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817B1 - 음성인식전화교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음성인식전화교환방법 - Google Patents

음성인식전화교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음성인식전화교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817B1
KR100396817B1 KR10-2001-0031212A KR20010031212A KR100396817B1 KR 100396817 B1 KR100396817 B1 KR 100396817B1 KR 20010031212 A KR20010031212 A KR 20010031212A KR 100396817 B1 KR100396817 B1 KR 100396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telephone
pstn
exchang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1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2549A (ko
Inventor
박성철
김완준
Original Assignee
(주)씨에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에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씨에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1-0031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817B1/ko
Publication of KR20020092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2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8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 H04M3/4936Speech interaction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05Interface circuits for subscriber lines
    • H04M3/007Access interface units for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speech and data, e.g. digital subscriber line [DSL] access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 H04M7/1205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where the types of switching equipement comprises PSTN/ISDN equipment and switching equipment of networks other than PSTN/ISDN, e.g. Internet Protocol networks
    • H04M7/121Details of network access arrangements or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P네트웍과 공중전화망을 통하여 발신자의 음성명령에 따라서 원하는 수신자에게 연결시켜 교환하도록 한 음성인식전화교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성인식전화교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인터넷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IP 네트웍과; 상기 IP 네트웍을 통한 데이터 및 IP 통화의 경로배정을 위한 제 1 게이트웨이와, 외부로부터 수신된 수신호를 착신자와 통화연결시키기 위한 제 1 구내사설교환기와, 상기 제 1 구내사설교환기에 연결되어 상기 IP 네트웍을 통한 IP 통신과 PSTN을 통한 PSTN 통신을 위한 사용자단말기인 제 1 전화로 이루어진 제 1 전화라인과; 상기 IP 네트웍을 통한 데이터 및 IP 통화의 경로배정을 위한 제 2 게이트웨이와, 외부로부터 수신된 수신호를 착신자와 통화연결시키기 위한 제 2 구내사설교환기와, 상기 제 2 구내사설교환기에 연결되어 상기 IP 네트웍을 통한 IP 통신과 PSTN을 통한 PSTN 통신을 위한 사용자단말기인 제 2 전화로 이루어진 제 2 전화라인과; 상기 제 1 및 제 2 게이트웨이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전화의 IP 주소와 이 주소에 대응되는 PSTN 전화번호가 저장되고, IP 통화가 소정의 원인으로 인해 불가능할 경우에 IP 주소에 대응된 PSTN 전화번호로 자동교환되도록 제어하는 게이트키퍼와; 수신호의 착신시 소정의 안내음성을 발신자의 전화로 송출하여 발신자가 원하는 교환처를 음성으로 입력하도록 안내하는 자동응답서버와; 공중전화망과 연결된 외부전화와; 상기 공중전화망 및 이동통신망과 연결된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고; 소정의 발신자 상기 자동응답서버의 안내에 따라 교환처를 음성으로 입력하면 상기 게이트키퍼는 이 음성을 상기 자동응답서버로부터 전달받아서 미리 입력된 기준음성과 비교하여 대응되는 번호의 IP 주소에 해당되는 전화로 교환하고, 상기 IP망의 트래픽이 소정 기준치 이상으로 폭주할 경우에는 대응되는 번호의 PSTN번호에 해당되는 전화로 자동전환하여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음성인식전화교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성인식전화교환방법{Voice Cognition Call Exchange System and The Method for Voice Cognition Exchange using the same thereof}
본 발명은 음성인식에 의한 전화교환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IP네트웍과 공중전화망을 통하여 발신자의 음성명령에 따라서 원하는 수신자에게 연결시켜 교환하도록 한 음성인식전화교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성인식전화교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선전화는 수백년간 서로 격리된 지역을 연결시켜주는 음성통신수단이었지만, 이동통신시스템의 보편화와 인터넷을 통한 음성 및 화상통화의 등장으로 상당부분 위축되어 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렴한 통신요금과 양호한 통신상태를 제공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가정과 회사에서는 유선전화를 주로 사용하고 있고, 특히 회사와 같이 수많은 전화를 하나의 사설교환기로 연결시키고, 내선번호를 통해서 통신을 주고받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화교환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첫째, 전화교환시스템에서 착신자는 편리한점이 있지만, 외부의 발신자로서는 7자리에서 8자리에 이르는 디지트(Digit; 예를 들면, 02-123-4567)를 누른다음에도 소정의 안내음성에 따라서 착신자의 내선번호 즉, 교환번호를 또다시 눌러야 하기 때문에 이를 외우기도 힘들고, 전체적으로 눌러야 할 디지트가 많기 때문에교환번호를 누르는 과정에서 잘못 누를 확률이 매우 높아진다. 이것은 매우 불편한 문제이다.
