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735B1 - 헤미스텝신을 함유하는 혈당 강하용 제약조성물 - Google Patents

헤미스텝신을 함유하는 혈당 강하용 제약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735B1
KR100392735B1 KR10-2001-0006050A KR20010006050A KR100392735B1 KR 100392735 B1 KR100392735 B1 KR 100392735B1 KR 20010006050 A KR20010006050 A KR 20010006050A KR 100392735 B1 KR100392735 B1 KR 100392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istepsin
pharmaceutical composition
blood sugar
spectrum
pp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6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5950A (ko
Inventor
양민석
박기훈
장대식
장규태
Original Assignee
양민석
박기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민석, 박기훈 filed Critical 양민석
Priority to KR10-2001-0006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2735B1/ko
Publication of KR20020065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7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Endocri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아노리드 형태의 헤미스텝신,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1의 α,β-불포화 세스퀴테페노이드 락톤, 특히 지칭개 (Hemisteptia lyrata Bunge)에서 분리된 α,β-불포화 세스퀴테페노이드 락톤을 포함하는 혈당 강하용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아노리드 형태의 헤미스텝신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혈당 강하용 제약 조성물은 종래의 당뇨병 치료제보다 활성이 우수하고 부작용 등의 문제가 적어 당뇨병 치료에 매우 효과적이다.
상기 식에서, Ha 및 Hb는1H-NMR 상에서 각각 상이한 시그날을 나타내는 양성자이다.

Description

헤미스텝신을 함유하는 혈당 강하용 제약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Hemistepsin for Lowering Level of Blood Sugar}
본 발명은 구아노리드 형태의 헤미스텝신을 포함하는 혈당 강하용 제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합성 혈당 강하제로서는 환자의 증상에 따라 췌장의 β-세포에서 이미 만들어진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설포닐우레아 (Sulfonylurea) 계열 약물, 포도당과 같은 단당류의 흡수를 억제하며 포도당의 이용을 증가시키고 간에서 포도당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비구아나이드(Biguanide) 계열 약물, 인슐린의 내성을 감소시키고 인슐린 작용을 증가시키는 시글리타존 (Ciglitazone) 계열 약물, 인슐린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트리글리타존 (Triglitazone) 계열 약물 그리고 글루카곤 길항제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알려진 이들 약제는 일반적으로 약한 활성을 나타내거나, 빈번한 부작용을 일으킨다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비구아나이드 계열 약물은 락틱 액시도시스(lactic acidosis)에 기인한 심각한 부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설포닐우레아 계열 약물은 단순히 췌장에서 이미 만들어진 인슐린의 분비만 촉진시키므로 인슐린의 활성과 수용체에 문제가 있는 비인슐린 의존성 당료병 환자의 치료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당뇨병 치료제는 이들의 부작용과 약리 효과의 한계 때문에 투여 방법을 고려하여 한정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당뇨병 치료제보다 향상된 혈당 강하 활성을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혈당 강하 물질 헤미스텝신의 UV 스펙트럼.
도 2는 혈당 강하 물질 헤미스텝신의 IR 스펙트럼.
도 3은 혈당 강하 물질 헤미스텝신의1H-NMR 스펙트럼.
도 4는 혈당 강하 물질 헤미스텝신의13C-NMR 스펙트럼.
도 5는 혈당 강하 물질 헤미스텝신의 DEPT 90 스펙트럼.
도 6은 혈당 강하 물질 헤미스텝신의 DEPT 135 스펙트럼.
도 7은 혈당 강하 물질 헤미스텝신의1H-1H COSY 스펙트럼.
도 8은 혈당 강하 물질 헤미스텝신의1H-13C COSY 스펙트럼.
도 9는 혈당 강하 물질 헤미스텝신의 NOESY 스펙트럼.
