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631B1 - 사용자가 선호하는 파일들의 목록을 자동으로 작성하는시스템 및 그 리스트 자동작성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가 선호하는 파일들의 목록을 자동으로 작성하는시스템 및 그 리스트 자동작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631B1
KR100392631B1 KR10-2001-0029145A KR20010029145A KR100392631B1 KR 100392631 B1 KR100392631 B1 KR 100392631B1 KR 20010029145 A KR20010029145 A KR 20010029145A KR 100392631 B1 KR100392631 B1 KR 100392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list
cumulative value
recording medium
identifi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9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0023A (ko
Inventor
이주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9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2631B1/ko
Publication of KR20020090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6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1File system administration, e.g. details of archiving or snapshots
    • G06F16/113Details of arch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38Organizing or formatting or addressing of data
    • G06F3/0643Management of files

Abstract

사용자가 선호하는 파일들의 리스트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시스템 및 그 리스트 자동작성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스트 자동작성 시스템은, 고유의 식별부호를 갖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일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파일의 선택횟수에 대한 누적값, 식별부호, 및 기록매체가 선택된 횟수에 따른 식별부호의 누적값을 기록하는 메모리, 및 파일 및 식별부호의 선택횟수에 따른 누적값을 카운트하고 이를 토대로 메모리를 갱신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제어부는 파일의 선택횟수에 따른 누적값이 식별부호에 연계되어 메모리에 기록되도록 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디스크에 저장된 파일들을 자주 사용하는 파일과 자주 사용하지 않는 파일로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되며, 자주 사용하는 파일에 대해서 손쉽게 억세스가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사용자가 선호하는 파일들의 목록을 자동으로 작성하는 시스템 및 그 리스트 자동작성 방법{System automatically making a user file list and a method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에 억세스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용량의 데이터가 기록된 기록매체에 손쉽게 억세스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소정의 기록들을 시간 및 장소에 구애을 받지 않고 필요에 따라 재생하거나 복원할 수 있는 유용한 기기들이 널리 보급되어 왔다. 대중적으로 제시되어 왔던 기기들 중에는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FD), 컴팩트디스크(CD) 등의 기록매체 및 그 기록매체를 이용한 기기(이하, 시스템이라 한다)가 있다. 디지털기술의 발달로 이러한 기록매체는 대용량화 되어가고 있으며, 그 시스템 또한 소형화, 고속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기록매체와 시스템의 발달, 그리고 인터넷의 대중화로 개인은 많은 양의 정보를 취득하고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개인이 취득한 정보의 대용량화에도 불구하고, 개인은 자기가 선호하는 정보만 반복하여 이용하는 경향이 있으며, 어떠한 정보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채 전혀 사용되지 않고 사장되는 경우가 있다.
최근에는 DCD(Digital Convergence Disc)라는 매체가 개발는 바, DCD는 지름 32mm의 소형 디스크로서 그 크기에 비해 500메가바이트의 대용량을 갖는다. 이러한 DCD가 엠피쓰리 플레이어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DCD 내에 약 120곡의 노래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대용량의 기록매체로부터 사용자가 필요한 파일을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별도의 서치작업을 필요로 하며, 특히 인출하고자 하는 파일이 자주 사용되는 파일인 경우에는 그러한 번거로움을 생략할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파일들의 리스트를 자동적으로 작성하는 리스트 자동작성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리스트 자동작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스트 자동작성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리스트 작성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도 1의 표시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4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제어부 22 : 디스크
22a : 데이터영역 22b : 리스트영역
24 : 휘발성메모리 26 : 비휘발성메모리
28 : 입력부 30 : 표시부
