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3679B1 -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예측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예측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3679B1
KR100393679B1 KR10-1999-0034171A KR19990034171A KR100393679B1 KR 100393679 B1 KR100393679 B1 KR 100393679B1 KR 19990034171 A KR19990034171 A KR 19990034171A KR 100393679 B1 KR100393679 B1 KR 100393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amount
plating amount
target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8280A (ko
Inventor
채홍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9-0034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3679B1/ko
Publication of KR20010018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8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6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23C2/18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from elongated material
    • C23C2/20Strips;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02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 B05C11/06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with a blast of gas or vapou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와이핑(Air Wiping) 방식의 도금량 제어에 있어 도금량을 결정짓는 라인 속도(S), 간격(D), 압력(P)들과 도금량간의 상호 연관 관계를 수식모델화하고 이를 이용하여 노즐의 분사 압력(P)과 노즐과 강판 간의 간격(D)을 미리 설정한 후, 목표 도금량의 변화 패턴에 따라 설정된 압력과 간격을 시점을 달리 적용하여 다음 코일의 목표 도금량에 일치시키는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예측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실제 도금 공정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조합의 라인속도(S), 노즐의 공기분사압력(P), 노즐과 강판간의 간격(D) 및 그 때의 실측 도금량(M) 데이터들을 세분화하여 각각 영역의 도금량 수식모델의 파라미터를 구하고, 라인속도(S) 및 목표 도금량(MT)이 주어지면,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도금량 수식모델로부터 목표 도금량(MT)으로 도금하기 위한 압력(P) 및 간격(D) 값을 역으로 산출하여, 목표 도금량의 변화 패턴에 따라 적용하는 시점을 달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예측제어방법{COATING WEIGHT PREDICTIVE CONTROL IN CONTINUOUS GALVANIZING LINE}
본 발명은 제철소 용융도금공정에 있어서 강판이 아연욕조를 통과하면서 강판 표면에 부착된 아연 도금량을 수요가의 주문 도금량인 목표 도금량에 일치시키기 위한 에어 와이핑(Air Wiping) 방식의 도금량 제어에 있어 도금량을 조절하는 에어 나이프와 도금량을 측정하는 도금량 센서 간의 상당한 거리를 극복하기 위한 도금량 예측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금량을 결정짓는 세가지 요소인 라인 속도(S), 에어 나이프의 노즐과 도금된 강판간의 간격(D), 에어 나이프의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의 압력(P)들과 도금량간의 상호 연관 관계를 수식모델화하고 이를 이용하여 노즐의 분사 압력(P)과 노즐과 강판 간의 간격(D)을 미리 설정한 후, 목표 도금량의 변화 패턴에 따라 설정된 압력과 간격을 시점을 달리 적용하여 다음 코일의 목표 도금량에 일치시키는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예측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어 나이프(Air Knife)의 공기 분사 압력과 노즐과 강판간의 간격을 적절히조절하여 도금량을 조절하는 에어 와이핑 방식은, 아연 욕조를 통과하면서 강판의 표면에 부착된 도금량을 기계적인 접촉을 하지 않으면서 도금량을 깍아주는 방법으로, 강판의 도금표면이 매끈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세계적으로 주종을 이루는 도금량 조절 방식으로 널리 채용되고 있다.
도 1은 본원의 한 실시례에 따른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을 예측 제어하는 에어 와이핑 도금량 제어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에어 나이프(3)의 노즐(8)에서 분사되는 높은 압력의 공기를 도금된 강판(1)에 충돌시켜서 도금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있다.
아연 욕조(2)를 통과한 도금된 강판(1)은 용융 아연이 강판(1)의 표면에 잘 부착되도록 하기 위해 전 단계의 공정에서 적당한 온도로 가열되어진 상태이므로, 아연 욕조(2)를 통과하면서 부착되는 도금량은 대부분 수요가의 주문 도금량인 목표 도금량보다 많게 강판(1)에 부착된다.
상기에서 강판(1) 표면에 과다하게 부착된 도금량을 목표 도금량으로 깍아주기 위해서 아연 욕조(2) 바로 윗단에 에어 나이프(3)를 강판(1)의 전, 후면에 각각 설치하여 상기 에어 나이프(3)의 노즐(8)을 통해 높은 압력의 공기를 도금된 강판(1) 표면으로 분사시킨다.