도 10은 혈당 강하 물질 헤미스텝신의 질량 스펙트럼.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연구를 거듭한 결과, 구아노리드 형태의 헤미스텝신이 종래의 당뇨병 치료제보다 활성이 우수하고 부작용 등의 문제가 적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아노리드 형태의 헤미스텝신을 포함하는, 혈당 강하 효과가 보다 향상된 제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α,β-불포화 세스퀴테페노이드 락톤, 특히 지칭개(Hemisteptia lyrata Bunge)에서 분리된 α,β-불포화 세스퀴테페노이드 락톤을 포함하는 혈당 강하용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Ha 및 Hb는1H-NMR 상에서 각각 상이한 시그날을 나타내는 양성자이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에 포함되는 α,β-불포화 세스퀴테페노이드 락톤은 5원 고리, 7원 고리 및 5원 고리로 이루어진 구아노라이드 세스퀴터펜 락톤 구조를가지고 있으며, 본원에서는 이를 헤미스텝신(Hemistepsin)으로 칭한다. 상기 헤미스텝신은 본 발명자들에 의해 출원되어 특허가 부여된 한국 특허 제10-193355호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화합물은 최초로 지칭개에서 분리된 것으로 본 발명자들에 의해 문헌에 보고되었으며[Park, K.H. 등, Planta Medica. 64, 289-290, 1998; Planta Medica. 65, 765-766, 1999], 아직까지 다른 식물에서는 분리된 예가 없다.
헤미스텝신을 함유하는 지칭개는 국화과의 2년초 식물로서, 밭둑에서 자라며 높이는 60∼90 cm에 이르며 줄기 속은 비어 있다. 지칭개의 잎은 길이 10∼20 cm의 피침형으로 깊게 갈라져 있고, 뒷면에는 솜털이 밀생하고 있다. 꽃은 홍자색으로 5∼9월에 피고, 줄기나 가지 끝에 한 개씩 위를 향해 핀다. 지칭개(Hemisteptia) 속은 세계적으로 지칭개(Hemisteptia lyrata Bunge) 1종만 있다.
헤미스텝신은 지칭개로부터 다음과 같이 분리될 수 있다. 즉, 건조 분쇄된 지칭개를 클로로포름 혹은 에틸아세테이트 극성 수준을 갖는 용매로 장시간(2∼3일) 동안 실온에서 추출한다. 여과된 추출액은 감압농축시켜 조추출물을 얻는다. 이 농축물을 유기·생리활성 물질의 통상적인 정제 방법, 예를 들어 유기 용매의 농도 구배를 사용한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혈당 강하 물질인 헤미스텝신을 얻는다. 필요에 따라 조건을 상이하게 하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으로 이를 더욱 정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분리한 헤미스텝신은 그의 UV, IR,1H-NMR,13C-NMR, DEPT 90, DEPT 135,1H-13C COSY,1H-1H COSY, NOESY 스펙트럼 데이터 및 기타 이화학적 데이터를 분석·종합한 결과, 5원 고리, 7원 고리 및 5원 고리가 순서대로 융합되어 이루어져 있는 하기 화학식 1의 α,β-불포화세스퀴터페노이드 락톤 구조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기 화학식 1에서 화합물 번호 체계는 제이. 윌리암스 (J. williams)의 J.A.C.S., 제 106호, 4895-4902 페이지 (1984년)에 기재되어 있는 방식을 따른 것이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Ha 및 Hb는1H-NMR 상에서 각각 상이한 시그날을 나타내는 양성자이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의 활성 성분인 헤미스텝신은 다음과 같은 이화학적 특성을 나타내다.
