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119B1 - 다층 망식 어초 - Google Patents

다층 망식 어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119B1
KR100396119B1 KR10-2001-0036317A KR20010036317A KR100396119B1 KR 100396119 B1 KR100396119 B1 KR 100396119B1 KR 20010036317 A KR20010036317 A KR 20010036317A KR 100396119 B1 KR100396119 B1 KR 100396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rope
layered
reef
s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6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1651A (ko
Inventor
서광석
Original Assignee
서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광석 filed Critical 서광석
Priority to KR10-2001-0036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119B1/ko
Publication of KR20010071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1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1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저면과 해수면 사이에 어류 휴식처 및 어류들의 먹이인 미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다층망식 어초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여러 가지 종류의 인공 어초가 공지된 바 있으나, 이와 같은 어초의 대부분은 중량체인 콘크리트 블록으로 되어 있어 연약 지반에는 설치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가 많이 소요되고, 이를 해저에 설치할 때는 많은 작업비가 소요되는 폐단이 있고, 설치 후에는 해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등으로 어류들의 생태적 요구 환경 즉, 어류들의 은신, 휴식 및 산란, 치어의 성장을 만족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각종 어류들이 요구하는 먹이의 인공 양식이 불가능하고 또한, 어초의 중심부에 있는 해수는 정체되어 어류나 해조류 등이 싫어하는 협기성 수질이 되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바다 목장과 같은 양식장에 사용케 한 어초가 공지된 바 있기는 하였으나, 이는 반구상의 부구가 부초식으로 설치되어 있어 해류에 의한 유동이 심하여 양식 어류 등의 휴식 공간 및 해조류 등의 먹이용 미생물 서식에는 부적합한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이의 발명 요지는 연약 지반에도 설치가 가능하게 어초 몸체(1)를 다층망 형식으로 함으로서 무게와 생산비 및 설치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하고, 횡지지 로프(3)와 종지지 로프(2)를 사용하여 다층망을 조성함에 있어서는 로프의 굵기는 3∼5cm이고, 단위 몸체(1)의 부피는 가로세로 10m의 입방체로 하여 다수의 몸체(1)를 결합할 수 있게하고, 종지지 로프(2)의 배열 간격은 0.5∼1m 범위로 하고, 횡지지 로프(3)의 간격을 2.5∼3m 범위로 하되, 종지지 로프(2)는 지그재그 상으로 엮어서 해수의 흐름이 직류되지 않고 와류 형식으로 완만하게 흐르게 함과 동시 몸체(1) 중심부에도 해류의 소통을 가능케 하여 해수가 정체되는 일이 없게 함으로서 어류들의 은신 및 휴식과 산란 및 치어들의 서식 환경을 양호히 하고, 아울러 로프에 착생된 해조류나 미생물의 인공 양식 환경을 좋게 함으로서 어류에게 양질의 먹이를 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층 망식 어초{Zonation Reef}
