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8959B1 - 새로운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새로운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8959B1
KR100398959B1 KR1019960011459A KR19960011459A KR100398959B1 KR 100398959 B1 KR100398959 B1 KR 100398959B1 KR 1019960011459 A KR1019960011459 A KR 1019960011459A KR 19960011459 A KR19960011459 A KR 19960011459A KR 100398959 B1 KR100398959 B1 KR 100398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creen
polymer
composition
acid ester
composition con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1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9023A (ko
Inventor
김효중
이종태
박혜상
강세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
Priority to KR1019960011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8959B1/ko
Publication of KR970069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9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8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89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05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1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romatic olefines, e.g. polystyren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72Hypo-allerge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구조를 분자내에 한 단위 이상 갖는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를 0.01∼15중량%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에서 X는 파라-옥시신남산에스테르 유도체 또는 살리실산에스테르 유도체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새로운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Ⅰ)로 표시된 구조를 분자내에 한 단위 이상 갖는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에서 X는 파라-옥시신남산에스테르 유도체 또는 살리실산에스테르 유도체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지표면에 도달하는 태양빛의 약 1%는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이다. 이러한 자외선은 가시광선이나 적외선에 비해 파장이 짧은 빛이다. 빛이 갖는 에너지는 파장에 반비례하므로, 자외선은 가시광선이나 적외선에 비해 에너지가 큰 빛이다. 따라서 사람에게 자외선이 많이 조사될수록 자외선의 큰 에너지로 인한 여러가지 화학반응이 일어날 수 있고, 생리적인 변화를 유발시킬 수 있다.
자외선은 그 파장범위로 구분하여 자외선 A(320-400nm), 자외선 B(280-320nm), 자외선 C(200-280nm)의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자외선 C 영역은 자외선 중 가장 에너지가 크고 인체에 대한 손상이 큰 부분이지만 대부분이 오존층에 의해서 제거되어 지표에는 도달하지 않는다. 자외선 B 영역은 태양빛에 의한 화상 즉 인체(피부나 모발)에 대해서 즉각적인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영역이다. 자외선 A 영역은 과도한 노출에 의해서 피부의 홍반을 일으키고, 피부의 노화를 유발할 수 있는 영역이다.
자외선은 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여러가지 화학물질들을 활성시켜 그들의 구조를 변화시키거나 기능을 마비시킨다. 특히 화장품이나 생활용품등에 많이 사용되는 유기 색소는 자외선에 의해 증감되어 활성화됨으로써 그 본래의 기능을 쉽게 잃는 물질이다. 이런 이유로 해서 화장품이나 생활용품등의 배합에는 오래 전부터 자외선 차단제가 필수적으로 사용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오존층 파괴로 인한 지표의 자외선 조사량이 증가됨에 따라 자외선 차단을 주 목적으로 하는 제품의 시장이 매년 크게 성장하고 있다.
그러나 파르솔 MCX로 판매되고 있는 옥틸 메톡시 신나메이트, 에스카를 507로 판매되고 있는 옥틸디메틸파바, 에스카를 587로 판매되고 있는 옥틸살리실레이트 등 현재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유기화합물계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데에 공통적인 문제점이 존재하는데, 이것은 해로운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도의 양을 사용하였을 때 인체에 생리학적인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인체에 대한 손상, 구체적으로 피부 트러블은 자외선 차단제의 피부침투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자외선 차단제의 피부침투를 방지하기 위해서 자외선 차단제를 고분자로 만드는 노력들이 시도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기술들이 많이 알려져 있다.
