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4744B1 - 조립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 - Google Patents

조립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4744B1
KR100394744B1 KR10-2001-0001899A KR20010001899A KR100394744B1 KR 100394744 B1 KR100394744 B1 KR 100394744B1 KR 20010001899 A KR20010001899 A KR 20010001899A KR 100394744 B1 KR100394744 B1 KR 100394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reinforced concrete
assembly beam
concrete structur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1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0841A (ko
Inventor
김종수
박형석
Original Assignee
(주)씨.에스 구조 엔지니어링
박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에스 구조 엔지니어링, 박형석 filed Critical (주)씨.에스 구조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1-0001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4744B1/ko
Publication of KR20020060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0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4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47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04C3/29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of concrete combined with a girder-like structure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5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에 관한 것이며,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기초(10); 상기 바닥기초(10) 위에 형성된 다수개의 기둥(20); 상기 다수개의 기둥(20) 상부면 사이사이에 설치된 조립보(30); 상기 다수개의 조립보(30) 양 측면부 또는 한쪽 측면부의 상부면에 설치된 다수개의 데크플레이트(40); 상기 다수개의 조립보(30) 및 데크플레이트(40)에 타설된 콘크리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립보는 상부가 개방된 U형관 형상의 하부철판(31); 상기 하부철판(31)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철근인 다수개의 하현재(32); 상현재(33); 경사재(34); 중앙보강재(35); 간격재(36); 위치고정근(60) 및 상부,하부 철근망(37,3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조립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는 종래의 방식에 비하여 보(beam)설치를 위한 작업공기 지연의 주 요인이 되는 보 거푸집 및 보 내부에 배근되는 철근의 조립작업이 필요없이 한 층의 슬래브를 시공한 후 콘크리트만 양생되면 곧바로 다음 층을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층 당 소요공기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체 공사비 절감이 가능하며, 공장에서 조립보를 제작하므로 현장에서 수작업에 의한 조립보다도 일정한 시공품질을 유지,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built-up beam}
본 발명은 조립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공장에서 제작된 조립보(built-up beam)를 구조물의 바닥기초에 기 설치된 기둥 위에 설치하고, 상기 조립보 측면부에 데크플레이트를 가설동바리를 이용하여 설치하고, 조립보 및 데프플레이트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판을 차례로 저층부터 고층까지 시공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에서, 보를 설치하기 위한 거푸집설치작업 및 내부철근 배근작업(작업공기지연 및 공사비 상승의 주요인)을 조립보로 대체함으로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는 조립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기둥이 설치된 바닥보를 설치한 후, 구조물의 저층부터 고층까지상기 기둥 상부면에 보를 시공하기 위한 보 거푸집 및 보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가설동바리(멍에 포함)를 설치하고, 상기 보 거푸집 내부에 주철근 및 보조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보를 완성하고, 상기 보의 측면부에 연속하여 슬래브를 설치하는 과정을 구조물의 저층으로부터 고층까지 반복하여 시공함으로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완성하였다.
이러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은 철근의 배근작업 및 거푸집제작과정이 각 층마다 반복 시공됨으로서 공사기간이 지연되고 이에 따른 공사비가 증대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각 시공단계를 기계화하고자 하는 노력의 결과로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슬래브를 시공하거나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슬래브 또는 보를 제작하고 있다.