본 발명은 해저면과 해수면 사이에 어류들의 은신 및 휴식처와 해조류 및 미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다층망식 어초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여러 가지 종류의 인공 어초가 공지된 바 있으나, 이와 같은 인공 어초는 그 대부분이 중량체인 콘크리트 블록으로 되어 있어 어초 조성을 위하여서는 해저에 일정 면적과 부피에 달하는 블록을 다단으로 쌓아야 됨으로 이의 제작비 및 설치비에 과부담이 생기고, 특히 연약 지반의 경우는 설치가 불가능한 폐단이 있었으며, 또한 단단한 지반의 경우에도 설치 후에는 자연적인 현상인 해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등으로 어류들의 은신 및 산란 환경과 치어의 서식 환경 등 어류들의 생태적 요구 환경을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어초 중심부에 있는 해수는 정체되어 어류 및 해조류들이 싫어하는 협기성 수질이 되어 어류는 물론 해조류 등의 먹이용 미생물 인공 양식이 불가능한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바다 목장의 경우에는 양식 어류들의 긴장을 해소하기 위한 휴식 공간 조성을 위하여 유리 컵 형상의 부유구를 부초처럼 부상되게 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나,이와 같은 어초는 해류에 의한 유동이 심하기 때문에 어류들이 긴장을 풀고 안식할 수 있는 공간 조성이나 미생물 등의 어류 먹이의 인공 양식에는 부적합한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이의 발명 요지는 인공 어초를 다층망 형상으로 구성함에 있어 내구성이 양호한 합성수지제로프로 구성하되, 이의 굵기는 지름 3∼5cm범위이며, 이의 부피는 가로 세로가 약 10m범위이고, 이의 간격은 0.5∼1m범위로서 다층망 격실 형상으로 하여 설치 장소의 지형 등의 환경에 적합한 크기가 되도록 다수의 몸체를 결합한 후 그 상부에는 부구가 설치되고, 저면에는 앵커가 체결된 정치망 형상의 군락을 형성함으로서 제작비 및 설치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이를 설치한 후에는 해류의 흐름에 저항을 최소로 되게함과 동시 어초의 중심부에 있는 해수가 정체되지 않게하여 어류 서식과 어류 먹이들의 자연 서식 및 인공 양식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도
도 3은 본 발명의 별도 실시예도
도 4는 도3의 측면 표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별도 실시예도
도 6은 도5의 측면 표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 몸체 1-1. 지지봉 2. 종지지 로프
3. 횡지지 로프 4. 격실 5. 연결 로프
6. 부구 6-1. 체결로프 7. 체결 로프
8. 앵커 9. 바다 목장
101. 몸체 101-1. 지지봉 101-2. 버팀봉
101-3. 체결고리 101-4,101-5. 연결구 102. 종지지 로프
103. 횡 지지간 104-격실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에 의거하면 어초 몸체(1)를 다층 망체 형상으로 구성함에 있어 이의 로프의 굵기는 3∼5cm범위로 하고, 몸체(1)의 부피는 가로, 세로 10m범위의 입방체로 되게 하며, 이의 망 조직 간격은 종지지 로프(2)의 간격은 0.5∼1m 범위로 하되,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하고, 횡지지 로프(3)의 간격은 2.5∼3m 범위로 함으로서 다층 격실(4)을 형성하고, 몸체(1)의 상부에는 연결 로프(5) 및 부구(6)가 설치되고, 저면에는 지지봉(1-1)과 앵커(8)의 체결 로프(7)가 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도 3∼4에 의거하면 이는 본 발명의 별도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은 바다 목장(9) 내에 설치한 것으로 이때에는 몸체(1a)의 저면에 앵커(8)의 설치를 생략하고 중량체인 지지봉(1-1)이 매달리게 한 것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의거하면 이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별도 실시 예로서 수심이 비교적 얕고 파도가 심한 곳 또는 연약한 지반 등에 설치하기에 적합하게 몸체(101)를 삼각 텐트 형상으로 구성한 것으로 다층으로 연결된 지지봉(101-1)에 일정 간격(약 0.5∼1m)으로 감김된 종지지 로프(102)의 좌우 하단에는 버팀봉(101-2)의 체결고리(101-3)가 체결되어지고, 종지지 로프(102)에는 일정 간격(약 2.5∼3m)으로 다수의 횡지지간(103)이 체결되면서 다층으로 포개진 격실(104)이 형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층망식 어초인 바 이를 해저와 수면 사이에 설치할 시는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연결 로프(5)를 이용하여 다수의 몸체(1)를 연속 연결하면 인공 어초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고, 몸체(1)의 하단에 형성된 체결 로프(7)에는 앵커(8)를 체결하여 해저에 고정시키면 군락 형상인 다수의 몸체(1)는 정치 망처럼 해중에 고정되어 다층 망체 형상으로 되어지기 때문에 무게가 가볍고 제작 및 설치 비용이 대폭 감소될 뿐만 아니라 격실(4) 내에는 해류가 흐르기 