핑력에 의해 수용성 염료 공급라인(23)으로 흡입된다. 이 때, 상기 공급라인(23) 상에 설치된 차단밸브(24)는, 감지센서(16a)가 트레이(17)를 감지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염료 공급라인(23)을 폐쇄시켜 분사부재(18)측으로 흐르는 수용성 염료를 차단한다.
다음, 상기 트레이(17)를 컨베이어밸트(15) 상에 얹어 놓는다. 이어서, 트레이(17)는 컨베이어밸트(15)를 따라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트레이(17)가 분사부재(18)의 직하방에 도달하는 순간 즉, 트레이(17)가 감지센서(16a)의 감지영역에 도달할 때, 프레임(11)의 지지대(16)에 설치되어 있는 감지센서(16a)는 트레이(17)의 진입을 감지하고, 이에 상응하는 감지신호를 제어부(31)로 송출한다. 상기 제어부(31)는 감지센서(16a)로부터 송출된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개방신호로 변환한 다음, 상기 개방신호를 차단밸브(24)로 전송한다. 따라서, 차단밸브(24)는 수용성 염료 공급라인(23)의 유로를 개방시킨다. 이와 동시에, 차단밸브(24)의 폐쇄동작에 의해 차단되어 있던 고압의 수용성 염료는 차단밸브(24)의 개방동작에 의해 염료 공급라인(23)을 따라 분사부재(18)의 내부공간으로 급유됨과 동시에, 분사부재(18)의 노즐공 패턴(51)을 통해 직하방으로 급분사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성 염료는 트레이(17)가 감지센서(16a)의 감지영역을 벗어나는 순간까지 분사부재(18)의 노즐공 패턴(51)을 통해 분사된다. 이 때, 상기 분사부재(18)의 노즐공 패턴(51)은 각기 다른 개수를 가진 노즐공(53)이 연속 배치된 다수 노즐군(52)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분사영역이 서로 다른 수용성 염료는 파일직물(P)의 표면 전체에 골고루 분사될 뿐만 아니라, 각기 다른 색상을 가진 수용성 염료가 배합되어 소정 색상을 가진 무늬 예컨대, 각종 꽃무늬의 천연 색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트레이(17)가 컨베이어부재(12)에 의해 계속 이동됨에 따라 상기 트레이(17)가 감지센서(16a)의 감지영역을 벗어나게 되면, 감지센서(16a)로부터 제어부(31)로 송출되는 감지신호는 차단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31)는 차단밸브(24)에 폐쇄신호를 제공하여 수용성 염료 공급라인(23)을 폐쇄시킨다. 그러면, 각각의 분사부재(18)측으로 분사되는 수용성 염료의 공급은 차단된다.
다음, 수용성 염료가 분포된 파일직물(P)은 고착수단(32)으로 옮겨져 하우징(32a) 내에 마련된 다공판(32b) 상에 얹혀진다. 그 후, 히팅부재(33c)를 구동시켜 물을 가열하면, 히팅부재(33c)의 히팅작용에 의해 대략 107℃의 스팀이 발생하게 되고, 일정시간 경과 후 파일직물(P)에 분포된 수용성 염료는 상기 스팀에 의해 고착된다.
이어서, 상기 파일직물(P)은 수세부재(34)의 수세용기(35)에 옮겨져 수세된다. 즉, 상기 파일직물(P)은 급수라인(36)을 통해 수세용기(35)의 내부공간으로 급수되는 물에 의해 수세되고, 이에 따라 파일직물(P)의 표면으로부터 탈락하기 쉬운 염료는 물에 의해 제거된다. 그리고, 파일직물(P)을 수세한 물은 배수라인(3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 수세가 완료된 파일직물(P)은 탈수부재(38)로 옮겨져 탈수된다. 즉, 파일직물(P)을 드럼(41) 내부로 투입한 다음, 드럼(41)을 정역회전시키면, 파일직물(P)에 묻은 수분은 원심력에 의해 제거되고, 제거된 물은 배수라인(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마지막으로, 탈수가 완료된 파일직물(P)은 건조부재(42)로 옮겨져 건조된다. 즉, 파일직물(P)을 건조용기(43) 내에 투입한 다음, 열풍주입라인(44)으로 열풍을 분사하면, 파일직물(P)에 잔존하는 미량의 수분은 상기 열풍에 의해 완전히 증발된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일직물 염색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다색상의 염료를 고압으로 동시에 분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무늬의 구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색상차가 없다.
둘째, 경쟁업자와 차별화된 무늬를 구현할 수 없어 경쟁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Claims (7)

