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5453B1 - 시스템의 원격 감시/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스템의 원격 감시/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453B1
KR100395453B1 KR10-1999-0046702A KR19990046702A KR100395453B1 KR 100395453 B1 KR100395453 B1 KR 100395453B1 KR 19990046702 A KR19990046702 A KR 19990046702A KR 100395453 B1 KR100395453 B1 KR 100395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command
telephone
text
conve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6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8645A (ko
Inventor
김정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46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5453B1/ko
Publication of KR20010038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4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시스템을 원격지에서 감시 및 제어하도록 하는 시스템의 원격 감시/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방식으로 시스템을 원격 감시/제어하는 경우에는, 운용단말과 콘솔을 통해 시스템을 감시/제어하기 위해서 운용단말과 콘솔을 부가적으로 구입하여 설치하여야 되어 경제성이 저하되고 간단한 시스템 정보를 감시하기 위해서도 운용단말과 콘솔을 조작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웹 브라우저와 텔네트 클라이언트를 통해 시스템을 감시/제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LAN(Local Area Network)을 연결하고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할당해야 되어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일반 전화망을 경유하여 시스템에 접속하여 원격지에서 전화기를 통해 시스템과 통신하여 시스템을 감시 및 제어하므로, 시스템을 원격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용도로 별도의 운용단말과 콘솔을 구입하여 설치하거나 별도의 네트워크 자원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원격지에서 음성 통신을 통해 용이하면서도 경제성있게 각종 시스템을 감시 및 제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스템의 원격 감시/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Control in System}
본 발명은 각종 시스템을 원격지에서 감시 및 제어하도록 하는 시스템의 원격 감시/제어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일반 전화망을 경유하여 시스템에 접속하여 원격지에서 전화기를 통해 시스템과 통신하여 시스템을 감시 및 제어하도록 하는 시스템의 원격 감시/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환시스템, CME(Circuit Multiplication Equipment) 시스템 등과 같은 각종 시스템을 운용하는 경우에, 시스템 운용자는 해당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운용되는 지의 여부를 수시로 확인하여 시스템에 이상 상태가 발생되면 해당 이상 상태에 대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등의 감시 및 제어를 할 필요가 있다.
이와같이 시스템을 감시 및 제어함에 있어서는 운용자가 시스템 설치 위치에서 시스템을 감시 및 제어할 수 도 있겠지만, 이런 방식으로 시스템을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해서는 고정 인력이 소요되기 때문에 여러개의 시스템을 운용함에 있어서 많은 인력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따라, 소수의 인력으로 여러개의 시스템을 원격지에서 감시 및 제어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같이 시스템을 원격지에서 감시/제어하는 경우, 종래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관리하였다. 원격에서 감시/제어되는 시스템(10)의 내부에는 운용보전부(11), 명령해석기(12), 직렬포트 인터페이스(13), 망관리기(14) 및, 망 인터페이스(18)를 구비하고 있으며, 망관리기(14)에는 망관리 에이젼트(15), 웹서버(16) 및, 텔네트 서버(17)가 구비되어 있다. 이 시스템(10)은 시리얼 포트를 통해 접속된 운용단말(21) 또는 콘솔(22)에 의해 감시/제어되거나, 인터넷(25)을 통해 접속되는 웹 브라우저(23) 또는 텔네트 클라이언트(24)에 의하여 감시/제어된다.
직렬포트 인터페이스(13)는 비교적 근거리에 위치한 운용단말(21)과 콘솔(22)에 대한 물리적인 인터페이싱 및 연결 프로토콜 처리를 담당한다. 명령해석기(12)는 운용단말(21) 및 콘솔(22)로부터의 입력 명령을 해석하고 명령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망 인터페이스(18)는 원거리에 위치한 웹 브라우저(23) 또는 텔네트 클라이언트(24)와의 인터넷(25)을 통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한다. 또한, 망관리기(14)는 웹 브라우저(23) 또는 텔네트 클라이언트(24)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각각의 프로토콜에 알맞은 웹서버(16) 또는 텔네트 서버(17)를 사용함과 아울러 망관리 에이젼트(14)를 사용하여 입력 명령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운용보전부(11)는 시스템(10)의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와 관련된 각종 기능을 수행한다.