오르가노실록산(organosiloxane)의 곁가지에 자외선 차단제를 결합시킨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의 제조방법이 미국특허 제4,545,980호, 유럽특허 제392,882호, 일본특허공고 제88-16416호 및 일본특허공고 제89-50711호 등에 기술되어 있으며, 가수분해된 단백질에 자외선 차단제를 결합시키는 방법이 영국특허 제2,128,195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자외선 차단제를 중합한 고분자 제조방법이 미국특허 제4,839,160호, 프랑스특허 제2,617,399호, 미국특허 제4,524,061호 및 WO 제92-20727호 및 유럽특허 제583,888호 등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자외선 차단제로 고분자를 사용하는 것을 제안한 이들 선행 기술 중 어느 것도 상업적 관심을 유발시키지 못하였다. 이들 선행기술들이 상업적 관심을 유발시키지 못한 이유는 자외선 차단제를 고분자로 만드는 과정에서 부반응이 일어나거나 반응성이 나빠서 결과적으로 만들어진 고분자의 자외선 흡수효율이 낮아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물이나 오일에 대한 용해도가 낮거나 사용시 점도가 높아서 사용감이 떨어지는 등의 물성 문제들도 주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반응 수율이 높고 우수한 물성을 갖는 자외선 차단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광범위한 고분자에 대하여 자외선 차단제를 결합하는 연구를 거듭한 결과 비닐벤질클로라이드(Vinylbenzylchloride, 이하 VBC라 한다) 단위를 갖는 고분자에 자외선 흡수 물질을 결합시키므로써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발견에 착안하여 본 발명자들은 VBC 단위를 갖는 고분자에 자외선 흡수물질을 결합시킨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므로써 우수한 자외선 차단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사용된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는 안정한 고분자로서 피부에 침투하지 않고 친수성도 적어 내수성 있는 자외선 차단제품 등에 폭넓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는 제조과정중 부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순도가 높으며 각종 화장품 등의 제조에 널리 사용되는 물질들과 상응성이 좋아 제품에 적용하기가 쉬운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구조를 분자내에 한 단위 이상 갖는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를 0.01∼15중량%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에서 X는 파라-옥시신남산에스테르(p-oxy cinnamic acid ester) 유도체 또는 살리실산에스테르(salicylic acid ester) 유도체이다.
상기 파라-옥시신남산에스테르 유도체 및 살리실산에스테르 유도체는 각각하기 일반식(Ⅱ), (Ⅲ)으로 표시된다.
상기 식에서 R은 C1∼C12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또는 산소를 포함하는 C1∼C12의 알킬기(여기서 산소는 에테르 결합으로 이루어짐)를 나타낸다.
상기 식에서 R은 C1∼C12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또는 산소를 포함하는 C1∼C12의 알킬기(여기서 산소는 에테르 결합으로 이루어짐)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사용된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는 하기 일반식(Ⅳ)로 표시되는 VBC(Vinybenzyl Choride) 단위를 분자내에 한 단위이상 갖는 고분자에 자외선 흡수물질인 파라-옥시신남산에스테르 유도체 또는 살리실산에스테르 유도체를 결합시켜서 얻는다.
즉, 본 발명에 사용된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는 하기의 반응식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고분자 내의 클로라이드와 자외선 흡수물질에 있는 히드록시기와의 결합반응으로 에테르 결합을 형성하므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는 평균 분자량이 1,000∼1,000,000 바람직하게는 5,000∼20,000이며, 또한 분자내에 상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VBC 단위를 5∼100중량% 포함하는 물질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그 조성물을 바를 때, 분산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그 조성물에 존재하는 다른 성분에 대한 희석제, 분산제 또는 담체로서 작용하는 생리학적으로 또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부형제도 함유한다. 물 이외의 부형제로는 액체 또는 고체 연화제, 용매, 습윤제, 증점제, 추진제 및 분말이 있다.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부형제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도 있는 이러한 종류의 부형제의 각각의 예들은 다음과 같다.