에어 나이프(3)를 통과한 강판(1)의 표면에 부착된 일정 도금량은 그 상태로 공기 냉각을 시켜주기 위해 냉각 구간을 거치게된다. 냉각 구간을 거쳐서 고형화된 도금 부착량은 에어 나이프(3)로부터 상당히 떨어진 도금량 센서(7)로부터 측정이 이루어져서야 비로소 현재 강판(1)의 도금 부착량을 알 수가 있게된다.
일반적으로 용융도금공정에서는 생산량을 높이기 위해 코일 단위로 구분된 도금작업대상을 서로 용접하여 연결함으로써 연속적으로 도금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선행 코일과 다음 코일의 목표 도금량이 상이한 경우에 코일이 바뀌는 지점에서 다음 코일의 목표 도금량을 맞추기 위해 도금 부착량을 적절히 조절해야 하는데, 도금량을 측정하는 도금량 센서(7)가 도금량을 조절하는 에어 나이프(3)로부터 상당히 떨어져 있어서 선행 코일과 다음 코일이 연결된 용접부가 도금량 센서(7)를 통과하기 전까지는 예측 제어를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용접부 다음 코일의 선단부 일정 영역은 현재 도금량이 얼마인지 알 수 없으므로 용접부가 에어 나이프(3)를 통과하는 시점을 전,후로 도금량을 예측하여 제어해야 한다.
이러한 도금량 예측제어는 주어진 목표 도금량과 강판(1)의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목표 도금량을 맞추기에 적합한 에어나이프의 노즐(8)과 강판간의 간격(D), 상기 노즐(8)의 공기분사압력(P)을 계산할 수 있도록 도금량 수식모델로부터 산출을 해낸다.
상기의 도금량 수식모델은, 노즐(8)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가 강판(1)의 표면에 충돌되면서 도금층을 깍아주고 난 후 남은 부착 도금량을 라인 속도(S), 노즐과 강판간의 간격(D), 분사 공기의 압력(P)으로 부터 구하는 수학식을 말하는데, 유체 역학에 의하여 해석된 결과에 따르면 깍이고 남은 부착 도금량 M은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일반식 형태로 표현된다
상기 수학식 1에서 M은 도금 부착량 [g/㎡]을 의미하며, S는 강판의 이동 속도[m/sec]인 라인 속도, P는 에어 나이프의 노즐(8)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의 압력 [KPa], D는 노즐과 강판간의 거리[m]를 각각 의미하는데, 상기 수학식 1을 도금량 수식모델이라고 하며, K는 이 모델의 상수이다. 또한, α는 라인 속도(S)와 도금량의 관계를 결정짓는 파라미터, β는 압력(P)과 도금량의 관계를 결정짓는 파라미터, γ는 간격(D)과 도금량의 관계를 결정짓는 파라미터이다.
이러한 종래 도금량 예측제어방법은, 라인 속도, 압력, 간격과 도금량의 관계를 상기 수학식 1과 같은 형태로 모델링하기 위해 도금량을 포함한 각각의 요소값들을 조업상에서 채집하여 상기 파라미터 α, β, γ를 구하고, 여기서 구해진 단일 수식모델을 이용하여 먼저 간격과 압력 중에 한 가지를 결정하고, 나머지 압력 혹은 간격을 아래의 수학식 2로부터 구한다.