시스템에 대한 운용보전이라는 것은 시스템의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와 관련된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장애관리, 이용통계, 성능평가 등의 기능을 의미한다. 운용자는 시스템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시스템의 운용보전부(11)를 감시하고 제어할 필요가 있는데,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운용보전부(11)를 감시하고 제어하기 위한 방안으로 직렬포트를 통해 근거리에서 운용단말(21) 및 콘솔(22)을 사용하거나, 인터넷(25)를 통한 연결에 의해 원거리에서 웹 브라우저(23) 또는 텔네트 클라이언트(24)를 사용한다.
먼저, 직렬포트를 통해 운용단말(21)과 콘솔(22)을 접속하여 시스템(10)을 감시/제어하는 경우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운용자의 단말인 운용단말(21)과 콘솔(22)은 직렬포트 인터페이스(13)을 통하여 명령해석기(12)에 연결되는데, 운용자는 문자모드의 콘솔 또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방식의 메뉴나 대화상자를 이용하여 명령을 입력하며, 해당 입력된 명령은 명령해석기(12)에 의해 해석되어 명령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그 결과 또는 경보 및 오류사항을 운용단말(21)과 콘솔(22)측에 출력함으로써 운용자에게 알려준다. 명령해석기(12)는 운용자 명령 실행시에 시스템 상태정보와 이용통계 등의 시스템 정보가 필요하면 운용보전부(11)에게 요청하여 이를 운용단말(21)과 콘솔(22)측에 출력하고, 환경설정 파라미터 변경 등의 시스템 구성정보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운용보전부(11)에게 시스템 형상 정보의 변경을 요청한다. 또한, 시스템 장애나 오류에 관한 경보는 운용자 요구와 관계 없이 운용자 단말로 출력된다.
또한, 인터넷(25)를 통한 연결에 의해 원거리에서 웹 브라우저(23) 또는 텔네트 클라이언트(24)를 사용하여 시스템(10)을 감시/제어하는 경우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용자가 웹 브라우저(23)로 시스템(10)의 망 인터페이스(18)를 통해 웹서버(16)에 접속하는 경우에, 운용자는 웹 브라우저(23)에 나타나는 화면을 통하여 시스템(10)의 상태를 파악하거나 시스템(10)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데, 운용자의 명령은 웹서버(16)가 망관리 에이젼트(15)를 사용하여 처리한다. 그리고, 운용자가 텔네트 클라이언트(24)에 의해 텔네트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시스템(10)의 망 인터페이스(18)를 통해 텔네트 서버(17)에 접속하는 경우에, 운용자는 텔네트로 접속된 화면을 통해 시스템(10)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시스템(10)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데, 텔네트 클라이언트(24)와 텔네트 서버(17)는 네트워크 가상 단말기(NVT; Network Virtual Terminal)를 통하여 접속됨으로써 사용자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에서 이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호스트에 원격으로 로그인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방식으로 시스템(10)을 원격 감시/제어하는 경우에는, 운용단말(21)과 콘솔(22)을 통해 시스템(10)을 감시/제어하기 위해서 운용단말(21)과 콘솔(22)을 부가적으로 구입하여 설치히여야 되어 경제성이 저하되고 간단한 시스템 정보를 감시하기 위해서도 운용단말과 콘솔을 조작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웹 브라우저(23)와 텔네트 클라이언트(24)를 통해 시스템(10)을 감시/제어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LAN(Local Area Network)을 연결하고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할당해야 되어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일반 전화망을 경유하여 시스템에 접속하여 원격지에서 전화기를 통해 시스템과 통신하여 시스템을 감시 및 제어함으로써 별도로 운용단말과 콘솔을 구입하여 설치하거나 별도의 네트워크 자원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원격지에서 용이하면서도 경제성있게 시스템을 감시 및 제어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 시스템에서의 원격 감시/제어 장치를 도시한 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의 원격 감시/제어 장치를 도시한 도.