연화제로는 스테아릴 알콜, 글리세릴 모노리시놀레이트, 밀크유, 세틸알콜,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이소부틸 팔미테이트,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올레일알콜, 이소프로필 라우레이트, 헥실라우레이트, 데실 올레에이트, 옥타데칸-2-올, 이소세틸 알콜, 에이코사닐알콜, 세틸 팔미테이트, 디메틸폴리실록산과 같은 실리콘유, 디-n-부틸세바케이드,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스테아레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라놀린, 코코아버터, 옥수수유, 면실유, 올리브유, 팜핵유, 평지종자유, 잇꽃종자유, 달맞이꽃유, 콩기름, 해바라기 종자유, 참깨종자유, 코코넛유, 낙화생유, 카스토르유, 아세틸화 라놀린알콜, 와세린, 광유, 부틸미리스테이트, 이소스테아르산, 팔미트산, 이소프로필 리놀레에이트, 라우릴락테이트, 미리스틸 락테이트, 데실올레에이트, 미리스틸 미리스테이트가 있고, 추진제로는 프로판, 부탄, 이소부탄, 디메틸에테르, 이산화탄소가 있고, 용매로는 에틸알콜, 염화메틸렌, 이소프로판올, 아세톤,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디메틸 술폭사이드, 디메틸 포름아미드, 테트라히드로푸란이 있고, 분말로는 백악, 활석, 풀러토, 카올린, 전분, 고무, 콜로이드 실리카 나트륨폴리아크릴레이트, 테트라알킬 및/또는 트리알킬 아릴 암모늄 스멕타이트, 화학적으로 개질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유기적으로 개질된 몬트모릴로나이트 클레이, 수화된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연무 실리카,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루로즈, 에틸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의로 1종 이상의 오일 또는 오일 특성을 가지는 물질들을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오일의 예로는 미네랄 오일, 식물성 오일 및 본 명세서에서 유화제로서 제안하였던 것과 같은 오일 물질이 있다. 기타 오일 또는 유성물질로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실리콘유가 있으며, 바람직한 비휘발성 실리콘에는 폴리알킬실록산, 폴리알킬아릴실록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폴리디에틸실록산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유화제를 임의로 함유할 수 있으며,유화제 선택에 따라 일반적으로 유중수 분산형 에멀젼이 형성되는지 아니면 수중유 에멀젼이 형성되는지를 결정한다. 유중수 분산형 에멀젼이 요구되는 경우, 선택된 유화제들은 평균 HLB 값이 보통 1∼6이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한 임의의 유화제 대신에 또는 그 유화제 뿐 아니라 유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는 고분자량의 실리콘 계면 활성제도 임의로 함유할 수 있다. 실리콘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및/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 측쇄를 갖는 디메틸폴리실록산의 고분자량 중합체로서 분자량은 10,000∼50,000이고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며, 폴리실록산 중합체가 분산될 수 있는 휘발성 실록산의 예로는 폴리디메틸실록산(5량체 및/또는 6량체)이 있다.
(여기서, a는 9∼115, b는 0∼50), x는 133-673, y는 0.25∼25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햇빛에의 과다노출로 인한 유해한 영향을 방지하는 데 있어서 그 조성물의 이점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파르솔 MCX나 파르솔 1789와 같은 합성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임의로 함유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사용된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가 주로 자외선 B영역을 차단하기 때문에 자외선 A영역을 차단하는 합성 자외선 차단제를 임의로 함유할 수 있고, 또한 자외선 차단 치수(SPF)를높일 목적으로 피부에 안전한 만큼의 자외선 B영역을 차단하는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무기 자외선 차단제를 임의로 함유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무기 자외선 차단제의 예를 들면, 평균입도가 100nm이하인 이산화 티탄, 평균입도가 1∼300nm인 산화아연, 평균입도가 1∼300nm인 산화철 및 평균입도가 1∼100nm인 연무 실리카와 같은 실리카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임의로 사용될 수 있는 통상적인 첨가제의 예로는 파라-히드록시 벤조에이트 에스테르와 같은 보존제, 부틸 히드록시 톨루엔과 같은 산화방지제, 글리세롤, 소르비톨, 2-피롤리돈-5-카르복실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젤라틴,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갈은 습윤제, 락트산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수산화나트륨 등의 염기로 이루어진 것과 같은 완충제, 밀람, 절랍, 파라핀랍과 같은 왁스류와 알로에 베타, 선옹초, 오이와 같은 식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식물 추출물, 증점제, 활성 증강제, 착색제 및 향료가 있고, 상기 화장품 첨가제는 조성물의 잔량을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실시예 1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비교예 1은 자외선 차단제로서 파르솔 MCX와 파르솔 1789를 함유한 조성물을 예시한 것이며, 이때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는 평균 분자량이 8,000(Gel Permeation Chromatography(이하 GPC라 한다)로 측정)이고, 다음의 구조식을 갖는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2
실시예 2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비교예 2는 자외선 A영역을 차단하는 몰질인 파르솔 1789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예시한 것이며, 이때 실시예 2에서 사용한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는 평균 분자량이 15,000(GPC로 측정)이고, 다음의 구조식을 갖는다.