둘째, 발신자는 착신자의 전화번호외에도 교환번호를 모두 숙지하여야 하는데, 이는 발신자가 고객이나 수주업체의 담당자라면 고객서비스면에서 매우 불편한 점을 제공하는 단점이 있지만, 종래와 같은 교환원을 일일이 배치한다는 것은 비용문제로 인해 수용하기에 매우 곤란한 문제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환원을 배치한 것과 동일한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면서도 저렴한 유지비용을 가진 음성인식전화교환방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IP네트웍을 이용한 전화 및 공중유선전화망을 이용한 전화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한 음성인식전화교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성인식전화교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전화교환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게이트키퍼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의 개념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음성인식전화교환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 1 전화라인 20 : 제 2 전화라인
30 : IP 네트웍 40 : 게이트키퍼
50 : PSTN 60 : 이동통신망
70 : 이동전화 80 : 외부전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인터넷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IP 네트웍과; 상기 IP 네트웍을 통한 데이터 및 IP 통화의 경로배정을 위한 제 1 게이트웨이와, 외부로부터 수신된 수신호를 착신자와 통화연결시키기 위한 제 1 구내사설교환기와, 상기 제 1 구내사설교환기에 연결되어 상기 IP 네트웍을 통한 IP 통신과 PSTN을 통한 PSTN 통신을 위한 사용자단말기인 제 1 전화로 이루어진 제 1 전화라인과; 상기 IP 네트웍을 통한 데이터 및 IP 통화의 경로배정을 위한 제 2 게이트웨이와, 외부로부터 수신된 수신호를 착신자와 통화연결시키기 위한 제 2 구내사설교환기와, 상기 제 2 구내사설교환기에연결되어 상기 IP 네트웍을 통한 IP 통신과 PSTN을 통한 PSTN 통신을 위한 사용자단말기인 제 2 전화로 이루어진 제 2 전화라인과; 상기 제 1 및 제 2 게이트웨이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전화의 IP 주소와 이 주소에 대응되는 PSTN 전화번호가 저장되고, IP 통화가 소정의 원인으로 인해 불가능할 경우에 IP 주소에 대응된 PSTN 전화번호로 자동교환되도록 제어하는 게이트키퍼와; 수신호의 착신시 소정의 안내음성을 발신자의 전화로 송출하여 발신자가 원하는 교환처를 음성으로 입력하도록 안내하는 자동응답서버와; 공중전화망과 연결된 외부전화와; 상기 공중전화망 및 이동통신망과 연결된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고; 소정의 발신자 상기 자동응답서버의 안내에 따라 교환처를 음성으로 입력하면 상기 게이트키퍼는 이 음성을 상기 자동응답서버로부터 전달받아서 미리 입력된 기준음성과 비교하여 대응되는 번호의 IP 주소에 해당되는 전화로 교환하고, 상기 IP망의 트래픽이 소정 기준치 이상으로 폭주할 경우에는 대응되는 번호의 PSTN번호에 해당되는 전화로 자동전환하여 연결하도록 구성된 음성인식전화교환시스템 및 그에 따른 교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전화교환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IP 통화 및 유선통화를 위한 통신수단인 제 1 전화라인(10)과, IP 통화 및 유선통화를 위한 통신수단인 제 2 전화라인(20)이 인터넷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이하, IP라 칭함)네트웍(30)과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IP 네트웍(30)과 연결되어 음성인식전화교환 위한 게이트키퍼(GateKeeper; 40)와, 이 게이트키퍼(40)의 음성인식시 안내음성을 발신자에게 송출하기 위한 ARS서버(42)와, 일반적인 유선전화통화를 위한 공중전화통신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이하, PSTN이라 칭함, 50)과, 이동통신연결을 위한 이동통신망(Mobil Communication Network; 60)과, 상기 이동통신망에 의한 이동통신을 위한 사용자단말기인 이동전화(7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PSTN(50)에 의한 유선전화통신을 위한 사용자단말기인 외부전화(8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전화라인(10)은 상기 IP네트웍(30)과 연결되어 경로배정기능을 수행하는 제 1 게이트웨이(Gateway; 12)와, 내부의 내선통화와 외부로부터 수신된 호에 대한 교환업무를 수행하는 제 1 구내사설교환기(Private Branch Exchange; 이하, PBX라 칭함, 14)와, 상기 제 1 PBX(16)에 연결되어 IP 전화통신 및 PSTN 전화통신을 위한 사용자단말기인 제 1 전화(16)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전화라인(20)도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1 전화라인 및 제 2 전화라인은 실제로 서로 다른 구성을 가질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상기 제 1 PBX(14) 또는 제 2 PBX(24)가 발신측이 될 경우에는 없을 수도 있다.
