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359B1 -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359B1
KR100396359B1 KR10-2001-0024240A KR20010024240A KR100396359B1 KR 100396359 B1 KR100396359 B1 KR 100396359B1 KR 20010024240 A KR20010024240 A KR 20010024240A KR 100396359 B1 KR100396359 B1 KR 100396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gnal
control signal
data
lc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4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4629A (ko
Inventor
박기판
Original Assignee
(주)네오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디스 filed Critical (주)네오디스
Priority to KR10-2001-0024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359B1/ko
Publication of KR20020084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3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력소모량을 줄일 수 있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되어질 화상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화상종류 판별수단과, 상기 화상종류 판별수단에서 정지화상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만 입력 디스플레이 구동 제어신호의 주파수를 분주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공급하는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제어장치 및 방법은 화상을 감지하여 데이터신호의 동영상인지 정지화상인지를 판별하여 정지화상인 경우 구동 제어신호의 주파수를 분주시킴으로써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Controlling Apparatus of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력소모량을 줄일 수 있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구동방식의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이하 "LCD"라 함)는 스위칭 소자로서 박막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동화상을 표시하고 있다. 이러한 LCD는 브라운관에 비하여 소형화가 가능하여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와 노트북 컴퓨터(Note Book Computer)는 물론, 복사기 등의 사무자동화기기, 휴대전화기나 호출기 등의 휴대기까지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LCD를 이용한 휴대전화를 중심으로 개인 휴대용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이하 "PDA"라 함)가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PDA는 크기가 작은 개인용 정보처리 단말기로서 정보의 수집, 저장, 작성, 검색 및 통신기능이 결합된 휴대형 정보 단말기이다. 이러한 PDA는 노트북보다 훨씬 작고 가벼워서 휴대에 편리하며 개인 및 기업정보를 관리하기에 적합하다.
도 1을 참조하면, PDA는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 Unit : 이하 "CPU"라 함)(1)와, CPU(1)와 버스(13)를 통해 접속된 I/O(Input/Output) 인터페이스(3), 메모리 인터페이스(9), 그래픽 컨트롤러(11)와, 그래픽 컨트롤러(11)에 접속된 LCD 모듈(15)을 구비한다.
CPU(1)는 입력된 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 연산을 수행하여 버스(13)를 통한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한다. I/O 인터페이스(3)는 CPU(1)의 제어에 의해 PDA의 외부에 연결된 입출력장치를 제어한다. 다시 말하여, I/O 인터페이스(3)는 CPU(1)의 제어에 의해 USB(Universal Serial Bus), RS-232C(Serial Bus), 카메라, 유무선 통신, 오디오 인터페이스,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I/O 디바이스(5)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메모리 인터페이스(9)는 CPU(1)의 제어에 의해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GRAM(Synchronous Graphics 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ROM(Read Only Memory) 등과 같은 메모리(7)를 제어하여메모리(7)의 데이터가 입출력되게 한다. 여기서, SDRAM과 SGRAM은 통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플래쉬 ROM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그래픽 컨트롤러(11)는 LCD 모듈(15)에 적합한 디스플레이신호를 공급하여 LCD 모듈(15)이 구동되게 한다. LCD 모듈(15)은 그래픽 컨트롤러(11)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액정패널(23)에 원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위하여, LCD 모듈(15)은 그래픽 컨트롤러(11)에 접속된 LCD 모듈 컨트롤러(17)와, LCD 모듈 컨트롤러(17)에 공통 접속된 게이트구동회로(19) 및 데이터구동회로(21)와, 게이트구동회로(19) 및 데이터구동회로(21)에 공통 접속된 액정패널(23)을 구비한다. LCD 모듈 컨트롤러(17)는 그래픽 컨트롤러(11)로부터 데이터신호와 함께 입력되는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sync, Vsync) 등에 응답하여 게이트 구동회로(19)과 데이터 구동회로(21)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게 된다. 