하지만 슬래브시공을 위해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하는 방법은 주로 철골조에서 주로 이용되며, 철근콘크리트 공사에서는 데크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보 거푸집설치로 인한 공기 및 공사비 문제로 적용되는 예가 드물고,
슬래브 및 보(beam)를 시공하기 위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하는 방법은 슬래브 및 보를 공장 제작하므로, 각 부재의 중량이 무겁거나 크기가 대형인 경우 공장에서 현장으로 운반하기가 용이하지 않을뿐더러 각 부재의 설치 시 고가인 대형 양중장비가 동원되어야 하며, 현장에서 기둥, 보 및 슬래브의 연결을 위한 추가작업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보의 거푸집 및 거푸집 내부에 배근 되는 철근을 일체화시켜 공장에서 조립보의 형태로 제작한 후 조립보를 현장에서 설치하고, 상기 설치된 조립보에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조립보 및 데크플레이트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시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완성하는 조립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현장에서 보(beam) 제작을 위한 보 거푸집 및 상기 보 거푸집 내부에 배근되는 내부철근의 작업(공사비 상승 및 작업공기를 지연시키는 가장 큰 요인)을 생략하기 위해, 공장에서 기계화작업을 통해 제작된 조립보를 이용함으로서 공사비상승 및 공기지연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이 가능한 조립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에서, 조립보를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보를 완성함으로서 보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현장작업량을 최소화하여 품질유지 및 개선이 용이한 조립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보와 철골조에서 주로 이용되는 데크플레이트를 함께 시공함으로서 별도의 슬래브제작을 위한 공정을 줄일 수 있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조립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보의 하부철판의 표면에 돌기를 형성시켜 구조부재로서 역할뿐만 아니라 내구성 및 콘크리트와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조립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조립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평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조립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 일부분의 상세 단면도이다.
제3a도는 본 발명의 조립보(built-up beam)의 단면도이다.
제3b도는 본 발명의 조립보(built-up beam)의 사시도이다.
제4a도는 본 발명의 조립보의 철근배치도이다.
제4b도는 본 발명의 조립보의 중앙의 철근배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4c도는 본 발명의 조립보의 단부의 상부 및 하부의 철근배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구조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의 설명>
10:바닥기초 20:기둥
30:조립보 31:하부철판
32:하현재 33:상현재
34:경사재 35:중앙보강재
36:간격재 37:상부철근망
38:하부철근망 39:돌기
40:데프플레이트 50:콘크리트
60:위치고정철근 100:멍에
101:수직가설동바리 102:수평가설동바리
103:클램프
본 발명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인 조립보(10)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기초(10); 상기 바닥기초(10) 위에 형성된 다수개의 기둥(20); 상기 다수개의 기둥(20) 상부면 사이사이에 설치된 조립보(30); 상기 다수개의 조립보(30) 양 측면부 또는 한쪽 측면부의 상부면에 설치된 다수개의 데크플레이트(40); 상기 다수개의 조립보(30) 및 데크플레이트(40)에 타설된 콘크리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발명을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시킨 구체예 즉 도1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1은 조립보를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 적용시킨 구체예로서 기둥(20), 콘크리트(50)가 타설되어 완성된 조립보(30) 와 데크플레이트(40) 및 데크플레이트용 멍에(100)를 이용한 수직 가설동바리(101)로 구성된 구조물 한 층의 평면도이다.
장변방향의 완성된 조립보(30)는 G1 및 B1 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단변방향의 완성된 조립보(30)는 G2로 표시되어 있으며, 완성된 데크플레이트(40)는 점선의 사각형인 S1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기둥(20)은 속이 채워진 사각형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데크플레이트용 가설동바리 즉, 수직 가설동바리(101)는 데크플레이트로 표시된 S1 내부에 원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 가설동바리에 설치되는멍에(100)는 상기 수직 가설동바리(101)가 내부에 포함되며 장변방향으로 설치되는 직사각형으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조립보(30,G1,G2,B1)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기초(10,도1에는 도시되지 않음)위에 기 설치된 다수개의 기둥(20) 상부면에 장변방향 및 단변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각 기둥(20) 상부면 사이에 조립보(20,G1,G2,B1)가 다수개 설치되며, 장변방향 및 단변방향으로 설치된 조립보(20)의 측면부 사이사이에 데크플레이트(40,S1)가 설치되며, 데크플레이트(40)를 지지하기 위해 데크플레이트 하부에 멍에(100), 수직 가설동바리(101) 및 수평 가설동바리(도1에는 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기에 따라 조립보(G1,G2,B1)의 크기는 도3b에 표시된 바와 같이 높이(h, G1:400, G2:500, B1:400 ㎜) 및 폭(d, G1,G2,B1:700 ㎜)은 변동된다. 또한 슬래브의 두께(S1의 THK.)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기에 따라 도1에는 130 ㎜ 로 표시되어 있으나 변동된다.