한편, 도 1의 게이트키퍼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키퍼(Gate-Keeper; 50)는 내부의 확장카드를 장착하기 위한 확장슬롯을 가진 일반적인 퍼스널컴퓨터(Personal Computer; 이하, PC라 칭함, 52)와, 상기 확장슬롯에 탑재되어 음성인식기능을 수행하는 음성인식보드(52a)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음성인식기능을 특정 어휘를 예로써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음성인식전화교환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음성인식기능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내용을 예로써 음성인식기능을 설명하면, 외부로부터 입력된 음성이 "서울전자산업주식회사"이고, 미리 녹음된 기준음성이 "서울"이라면, 상기 음성인식보드(52a)는 기준음성만을 인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어떠한 음성신호가 입력되더라도 미리녹음된 기준음성만을 인식하기 때문에 상기 음성인식보드(52a)는 "서울전자"와, "서울전자산업"과, "서울전자산업주식회사"는 동일한 음성신호로서 인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음성인식전화교환시스템에 의한 음성인식전화교환방법 및 이에따른 동작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전화교환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음성인식을 하고자 하는 기준음성을 입력하는 기준음성녹음단계(S110)를 진행한 다음, 수신측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번호입력단계(S115)를 수행한다.
상기 수신번호에 의한 자동응답음성을 발신자에게 송출하는 음성안내단계(S120)를 진행한 다음, 이 음성안내단계에 따라서 상기 발신자가 통화하기 원하는 수신측 교환처를 음성으로 입력하는 교환처음성입력단계(S125)를 수행한다.
상기 입력된 음성을 상기 음성인식보드(52a)에 의하여 인식되었는지 여부를판단하는 음성인식판단단계(S130)를 진행한 다음, 만일 음성인식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면 즉, 무슨말인지 상기 음성인식보드(52a)가 알지 못한다면 소정의 카운트변수를 카운트업(Count-Up)하는 카운트업단계(S135)를 수행한다.
상기 카운트변수가 3회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카운트횟수판단단계(S140)를 진행하여, 카운트횟수가 3회 이상이 아닐 경우에는 상기 음성안내단계(S120)로 분기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돌발적인 교환상담을 위한 상담원과 통화하도록 연결시키는 상담원연결단계(S145)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음성인식단계(S130)에서 음성인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다면 상기 기준음성에 대응되는 PSTN 번호, IP 번호, 이동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대응번호검색단계(S150)를 진행한 다음, 상기 기준음성에 대응된 번호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번호유무확인단계(S155)를 수행한다.
만약, 상기 기준음성에 대응된 번호가 없다면 상기 상담원연결단계(S145)로 분기하고, 기준음성에 대응된 번호가 있다면 대응된 번호가 내선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내선번호확인단계(S160)를 진행한 다음, 해당된 내선번호의 착신자와 발신자를 서로 연결시켜 통화하도록 하는 내선통화단계(S165)를 수행한다.
상기 대응된 번호가 내선번호가 아니라면 IP 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IP 번호확인단계(S170)를 진행한 다음, 상기 대응된 번호가 IP 번호라면 해당하는 IP 번호(IP주소)의 착신자와 발신자를 서로 연결시켜 통화하도록 하는 IP 통화단계(S175)를 수행한다.
상기 대응된 번호가 IP 번호가 아니라면 유선번호 즉, PSTN 번호인지 여부를판단하는 유선번호확인단계(S180)를 진행한 다음, 상기 대응된 번호가 PSTN 번호라면 해당하는 PSTN 번호의 착신자와 발신자를 서로 연결시켜 통화하도록 하는 PSTN 통화단계(S185)를 수행한다.
상기 대응된 번호가 유선번호가 아니라면 이동통신번호이므로 해당되는 이동통신번호의 착신자와 발신자를 서로 연결시켜 통화하도록 하는 이동통신통화단계(S190)를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음성인식에 의한 교환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발신자의 사용편의성을 증대시킨 장점을 가진다.
둘째, IP 통화가 소정의 원인으로 인해서 불가능하거나 소정레벨의 통화품질을 성취하기가 곤란할 경우에 이 IP 주소에 대응되는 PSTN을 통해서 PSTN통화로 자동교환함으로써 사용편의성을 증대시킨 장점을 가진다.