상세히 하면, LCD 모듈 컨트롤러(17)는 그래픽 컨트롤러(11)로부터의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sync, Vsync)에 응답하여 게이트구동회로(19)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스타트 신호 및 클럭신호 등과 같은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아울러, LCD 모듈 컨트롤러(17)는 그래픽 컨트롤러(11)로부터의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sync, Vsync) 및 데이터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스타트 신호 및 클럭신호,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sync, Vsync) 등과 같은 제어신호와 함께 데이터신호를 데이터구동회로(21)에 공급한다. 이 경우, 데이터신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동기신호(Hsync)와 수직 동기신호(Vsync)에 동기되어 전송된다. 다시 말하여, 데이터신호는 수평 동기신호(Hsync)에 동기되어 수평 동기신호(Hsync)의 주기마다 1라인분씩 전송되게 된다. 이에 따라, 다수개의 수평 동기신호(Hsync)의 주기를 포함하는 수직 동기신호(Vsync)에 동기되어 수직 동기신호(Vsync)의 주기마다 1프레임분씩(F)의 데이터신호가 전송되게 된다. 게이트구동회로(19)는 LCD 모듈 컨트롤러(17)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라인순차적으로 액정패널(23)에 게이트펄스를 인가한다. 데이터구동회로(21)는 LCD 모듈 컨트롤러(17)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하이상태의 게이트펄스 기간동안 데이터신호를 액정패널(23)에 인가함으로써 액정패널(23)에 데이터신호에 따른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게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PDA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중요한 기술들 중 하나는 밧데리사용시간을 연장하기 위하여 전력소모량을 줄이는 것이다. 그러나,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욕구에 따라 동영상 표시까지 지원하게 되면서 전력 소모량은 더욱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력 소모량을 줄이기 위하여 휴대용 단말기에서 대부분의 전력이 소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즉 LCD의 소비전력을 줄이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으나, 종래의 LCD에서는 데이터 종류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주파수의 데이터신호 및 제어신호를 이용함에 따라 전력소모량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력소모량을 줄일 수 있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LCD 모듈 컨트롤러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구동 타이밍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저전력 LCD 모듈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구동 타이밍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저전력 LCD 모듈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구동 타이밍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저전력 LCD 모듈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구동 타이밍도.
도 8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31, 61 : CPU 3, 39, 63 : I/O 인터페이스
5, 37, 65 : I/O 디바이스 7, 35, 67 : 메모리
9, 33, 69 : 메모리 인터페이스 11, 41, 71 : 그래픽 컨트롤러
13, 43, 73 : 버스 15, 45, 75 : LCD 모듈
17, 55, 59, 85, 89 : LCD 모듈 컨트롤러
19, 49, 79 : 게이트구동회로 21, 51, 81 : 데이터구동회로
23, 53, 83 : 액정패널 47, 77 : 저전력 LCD 모듈 제어부
57 : 제어신호 발생부 57, 87 : 영상신호 판별회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되어질 화상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화상종류 판별수단과, 상기 화상종류 판별수단에서 정지화상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만 입력 디스플레이 구동 제어신호의 주파수를 분주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공급하는 디스플레이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PDA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PDA는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CPU(31)와, CPU(31)와 버스(43)를 통해 접속된 메모리 인터페이스(33), I/O 인터페이스(39)와, 그래픽 컨트롤러(41)와, 그래픽 컨트롤러(41) 및 I/O 인터페이스(39)에 접속된 LCD 모듈(45)을 구비한다.