도3은 본 발명의 적용예를 도시한 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의 원격 감시/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시스템 31 : 운용보전부
32 : 명령해석기 33 : 호처리부
34 : 음성처리부 35 : 음성인식기
36 : DTMF톤 검출기 37 : 텍스트/음성변환기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시스템의 원격 감시/제어 장치에 있어서, 전화기와의 접속에 관련된 호 처리를 수행하는 호처리수단과;입력받은 텍스트를 해석하여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해서 운용보전수단과 정보를 주고받는 명령해석수단과; 상기 전화기로부터 수신되는 DTMF톤을 검출하고, 상기 전화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명령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상기 명령해석수단에 전달하고, 상기 명령해석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화기측에 전달하는 음성처리수단을 구비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 음성처리수단은, 상기 전화기로부터 인가되는 DTMF톤을 검출하는 DTMF톤 검출수단과; 상기 전화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명령을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여 상기 명령해석수단 측에 출력하는 음성인식수단과; 상기 명령해석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화기측에 전송하는 텍스트/음성 변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시스템의 원격 감시/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화기로부터의 호가 접속되면 상기 전화기측으로 음성 프롬프트를 출력하여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 비밀번호가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전화기로부터 음성 명령을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음성 명령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명령 내용을 해석하는 과정과; 상기 해석된 명령 내용에 따라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여 생성되는 시스템 정보에 관한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화기측에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서의 원격 감시/제어 장치는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성된다. 즉, 시스템(30)에는 운용보전부(31), 명령해석기(32), 호처리부(33) 및,음성처리부(34)를 구비하고 있으며, 음성처리부(34)에는 음성인식기(35), DTMF톤 검출기(36) 및, 텍스트/음성변환기(37)가 구비된다. 호처리부(33)는 전화기(40)와의 호 설정, 호 유지, 호 해제 등의 호 관련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음성처리부(34)는 전화기(40)에 대하여 송수신되는 음성 정보를 처리하는데, 전화기(40)로부터 인가되는 DTMF톤을 DTMF톤 검출기(36)에 의해 검출하고, 전화기(40)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을 음성인식기(35)에 의해 인식하여 텍스트(Text)로 변환시켜 명령해석기(32)측에 출력하고, 명령해석기(32)로부터 인가되는 텍스트를 텍스트/음성변환기(37)에 의하여 음성으로 변환시켜 전화기(40)측에 출력한다. 그리고, 운용보전부(31)는 시스템(30)의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와 관련된 각종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운용자가 일반 전화기(40)로 시스템(30)의 운용보전부(31)에 접속하여 시스템의 운용, 관리 및, 유지보수에 관련된 각종 기능을 수행한다. 운용자가 시스템(30)의 운용관리를 위해 할당된 전화번호로 시스템(30)에 전화를 걸면, 호처리부(33)가 운용자와 시스템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자원들을 할당하고 시스템의 운용보전 관련 서비스를 준비한다. 그리고, 운용자가 전화기(40)를 통해 음성으로 시스템 운용관리에 관련된 명령을 입력하면, 해당 입력된 음성 명령은 음성처리부(34)의 음성인식기(35)에서 명령해석기(32)가 해석할 수 있는 텍스트로 변환되어 명령해석기(32)측에 인가된다. 명령해석기(32)는 음성인식기(35)를 통해 텍스트로 인가되는 해당 명령을 해석하고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 후 그 결과 또는 경보 및 오류사항을 텍스트로 만들어 음성처리부(34)의텍스트/음성 변환기(37)에게 전달하는데, 환경설정 파라미터 변경 등의 시스템 구성정보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운용보전부(31)로 시스템 형상 정보의 변경을 요청한다. 이에, 음성처리부(34)의 텍스트/음성 변환기(37)는 명령해석기(32)에 의해 텍스트로 변환된 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한 후 전화기(40)측으로 송출함으로써 운용자에게 전달한다.