상기 수학식 2에서 MT는 수요가의 주문 도금량인 목표 도금량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종래 도금량 예측제어방법은 단일 도금량 모델식을 사용하여예측 제어를 수행하므로, 라인 속도, 압력, 간격이 세분화하면서 분포되는 것에 따라 도금량과의 관계를 결정지우는 파라미터 α, β, γ가 변화하는 것으로부터 도금량 예측 제어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게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도금량 예측제어방법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라인 속도, 압력, 간격이 분포하는 전체 영역을 세분화하여 각각의 영역 마다 도금량과의 관계를 결정지우는 파라미터 α, β, γ를 달리하는 도금량 수식모델을 제공하고, 이를 활용하여 설정된 노즐의 분사 압력과 노즐과 강판 간의 간격을 목표 도금량의 변화 패턴에 따라 적용하는 시점을 달리하여 다음 코일의 목표 도금량에 일치시킴으로써 연속식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보다 정확도가 높은 도금량 예측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원의 한 실시례에 따른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을 예측 제어하는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원의 한 실시례에 따른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예측 제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세분화된 각각의 영역에 해당하는 도금량 수식모델의 최적 파라미터를 구하는 흐름도이고,
도 3은 본원의 한 실시례에 따른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예측 제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예측제어시 설정할 간격을 최적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도금량 수식모델로부터 산출하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본원의 한 실시례에 따른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예측 제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설정된 압력과 간격을 목표 도금량의 변화 패턴에 따라 적용하는 시점을 달리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강판 2 : 아연 욕조
3 : 에어 나이프 4 : 간격구동모터
5 : 압력조절밸브 6 : 송풍기
7 : 도금량 센서 8 : 노즐
9 : 압력 센서 10 : 간격 센서
11 : 안정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원의 청구항 제 1 항에 기재된 발명인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예측제어방법은, 에어 와이핑(Air Wiping)방식을 이용하는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예측제어방법에 있어서, 실제 도금 공정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조합의 라인속도(S), 노즐의 공기분사압력(P), 노즐과 강판간의 간격(D), 그리고 그 때의 실측 도금량(M) 데이터들의 전체 분포 영역을 n개의 영역으로 세분화하여 각각의 세분화된 영역의 도금량 수식모델의 파라미터를구하는 단계와, 라인속도(S) 및 목표 도금량(MT)이 주어지면, 상기 단계에서 얻은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도금량 수식모델로부터 목표 도금량(MT)으로 도금하기 위한 설정 압력(P) 및 간격(D) 값을 역으로 산출하는 단계와, 선행 코일과 다음 코일이 연결되는 경계인 용접부를 기준으로, 다음 코일의 목표 도금량이 선행 코일의 목표 도금량보다 클 경우 용접부가 에어나이프 위치에 도달하기 전으로하고 다음 코일의 목표 도금량이 선행 코일의 목표 도금량보다 적을 경우 용접부가 에어나이프 위치에 도달하는 때로 하여, 상기 단계에서 산출된 설정 압력(P) 및 간격(D) 값을 목표 도금량의 변화 패턴에 따라 적용하는 시점을 달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원의 청구항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인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예측제어방법은,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량 수식모델의 파라미터는, k번째 데이터 항목에 대한 도금량 수식모델의 모델의 예측 도금량 MMK를 다음식
여기서,
으로부터 구하고,
상기 예측 도금량 MMK를 해당 k번째 데이터 항목에서의 실측 도금량(Mk)과비교하여 발생된 오차 ek = Mk - MMK를 이용하여 다음식,
여기서,
여기서,
여기서,
에 의해 상기 오차 ek가 줄어지는 방향으로 조정하여 모든 영역에서 계산되는 예측 도금량이 실제 도금량과 일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원의 청구항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인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예측제어방법은,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설정 압력 값은 조업자의 경험으로부터 결정하고, 간격 값은 라인속도(S) 및 목표 도금량(MT)이 주어지면, 여러 개의 설정 간격 후보 DCj 를 다음식 DCj = Dmin + j(Dmax-Dmin)/L 으로부터 생성시키고, 상기 도금량 수식모델들로부터 구해진 예측 도금량중에서 목표 도금량에 가장 가까운 값을 산출하는 설정 간격 후보 DCj 를 최종의 설정 간격(D)으로 선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원의 청구항 제 