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9874B1 - 콘크리트 균열부의 누수방지공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균열부의 누수방지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9874B1
KR100399874B1 KR10-2001-0025299A KR20010025299A KR100399874B1 KR 100399874 B1 KR100399874 B1 KR 100399874B1 KR 20010025299 A KR20010025299 A KR 20010025299A KR 100399874 B1 KR100399874 B1 KR 100399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ut
filler
adhesive
put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5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5670A (ko
Inventor
마사키시게야마
Original Assignee
엠에스아시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에스아시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에스아시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5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9874B1/ko
Publication of KR20020085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5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8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구조물의 누수부위에 도수로(導水路)를 유도하고 그 위를 신축성재료로 매설하여, 온도차에 의하여 발생하는 팽창·수축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의 추가적인 균열 및 누수를 방지하는 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균열부의 누수방지공법 {Protecting method against water leakage of concrete cracks}
본 발명은 콘크리트구조물의 누수부위를 패치(patching)하고, 도수로(導水路)를 유도하고 그리고 그 위를 신축성재료를 매설하여, 온도차에 의하여 발생하는 팽창·수축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의 추가적인 균열 및 누수를 방지하는 공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철도, 지하철, 고속도로 등의 공사에 따라 다양한 지하구조물이 구축되고 있으며 이런 지하구조물의 다양화는 지하공간의 이용가치를 한층 높여주고 있으나 준공후의 유지관리 및 누수대책이 구조물의 안전을 위하여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현재, 동결 및 융해로 인하여 발생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에 대해 종래의 공지기술로서 아래에 설명하는 다양한 공법이 실행되어 왔으나 이들 공법들은 시공 후 단기간에 누수가 반복되어 장기간의 내구성을 실현시키지 못했다.
(1) V컷트 호스인발도수공법
이 방법은 누수부위를 따라 V컷트 후 호스를 삽입하고 그 위에 매설된 시멘트가 경화한 후 호스를 뽑아내어 도수로를 확보하는 것으로서, 이때 호스는 도수로를 확보하기 위한 역할을 하며 시멘트가 경화된 후에 뽑아낸다. 그러나 이 방법은 누수량이 아주 많을 경우 도수로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없고, 콘크리트의 신축이 있을 때 대처 능력이 없어 보수면이 타개되고, 겨울철에는 도수로내의 물이 동결되어 파열될 수 있다.
(2) 관삽입도수공법
이 방법은 누수부위를 따라 면을 절단해 내고 PVC 등의 소재로 된 관을 삽입하고 그 위를 시멘트로 매설하는 방법으로, 관이 도수로 역할을 하며 부식이 되지않는 딱딱한 재질의 PVC 등의 재질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균열에 의해 발생하는 누수에는 사용할 수 없고 콘크리트의 이엇치기 부분(placing joint, cold joint)에도 사용할 수 없으며, 그리고 단열효과를 전혀 기대할 수 없어 겨울철에는 관내의 물이 동결되어 파열될 수 있다.
(3) 도수로 덮개 설치공법
이 방법은 도수로를 설치할 부분을 따라 면을 절단하여 물의 흐름을 유도한 후 그 위에 덮개를 씌우는 것으로서, 덮개는 밖으로 노출이 되므로 주로 스테인레스나 동, PVC 등의 부식되지 않고 내구성이 좋은 재료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균열에 의해 발생하는 누수에는 사용할 수 없고 콘크리트의 이엇치기 부분에도 사용할 수 없으며 겨울철에 도수량이 적을 시 물이 동결하여 파열되며, 덮개가 콘크리트 안으로 매설되지 않으므로 건축한계선을 넘게 된다.