도2는 조립보(30)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기초(10) 위에 설치된 하나의 기둥(20) 상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조립보(30)의 양 측면 상부에 슬래브를 위한 데크플레이트(40)가 수직 가설동바리(101), 수평 가설동바리(102) 및 가설동바리의 결합을 위한 클램프(103)에 의해 설치된 후, 조립보(30) 및 데크플레이트(40) 상부로부터 콘크리트(50)가 타설되어 완성된 본 발명의 조립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 일부분의 상세 단면도이다.
상기 바닥기초(10) 및 기둥(20)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현장에서 제작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기둥(20)이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로 제작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립보(30)는 도3에서 알 수 있듯이, 구조용부재로서 하현재(32), 상현재(33) 및 경사재(34)를 포함하는 내부철근, 중앙보강재(35), 간격재(36), 위치고정근(60) 및 하부철판(3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공장에서 제작된 후 현장에 운반되어 설치된다.
하부철판(31)은 도3b와 같이 전체적인 형상이 상부가 개방된 U 형관 형상의 철판으로서 저면부, 2개의 측면부 및 상기 2개의 측면부의 상단 단부에 각각 직각으로 돌출된 2개의 받침부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철근(하현재(32), 상현재(33), 경사재(34) 포함), 중앙보강재(35), 간격재(36) 및 위치고정근(60) 다수개가 안쪽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하부철판(31)은 보 거푸집역할을 할뿐더러 철근콘크리트 보(beam)의 인장재 역할을 함으로서 구조재로 기능한다. 따라서 내부철근의 배근량을 최소한으로 설계할 수 있다.
또한 하부철판(31)의 안쪽 표면에는, 타설되는 콘크리트(50)와의 일체성 확보를 위해 삼각형 또는 역사다리꼴 형상의 요철인 돌기(39)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부재이기 때문에 필요한 내화피복재가 추가로 피복 되지 않아도 빔(beam)의 내화성능이 확보되며, 기둥의 상부면에 거치함으로서 현장에서 용이하게 설치된다.
간격재(36)는 후술되는 하현재(32)의 하부에 설치되는 이형철근 또는 철선으로서, 하현재(36) 및 후술되는 중앙보강재(35)가 하부철판(31)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는 부재역할을 하며, 도3b와 같이 하부철판이 형성되는 방향으로일정간격을 두고 설계에 따라 다수개가 설치된다.
내부철근 중 하현재(32)는 구조용 강재인 이형철근 또는 철선으로서, 후술되는 경사재(34)가 양쪽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경사재(34)의 하부에 설치되며, 경사재(34)의 위치고정근의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철판(31)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도3b에는 3개가 설치되어 있으나 설계에 따라 3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내부철근 중 상현재(33)는 구조용 강재인 이형철근 또는 철선으로서, 후술되는 경사재(34)가 양쪽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하현재(31)의 수직상방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경사재(34)의 상부에 설치되며, 역시 경사재(34)의 위치고정근의 역할을 하며, 상기 하부철판(31)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도3에는 3개가 설치되어 있으나 설계에 따라 3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내부철근 중 경사재(34)는 구조용 강재인 이형철근 또는 철선을 일정간격을 두면서 삼각형상으로 구부려 제작한 것으로서, 상기 상현재(31) 및 하현재(32)를 사이에 한 쌍으로 도3b와 같이 하부철판(31)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되며, 보(beam)에 작용하는 외부하중 중 전단력을 부담하는 전단철근의 역할을 한다.