CPU(31)는 입력된 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 연산을 수행하여 버스(43)를 통한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한다. 메모리 인터페이스(33)는 CPU(31)의 제어에 의해 SDRAM, SGRAM, 플래쉬 ROM 등과 같은 메모리(35)를 제어하여 메모리(35)의 데이터가 입출력되게 한다. SDRAM과 SGRAM은 통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플래쉬 ROM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여기서, 플래시 ROM에는 종래와 달리 LCD에 디스플레이되어질 데이터신호의 종류, 즉 정지화상에 대한 데이터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화상종류판별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CPU(31)는 화상종류판별 프로그램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 실행하여 판별된 화상감지신호를 I/O 인터페이스(39)를 통해 LCD 모듈(45)로 출력하게 된다. 상세히 하면, CPU(31)는 화상종류판별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지시에 의한 리얼 플레이어(REAL PLAYER), 메디아 플레이어(MEDIA PLAYER) 등과 같은 동영상 구동용 프로그램의 실행여부를 체크한다(S1 단계). 동영상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은 경우 정지화상으로 감지하여 정지화상 감지신호를 발생한다. 반면에, 동영상 프로그램이 동작중이면 데이터가 로딩 중인지(S2 단계) 플레이/스탑 중인지(S3 단계)를 감지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동영상인지 정지화상인지를 감지하여 해당 화상감지신호를 발생한다. I/O 인터페이스(39)는 CPU(31)의 제어에 의해 감지된 화상감지신호를 LCD 모듈(45)로 공급한다. I/O 인터페이스(39)는 CPU(31)의 제어에 의해 USB, RS-232C, 카메라, 유무선 통신, 오디오 인터페이스,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I/O 디바이스(37)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그래픽 컨트롤러(41)는 LCD 모듈(45)에 영상신호와 같은 디스플레이신호를 공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을 제어한다. LCD 모듈(45)은 그래픽 컨트롤러(41)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신호와 I/O 인터페이스(39)로부터 입력되는 화상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액정패널(53)에 원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위하여, LCD 모듈(45)은 그래픽 컨트롤러(41) 및 I/O 인터페이스(39)에공통 접속된 저전력 LCD 모듈 제어부(47)와, 저전력 LCD 모듈 제어부(47)에 공통 접속된 게이트구동회로(49) 및 데이터구동회로(51)와, 게이트구동회로(49) 및 데이터구동회로(51)에 공통 접속된 액정패널(53)을 구비한다.
저전력 LCD 모듈 제어부(47)는 I/0 인터페이스(39)로부터 입력되는 화상감지신호에 따라 데이터신호의 종류를 판별하여 제어신호, 즉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의 주파수를 가변시키거나 수직동기신호의 주파수를 가변시킴으로써 소비전력을 줄이게 된다. 다시 말하여, 저전력 LCD 모듈 제어부(47)는 I/0 인터페이스(39)로부터의 화상감지신호가 동영상 감지신호인 경우 종래의 주파수의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를 출력하는 반면에, 정지화상 감지신호인 경우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의 주파수 또는 수직 동기신호의 주파수를 줄여 소비전력을 줄이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저전력 LCD 모듈 제어부(47)는 그래픽 컨트롤러(41)에 접속된 제1 LCD 모듈 컨트롤러(55)와, I/O 인터페이스(39)와 제1 LCD 모듈 컨트롤러(55)에 공통접속된 제어신호 발생부(57)와, 제1 LCD 모듈 컨트롤러(55)와 제어신호 발생부(57)에 공통접속된 제2 LCD 모듈 컨트롤러(59)를 구비한다.
제1 LCD 모듈 컨트롤러(55)는 그래픽 컨트롤러(41)로부터 데이터신호와 함께 입력되는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sync, Vsync) 등에 응답하여 게이트 구동회로(49)와 데이터 구동회로(51)의 구동 타이밍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다시 말하여, 제1 LCD 모듈 컨트롤러(55)는 그래픽 컨트롤러(41)로부터의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sync, Vsync)와 데이터신호에 응답하여 게이트 제어신호 및 데이터 제어신호와 함께 데이터신호를 출력한다. 제어신호 발생부(57)는 제1 LCD 모듈 컨트롤러(55)로부터의 구동 타이밍 제어신호(수직동기신호 등)에 응답하여 I/O 인터페이스(39)로부터의 화상감지신호 따라 제1 LCD 모듈 컨트롤러(55)로부터 주파수를 가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예를 들면, 제어신호 발생부(57)는 입력되는 화상감지신호가 동화상 감지신호인 경우 디세이블신호를 발생하고, 정지화상 감지신호인 경우 이네이블신호를 발생한다. 제2 LCD 모듈 컨트롤러(59)는 제어신호발생부(57)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1 LCD 모듈 컨트롤러(55)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의 주파수를 선택적으로 분주시키게 된다. 상세히 하면, 제2 LCD 모듈 컨트롤러(59)는 제어신호발생부(57)에서 동영상 감지신호에 따른 디세이블신호가 입력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LCD 모듈 컨트롤러(55)에서 입력되는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와 데이터신호를 주파수 분주없이 출력되게 한다. 