한편, 시스템(30)의 심각한 장애나 오류에 대한 경보 및 메세지는 운용자 요구와 관계없이 운용자에게 전달되어야 하는데, 운용자가 전화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시스템(30)의 호처리부(33)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운용자의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운용자에게 전화를 걸어 시스템에 심각한 장애가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게 된다.
또한, 음성인식은 말하는 사람의 주위환경, 전화라인의 상태 등에 의하여 인식률이 낮아질 수 있는데, 음성인식률이 낮아 음성인식을 이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운용자가 시스템의 안내에 따라 전화기(40)를 통해 DTMF톤을 입력함으로써 명령을 입력하여 원격으로 시스템(30)을 감시/제어케 할 수도 있다.
사설교환기 등을 이용한 아날로그 및 디지탈 음성 장비에 아날로그 음성포트 또는 T1/E1 디지탈 포트를 통해 외장형으로 장착되는 시스템A, B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하여 운용하는 경우를 예로들어 전화로 시스템을 원격 감시/제어하는 구체적인 동작 과정을 도4의 흐름도에 의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운용자가 전화기(40)를 이용하여 시스템A에 할당된 전화번호 예를들어 "09-1234"로 전화를 걸어 시스템A의 호처리부(33)에 호 접속되면(스텝 S1),시스템A의 호처리부(33)는 음성 프롬프트를 전화기(40)측에 출력함으로써 운용자에게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구한다(스텝 S2). 그리고, 운용자가 전화기(40)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해당 비밀번호의 DTMF톤이 인가되면(스텝 S3), DTMF톤 검출기(36)에 의해 해당 DTMF톤을 검출하여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스텝 S4),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될때 시스템A는 음성 명령을 받는 모드로 진입하여 운용자로부터 전화기(40)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 명령을 입력받는다(스텝 S5). 이때 운용자가 예를들어 "장애상태"라고 음성 명령을 보내어서 해당 음성 명령이 시스템A에 입력되면, 시스템A의 음성인식기(35)에서 해당 음성 명령을 인식하여 "장애상태"에 해당하는 텍스트로 변환하여 명령해석기(32)에게 전달함에 따라, 명령해석기(32)는 "장애상태"에 대한 명령에 의거하여 운용보전부(31)에게 현재 시스템의 장애상태 정보를 요청함으로써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스텝 S6). 이에따라, 명령해석기(32)가 운용보전부(31)로부터 수신된 장애상태 정보를 텍스트화하여 음성처리부(34)의 텍스트/음성 변환기(37)측에 전달하면(스텝 S7), 텍스트/음성 변환기(37)는 수신된 텍스트를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음성으로 변환하여 전화기(40)측에 송출함으로써 운용자에게 보내어 준다(스텝 S8). 그후에, 시스템A는 운용자로부터 음성 명령이 입력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여(스텝 S9), 음성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스텝 S6으로 귀환하여 반복 동작을 수행하고, 음성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운용자와의 호접속이 해제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며(스텝 S10), 호접속이 해제되었으면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스텝 S4에서 운용자의 전화기(40)로부터 입력된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밀번호 입력 횟수가 소정횟수를 초과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해서(스텝 S11), 소정횟수를 초과할때 까지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 전화망을 경유하여 시스템에 접속하여 원격지에서 전화기를 통해 시스템과 통신하여 시스템을 감시 및 제어하므로, 시스템을 원격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용도로 별도의 운용단말과 콘솔을 구입하여 설치하거나 별도의 네트워크 자원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원격지에서 음성 통신을 통해 용이하면서도 경제성있게 각종 시스템을 감시 및 제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시스템의 원격 감시/제어 장치에 있어서,
    전화기와의 접속에 관련된 호 처리를 수행하는 호처리수단과;
    입력받은 텍스트를 해석하여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해서 운용보전수단과 정보를 주고받는 명령해석수단과;
    상기 전화기로부터 수신되는 DTMF톤을 검출하고, 상기 전화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명령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상기 명령해석수단에 전달하고, 상기 명령해석수단으로부터 수신되는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화기측에 전달하는 음성처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의 원격 감시/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처리수단은, 상기 전화기로부터 인가되는 DTMF톤을 검출하는 DTMF톤 검출수단과;
    상기 전화기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명령을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여 상기 명령해석수단 측에 출력하는 음성인식수단과;
    상기 명령해석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화기측에 전송하는 텍스트/음성 변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의 원격 감시/제어장치.