하부철판(31)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도3b에는 서로 엇갈려 한쌍을 이루는 경사재가 3쌍이 설치되어 있으나, 설계에 따라 3쌍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도2와 같이 하부철판(31)의 높이보다 더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하며 후술되는 데크플레이트(40)의 두께에 따라 돌출높이는 조정된다.
위치고정근(60)은 상기 하부철판(31)의 양 측면부의 대략 중앙을 가로질러설치되는 ㄷ 형상의 이형철근 또는 철선으로서, 콘크리트(50)가 타설 될 때 또는 설치 시 가해질 수 있는 외부하중에 의한 하부철판(31)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도3b와 같이 하부철판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계에 따라 다수개가 설치된다.
중앙보강재(35)는 상기 다수개의 하현재(32) 사이에 간격재(36) 상부에 설치되는 이형철근 또는 철선으로서, 조립보(10)에 가해지는 외부하중 중 휨 모멘트에 저항하기 위해 설치되며, 도3b와 같이 하부철판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계에 따라 다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데크플레이트(40)는 조립보(10)의 하부철판(31)의 양 받침부 양쪽에 설치되며, 통상의 기성제품을 현장에서 설치한다. 즉 도2와 같이 하부철판(31)의 양 받침부 하부면에 가설 동바리용 멍에(100)를 설치하고, 상기 멍에(100) 하부면에 다수개의 수직 가설동바리(101)를 바닥기초(10)에 하부가 클램프를 이용하여 지지되도록 설치하고, 기둥(20) 높이에 따라 다수개의 수평 가설동바리(102)를 클램프(103)를 이용하여 상기 수직 가설동바리(101) 사이에 직각으로 설치한다.
또한 조립보(10)와 데크플레이트(40)의 결합은 상기와 같이 하부철판(31)의 받침부 상부면에 거치시켜 용접 또는 볼트-너트결합으로 설치할 수도 있으나, 결합력을 높이고 작업을 간단히 하기 위해 받침부를 데크플레이트(40)가 끼워 질 수 있는 역 ㄷ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50)는 데크플레이트(40) 및 조립보(10) 상부로부터 타설되는 것으로서 필요한 설계강도를 갖는 통상의 콘크리트이며, 상기 경사재(34)와 더불어전단력에 저항하는 역할을 하고 나아가 외부하중에 의한 휨 모멘트에도 저항하는 역할을 한다.
도4a 내지 도4c는 상기 조립보(10)의 내부철근(하현재(32), 상현재(33) 및 경사재(34)포함), 중앙보강재(35), 간격재(36), 상부와 하부 철근망(37,38) 및 위치고정근(60)의 배치도로서 지점부(기둥이 설치되는 지점) A 및 B 사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내부철근은 도4a와 같이 지점 A 및 B 사이를 연속하여 배근되며, 설치되는 길이는 도1과 같이 10M 또는 그 이상(설계에 의함)으로 연속된다.
상기 중앙보강재(35)는 외부하중 중 휨 모멘트에 저항하는 구조부재이므로 도4a 및 도4c와 같이 통상 조립보(10)의 하부에 양 지점부와 일정한 유격(L1)을 두고 배근되며, 설계에 따라 길이가 결정된다.
상기 간격재(36)는 지점 A 및 B 사이를 연속하여 일정간격을 두고 배근된다.
상기 상부 철근망(37)은 도4a 및 도4b와 같이, 지점부 A 및 B를 경유하여 조립보의 상부에 연속하여 설치되며, 설치되는 조립보(10)와 조립보(10) 사이인 연결부위(지점부 A 및 B )의 내력을 확보하기 위해 제작된 철근망이다. 설치되는 길이(L2)는 설계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통상 설계기준에 의한다.
상기 하부 철근망(38)은 도4a 및 도4b와 같이, 지점부 A 및 B를 경유하여 조립보의 하부에 연속하여 설치되며, 설치되는 조립보(10)와 조립보(10) 사이인 연결부위(지점부 A 및 B )의 내력을 확보하기 위해 제작된 철근망이다. 설치되는 길이(L3)는 설계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통상 상기 하현재(32)의 이음 길이에 의한다.