반면에, 제2 LCD 모듈 컨트롤러(59)는 제어신호발생부(57)에서 정지화상 감지신호에 따른 이네이블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데이터변화가 거의 없게 되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LCD 모듈 컨트롤러(55)에서 입력되는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Hsync, Vsync)와 데이터신호의 주파수를 1/2, 1/3, 1/4, . . . 1/N(여기서 N은 자연수)로 분주시켜 출력하게 된다. 주파수가 분주된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에 맞추어 데이터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제2 LCD 모듈 컨트롤러(59)는 제1 LCD 모듈 컨트롤러(55)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프레임단위로 저장하기 위한 프레임메모리(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한다. 따라서, 제2 LCD 모듈 컨트롤러(59)는 도 5과 같은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제1 LCD 모듈 컨트롤러(55)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신호를 프레임단위로 저장한 다음 도 7과 같이 주파수가 가변된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제2 LCD 모듈 컨트롤러(59)는 이네이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동기신호(Vsync)의 주파수만을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수직 동기신호(Vsync)의 주파수를 1/2로 줄여 출력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수직 동기신호(Vsync)의 주파수만 줄어듦에 따라 수직 동기신호(Vsync)의 1/2주기 동안 수평동기신호(Hsync)와 데이터신호가 출력되는 반면에 나머지 반주기 동안에는 수평동기신호(Hsync)와 데이터신호가 출력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정지화상인 경우 표시 프레임과 스킵 프레임이 교번되게 한다.
이러한 저전력 LCD 모듈 제어부(47)는 화상감지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주파수가 분주된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sync, Vsync)를 포함하는 게이트 제어신호를 게이트구동회로(49)에 공급함과 아울러, 데이터 제어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데이터 구동회로(51)로 출력한다. 게이트구동회로(49)는 저전력 LCD 모듈 제어부(47)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라인순차적으로 액정패널(53)에 게이트펄스를 인가한다. 데이터구동회로(51)는 저전력 LCD 모듈 제어부(47)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하이상태의 게이트펄스 기간동안 데이터신호를 액정패널(53)에 인가함으로써 액정패널(53)에 데이터신호에 따른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게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PDA는 전체 시스템을 제어하는 CPU(61)와, CPU(61)와 버스(73)를 통해 접속된 I/O 인터페이스(63)와, 메모리 인터페이스(69), 그래픽 컨트롤러(71)와, 그래픽 컨트롤러(71)에 접속된 LCD 모듈(75)을 구비한다.
CPU(61)는 입력된 프로그램의 명령에 따라 연산을 수행하여 버스(73)를 통한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한다. I/O 인터페이스(63)는 CPU(61)의 제어에 의해 PDA의 외부에 연결된 입출력장치를 제어한다. 다시 말하여, I/O 인터페이스(63)는 CPU(61)의 제어에 의해 USB, RS-232C, 카메라, 유무선 통신, 오디오 인터페이스,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I/O 디바이스(65)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메모리 인터페이스(69)는 CPU(61)의 제어에 의해 SDRAM, SGRAM, 플래쉬 ROM 등과 같은 메모리(67)를 제어하여 메모리(67)의 데이터가 입출력되게 한다. 여기서, SDRAM과 SGRAM은 통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플래쉬 ROM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그래픽 컨트롤러(71)는 LCD 모듈(75)에 영상신호와 같은 디스플레이신호를 공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을 제어한다. LCD 모듈(75)은 그래픽 컨트롤러(71)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액정패널(83)에 원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를 위하여, LCD 모듈(75)은 그래픽 컨트롤러(71)에 접속된 LCD 모듈 제어부(77)와, 저전력 LCD 모듈 제어부(77)에 공통 접속된 게이트구동회로(79) 및 데이터구동회로(81)와, 게이트구동회로(79) 및 데이터구동회로(81)에 공통 접속된 액정패널(83)을 구비한다.
저전력 LCD 모듈 제어부(77)는 그래픽 컨트롤러(71)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신호의 종류를 판별하여 제어신호, 즉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의 주파수를 가변시키거나 수직동기신호의 주파수를 가변시킴으로써 소비전력을 줄이게 된다. 다시 말하여, 저전력 LCD 모듈 제어부(77)는 그래픽 컨트롤러(71)로부터 입력되는데이터신호가 동영상인 경우 종래의 주파수의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를 출력하는 반면에, 정지화상인 경우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의 주파수 또는 수직 동기신호의 주파수를 줄여 소비전력을 줄이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저전력 LCD 모듈 제어부(77)는 그래픽 컨트롤러(71)에 접속된 제1 LCD 모듈 컨트롤러(85) 및 영상신호 판별회로(87)와, 제1 LCD 모듈 컨트롤러(85) 및 영상신호 판별회로(87)에 공통접속된 제어신호 제2 LCD 모듈 컨트롤러(89)를 구비한다.