1,2,3 항에 기재된 발명인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예측제어방법에 의하면, 단일수식이 아닌 세 요소가 분포하는 영역에 따라 각각 다른 도금량 수식모델을 이용하여 도금량 수식모델의 정합성를 향상시킬수 있고, 이를 적용하여 용접부로부터 도금량 센서거리 만큼의 코일의 선단부의 일정부분에서 발생하는 도금미달 혹은 과도금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이하에서는, 수학식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원의 한 실시례에 따른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예측 제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세분화된 각각의 영역에 해당하는 도금량 수식모델의 최적 파라미터를 구하는 흐름도로서, 도금 공정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조합의 라인 속도(S), 압력(P), 간격(D) 및 그 때의 실측 도금량(M)을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서 이러한 데이터들이 분포한 모든영역을 몇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영역에 해당하는 도금량수식모델의 파라미터를 구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실제 도금 공정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조합의 라인 속도(S), 노즐의 공기분사압력(P), 노즐과 강판간의 간격(D), 그리고 그 때의 실측도금량(M)을 데이터 베이스(DB)에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DB)에 저장된 N 개의 데이터가 분포한 전체 영역을 R이라고 하고, 전체 영역 R을 n개의 영역으로 세분화하여 각각의 세분화 영역을 Ri (여기서, i = 1,2,3,...,n)라 하며, i번째 영역 Ri에 해당하는 도금량 수식모델을 EQi (여기서, i = 1,2,3,...,n)라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례에 따라, 예를 들면, 라인 속도(S), 간격(D), 압력(P)를 각각 대,중,소로 3등분하고 이들의 조합을 취하여 전체 영역 R 을 27개의 부영역으로 세분화하는 경우에 각 영역 Ri와 그 영역에 해당하는 도금량 수식모델 EQi를 다음의 표 1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표 1에서 MMi는 도금량 수식모델 EQi에서 계산된 모델의 예측 도금량이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DB)에 저장된 모든 학습용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도금량 수식모델 EQi 각각의 파라미터를 학습시켜 최적의 파라미터를 구하는데 있어서, 단계 1에서는, 모든 파라미터(여기서, i=1,2,3,...,n)를 같은 값으로 동일하게 초기화한다. 물리적으로 알려진 바에 의하면 라인 속도(S),간격(D), 압력(P)의 모든 분포영역에서 파라미터(여기서, i=1,2,3,...,n)가 각각 0.5, -0.5, 1에 근사하므로 각 영역의 파라미터를 미세 조정하는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파라미터(여기서, i=1,2,3,...,n)의 초기값을 모두 동일하게 0.5, -0.5, 1로 설정한다.
단계 2에서는, 데이터 베이스(DB)로부터 k번째 학습용 데이터 항목인 라인 속도(Sk), 압력(Pk), 간격(Dk) 및 그 때의 실측 도금량(Mk)를 읽는다.
단계 3에서는, k번째 학습용 데이터 항목이 전체 영역에서 어떤 영역에 위치하는가를 수치화하기 위해서 1965년 ZADEH와 LOFTI가 논문지 Information and Control 에 게재된 논문 Fuzzy Sets 에서 정의된 퍼지화(Fuzzification) 과정을 이용하여 i번째 영역 Ri의 적합도(Truth value) Fi (여기서, i=1,2,3,...,n)를 모든 영역에 대해 계산한다. 여기서, Fi는 0 ~ 1 사이의 값이며, 그 값이 1에 가까울수록 영역 Ri에 적합하다고 본다.
단계 4에서는, k번째 데이터 항목에 대한 도금량 수식모델의 예측 도금량 MMK를 수학식 3에 의하여 구한다.
여기서,
단계 5에서는, k번째 데이터 항목에서 실측 도금량(MK)과 모델의 예측 도금량(MMK)간 오차 ek (여기서, ek = MK- MMK)를 이용하여 관련된 파라미터를 오차 ek가 줄어지도록 수학식 4에 의해 파라미터를 조정한다.
여기서,
,
여기서,
,
여기서,
,
단계 6에서는, k가 마지막 데이터 항목번호 N 인가를 체크하여 만일 그렇지 않으면 k를 1씩 증가시켜서 다음 데이터를 읽도록 하여 단계 2부터 반복하도록 하며, k가 N이면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단계 7에서는, 각 데이터 항목에 대한 오차 ek를 모두 합하여 최소화가 되었는지를 체크하는데, 즉, ek < TOL인지 체크한다.
만일 최소화가 되지 않았으면, k=1로 초기화하여 단계 2부터 반복하도록 하며, 최소화가 되었으면 N 개의 도금량 수식모델 각각의 파라미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TOL은 최소화를 판정짓는 기준치이며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한 실시례에 따른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예측 제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예측 제어시 설정할 간격을 최적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도금량 수식모델로부터 산출하는 흐름도로서, 상기 도 2의 도금량 수식모델의 파라미터를 학습시키는 방법으로부터 구하여진 도금량 수식모델을 이용하여, 도금 공정상에 있어서 용접부를 경계로 하는 선행 코일의 목표 도금량과 다음 코일의 목표 도금량이 서로 상이한 경우에, 용접부가 에어 나이프를 통과하기 전, 후로 설정해 주어야 할 노즐의 공기분사압력과 노즐과 강판간의 간격을 산출하는 단계를 도시한 것이다.