A) 고유 광회전도
[ α]D25= +134.6° (EtOH, c=1.15)
B) 자외선 스펙트럼의 흡수 최대치 (nm) (스펙트럼은 도 1 참조)
λmax
a) CHCl3241
b) MeOH 207
C) 적외선 스펙트럼의 흡수 최대치 (cm-1) (스펙트럼은 도 2 참조)
3408; 3100; 2942; 1759; 1717; 1641; 1404; 1270
D)1H-NMR 스펙트럼 시그날 군 (ppm); CDCl3(클로로포름-D) 중에서 내부 표준 (0.00 ppm)으로서 TMS를 사용; 500 MHz (스펙트럼은 도 3 참조)
(δ= ppm, 다중도, 짝지음 상수, 속성)
1.74(m, C3-Hb); 2.23(m, C3-Ha); 2.40(dd, J1=3.8Hz, J2=3.8Hz, C7-Hb); 2.72(dd, J1=3.8Hz, J2=5.2Hz, C7-Ha); 2.84(m, C5-H); 2.97(m, C4-H); 3.19(m, 1H, C9-H); 4.27(m, C10-H); 4.38(S, C19-CH2); 4.55(m, 1H, C2-H); 4.94(d, J=1.4Hz, C15-Hb); 5.14(m, C15-Ha및 C8-H); 5.36(m, J=1.7Hz, C14-Hb); 5.48(m, C14-Ha); 5.62(d, J=3.2Hz, C13-Hb); 5.96(d, J=1.2Hz); 6.20(d, J=3.8Hz, C13-Ha); 6.32(d, J=0.9Hz, C18-Ha)
d=이중선; dd=이중 이중선; J=짝지음 상수; m=다중선; s=단일선
E)13C-NMR 스펙트럼 시그날 군 (ppm); CDCl3(클로로포름-D) 중에서 내부 표준 (77.0ppm)으로서 CDCl3를 사용; 125 MHz (스펙트럼은 도 4 참조)
(δ=ppm) 37.1; 38.8; 45.7; 51.4; 62.1; 73.7; 78.6; 113.5; 118.2; 122.7; 126.7; 137.3; 139.4; 141.8; 152.2; 165.4; 169.1
F) DEPT 90 스펙트럼 시그날 군 (ppm); CDCl3(클로로포름-D) 중에서 내부 표준 (77.0 ppm)으로서 CDCl3를 사용; 125 MHz (스펙트럼은 도 5 참조)
(δ=ppm) 45.7; 47.5; 51.4; 73.7; 74.3; 78.6
G) DEPT 135 스펙트럼 시그날 군 (ppm); CDCl3(클로로포름-D) 중에서 내부 표준 (77.0 ppm)으로서 CDCl3를 사용; 125 MHz (스펙트럼은 도 6 참조)
(δ=ppm)
위 방향 : 45.7, 47.5; 51.4; 73.7; 74.3; 78.6
아래 방향 : 37.1; 38.8; 62.1; 113.5; 118.2; 122.7; 126.7
H)1H-1H COSY 스펙트럼 시그날 군 (ppm); CDCl3(클로로포름-D) 중에서 내부 표준 (0.00 ppm)으로서 TMS를 사용; 500 MHz (스펙트럼은 도 7 참조)
이 스펙트럼은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의 활성 성분인 헤미스텝신의 기본 골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1H-1H COSY 스펙트럼 상의 주요 핵의 크로스 피크(cross peak)를 하기 표 1에나타내었다.