  1. 평면으로 펼쳐진 파일직물을 이송시키기 위해 무한궤도 상의 컨베이어부재가 마련된 프레임;
    상기 컨베이어부재에 의해 이송되는 파일직물의 표면에 염료 원액과 물이 혼합된 소정 색상의 수용성 염료를 급분사하도록 상기 컨베이어부재의 진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표면에 각각 소정 개수의 노즐공이 파일직물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증가하면서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서로 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노즐군을 포함하는 노즐공 패턴이 형성되며, 양단이 폐쇄된 다수의 파이프형 분사부재;
    수용성 염료를 소정 펌핑력에 의해 상기 분사부재측으로 급송하기 위한 펌핑부재를 가진 수용성 염료 공급수단;
    상기 펌핑부재의 구동과 상기 분사부재로 공급되는 수용성 염료의 유입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수용성 염료가 분사된 파일직물을 고온 분위기의 스팀으로 히팅하여 고착시키는 고착수단; 및
    상기 수용성 염료의 고착이 완료된 파일직물을 수세 및 탈수하여 건조하는 후처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 염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군은 파일직물이 진행하는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교번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 염색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염료 공급수단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염료 원액과 물이 각각 수용되는 복수의 저장용기;
    상기 펌핑부재에 의해 상기 저장용기로부터 흡입된 염료 원액과 물을 상기 분사부재측으로 급유하는 수용성 염료 공급라인;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공급라인을 경유하는 상기 수용성 염료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상기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는 차단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 염색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수단은:
    상기 수용성 염료가 분포된 파일직물이 수용되며, 내부공간에 소정량의 물이 저장된 하우징; 및
    상기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의 저부에 마련된 히팅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 염색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수단은:
    상기 수용성 염료가 고착된 파일직물을 수세하여 고착되지 않은 염료를 제거하도록 소정량의 물이 급배수되는 수세부재;
    상기 수세부재에 의해 수세된 파일직물의 잔류 수분을 탈수하는 탈수부재; 및
    상기 파일직물에 남아 있는 미량의 수분을 증발작용으로 제거하는 건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직물 염색 시스템.
  6. 삭제
  7. 삭제
KR10-2001-0012708A 2001-03-12 2001-03-12 파일직물 염색 시스템 KR100401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708A KR100401480B1 (ko) 2001-03-12 2001-03-12 파일직물 염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2708A KR100401480B1 (ko) 2001-03-12 2001-03-12 파일직물 염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716A KR20010067716A (ko) 2001-07-13
KR100401480B1 true KR100401480B1 (ko) 2003-10-10

Family

ID=19706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708A KR100401480B1 (ko) 2001-03-12 2001-03-12 파일직물 염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14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7438A (ko) * 2002-06-21 2003-12-31 주식회사 티엔지코리아 원단을 연속적으로 가공하기 위한 장치
KR101107512B1 (ko) * 2008-06-30 2012-02-0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디지털 날염 전용 복합 후가공기
KR101630359B1 (ko) * 2014-12-26 2016-06-27 에코융합섬유연구원 합성가발원사의 연속염색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716A (ko) 200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69844B1 (da) Fremgangsmåde til diskontinuerlig eller kontinuerlig vådbehandling i et jetfarveanlæg af en strengformet tekstilvare
US8814953B1 (en) System and method for spray dyeing fabrics
CN101611189B (zh) 具有改进的蒸气喷射装置的衣物烘干机
NO326790B1 (no) Fremgangsmate og anordning for digital oppgradering av tekstil
JPS5853107B2 (ja) 無水閉サイクル染色装置
CN103668865A (zh) 衣物处理方法及装置
JPH01111062A (ja) なわ状繊維材料を連続的に処理、特に染色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1945846B1 (en) Machine for continuous treatment of a fabric in rope form and relative method
KR101890922B1 (ko) 원단 전처리 가공장치
KR100401480B1 (ko) 파일직물 염색 시스템
CN102365401A (zh) 包括芳香物供给模块的衣物处理设备的操作方法
KR920003943B1 (ko) 분무 염색시 염료 색깔을 연속 교체하는 방법
US4793014A (en) Process and machine for the treatment, in particular for batchwise dyeing, of lap-folded fabrics
US3886769A (en) Width washing plant, particularly for delicate fabrics
KR100740942B1 (ko) 원단의 염착방법 및 그 장치
US4418433A (en) Method and system for reclaiming and recycling gum and water in a carpet dyeing process
US6814806B2 (en) Controlled flow applicator
US3469423A (en)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materials
US6176884B1 (en) Continuous fabric rinsing method and apparatus
US5400453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dyeing textiles
US5210896A (en) Center shaft dye injection process
KR101547310B1 (ko) 원단에 따라 차별된 순환 경로를 갖게 한 복합 염색기
US5187955A (en) Center shaft dye injection apparatus
KR20050014053A (ko) 직물의 다색염색장치
KR100729612B1 (ko) 무늬목판재 염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