(4) ㄷ자, V자컷트 고무삽입도수공법
이 방법은 누수부위를 따라 ㄷ자나 V자형으로 컷트하고 도수로를 확보한 후 고무를 삽입하는 방법으로서, 이때 고무는 컷팅을 통하여 도수로 확보 후 남은 부분을 메우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 방법 역시, 균열에 의해 발생하는 누수에는 사용할 수 없고 콘크리트의 신축에 대응하기 위해 고무를 삽입하게 되어 있으나 신축이 심한 곳에서는 대응 능력이 떨어지며, 그리고 겨울철 혹한이 심할 때에는 물이 동결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터널 및 기타 박스칼버트(box culvert)와 같은 콘크리트구조물에 있어서 온도차에 의한 콘크리트의 팽창·수축이 원인이 되어 발생되는 균열 누수부에 신축성 재료를 매설하여 내구성을 높이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균열부의 누수방지공법은 시공부위를 표시하는 단계, 시공부위를 커터로 절삭하는 단계, 절단내부를 패치하는 단계, 패치부분을 물로 청소하는 단계, 절단내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절단내부를 외측 중앙부에 돌기부를 갖는 충전재로써 삽입하는 단계, 삽입된 충전재의 돌기부와 깍아낸 양벽면에 양생 테잎을 붙이고 접착증강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접착 증강제가 건조된 후 마감 퍼티(putty)로서 시공면을 본래대로 회복시켜 마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균열부의 누수방지공법의 공정도
도2는 본 발명의 공법에 따라 누수방지처리된 콘크리트구조물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크리트 구조물 2 : 누수부
3 : 도수로(導水路) 4 : 신축성충진재 (elastic plug)
5 : 신축성충진재 돌기부 6 : 접착제
7 : 프라이머 (primer) 8 : 외장마감재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균열부의 누수방지공법을 예시하는 공정도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균열부의 누수방지공법은 다음의 공정을 따른다.
1. 콘크리트구조물(1)의 누수부(2)를조사하여 상태를 확인한다.
2. 시공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시공할 절단부위에 라인을 긋는다.
3. 라인대로 컷터로 절단한다.
4. 절단내부를 패치하여 도수로(3)를 형성한다. 이때 깊이는 누수량에 따라
결정한다.
5. 패치부분의 분진을 제거하기 위하여 물로 씻어낸다. 특히 절단면은 깍아
낸 굴곡이 없도록 한다.
6. 신축성충전재(elastic plug : 도수용 고신축고무)의 양벽에 고신축고무접
착제를 세밀히 도포한 후 깍은 내부에 10mm정도 압축하여 삽입한다.
7. 삽입한 충전재 주변에서 물이 흘러나오지 않는 것을 확인하고 건조시킨
후 돌기부와 깍아낸 양 벽면에 양생 테잎을 붙이고 접착증강제를 도포한
다.
8. 접착증강제가 건조되면 마감하고 마감퍼티를 마감면에 고르게 충진마감하
고 양생 테잎을 제거한다.
도2는 도2에서 예시한 공정에 의해 실행된 콘크리트구조물의 구조단면도를 보여준다.
도면에서, 부호 (1), (2) 및 (3)은 각각 콘크리트 구조물, 누수부 및 도수로(導水路)를 나타내며, 충전재(4)로서는 고신축고무(high-elastic rubber), 즉, 클로로프린(chloroprene)계의 독립발포고무가 사용된다. 이 고무는 경량이면서 흡수율이 매우 낮고, 반발력이 있기 때문에 압축하여 삽입할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며, 열전도율이 0.026보다 낮기 때문에 도수로내에서 유도되는 물이 쉽게 동결되지 않는다.
이 충전재(4)의 외측 중심부에는 돌기부(5)를 표면쪽으로 노출시켜 여름 또는 겨울에 온도차에 의한 신축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콘크리트의 팽창률은 거의 철의 것과 비슷하기 때문에 40℃의 온도차에서도 5mm 이내의 신축량이 발생할 뿐이고 이정도는 상기 돌기부(5)가 충분히 흡수한다.
접착제(6)는 고신축고무용 접착제가 사용되는데 이것은 2액체형 습윤용 수지로 고신축고무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한다.