1H-1H COSY 스펙트럼상의 주요 핵의 상관관계
기준핵 (ppm) 크로스 피크 (ppm)
1.74(C3-Hb) 2.23(C3-Ha), 2.97(C4-H), 4.55(C2-H)
2.23(C3-Ha) 1.74(C3-Hb), 2.29(C4-H), 4.55(C2-H)
2.40(C7-Hb) 2.72(C7-Ha), .14(C8-H), 5.14(C15-Ha)
2.72(C7-Ha) 2.40(C7-Ha), 5.14(C8-H)
2.84(C5-H) 2.97(C4-H), 4.27(C10-H), 5.36(C14-Hb), 5.48(C14-Ha)
2.97(C4-H) 1.74(C3-Hb), 2.23(C3-Ha), 2.84(C13-Hb), 6.20(C13-Ha)
3.19(C9-H) 4.27(C10-H), 5.14(C8-H), 5.62(C13-Hb), 6.20(C13-Ha)
4.27(C10-H) 2.84(C5-H), 3.19(C9-H)
4.38(C19-2H)
4.55(C2-H) 1.74(C3-Hb), 2.23(C3-Ha), 5.36(C14-Hb), 5.48(C14-Ha)
5.14(C8-H) 2.40(C7-Hb), 2.72(C7-Ha), 3.19(C9-H)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에 활성 성분으로서 포함되는, 구아노리드 형태의 헤미스텝신은 혈당 강하 활성이 우수하고 내분비계에 미치는 부작용 등의 문제가 적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헤미스텝신의 혈당 강하 작용은 혈당상승제를 실험 동물에 투여하여 혈당치가 일정치 이상인 고혈당군과 정상 혈당의 대조군에 헤미스텝신을 각 농도별로 투여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실험 동물의 혈당을 측정하여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석한 결과, 헤미스텝신 투여군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라 혈당이 현저히 감소하고, 헤미스텝신을 투여한 정상 실험쥐(대조군)에서는 혈당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헤미스텝신이 혈당 저하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저혈당으로 이르게 하는 위험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헤미스텝신이 내분비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일정량의 헤미스텝신을 투여한 실험용 쥐의 혈압,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유리 지방산의 양을 측정한결과, 헤미스텝신이 실험용 쥐의 내분비계에 대해 특별한 부작용을 야기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혈당 강하 활성을 갖는 헤미스텝신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선행 기술 분야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는 여러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그 구체적인 제형화 방법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제제 1: 정제
헤미스텝신 15mg, 락토스 77mg, 결정성 셀룰로스 15mg, 옥수수 전분 7mg을 완전히 혼합한 다음, 혼합물은 회전식 타정기로 타정하여 직경이 7mm이고 중량이 150mg인 정제를 수득한다.
제제 2: 시럽제
헤미스텝신 150 mg, 정제당 30 g, 70w/v% D-소르비톨 25 g, 에틸 p-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0.03 g을 온수 60 ml에 용해시킨다. 용액을 냉각시킨 후 글리세롤 0.15 g 및 96% 에탄올 0.5 g 중의 향미레 0.2 g 용액을 가한다. 전체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여 100 ml로 만든다.
제제 3: 주사용 액제
헤미스텝신 15 mg을 8% 프로필렌글리콜에 용해시켜 1 ml로 만든다.
헤미스텝신의 투여량은 투여 방식 및 경로, 복용자의 연령, 체중 및 건강, 증상의 상태 및 정도와 같은 요소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혈당 강하에 이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체중 1 kg 당 약 0.5 mg의 활성 성분 투여량으로 1일 경구 투여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1일 1 내지 2회 분할 투여 또는 서방성 제제로 약 1.5 mg/kg/일의 투여량이 원하는 약리학적 효과를 달성하는 데 효과적이다.
<실시예 1: 혈당 강하 물질의 분리>
그늘에서 잘 말리고, 잘게 부순 지칭개 1 kg을 실온에서 클로로포름 4 ℓ로 2일씩 3회 반복 추출하였다. 여과한 추출액을 감압농축시켜 추출물을 얻었다. 클로로포름 추출물을 실리카-겔(Merck 70-230 mesh) 300 g을 충전시킨 지름 7 cm의 칼럼에서 클로로포름/메탄올 비를 순차적으로 높여가며(20:1 → 1:1)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목적 항균 물질이 포함된 혼합물 5.2 g을 얻었다.
이 혼합물 5.2 g을 실리카-겔 (Merck 70-230 mesh) 50 g을 충전시킨 지름 2 cm의 칼럼에서 헥산/에틸아세테이트 비를 순차적으로 높여가며(2:1 → 1:1)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점성 오일상의 헤미스텝신 1.12 g을 얻었다.
추출 용매는 클로로포름으로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클로로포름 수준의 극성을 갖는 에틸아세테이트와 같은 용매로도 추출할 수 있다.