라인속도(S)와 다음코일의 목표 도금량(MT)이 주어지면, 노즐의 공기분사압력(P)를 먼저 정하는데, 단계 1에서는, 주어진 라인 속도(S)와 목표 도금량(MT)에 있어서 수요가가 원하는 도금 표면 품질이 나오는 압력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서 복합적으로 정해지는 것으로부터 조업자의 수동 조업시의 경험값으로부터 압력을 먼저 정한다.
단계 2에서는, 목표 도금량(MT)을 맞추기 위한 설정 간격(D)을 계산하는데,상기 도금량 수식모델을 이용하여 간격(D)이 분포하는 영역을 L개로 등분하여 후보 설정간격 후보 DCj (여기서, j=0,1,2,...,L)를 생성시킨다. 후보 설정 간격 DCj를 구하는 식은 수학식 5와 같다.
DCj = Dmin + j(Dmax-Dmin)/L
여기서, Dmin은 간격의 분포 영역에서 최소값이며, Dmax는 간격의 분포 영역에서 최대값을 의미한다.
단계 3에서는, 주어진 라인 속도(S) 및 설정 압력(P)에 대해서 후보 설정 간격 DCj에 대한 각각의 예측 도금량(MMJ) L 개를 상기 도금량 수식모델을 적용하여 구한다.
단계 4에서는, 상기에서 구한 후보 설정 간격 DCj에 대한 각각의 예측 도금량(MMJ) L 개중에서 목표 도금량(MT)과 가장 가까운 값을 선택하여, 선택된 해당 후보 설정 간격 DCj 를 최종적인 설정 간격(D)으로 정한다.
단계 5에서는, 상기에서 설정된 압력(P)과 도금량 수식모델로 부터 산출된 설정 간격(D)을 저장한다.
도 4a 및 4b는 본원의 한 실시례에 따른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예측 제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설정된 압력(P)과 간격(D)을 목표 도금량의 변화 패턴에 따라 적용하는 시점을 달리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3의 단계에서 산출된 설정 압력(P)과 간격(D)을 적용하는 시점에 있어서, 용접부를 경계로 선행 코일의 목표 도금량과 다음 코일의 목표 도금량이 변화하는 패턴을 두가지로 분류하여, 각각의 경우에 대한 설정 압력(P) 및 간격(D)의 시점을 달리 적용하는 것을 설명한 것이다.
상기 도 3의 단계에서 산출된 설정 압력(P)과 간격(D)을 적용하여 실제 압력과 간격이 설정치에 도달하도록 하는 데는 시간이 소요된다. 이 때 각각의 소요 시간, 즉 실제 압력이 설정 압력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TP, 실제간격이 설정간격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TD라 하면, TP와 TD는 설정값 적용 전의 압력 및 간격 값과 설정값 간의 차이의 크기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한다. 이를 감안하면 선행 코일과 다음 코일간의 목표 도금량의 변화 패턴에 따라 적용 시점을 달리하여야 한다.
도 4a는 다음 코일의 목표 도금량이 선행 코일의 목표 도금량보다 큰 경우이다. 상기 경우에는 도금 미달이라는 제품 불량을 막기 위해서 용접부가 에어 나이프 위치에 도달하기 전으로 TP 혹은 TD 전에 설정 압력(P)과 간격(D)을 적용시키면, 강판이 진행하여 용접부가 에어 나이프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목표 도금량으로 실제 도금량이 변화된다.