외장마감재(8)는 마감퍼티로서 2액체형 수지 퍼티로 시공후 표면을 보강하므로써 고신축고무의 탈락이나 배수압에 의한 팽창·돌출을 막고, 또한 고신축고무를 도포하여 재료의 열화를 막는다. 그리고 이때 시공면은 기존 콘크리트면과 같은 높이로 마감하므로 터널내의 건축한계를 넘지 않게 된다.
프라이머(7)(primer)는 접착증강제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2액체 용제형 수지이며 마감퍼티와 고신축고무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한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법을 열차 통과시 진동으로 인한 재누수가 우려되는 장소에 실행하는 경우, 콘크리트 시공부위는 통과하는 열차의 진동에 충분히 견딜 수 있고, 표면을 퍼티로 보강하고 있으므로 3kg/㎠의 배수압에 견딜 수 있으며, 또한 충전재를 수중경화형의 경화제로서 고정하고 또한 표면을 퍼티로서 덮고 있기 때문에 충전재는 쉽게 탈락하지 않는다.
또한 일반 도로터널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공법을 실행한 경우, 도수용 신축성재료의 열전도율이 작으므로 한냉지에서도 종래의 공법에 비해 잘 동결되지 않으며, 단순 삽입이 가능하고 구조체 표면이 같은 면으로 마감되므로 건축한계를 넘지 않으며, 재료가 스폰지 상태의 고신축성고무이기 때문에 종래의 도수공법에서는 불가능한 곡선시공이 가능하고, 신축성 재료를 끊어지지 않게 연속적으로 매설시킬 수 있으며, 또한 단기간에 재시공이 가능하다.

Claims (5)

1. 콘크리트균열부의 누수방지공법이, 시공부위를 표시하는 단계, 시공부위를 커터로 절삭하는 단계, 절단내부를 패치하는 단계, 패치부분을 물로 청소하는 단계, 절단내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절단내부를 외측 중앙부에 돌기부를 갖는 충전재로써 삽입하는 단계, 삽입된 충전재의 돌기부와 깍아낸 양벽면에 양생 테잎을 붙이고 접착증강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접착 증강제가 건조된 후 마감 퍼티로서 마감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균열부의 누수방지공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고신축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균열부의 누수방지공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2액체형 습윤용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균열부의 누수방지공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마감재는 2액체형 수지 퍼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균열부의 누수방지공법
상기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는 2액체 용제형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균열부의 누수방지공법
KR10-2001-0025299A 2001-05-09 2001-05-09 콘크리트 균열부의 누수방지공법 KR100399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299A KR100399874B1 (ko) 2001-05-09 2001-05-09 콘크리트 균열부의 누수방지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5299A KR100399874B1 (ko) 2001-05-09 2001-05-09 콘크리트 균열부의 누수방지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670A KR20020085670A (ko) 2002-11-16
KR100399874B1 true KR100399874B1 (ko) 2003-09-29

Family

ID=27704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5299A KR100399874B1 (ko) 2001-05-09 2001-05-09 콘크리트 균열부의 누수방지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98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734B1 (ko) * 2009-11-26 2010-09-16 주식회사 화신 수성 아스팔트계 균열 보수제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90001610Y1 (ko) * 1978-09-28 1979-09-15 이병석 콘크리트 이음부의 누수방지대(淚水防止帶)
KR870010267A (ko) * 1986-04-08 1987-11-30 원본미기재 콘크리트 구조물의 지수방법 및 이에 사용하기 위한 지수용 주입제
JPH02272169A (ja) * 1989-04-14 1990-11-06 Masataka Oka 瞬間固結性を有する材料を用いた止水工法
JPH0336369A (ja) * 1989-06-30 1991-02-18 Onoda Kemiko Kk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漏水部補修工法
JPH05247958A (ja) * 1991-10-07 1993-09-24 Yutaka Fujikaw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漏水止水工法