<실시예 2: 헤미스텝신의 혈당 강하 작용>
헤미스텝신의 혈당 강하 작용은 Wister Immamichi 15∼17 개월 (320 ±20 g)의 암컷에 40 mg/kg의 스트렙토조도신(STZ)을 투여하고, 1주일 후 혈당치가 450 mg/㎗ 이상인 개체만 선발하여 혈당 강하 실험에 이용하였으며, 대조군으로서 스트렙토 조도신을 처리하지 않은 Wister Immamichi 15∼17개월 (320 ±20 g) 암컷을 사용하였다. 혈당 강하 실험에는 고혈당군 (480 ±20 mg/㎗)과 대조군 (115 ±10 mg/㎗)을 각 항목별로 7마리씩 선발하여 사용하였다.
헤미스텝신을 각 농도별 (100 ㎍, 250 ㎍, 500 ㎍)로 투여하고, 60분 후, 120분 후 및 180분 후에 헤미스텝신의 혈당 저하 효과를 각각 측정하였으며, 혈당 측정은 측정 직전 6시간 동안 절식시킨 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은 평균 ±표준편차로 나타내고, 각 군간의 유의성 검정은 student-t tert 분석으로 실시하고, p<0.05인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혈당의 현저한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헤미스텝신을 투여한 정상 실험쥐(대조군)에서는 혈당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이 약물은 저혈당으로 이르게 하는 위험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주 후 이들의 혈당을 다시 측정해 본 결과 원래 상태로 회복되었다.
고혈당 실험쥐에서 헤미스텝신의 효과
시험군* 시간
0 60분 120분 180분
A 497 ±20 288 ±32 246 ±26 226 ±25
B 490 ±25 263 ±28 209 ±12 188 ±10
C 495 ±20 220 ±25 207 ±18 156 ±23
D 123 ±7 120 ±7 121 ±6 122 ±6
E 121 ±5 - - 123 ±5
* A: 헤미스텝신 100㎍을 DMSO 0.2㎖에 용해시켜 투여,
B: 헤미스텝신 250㎍을 DMSO 0.2㎖에 용해시켜 투여,
C: 헤미스텝신 500㎍을 DMSO 0.2㎖에 용해시켜 투여,
D: 정상쥐에 헤미스텝신 500㎍을 DMSO 0.2㎖에 용해시켜 투여,
E: 대조군으로 0.2㎖의 DMSO만 투여
혈액 분석을 통한 효소학적 간기능 검사 결과 GOT, GTP 그리고 알칼린 포스파타제(ALP)의 수치가 표 2의 시간 경과에서 정상적인 범위를 유지하였으므로 간을 통한 대사과정이 원할히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헤미스텝신의 내분비 실험>
헤미스텝신이 내분비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500 ㎍/kg의 헤미스텝신을 투여한 실험용 쥐의 혈압,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유리 지방산의 양을 측정하였다.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미스텝신은 내분비계에 대해 특별한 부작용을 야기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헤미스텝신이 내분비계에 미치는 영향
실험군* 항목
혈압(mmHg) 트리글리세라이드(mg/㎗) 유리 지방산(mEg/ℓ)
A 116±8 136±10 0.224±0.015
B 114±6 128±8 0.195±0.012
C 126±8 150±12 0.310±0.017
* A: STZ를 투여한 고혈당쥐,
B: 500㎍/kg의 헤미스텝신을 0.2㎖ DMSO에 용해시켜 투여한 고혈당쥐,
C: 0.2㎖의 DMSO만을 투여한 정상쥐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구아노리드 형태의 헤미스텝신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혈당 강하용 제약 조성물은 종래의 당뇨병 치료제보다 활성이 우수하고 부작용 등의 문제가 적어 당뇨병 치료에 매우 효과적이다.

Claims (2)

  1. 활성 성분으로서 하기 화학식 1의 α,β-불포화 세스퀴테페노이드 락톤을 포함하는 혈당 강하용 제약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Ha 및 Hb는1H-NMR 상에서 각각 상이한 시그날을 나타내는 양성자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α,β-불포화 세스퀴테페노이드 락톤이 지칭개에서 분리된 것인 제약 조성물.