도5는 조립보(10)를 이용하여 완성된 보(beam)의 외력에 대한 내력(휨모멘트)을 휨모멘트도에 의해 도시한 것이다. 선 C는 조립보(10)의 상부 내부철근에 의한 부 모멘트 내력의 총합을 도시한 것이고, 선 D는 조립보(10)의 하부 내부철근에 의한 정 모멘트 내력의 총합을 도시한 것이고, 선 E는 조립보(1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한 모멘트를 정량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선 E와 같이 지점부 A 및 B 사이의 휨모멘트도는 조립보(10)을 이용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보의 휨모멘트도와 동일하므로 구조적인 성능은 양자에 차이 없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립보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구조는 종래의 방식에 비하여 보(beam)설치를 위한 작업공기 지연의 주 요인이 되는 보 거푸집 및 보 내부에 배근 되는 철근의 조립작업이 필요없이 한 층의 슬래브를 시공한 후 콘크리트만 양생되면 다음 층을 시공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양생 전에도 가설 동바리만 추가로 설치하면 곧바로 다음 층 시공이 가능하므로, 층 당 소요공기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제 공사비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공장에서 조립보를 제작하므로 현장에서 수 작업에 의한 조립보다도 일정한 시공품질을 유지, 관리할 수 있고, 조립보의 하부철판에 의해 보의 하부균열을 유효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하부균열을 제어함으로서 보강성의 저하가 줄어들어 보의 장기처짐이 적게 발생되기 때문에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사용성이 개선되며, 하부철판을 통상 보의 하부철근으로 이용함으로서 내부 철근량을 줄일 수 있다.

Claims (9)

  1.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기초(10) 위에 형성된 다수개의 기둥(20)과 상기 기둥(20)의 상부면 사이사이에 설치된 다수개의 조립보(30)와 상기 조립보(30) 상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데크플레이트(40) 및, 상기 조립보(30) 및 데크플레이트 상부에 타설된 콘크리트(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철근콘크리트 구조에 있어서,
    상기 조립보(30)는
    상부가 개방된 U형관 형상의 하부철판(31);
    상기 하부철판(31)의 저면부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하부철판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하현재(32);
    상기 하현재(32)로부터 일정높이의 수직 상방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하부철판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상현재(33);
    상기 하현재(32) 및 상현재(33)를 사이에 두고 서로 엇갈려서 설치되는 부재로서, 하부철판의 길이방향으로 삼각형상의 철근이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경사재(34);
    상기 하현재(32) 사이에 설치되는 철근으로서, 하부철판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개의 중앙보강재(35);
    상기 하현재(32)의 아래에 직각으로 설치되는 철근으로서, 하부철판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개의 간격재(3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보(30)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
  2. 삭제
  3. 제 1항에서, 상기 조립보(30) 와 데크플레이트(40)의 결합은,
    조립보(30) 와 데크플레이트(40)의 결합부위에 다수개의 멍에(100)를 설치하고, 상기 다수개의 멍에(100) 하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 하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수직 가설동바리(101) 및 상기 수직 가설동바리(101)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수평 가설동바리(102)를 클램프(103)로 연결하여 설치한 후,
    조립보(30)의 하부철판(31)의 측면부 상부에 데크플레이트(40)가 거치되어 용접 또는 볼트-너트 중 어느 하나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보(30)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구조.
  4. 제 1항에서, 상기 조립보(30) 와 데크플레이트(40)의 결합은,
    조립보(30) 와 데크플레이트(40)의 결합부위에 다수개의 멍에(100)를 설치하고, 상기 다수개의 멍에(100) 하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 하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수직 가설동바리(101) 및 상기 수직 가설동바리(101)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수평 가설동바리(102)를 클램프(103)로 연결하여 설치한 후,
    조립보(30)의 하부철판(31)의 측면부에 데크플레이트(40)가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보(30)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구조.