KR940019948A (ko) * 1993-02-03 1994-09-15 조경옥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부위 방수충진방법
JPH10176422A (ja) * 1996-12-18 1998-06-30 Nitto Chem Ind Co Ltd 止水工法
KR19980067712A (ko) * 1997-02-11 1998-10-15 박찬웅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방지 또는 누수예방용 주입액 및 이 주입액을 사용한 방수공법
KR20000015409A (ko) * 1998-08-28 2000-03-15 이계철 구조물의 균열부 누수의 유도배수방법
KR200235547Y1 (ko) * 2001-03-30 2001-10-10 주식회사 한경 드레인과 탄소 frp를 사용한 지하 차도의 옹벽 보수기구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90001610Y1 (ko) * 1978-09-28 1979-09-15 이병석 콘크리트 이음부의 누수방지대(淚水防止帶)
KR870010267A (ko) * 1986-04-08 1987-11-30 원본미기재 콘크리트 구조물의 지수방법 및 이에 사용하기 위한 지수용 주입제
JPH02272169A (ja) * 1989-04-14 1990-11-06 Masataka Oka 瞬間固結性を有する材料を用いた止水工法
JPH0336369A (ja) * 1989-06-30 1991-02-18 Onoda Kemiko Kk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漏水部補修工法
JPH05247958A (ja) * 1991-10-07 1993-09-24 Yutaka Fujikaw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漏水止水工法
KR940019948A (ko) * 1993-02-03 1994-09-15 조경옥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부위 방수충진방법
JPH10176422A (ja) * 1996-12-18 1998-06-30 Nitto Chem Ind Co Ltd 止水工法
KR19980067712A (ko) * 1997-02-11 1998-10-15 박찬웅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방지 또는 누수예방용 주입액 및 이 주입액을 사용한 방수공법
KR20000015409A (ko) * 1998-08-28 2000-03-15 이계철 구조물의 균열부 누수의 유도배수방법
KR200235547Y1 (ko) * 2001-03-30 2001-10-10 주식회사 한경 드레인과 탄소 frp를 사용한 지하 차도의 옹벽 보수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670A (ko) 200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37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leaking crack repair
KR100714437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신축유동 이음부 및 균열부에 대한누수유도공법
US6955502B2 (en) Method for repairing in-ground tunnel structures
CN107816117A (zh) 一种大型压力流箱涵不停水外修复方法
FI88198B (fi) System foer isolering av gruvinstallationer och foerfarande foer dess anvaendning
CN208294125U (zh) 一种砼外墙对拉螺栓孔的封堵结构
KR100399874B1 (ko) 콘크리트 균열부의 누수방지공법
KR100920963B1 (ko) 고성능 그라우트재를 이용한 이음부의 누수보강구조 및누수보강공법
KR100866505B1 (ko) 친환경 항균성 누수 유도패널을 이용한 터널 내부 누수유도장치와 누수유도공법
KR10207817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신축 유닛 및 그 신축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
CN110486532B (zh) 一种非开挖管道修复施工工艺
KR100348593B1 (ko) 동파방지용 배수관 및 이를 이용한 터널의 동파방지구조
WO2019237908A1 (zh) 一种隧道二衬施工缝渗漏水堵排结合处治的方法
KR100378208B1 (ko) 터널의 누수방지용 보수재 및 보수공법
CN220814149U (zh) 一种新型隧道内铁路两侧排水沟保温结构
CN215518438U (zh) 一种用于箱涵伸缩缝的修复结构
KR200191475Y1 (ko) 동파방지용 배수관 및 이를 이용한 터널의 동파방지구조
CN114183168B (zh) 一种隧道用预制边板连接结构及其安装方法
CN209741928U (zh) 一种地下空间构筑物变形缝渗漏水治理结构
JP2001159476A (ja) 既設管路のライニング施工方法
CN105369858B (zh) 一种消防水池管道漏埋的补救施工装置及施工方法
CN117779878A (zh) 一种变形缝渗漏处理方法
KR200240285Y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재의 다웰바 구조
RU2016347C1 (ru) Тепловая изоляция секции трубопровода
JPS5833700A (ja) トンネルの漏水及び氷結防止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