KR10-2001-0006050A 2001-02-08 2001-02-08 헤미스텝신을 함유하는 혈당 강하용 제약조성물 KR100392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6050A KR100392735B1 (ko) 2001-02-08 2001-02-08 헤미스텝신을 함유하는 혈당 강하용 제약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6050A KR100392735B1 (ko) 2001-02-08 2001-02-08 헤미스텝신을 함유하는 혈당 강하용 제약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950A KR20020065950A (ko) 2002-08-14
KR100392735B1 true KR100392735B1 (ko) 2003-07-28

Family

ID=27693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6050A KR100392735B1 (ko) 2001-02-08 2001-02-08 헤미스텝신을 함유하는 혈당 강하용 제약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27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483A (ko) 2017-09-29 2019-04-08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지칭개 추출물 또는 지칭개 추출물에서 분리한 헤미스텝신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190B1 (ko) * 2010-08-11 2011-02-10 이상각 맨홀용 악취차단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355B1 (ko) * 1996-11-19 1999-06-15 양민석 항균 물질 jcg 580 및 그의 분리 방법
KR100338479B1 (ko) * 1998-11-25 2002-07-18 양민석 암세포독성물질헤미스텝신b및그의분리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3355B1 (ko) * 1996-11-19 1999-06-15 양민석 항균 물질 jcg 580 및 그의 분리 방법
KR100338479B1 (ko) * 1998-11-25 2002-07-18 양민석 암세포독성물질헤미스텝신b및그의분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483A (ko) 2017-09-29 2019-04-08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지칭개 추출물 또는 지칭개 추출물에서 분리한 헤미스텝신a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950A (ko) 200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m et al. α-Glucosidase inhibitors from the seeds of Syagrus romanzoffiana
Rajendran et al. Hypolipidemic activity of chloroform extract of Mimosa pudica leaves
AU696334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steoporosis
US11452752B2 (en) Composition for antioxidation, anti-inflammation, or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hibition
US8293292B2 (en) Extract of Fraxinus excelsior seeds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therefor
US6777392B2 (en) 8-(C-β-D-glucopyranosyl)-7, 3&#39;, 4&#39;-trihydroxyflavone, process of isolation thereof,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Ara et al. Comparison of Moringa oleifera leaves extract with atenolol on serum triglyceride, serum cholesterol, blood glucose, heart weight, body weight in adrenaline induced rats
Zulfiker et al. Antidiabetic and antioxidant effect of Scoparia dulcis in alloxan induced albino mice
KR100392735B1 (ko) 헤미스텝신을 함유하는 혈당 강하용 제약조성물
KR100733764B1 (ko) 합환피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한 쿠라리디놀을함유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3956229B (zh) 一种紫丁香中的木脂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0740184B1 (ko) 텍토리딘 또는 그 비배당체를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1642322B1 (ko) 서덜취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5712982A (zh) 二氢-β-沉香呋喃型倍半萜类化合物、其制法和用途
JP2005052155A (ja) 紅豆杉とテコマを含有する食品組成物
US10780139B1 (en) Hypericum revolutum extract as a vasodilator
EP3847163B1 (en) Bioactive compound
KR100458003B1 (ko) 방울비짜루(남옥대)로부터 분리한 신규 항암활성 화합물 및 그 정제방법
KR100516647B1 (ko) 당뇨병 치료제 조성물
KR100378323B1 (ko) 항정신병 치료제로 유효한 폴리갈라사포닌계 화합물
JP2006321728A (ja) 新規な抗リーシュマニア医薬組成物
JP3693171B2 (ja) 紅豆杉とテコマを含有する抗腫瘍剤
KR100595005B1 (ko) 해조식물로부터 추출한 디벤조-파라-디옥신유도체를함유하는 신경통 개선제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CN118001268A (zh) 一种苯并呋喃木脂素类化合物的应用及其制备方法
KR100516648B1 (ko) 리그난 화합물 및 이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치료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