실시예 3 및 비교예 3
실시예 3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비교예 3은 자외선 차단제로서 파르솔 MCX를 함유한 조성물을 예시한 것이며, 이때 실시예 3에서 사용한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는 평균분자량이 15,000(GPC로 측정)이고, 다음의 구조식을 갖는다.
실시예 4 및 비교예 4
실시예 4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비교예 4는 자외선 차단제로서 파르솔 MCX를 함유한 조성물을 예시한 것이며, 이때 실시예 4에서 사용한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는 평균분자량이 8000(GPC로 측정)이고, 다음의 구조식을 갖는다.
실험예 1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가 함유된 조성물과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 대신에 현재 널리 쓰이고 있는 파르솔 MCX를 함유한 조성물에 대해서 자외선 차단인자(SPF) 측정실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먼저 피 실험동물인 백색 기니아 피그의 등을 깨끗이 면도한다. 24시간 후에 2cm ×2cm의 구멍이 3개 있는 수지 형판을 이 동물의 등위에 밀착시키고, 그 구멍을 표시해 둔다. 하나의 구멍에는 실시예 1의 조성물로 제조한 크림 180mg을, 다른 하나의 구멍에는 비교예 1의 조성물로 제조한 크림 180mg을 나머지 하나의 구멍에는 아무것도 바르지 않는다. 이때 시험 동물의 등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제의 양은 2mg/㎠가 된다. 크림을 도포한지 15분 후에 상기 형판을 기니아 피그 등에 부착시키고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시킨 후 이 동물로부터 15cm 떨어진 거리에서 제논-아크 램프로 자외선을 10분간 조사한다. 20분간 조사된 자외선의 에너지는 약 500mJ로 기니아 퍼그의 최소 홍반조사량(MED)의 10배가 되는 양이다. 자외선을 조사하고 24시간 후에 기니아 피그의 등에 일어난 홍반을 기록하고 FDA의 5점 등급으로(무변화 0점∼심한홍반 5점) 등급을 정하였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고 있는 실시예 1의 조성물과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 대신에 파르솔 MCX를 함유하고 있는 비교예 1의 조성물은 비슷한 정도의 자외선 차단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가 함유된 조성물과 자외선 B영역을 차단하는 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조성물에 대해서 자외선 차단인자(SPF) 측정실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먼저 피 실험동물인 백색 기니아 피그의 등을 깨끗이 면도한다. 24시간 후에 2cm ×2cm의 구멍이 3개 있는 수지 형판을 이 동물의 등위에 밀착시키고, 그 구멍을 표시해 둔다. 하나의 구멍에는 실시예 2의 조성물로 제조한 크림 400mg을, 다른 하나의 구멍에는 비교예 2의 조성물로 제조한 크림 400mg을, 나머지 하나의 구멍에는 아무것도 바르지 않는다. 이때 시험 동물의 등에 도포된 자외선 차단제의 양은 2mg/㎠가 된다. 크림을 도포한지 15분 후에 상기 형판을 기니아 피그 등에 부착시키고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시킨 후 이 동물로부터 15cm 떨어진 거리에서 제논-아크 램프로 자외선을 10분간 조사한다. 20분간 조사된 자외선의 에너지는 약 50mJ로 기니아 피그의 최소 홍반 조사량(MED)의 10배가 되는 양이다. 자외선을 조사하고 24시간 후에 기니아 피그의 등에 일어난 홍반을 기록하고, FDA의 5점 등급으로(무변화 0점∼심한 홍반 5점)등급을 정하였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고 있는 실시예 2의 조성물은 자외선 B영역의 차단물질을 함유하고 있지 않은 비고예 2의 조성물과 아무것도 도포하지 않은 것에 비하여 자외선 차단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으로 본 발명에 사용된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에 대한 차단효과가 현재 널리 쓰이고 있는 파르솔 MCX와 같은 일반 자외선 차단제와 비슷하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실험예 3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피부자극에 대한 안전성을 시험하기 위해 3∼4개월령의 뉴질랜드산 횐색(New Zealand White) 수컷 토끼 6마리를 토끼용 고형사료와 자외선으로 소독된 물을 자유로이 섭취하도록 하고, 온도 23±3℃, 상대습도 50±10%, 조명시간 12시간 및 조도 150∼300 특수(Lux)로 설정된 사육환경에서 사육상자에 개체별로 수용하였다.