셋째, 특정 기준음성외에 다른 음성신호를 포함하여도 인식되고, 구내교환번호에 해당되는 사용자의 이름을 기준음성으로 채택할 경우에는 별도의 기준음성을 기억하지 않아도 되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Claims (9)

  1. 인터넷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IP 네트웍과,
    상기 IP 네트웍을 통한 데이터 및 IP 통화의 경로배정을 위한 제 1 게이트웨이와, 외부로부터 수신된 수신호를 착신자와 통화연결시키기 위한 제 1 구내사설교환기와, 상기 제 1 구내사설교환기에 연결되어 상기 IP 네트웍을 통한 IP 통신과 PSTN을 통한 PSTN 통신을 위한 사용자단말기인 제 1 전화로 이루어진 제 1 전화라인과,
    상기 IP 네트웍을 통한 데이터 및 IP 통화의 경로배정을 위한 제 2 게이트웨이와, 외부로부터 수신된 수신호를 착신자와 통화연결시키기 위한 제 2 구내사설교환기와, 상기 제 2 구내사설교환기에 연결되어 상기 IP 네트웍을 통한 IP 통신과 PSTN을 통한 PSTN 통신을 위한 사용자단말기인 제 2 전화로 이루어진 제 2 전화라인과,
    상기 제 1 및 제 2 게이트웨이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전화의 IP 주소와 이 주소에 대응되는 PSTN 전화번호가 저장되고, IP 통화가 소정의 원인으로 인해 불가능할 경우에 IP 주소에 대응된 PSTN 전화번호로 자동교환되도록 제어하는 게이트키퍼와,
    수신호의 착신시 소정의 안내음성을 발신자의 전화로 송출하여 발신자가 원하는 교환처를 음성으로 입력하도록 안내하는 자동응답서버와,
    공중전화망과 연결된 외부전화와,
    상기 공중전화망 및 이동통신망과 연결된 이동통신단말기를 포함하고, 소정의 발신자 상기 자동응답서버의 안내에 따라 교환처를 음성으로 입력하면 상기 게이트키퍼는 이 음성을 상기 자동응답서버로부터 전달받아서 미리 입력된 기준음성과 비교하여 대응되는 번호의 IP 주소에 해당되는 전화로 교환하고, 상기 IP망의 트래픽이 소정 기준치 이상으로 폭주할 경우에는 대응되는 번호의 PSTN번호에 해당되는 전화로 자동전환하여 연결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전화교환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화는 IP 프로토콜에 의한 IP 통화를 지원하는 IP 전화 또는 PSTN을 이용한 PSTN 전화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전화교환시스템.
  3. 제 1 항 및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IP 통화에서 이용되는 호제어프로토콜은 ITU-T의 H.3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전화교환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키퍼는 일반적인 개인용컴퓨터(Personal Computer; PC)로 이루어지고, 이 PC의 확장슬롯에는 음성인식을 위한 음성인식보드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전화교환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키퍼에는 음성인식시 비교하기 위해 저장된 기준음성데이터베이스와 외부로부터 수신된 음성인식을 위한 음성인식보드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전화교환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의 데이터처리속도는 10Mbps에서 100Mbps이고, 음성통화시 4개의 채널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전화교환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의 동작상태를 상기 게이트키퍼의 화면상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한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전화교환시스템.
  8. 음성인식시 기준이 되는 기준음성을 입력받아서 저장하는 기준음성녹음단계와,
    외부로부터 발신자가 원하는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전화번호입력단계와,
    상기 발신자에게 통화하기를 원하는 교환처를 음성으로 입력하도록 요청하는음성안내단계와,
    상기 발신자가 교환처에 대한 음성데이터를 입력하는 교환처입력단계와,
    상기 교환처입력단계에서 입력된 교환처의 음성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음성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음성인식확인단계와,
    상기 입력된 교환처의 음성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음성데이터라면 이 음성데이터와 대응된 번호를 검색하는 대응번호검색단계와,
    대응된 번호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번호유무확인단계와,
    상기 대응된 번호가 내선번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내선번호확인단계와,
    상기 대응된 번호가 내선번호라면 해당된 내선번호의 착신자와 발신자를 연결시켜 교환하는 내선통화단계와,
    상기 대응된 번호가 내선번호가 아니라면 상기 대응된 번호가 IP 번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IP 번호확인단계와,
    상기 대응된 번호가 IP 번호라면 해당된 IP 번호의 착신자와 발신자를 연결시켜 교환하는 IP통화단계와,
    상기 대응된 번호가 IP 번호가 아니라면 상기 대응된 번호가 유선번호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유선번호확인단계와,
    상기 대응된 번호가 유선번호라면 해당된 유선번호의 착신자와 발신자를 연결시켜 교환하는 PSTN 통화단계와,
    상기 대응된 번호가 유선번호가 아니라면 이동통신번호이므로 해당된 이동통신번호의 착신자와 발신자를 연결시켜 교환하는 이동통신통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전화교환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확인단계에서 음성인식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에는 카운트변수를 카운트업하는 카운트업단계와; 상기 카운트변수가 소정의 기준횟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카운트횟수확인단계와; 상기 카운트변수가 소정의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음성안내단계로 분기하고, 소정의 기준치 이상이면 상담원과 연결하는 상담원연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전화교환시스템.