때문에 몸체(1)에는 해류의 저항이 감소되어지므로 파도에 의해 몸체가 파손되거나 유실될 염려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다층으로 된 격실(4)의 조직은 종지지 로프(2)는 0.5∼1m간격이고, 횡지지 로프(3)는 2.5∼3m 간격으로 하되, 종지지 로프(2)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조성되어 있어 이에 해수가 흐를 때는 와류 현상이되므로 이는 급류가 아닌 완류이며 또한, 어느 한 부위에서 정체되지 않고 조직 사이로 골고루 관통되어 흐르게 되므로 어류들의 생태에 알맞는 휴식 공간이 되며, 또한 로프는 이의 지름이 3∼5cm 범위로서 꼬임사로 되어 있어 이의 주면에는 해조류 등의 미생물 포자의 착근이 용이하고 해수의 완만한 유동으로 이의 성장이 잘 되므로 어류들이 필요로 한 먹이를 인공 양식등을 통해 풍부하게 제공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와 같이 어초 몸체(1a)를 바다 목장(9) 내의 중앙부에 설치하게 되면 바다 목장(9) 내에서 양식되고 있는 어류들의 좋은 휴식 공간이 될 뿐만 아니라, 몸체(1a) 내에서 인공 착생하고 있는 해조류의 포자나 미생물은 좋은 서식 환경에서 양식되면서 양어 과정에 있는 어류들에게 양질의 먹이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또한 도 5 및 도 6과 같이 어초 몸체(101)를 천막 형상으로 구성하여 지반이 약하거나 비교적 파도가 심한 곳에 설치하게 되면 몸체(101)가 삼각 형상으로 되어 있어 파도의 흐름에 용이하게 적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의 망조직 역시 종지지 로프(102)는 0.5∼1m간격이고 횡지지간(103)은 2.5∼3m간격으로 되어 있으되, 종지지 로프(102)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어 파도에 의한 저항을 완화시켜 파손 및 유실 현상의 방지는 물론 어류등의 서식 공간을 안전성 있게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의 로프에 착생된 해조류나 미생물의 성장을 활성화하여 어류들에게 양질의 먹이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인공 어초 몸체(1)를 다층망 형상으로 하고, 이를 바다에 설치할 때는 정치망 형상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하였기 때문에 해저면이 연약 지반일 경우에도 영향을 받지 않게될 뿐만 아니라, 제작비 및 설치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몸체(1)의 망조직을 함에 있어서는 로프의 굵기 지름은 3∼5cm범위로 하고, 이의 종지지 로프(2)는 이의 간격이 0.5∼1m 범위로 하며, 횡지지 로프(3)의 간격은 2.5∼3m 범위로 하되, 종지지 로프(2)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하여 다층 격실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해류의 흐름이 직류되지 않고 완만한 와류 형상이 되게 하며, 내부에서 해수가 정체되는 현상이 없도록 하였기 때문에 어류들의 휴식 공간은 물론 로프에 착생된 해조류나 미생물의 자연 서식 및 인공 양식이 가능하여 어류들에게 양질의 먹이를 제공하게 되므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어류들의 서식 및 미역 등의 먹이의 자연 서식과 인공 양식이 가능케 한 어초 몸체(1)를 구성함에 있어 로프의 굵기는 지름 3∼5cm이고, 종지지 로프(2)의 간격을 0.5∼1m 범위로 하고, 횡지지 로프(3)의 간격은 2.5∼3m범위로 하되, 종지지 로프(2)는 지그재그식으로 편직하여 다층 격실의 와류 통로가 되게 하고, 몸체(1)의 상부에는 부구(6)와 연결 로프(5)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앵커(8)의 체결 로프(7)가 설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한 다층 망식 어초.
  2.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1a)를 통상의 바다 목장(9)의 내부 중앙에 설치하여 양식 어류의 휴식 공간 및 해조류와 미생물의 자연 서식 및 인공 양식 공간이 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 다층 망식 어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지지봉(101-1)을 다중으로 하고, 이에 감김된 종지지 로프(102)의 하단부에는 버팀봉(101-2)이 체결되고, 좌우 중간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횡지지간(103)이 체결되어짐으로서 몸체(101)의 형상이 삼각체 형상으로 되어짐을 특징으로 한 다층 망식 어초.