시험물질을 적응시키기 24시간 전에 시험동물에 털을 깎고 6마리를 시험군으로 구성하고, 토끼의 경배부를 약 2.5cm×2.5cm 정도의 크기로 척추를 중심으로 좌우 각각 2개소(총 4개소)를 설정하여, 좌측구획은 비교예 1의 구획으로, 우측구획은 실시예 1의 구획으로 시험물질을 1.0g(0.5g/site)씩 각 구획의 투여부위에 도포하는 처치구획으로 정하여 피부자극을 시험하였다. 도포 후 적용부는 가제로 덮은 후 비자극성으로 잘 고정하여 24시간 적용하였다. 적용기간 종료 후에는 따뜻한 정제수로 도포부를 가볍게 세정해 주었다.
시험물질 투여 후 72시간까지 외관, 사료섭취, 물섭취 및 일반증상 등에 대해 매일 관찰하였고, 체중변화는 적용 후 24시간 및 72시간째에 각각 측정하였으며, 시험물질의 적용 종료 후 적용부의 첩포(patch)를 제거하여 24시간 및 72시간째에 홍반(Erythema)과 가피(Eschear)형성, 부종(Edema)형성등의 자극성 유무를 관찰하였으며, 그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피부반응에 따른 자극성 판정은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드레이지(Draize)의 자극 지수(Primary Irritation Index, 이하 P.I.I라 한다)의 산출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판정하였다.
표 1
상기 실험결과, 모든 시험동물에 있어서 시험물질로 인한 변화로 인정되어지는 어떠한 일반증상도 관찰되지 않았으며, 사망동물도 발견되지 않았다. 그리고 체중의 급격한 변화는 없었으며, 정상적인 체중증가가 관찰되었다. 시험물질의 적용 종료 후 24시간 및 72시간째에 각각 적용부를 관찰한 결과, 실시예 1의 물질을 도포한 부위에서는 홍반, 부종 및 가피형성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으나, 비교예 1의 물질을 도포한 부위에서의 피부반응의 결과는 상기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동물에 있어서 P.I.I. 값으로 2∼5에 해당하는 보통의 피부자극(Moderately irritating)을 보였다.
실험예 4
사람에 대한 피부자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첩포시험(patch test)을 행하였다. 건강한 사람 20명을 선정하여 시험 2일 전부터 음주 및 자극성이 있는 음식물의 섭취를 피하여 안정을 시킨 후, 팔 안쪽 부위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조성물과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첩포하였다. 첩포 후 48시간 후에 첩포(patch)를 떼어낸 후 1시간 후에 하기 표의 판정기준으로 육안으로 피부자극유무를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표 2
상기 표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실시예 1)은 파르솔 MCX를 함유한 조성물(비고예 1) 보다 피부자극성이 없는 안전성이 높은 조성물인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4)

  1. 하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구조를 분자내에 한 단위 이상 갖는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를 0.01∼15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한 조성물.
    상기 식에서 X는 파라-옥시신남산에스테르 유도체 또는 살리실산에스테르 유도체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는 중합도가 2이상이고, 평균분자량이 1,000∼1,0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파라-옥시신남산에스테르 유도체는 하기 일반식(Ⅱ)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상기 식에서 R은 C1∼C12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또는 산소를 포함하는 C1∼C12의 알킬기(여기서 산소는 에테르결합으로 이루어짐)를 나타낸다.
  4. 제 1 항에 있어서, 살리실산에스테르 유도체는 하기 일반식(Ⅲ)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상기 식에서 R은 C1∼C12의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아릴기 또는 산소를 포함하는 C1∼C12의 알킬기(여기서 산소는 에테르 결합으로 이루어짐)를 나타낸다.