KR10-2001-0031212A 2001-06-04 2001-06-04 음성인식전화교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음성인식전화교환방법 KR100396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1212A KR100396817B1 (ko) 2001-06-04 2001-06-04 음성인식전화교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음성인식전화교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1212A KR100396817B1 (ko) 2001-06-04 2001-06-04 음성인식전화교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음성인식전화교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549A KR20020092549A (ko) 2002-12-12
KR100396817B1 true KR100396817B1 (ko) 2003-09-02

Family

ID=27707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1212A KR100396817B1 (ko) 2001-06-04 2001-06-04 음성인식전화교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음성인식전화교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8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2757A (ja) * 1996-09-30 1998-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声ダイヤルサーバー
US5912949A (en) * 1996-11-05 1999-06-15 Northern Telecom Limited Voice-dialing system using both spoken names and initials in recognition
KR20010100037A (ko) * 2000-11-10 2001-11-14 조충희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 전화번호부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20020615A (ko) * 2000-09-08 2002-03-15 한태현 음성 인식 전화번호 안내 및 자동연결 방법과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2757A (ja) * 1996-09-30 1998-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声ダイヤルサーバー
US5912949A (en) * 1996-11-05 1999-06-15 Northern Telecom Limited Voice-dialing system using both spoken names and initials in recognition
KR20020020615A (ko) * 2000-09-08 2002-03-15 한태현 음성 인식 전화번호 안내 및 자동연결 방법과 그 시스템
KR20010100037A (ko) * 2000-11-10 2001-11-14 조충희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 전화번호부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2549A (ko) 200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0101B2 (en) Method and system for routing calls from a standard telephone device to a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network
US6914964B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utomatic multipoint network connections in a communications environment
NO317790B1 (no) Fremgangsmate og system for kopling av telefonsamtaler i digitale telefonsystemer
KR100701509B1 (ko) 원격통신 시스템 및 장치
KR20020011668A (ko) 인터넷 전화통화 서비스 방법
US7289618B2 (en) Method for performing external call forwarding between internet and telephone network in web-phone system
US6856617B2 (en) Method for processing outgoing call i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IP) gateway
KR20010100037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음성 전화번호부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396817B1 (ko) 음성인식전화교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음성인식전화교환방법
KR100218466B1 (ko) 발신자 전화번호에 따른 선택적 착신전환 방법
KR200362267Y1 (ko) 에이알에스장치와 에이씨에스장치가 통합된 목적번호접속 장치
JP2855026B2 (ja) 代理応答方式
KR100724958B1 (ko) 사설교환기에서의 발신자 식별코드 정보의 선택적 송출방법
KR20030043537A (ko) 공중전화망(pstn망) 전화번호를 이용한 인터넷 통신/전화장치 및 그 방법
JP3289569B2 (ja) 簡易交換装置
JPH0215756A (ja) 通信機器
KR20040055012A (ko) 교환 시스템에서 음성 인식을 이용한 자동 연결 방법
KR20030027907A (ko) PSTN 전화번호를 이용한 PSTN 및 VoIP전화착신 서비스 방법
JPH05176064A (ja) 局線着信方式
JPH05236119A (ja) 構内交換システム
KR20030053066A (ko)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전화 호출시간단축 방법
KR20050047204A (ko) 에이알에스장치와 에이씨에스장치가 통합된 목적번호 접속시스템
KR980007378A (ko) 교환기의 발신측 전화 자동 호출방법 및 장치
JP2002084357A (ja) アクセスコードを自動ダイヤルする電気通信端末
KR19980014407A (ko) 간이 전자 교환 장치의 내부 및 외부단말 동시호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