제1 LCD 모듈 컨트롤러(55)는 그래픽 컨트롤러(71)로부터 데이터신호와 함께 입력되는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sync, Vsync) 등에 응답하여 게이트 구동회로(49)와 데이터 구동회로(51)의 구동 타이밍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다시 말하여, 제1 LCD 모듈 컨트롤러(55)는 그래픽 컨트롤러(41)로부터의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sync, Vsync)와 데이터신호에 응답하여 게이트 제어신호 및 데이터 제어신호와 함께 데이터신호를 출력한다. 영상신호 판별회로(87)는 데이터신호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그래픽 컨트롤러(71)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신호의 종류를 감지하여 제1 LCD 모듈 컨트롤러(85)로부터 주파수를 가변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2 LCD 모듈 컨트롤러(89)에 공급한다. 예를 들면, 영상신호 판별회로(87)는 입력되는 데이터신호가 동화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디세이블신호를 발생하고, 정지화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이네이블신호를 발생한다. 제2 LCD 모듈 컨트롤러(89)는 영상신호 판별회로(87)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1 LCD 모듈 컨트롤러(85)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의 주파수를 가변시키게 된다. 상세히 하면, 제2 LCD 모듈컨트롤러(89)는 영상신호 판별회로(87)에서 동영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디세이블신호가 입력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LCD 모듈 컨트롤러(85)에서 입력되는 수직 및 수평 동기신호와 데이터신호를 주파수 가변없이 출력되게 한다. 반면에, 제2 LCD 모듈 컨트롤러(89)는 영상신호 판별회로(87)에서 정지화상으로 감지되는 경우 이네이블신호가 입력되면 데이터변화가 거의 없게 되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LCD 모듈 컨트롤러(85)에서 입력되는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와 데이터신호의 주파수를 1/2, 1/3, 1/4의 배수로 줄여 출력하게 된다. 이렇게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와 데이터신호의 주파수를 1/2, 1/3, 1/4의 배수로 줄여 제2 LCD 모듈 컨트롤러(89)는 도 7과 같이 주파수가 가변된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제2 LCD 모듈 컨트롤러(59)는 이네이블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동기신호의 주파수만을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수직 동기신호의 주파수를 1/2로 줄어 출력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수직 동기신호의 주파수만 줄어듦에 따라 수직 동기신호의 1/2주기 동안 수평동기신호와 데이터신호가 출력되는 반면에 나머지 반주기 동안에는 수평동기신호와 데이터신호가 출력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정지화상인 경우 표시 프레임과 스킵 프레임이 교번되게 한다.
이렇게 저전력 LCD 모듈 제어부(77)는 화상감지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주파수가 분주된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sync, Vsync)를 포함하는 게이트 제어신호를 게이트구동회로(79)에 공급함과 아울러, 데이터 제어신호 및 데이터신호를 데이터구동회로(81)로 출력한다. 게이트구동회로(79)는 저전력 LCD 모듈 제어부(77)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라인순차적으로 액정패널(83)에 게이트펄스를 인가한다. 데이터구동회로(81)는 저전력 LCD 모듈 제어부(77)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하이상태의 게이트펄스 기간동안 데이터신호를 액정패널(53)에 인가함으로써 액정패널(53)에 데이터신호에 따른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은 화상을 감지하여 데이터신호의 동영상인지 정지화상인지를 판별하여 정지화상인 경우 구동 제어신호의 주파수를 분주시킴으로써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른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은 종래의 개인 휴대용 단말기와 대비하여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서 가장 많은 소비전력을 소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동영상 구동용 프로그램이 구동되고 있는 상태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되어질 화상의 종류를 정지화상 또는 동화상으로 판별하기 위한 화상종류 판별수단과,
    상기 디스플레이될 화상의 데이터신호와 수직동기신호 및 수평동기신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제1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와,
    상기 화상종류 판별수단으로부터 상기 화상의 종류를 정지화상으로 판별하는 정지 화상판별신호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부터의 디스플레이 구동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주파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부와,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로부터의 주파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부터의 디스플레이 구동 제어신호의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 또는 수직동기신호의 주파수를 1/N(여기서 N은 1을 제외한 자연수)로 분주시키는 제2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장치.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를 분주시키는 경우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컨트롤러에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프레임단위로 저장하여 주파수가 분주된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 또는 수직동기신호 에 맞추어 데이터신호가 출력되게 하는 프레임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장치.