KR1019960011459A 1996-04-16 1996-04-16 새로운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0398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459A KR100398959B1 (ko) 1996-04-16 1996-04-16 새로운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459A KR100398959B1 (ko) 1996-04-16 1996-04-16 새로운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023A KR970069023A (ko) 1997-11-07
KR100398959B1 true KR100398959B1 (ko) 2004-03-18

Family

ID=37422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1459A KR100398959B1 (ko) 1996-04-16 1996-04-16 새로운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89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876B1 (ko) * 1996-12-30 2004-08-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5980A (en) * 1984-03-05 1985-10-08 Dow Corning Ltd. Organosiloxanes and preparation thereof
JPS63303920A (ja) * 1987-06-04 1988-12-12 Pola Chem Ind Inc 高分子量紫外線吸収剤を含有する化粧料
US4839160A (en) * 1986-03-28 1989-06-13 L'oreal Polymers capable of absorbing ultraviolet radiation,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in cosmetic compositions
JPH0291109A (ja) * 1988-09-27 1990-03-30 Natoko Paint Kk 化粧料用紫外線吸収性重合体微粒子および該重合体微粒子の製造方法
JPH03120207A (ja) * 1989-10-03 1991-05-22 Earth Chem Corp Ltd 化粧料
JPH03263418A (ja) * 1990-02-15 1991-11-22 Earth Chem Corp Ltd ポリスチレン誘導体ならびに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紫外線吸収剤および化粧料
JPH05194932A (ja) * 1991-07-10 1993-08-03 Noevir Co Ltd 紫外線吸収性顔料、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5980A (en) * 1984-03-05 1985-10-08 Dow Corning Ltd. Organosiloxanes and preparation thereof
US4839160A (en) * 1986-03-28 1989-06-13 L'oreal Polymers capable of absorbing ultraviolet radiation,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in cosmetic compositions
JPS63303920A (ja) * 1987-06-04 1988-12-12 Pola Chem Ind Inc 高分子量紫外線吸収剤を含有する化粧料
JPH0291109A (ja) * 1988-09-27 1990-03-30 Natoko Paint Kk 化粧料用紫外線吸収性重合体微粒子および該重合体微粒子の製造方法
JPH03120207A (ja) * 1989-10-03 1991-05-22 Earth Chem Corp Ltd 化粧料
JPH03263418A (ja) * 1990-02-15 1991-11-22 Earth Chem Corp Ltd ポリスチレン誘導体ならびに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紫外線吸収剤および化粧料
JPH05194932A (ja) * 1991-07-10 1993-08-03 Noevir Co Ltd 紫外線吸収性顔料、及びこれを配合した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023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16084B1 (en) Improved sunscreen and moisturizer
RU2170573C2 (ru) Солнцезащитное средство, отпугивающее насекомых
AU689100B2 (en) Sunscreens containing plant extracts
US7097828B2 (en) Sunscreen formulations containing waterborne polyurethane polymers
JPH0745375B2 (ja) 化粧品組成物
US5026540A (en) Sunscreen composition
US5208011A (en) Ultraviolet resistant sunscreen compositions
US7144570B2 (en) Sunscre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6858200B2 (en) Sunscreen formulations
JPH08507541A (ja) 光線皮膚病の処置のための、カルノシン、又はウロカン酸との配合剤、の使用
US4559225A (en) Sunscreen composition
GB2195244A (en) Cosmetic sunscreen composition
US6419907B1 (en) Use of cupric complex of 3,5-disopropylsalicylic acid by way of a cosmetic product and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this compound for protecting the human epidermis against UV radiation
AU655790B2 (en) Novel compositions
DE4230076C2 (de) cis-Urocaninsäure als Antioxidans
KR102451738B1 (ko) 다당류 점증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7078022B2 (en) Sunscree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PT86483B (pt) Processo de preparacao de formulacoes de bloqueadoras ou protectoras solares contendo compostos absorventes no ultravioleta
AU616167B2 (en) Cosmetic screening composition
MXPA01004962A (es) Composiciones topicas que incluyen composiciones desodorantes.
KR100398959B1 (ko) 새로운 고분자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EP0812586A1 (en) Self-tanning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dihydroxyacetone
JPH07149620A (ja) 日焼け予防剤
JP3412931B2 (ja) 2,4,6−トリヒドロキシカルコン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EP1608331B1 (en) Sunscreen composition comprising a mixture of silic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