  3. 시스템의 원격 감시/제어 방법에 있어서,
    전화기로부터의 호가 접속되면 상기 전화기측으로 음성 프롬프트를 출력하여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 비밀번호가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전화기로부터 음성 명령을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음성 명령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명령 내용을 해석하는 과정과;
    상기 해석된 명령 내용에 따라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여 생성되는 시스템 정보에 관한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화기측에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의 원격 감시/제어 방법.
KR10-1999-0046702A 1999-10-26 1999-10-26 시스템의 원격 감시/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395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702A KR100395453B1 (ko) 1999-10-26 1999-10-26 시스템의 원격 감시/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6702A KR100395453B1 (ko) 1999-10-26 1999-10-26 시스템의 원격 감시/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645A KR20010038645A (ko) 2001-05-15
KR100395453B1 true KR100395453B1 (ko) 2003-08-25

Family

ID=19617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6702A KR100395453B1 (ko) 1999-10-26 1999-10-26 시스템의 원격 감시/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54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1745A (ja) * 1991-08-06 1993-02-19 Fujitsu General Ltd 遠隔制御機能付き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5276576A (ja) * 1992-03-24 1993-10-22 Nec Corp 遠隔監視システム
KR19990001206A (ko) * 1997-06-13 1999-01-15 배순훈 전화기를 이용한 텔레비전 수상기의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US5870454A (en) * 1997-04-01 1999-02-0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Telecommunications speech/text conversion and message delivery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1745A (ja) * 1991-08-06 1993-02-19 Fujitsu General Ltd 遠隔制御機能付き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5276576A (ja) * 1992-03-24 1993-10-22 Nec Corp 遠隔監視システム
US5870454A (en) * 1997-04-01 1999-02-0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Telecommunications speech/text conversion and message delivery system
KR19990001206A (ko) * 1997-06-13 1999-01-15 배순훈 전화기를 이용한 텔레비전 수상기의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645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7506B1 (en) PC configuration fault analysis
EP1337089A2 (e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the physical location association of an IP telephone
CN111654404B (zh) 一种智能网卡的管控方法和装置
KR100301675B1 (ko) 감시 카메라 단말장치의 보안 시스템
KR100395453B1 (ko) 시스템의 원격 감시/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00134415A (ko) Pstn 기반 비상통화장치를 이용한 승강기 원격 관리 시스템
KR100276882B1 (ko) 광대역액세스장치의 통합운용관리장치 및그 방법
JP3981349B2 (ja) 遠隔操作システム
US9571647B2 (en) Emergency communication solution
JP2921105B2 (ja) 状態診断機能付モデム
KR100431701B1 (ko) 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6778650B1 (en) Circuit breaker remote service system
US20080279364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emote control method used in communication system
US20240096201A1 (en) Emergency Call Capable System
KR0155938B1 (ko) 무인경비 시스템의 통화로 자동 고장진단 장치 및 방법
JP2000196768A (ja) 携帯電話を利用した遠隔制御システム
KR100431703B1 (ko) 원격지 시스템 제어 장치
JP4877307B2 (ja) リモート保守システム,リモート保守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237449B1 (ko) 원격정보처리시스템의 데이터 통신 장치 및 방법
JP2008269092A (ja) 監視制御システム、情報処理端末装置、監視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20038268A (ko) 교환기의 이상발생 통보 장치
KR20030087875A (ko)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 단말기의 호 시도감시 방법 및 시스템
CN117114086A (zh) 变频器自学习系统
KR100803274B1 (ko) VoIP 채널 상태 검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083408B2 (ja) 通信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