  5. 제 1항에서, 상기 조립보(30)의 하부철판(31)이 보의 인장응력에 저항함으로서 별도의 인장철근이 추가로 배근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보(30)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
  6. 제 1항에서, 상기 조립보(30)는 공장에서 제작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보(30)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
  7. 제 1항에서, 상기 조립보(30)의 단부에는 하현재(32) 및 상현재(33) 아래에 상부철근망(37) 및 하부철근망(38)이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보(30)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
  8. 제 1항에서, 상기 하부철판(31)의 안쪽 저면부 및 양 측면부의 표면에, 다수개의 돌기(39)가 더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보(30)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
  9. 제 1항에서, 상기 조립보(30)의 하부철판(31)의 양 측면부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철근으로서 하부철판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다수개의 위치고정근(60)이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보(30)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
KR10-2001-0001899A 2001-01-12 2001-01-12 조립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 KR100394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899A KR100394744B1 (ko) 2001-01-12 2001-01-12 조립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1899A KR100394744B1 (ko) 2001-01-12 2001-01-12 조립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954U Division KR200228309Y1 (ko) 2001-01-13 2001-01-13 조립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841A KR20020060841A (ko) 2002-07-19
KR100394744B1 true KR100394744B1 (ko) 2003-08-25

Family

ID=27691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899A KR100394744B1 (ko) 2001-01-12 2001-01-12 조립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47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306B1 (ko) * 2007-12-04 2010-03-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콘크리트 전단연결부를 갖는 합성형 교량 구조 및 그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767U (ko) * 1998-12-21 2000-07-15 신현준 경량박판을 이용한 보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767U (ko) * 1998-12-21 2000-07-15 신현준 경량박판을 이용한 보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0841A (ko) 200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4381A (en) Tie anch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nsulated concrete sandwich panels
KR101177342B1 (ko) 연속교용 프리캐스트 단부 세그먼트, 이를 단부거푸집으로 이용하는 거더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20060052720A (ko) 복합 내력 벽-패널들과 바닥들의 장 경간 자립형 건물의건축구조
US20120023858A1 (en) Truss-type shear reinforcement material having double anchorage functions at both top and bottom thereof
US4363200A (en) Pre-cast building element and method
KR100522298B1 (ko) 개량된 프리스트레스트 철골 철근 콘크리트 빔 및 이를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0593664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합성바닥판 시공방법
KR100394744B1 (ko) 조립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
KR20170108215A (ko) 아이 형강 하프피씨 바닥판 및 이의 제작 방법 그리고 그 시공방법
JP2002081018A (ja) ハーフプレキャスト床版
KR200228309Y1 (ko) 조립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
KR100583671B1 (ko)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강재정착구와 상하 플랜지에보강재를 설치하여 제작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및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102325276B1 (ko) 하프 pc 연속슬래브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247070B1 (ko) 중공 슬래브의 설치 구조
EP1416101A1 (en) Composite beam
JP3836920B2 (ja) 橋脚張り出し部の施工方法
JP3701078B2 (ja) 道路床版工法
KR102139851B1 (ko) 역t형 단면 혼합형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2267643B1 (ko) 안장pc블럭을 이용한 역t형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JPH10227010A (ja) 橋梁床版用の主鉄筋付き鋼製型枠及びそれを用いた橋梁の床版施工法
KR20100074741A (ko) 프리캐스트 슬래브를 이용한 타이드 아치 형상의 복합거더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0619233B1 (ko) 포스트-텐션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 그리고 이를이용하여 시공된 건축물 및 시공방법
JPH06193178A (ja) フラットスラブの構築工法
KR20040006562A (ko) 하부연결재와 루프 철근에 의한 이음구조를 가진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KR20120030206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데크와 이를 이용한 슬래브를 가지는 구조물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