  5.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동영상 구동용 프로그램이 구동되고 있는 상태에 따라서 입력 화상신호의 화상종류를 판별하는 단계와,
    상기 판별된 화상이 정지화상으로 판별되는 경우 특정 주파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주파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화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 또는 수직동기신호의 주파수를 1/N(여기서 N은 1을 제외한 자연수)로 분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화상신호의 화상 종류를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 프로그램의 실행여부를 확인하여 화상종류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상기 입력화상의 데이터가 로딩 중인지를 확인하여 화상종류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의 로딩이 완료되면 상기 동영상 프로그램이 플레이/스탑 중인지를 확인하여 화상종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1-0024240A 2001-05-04 2001-05-04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396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240A KR100396359B1 (ko) 2001-05-04 2001-05-04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240A KR100396359B1 (ko) 2001-05-04 2001-05-04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629A KR20020084629A (ko) 2002-11-09
KR100396359B1 true KR100396359B1 (ko) 2003-09-02

Family

ID=27703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4240A KR100396359B1 (ko) 2001-05-04 2001-05-04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3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366B1 (ko) 2015-03-17 2021-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절전 방법 및 장치
CN112486440B (zh) * 2020-11-05 2024-03-19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算法验证方法和算法验证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007A (ko) * 1996-12-31 1998-10-07 김광호 액정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 감소 회로
US5954820A (en) * 1997-09-26 1999-09-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rtable computer with adaptive demand-driven power management
KR19990080001A (ko) * 1998-04-10 1999-11-05 구자홍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화면보호 및 그 구동장치
JP2001312253A (ja) * 2000-04-28 2001-11-09 Sharp Corp 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ならびに携帯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007A (ko) * 1996-12-31 1998-10-07 김광호 액정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 감소 회로
US5954820A (en) * 1997-09-26 1999-09-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ortable computer with adaptive demand-driven power management
KR19990080001A (ko) * 1998-04-10 1999-11-05 구자홍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화면보호 및 그 구동장치
JP2001312253A (ja) * 2000-04-28 2001-11-09 Sharp Corp 表示装置の駆動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ならびに携帯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629A (ko) 2002-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8959B2 (en) Display controller
CN101046941B (zh) 用于驱动液晶显示器件的装置和方法
US20130265294A1 (en) Decreasing power consumption in display devices
EP2573752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and display system
KR100910683B1 (ko) 듀얼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사이의 인공물이 없는 전환을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US6525720B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0614743B2 (en) Display apparatus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20040125099A1 (en) Method, apparatus and article for display unit power management
JPH113063A (ja) 情報処理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KR20150028075A (ko)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구동방법 및 영상 표시 시스템
JPH04242790A (ja) 電子機器
JP2002108293A (ja) 情報処理装置及び該装置における表示装置用電源電圧制御方法
JP2005140959A (ja) 表示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機器
KR100396359B1 (ko)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465444B1 (ko) 터치 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JP2003114648A (ja) 液晶表示装置、コンピュータ装置及びそのlcdパネルの駆動制御方法
US6870531B2 (en)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frame ratio of LCD and LCD system having the same
JP2002311901A (ja) 表示装置
US8380886B2 (en) Computer system
CN114627808A (zh) 显示装置和操作显示装置的方法
KR102498805B1 (ko) 액정표시장치
JP2002311903A (ja) 表示装置
KR101246568B1 (ko)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가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방법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액정 표시 장치
KR100385953B1 (ko) 프레임 메모리를 내장하는 tft-lcd의 구동 ic 및구동 ic에서의 데이터 동기 방법
JP2001183625A (ja) 単純マトリックス型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