도 4b는 다음 코일의 목표 도금량이 선행 코일의 목표 도금량보다 적은 경우이다. 상기 경우에는 용접부가 에어 나이프 위치에 도달하기 전으로 하면, 선행 코일의 후단부에 도금 미달이 발생하므로 용접부가 에어나이프 위치에 도달하는 시점에 설정된 압력(P)과 간격(D)을 적용시켜, 강판이 진행하여 용접부가 에어 나이프 위치로부터 벗어난 지점에서 목표 도금량으로 실제 도금량이 변화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예측제어방법에 의하면, 도금량 수식모델의 정합성를 향상시킬수 있고, 그 모델을 사용하여 도금량 예측제어를 실시하게 되면 용접부에서 부터 도금량 센서거리 만큼 다음 코일의 선단부의 일정 부분에서 발생하는 도금 미달 혹은 과도금 현상을 막을 수 있어서, 도금 불량제품 발생을 억제하며 과도금으로 인한 아연 손실을 막을 수 있어서 생산비 절감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에어 와이핑(Air Wiping)방식을 이용하는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예측제어방법에 있어서,
    실제 도금 공정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조합의 라인속도(S), 노즐의 공기분사압력(P), 노즐과 강판간의 간격(D), 그리고 그 때의 실측 도금량(M) 데이터들의 전체 분포 영역을 n개의 영역으로 세분화하여 각각의 세분화된 영역의 도금량 수식모델의 파라미터를 구하는 단계와,
    라인속도(S) 및 목표 도금량(MT)이 주어지면, 상기 단계에서 얻은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도금량 수식모델로부터 목표 도금량(MT)으로 도금하기 위한 설정 압력(P) 및 간격(D) 값을 역으로 산출하는 단계와,
    선행 코일과 다음 코일이 연결되는 경계인 용접부를 기준으로, 다음 코일의 목표 도금량이 선행 코일의 목표 도금량보다 클 경우 용접부가 에어나이프 위치에 도달하기 전으로하고 다음 코일의 목표 도금량이 선행 코일의 목표 도금량보다 적을 경우 용접부가 에어나이프 위치에 도달하는 때로 하여, 상기 단계에서 산출된 설정 압력(P) 및 간격(D) 값을 목표 도금량의 변화 패턴에 따라 적용하는 시점을 달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예측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량 수식모델의 파라미터는, k번째 데이터 항목에 대한 도금량 수식모델의 모델의 예측 도금량 MMK를 다음식
    여기서,
    으로부터 구하고,
    상기 예측 도금량 MMK를 해당 k번째 데이터 항목에서의 실측 도금량(Mk)과 비교하여 발생된 오차 ek = Mk - MMK를 이용하여 다음식,
    여기서,
    여기서,
    여기서,
    에 의해 상기 오차 ek가 줄어지는 방향으로 조정하여 모든 영역에서 계산되는 예측 도금량이 실제 도금량과 일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예측제어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설정 압력 값은 조업자의 경험으로부터 결정하고, 간격 값은 라인속도(S) 및 목표 도금량(MT)이 주어지면, 여러 개의 설정 간격 후보 DCj 를 다음식
    DCj = Dmin + j(Dmax-Dmin)/L 으로부터 생성시키고,
    상기 도금량 수식모델들로부터 구해진 예측 도금량중에서 목표 도금량에 가장 가까운 값을 산출하는 설정 간격 후보 DCj 를 최종의 설정 간격(D)으로 선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예측제어방법.