KR10-2001-0036317A 2001-06-25 2001-06-25 다층 망식 어초 KR100396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317A KR100396119B1 (ko) 2001-06-25 2001-06-25 다층 망식 어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6317A KR100396119B1 (ko) 2001-06-25 2001-06-25 다층 망식 어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1651A KR20010071651A (ko) 2001-07-31
KR100396119B1 true KR100396119B1 (ko) 2003-08-27

Family

ID=19711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6317A KR100396119B1 (ko) 2001-06-25 2001-06-25 다층 망식 어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1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496B1 (ko) * 2006-11-23 2008-12-10 대한민국 인공 산란장 조성을 위한 어류 산란용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994B1 (ko) * 2010-10-29 2013-01-28 오세원 복합 그물놀이 기구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02495U (ko) * 1977-01-24 1978-08-18
JPS5454893A (en) * 1977-10-03 1979-05-01 Kazuo Ariyoshi Multiilayer type artificial fish bank
JPS54108295U (ko) * 1978-01-16 1979-07-30
KR880003871Y1 (ko) * 1986-02-04 1988-10-25 서홍원 외피 절첩 벨트
JPH02109929A (ja) * 1988-10-19 1990-04-23 Katao Takeda 魚貝申殻類用幾何学型誘導産卵増産方式構成
JPH05207833A (ja) * 1992-01-29 1993-08-20 Mitsui Constr Co Ltd イカ産卵礁
JPH11262342A (ja) * 1998-03-18 1999-09-28 Hagiwara Kogyo Kk 人工水草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176886Y1 (ko) * 1999-07-16 2000-04-15 한상관 인공어초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02495U (ko) * 1977-01-24 1978-08-18
JPS5454893A (en) * 1977-10-03 1979-05-01 Kazuo Ariyoshi Multiilayer type artificial fish bank
JPS54108295U (ko) * 1978-01-16 1979-07-30
KR880003871Y1 (ko) * 1986-02-04 1988-10-25 서홍원 외피 절첩 벨트
JPH02109929A (ja) * 1988-10-19 1990-04-23 Katao Takeda 魚貝申殻類用幾何学型誘導産卵増産方式構成
JPH05207833A (ja) * 1992-01-29 1993-08-20 Mitsui Constr Co Ltd イカ産卵礁
JPH11262342A (ja) * 1998-03-18 1999-09-28 Hagiwara Kogyo Kk 人工水草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176886Y1 (ko) * 1999-07-16 2000-04-15 한상관 인공어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2496B1 (ko) * 2006-11-23 2008-12-10 대한민국 인공 산란장 조성을 위한 어류 산란용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1651A (ko) 2001-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262323U (zh) 太平洋牡蛎与龙须菜套养浮筏
US5884585A (en) Underwater high relief fence habitat
CN101288385B (zh) 一种适用于泥沙底海域的底播式海水养殖设施
KR101868222B1 (ko) 벤치형 어초
KR101883836B1 (ko) 해중림 조성용 조립식 구조물
CN206227372U (zh) 一种海洋甲壳类动物养殖钢结构网箱及立体养殖系统
CN102792904A (zh) 三曲面海藻林鱼礁
CN101146441B (zh) 应用于海产养殖的鱼笼
KR101286078B1 (ko) 침하식 해삼 가두리 양식 장치
KR200251140Y1 (ko) 인공어초
KR100396119B1 (ko) 다층 망식 어초
KR200248687Y1 (ko) 다층 망식 어초
CN2862685Y (zh) 海参种苗中间培育和循环养殖箱
CN215836569U (zh) 一种带种植基床的树型鱼礁装置
CN114081003B (zh) 一种海参海底养殖网箱
KR20120108100A (ko) 콘크리트 인공어초
CN202385617U (zh) 一种新型人工礁石
KR200278181Y1 (ko) 하우스형 인공어초
KR102200440B1 (ko) 해상용 해삼 양식장치
KR200374009Y1 (ko) 전복 보육어초
JP3848916B2 (ja) 貝類育成用藻礁
JP2011055767A (ja) 仔魚床敷設材
RU2202881C1 (ru) Искусственный биотоп
KR100494224B1 (ko) 전복양식을 위한 부표의 연결구조
CN206713808U (zh) 楼梯型鱼类增殖框架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