KR10-1999-0034171A 1999-08-18 1999-08-18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예측제어방법 KR100393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171A KR100393679B1 (ko) 1999-08-18 1999-08-18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예측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171A KR100393679B1 (ko) 1999-08-18 1999-08-18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예측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280A KR20010018280A (ko) 2001-03-05
KR100393679B1 true KR100393679B1 (ko) 2003-08-06

Family

ID=19607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171A KR100393679B1 (ko) 1999-08-18 1999-08-18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예측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36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772B1 (ko) 2013-08-23 2015-05-06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 도금 공정에서의 라인 속도 변화에 따른 도금량 제어 방법
KR20200144941A (ko) * 2019-06-20 2020-12-30 현대제철 주식회사 강판 도금공정의 도금량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074B1 (ko) * 2001-12-21 2005-11-22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패싱라인의 움직임을 보상하는연속식용융도금공정에서의 에어나이프 간격 제어 장치 및방법
KR100815684B1 (ko) * 2001-12-21 2008-03-20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용융도금공정에서의 적응형 도금량 제어장치
KR100584128B1 (ko) * 2001-12-24 2006-05-30 주식회사 포스코 시간편차 보상에 의한 도금량 제어방법
KR100815815B1 (ko) * 2006-12-27 2008-03-20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 도금공정에서 도금량 제어방법
KR101879107B1 (ko) * 2016-12-23 2018-07-16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코팅층 두께 제어 장치
CN115569820B (zh) * 2022-10-24 2023-05-16 中自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涂覆式催化剂涂覆精准度的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1396A (ja) * 1991-12-20 1993-07-09 Nippon Steel Corp 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H05171395A (ja) * 1991-12-18 1993-07-09 Kawasaki Steel Corp 連続溶融めっきのめっき付着量制御方法
JPH06322504A (ja) * 1993-05-12 1994-11-22 Nippon Steel Corp 溶融めっき鋼板の付着量制御装置
JPH07126823A (ja) * 1993-11-08 1995-05-16 Kawasaki Steel Corp 溶融金属めっき付着量制御方法
KR20000041623A (ko) * 1998-12-23 2000-07-15 이구택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자동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1395A (ja) * 1991-12-18 1993-07-09 Kawasaki Steel Corp 連続溶融めっきのめっき付着量制御方法
JPH05171396A (ja) * 1991-12-20 1993-07-09 Nippon Steel Corp 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H06322504A (ja) * 1993-05-12 1994-11-22 Nippon Steel Corp 溶融めっき鋼板の付着量制御装置
JPH07126823A (ja) * 1993-11-08 1995-05-16 Kawasaki Steel Corp 溶融金属めっき付着量制御方法
KR20000041623A (ko) * 1998-12-23 2000-07-15 이구택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자동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772B1 (ko) 2013-08-23 2015-05-06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 도금 공정에서의 라인 속도 변화에 따른 도금량 제어 방법
KR20200144941A (ko) * 2019-06-20 2020-12-30 현대제철 주식회사 강판 도금공정의 도금량 제어방법
KR102213960B1 (ko) * 2019-06-20 2021-02-09 현대제철 주식회사 강판 도금공정의 도금량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280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910B1 (ko) 연속적인 두께-가변형 스트립 물질을 위한 용융 아연도금 층 두께 조절 시스템 및 방법
JP7269330B2 (ja) メッキ量制御装置およびメッキ量制御方法
KR100393679B1 (ko)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예측제어방법
US20040050323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coating weight on strip in continuous galvanizing process
KR101130483B1 (ko) 스트립형 기판 상에 코팅을 연속 퇴적시키는 방법 및 설비
KR102180827B1 (ko) 도금량 제어 장치 및 도금량 제어 방법
WO2003018859A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coating weight on strip in continuous galvanizing process
KR100742834B1 (ko) 용융 도금 공정에서의 도금량 제어 시스템
KR100815815B1 (ko) 연속 도금공정에서 도금량 제어방법
JP2939033B2 (ja) 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JPH07243015A (ja) 連続式溶融金属メッキラインにおけるメッキ付着量制御方法
KR20200062716A (ko) 용융 도금 공정에서의 도금량 제어 시스템
KR100815684B1 (ko) 강판 용융도금공정에서의 적응형 도금량 제어장치
JPH06322504A (ja) 溶融めっき鋼板の付着量制御装置
KR100584128B1 (ko) 시간편차 보상에 의한 도금량 제어방법
CN112840061B (zh) 镀覆量控制装置和控制方法
KR100530074B1 (ko) 강판 패싱라인의 움직임을 보상하는연속식용융도금공정에서의 에어나이프 간격 제어 장치 및방법
JP2022000535A (ja) 付着量予測モデルの生成方法、めっき付着量の予測方法、めっき付着量制御方法、溶融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及びそれらを実行する装置、並びに品質予測モデルの生成方法
JP4037569B2 (ja) 溶融めっき金属帯のめっき付着量制御方法
Bertin et al. Computer control of coating weight on galvanizing and tinning lines
KR100358009B1 (ko)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자동제어방법
KR20220163733A (ko) 연속 용융금속 설비의 도금량 제어방법
JP2862155B2 (ja) 溶融金属メッキの付着量調整方法
KR100332896B1 (ko) 연속식용융도금라인에서의폭방향도금두께제어방법
JPH07316766A (ja) メッキ付着量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