32 : 재생부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고유의 식별부호를 갖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일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파일의 선택횟수에 대한 누적값, 상기 식별부호, 및 상기 기록매체가 선택된 횟수에 따른 상기 식별부호의 누적값을 기록하는 메모리 및 상기 파일 및 상기 식별부호의 선택횟수에 따른 상기 누적값을 카운트하고 이를 토대로 상기 메모리를 갱신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일의 선택횟수에 따른 상기 누적값이 상기 식별부호에 연계되어 상기 메모리에 기록되도록 함에 의해 달성된다.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선택명령이 인가시,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파일, 및 식별부호의 누적값중 상기 선택명령에 대응되는 누적값을 1씩 증가시키되, 상기 선택명령에 대응되는 파일 및 상기 파일에 대한 상기 누적값이 상기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파일의 명칭 및 상기 파일이 속한 식별부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함이 바람직하다.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일에 대응되는 상기 누적값을 조회하고, 상기 조회결과에 따라 상기 선택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파일 및 상기 파일에 대응되는 상기 누적값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상기 입력부는,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 파일에 대한 전체리스트가 표시되는 전체리스트모드 및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 파일을 상기 선택횟수에 따른 누적값의 크기 순으로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순위리스트모드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파일 및 상기 파일에 대한 부가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리스트영역을 구비하며, 읽기 및 쓰기가 가능한 기록매체,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파일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파일의 선택횟수에 대한 누적값을 카운트하고 이를 상기 리스트영역에 기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스트영역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파일의 선택횟수에 대한 누적값이 갱신됨에 의해 달성된다.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상기 리스트영역에 기록된 상기 파일 및 이에 대응되는 누적값을 조회하고, 상기 누적값에 따라 상기 선택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파일에 대응되는 명칭 및 상기 누적값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상기 입력부는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파일에 대한 전체리스트가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체리스트모드 및 상기 파일의 선택횟수인 상기 누적값의 크기에 따라 상기 파일에 대응되는 상기 명칭 및 상기 누적값이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순위리스트모드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기록매체는, 상기 기록매체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식별부호, 상기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영역, 및 상기 파일에 대한 부가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리스트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리스트영역은 상기 선택된 파일에 대응되는 명칭, 및 상기 누적값이 기록됨이 바람직하다.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적값이 상기 식별부호와 연계되어 상기 리스트영역에 기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파일 및 상기 파일에 대한 부가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리스트영역을 구비하는 기록매체를 구비하는 리스트 자동작성 시스템에서 상기 리스트를 자동작성허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파일들 중 적어도 하나의 파일에 대한 선택명령이 입력시, 상기 선택된 파일에 대한 선택횟수의 누적값을 증가시키는 단계, 증가된 상기 누적값과 적어도 한번 이상 기 선택된 상기 파일들에 대한 상기 누적값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에 따른 상기 파일들의 리스트를 상기 기록매체에 구비되는 상기 리스트영역에 작성하는 단계에 의해 달성된다.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록매체의 식별부호를 확인하고, 상기 기록매체의 사용횟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누적값 증가단계는 상기 식별부호에 대응되는 상기 기록매체 고유의 상기 누적값을 증가시킨다.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스트 자동작성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데이터의 읽기전용 시스템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리스트 자동작성 시스템은 제어부(20), 디스크엔진(21), 입력부(28), 표시부(30), 및 재생부(32)를 구비한다.
제어부(20)는 리스트 자동작성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며, 각각의 구성요소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처리된 데이터를 소정의 구성요소에 송신한다. 특히, 제어부(20)는 디스크엔진(21)에 장착된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함으로써, 디스크엔진(21)에 삽입된 디스크(22)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어부(20)는 디지털 통신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DSP(Digital Signal Processing)회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20)는 디스크(22)에 기록된 파일들 중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들에 대한 선택횟수를 카운팅하고, 그 카운팅된 값을 누적하여 디스크엔진(21)내부에 구비된 비휘발성메모리(26)에 저장시킨다.
디스크엔진(21)은 휘발성메모리(24)와 비휘발성메모리(26)를 구비하며, 디스크엔진(21)에 삽입된 디스크(22)에 기록된 데이터와, 휘발성메모리(24) 및 비휘발성메모리(26)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부(20)에 송신한다. 여기서, 디스크(22)는 읽기전용 데이터만을 기록하고 있는 저장매체를 나타낸다. 디스크(22)는 데이터들을 파일단위로 기록하고 있으며, 각 파일들에 대한 속성을 저장한다. 디스크(22)에 저장되는 각 파일들의 속성에는 각 파일의 이름, 각 파일의 크기, 각 파일의 내용요약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디스크엔진(21)에 삽입되는 디스크(22)는 고유의 식별부호(ID : identity)를 가짐으로써, 제어부(20)로 하여금 삽입되는 디스크(22)의 각각에 대한 속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휘발성메모리(24)는 디스크엔진(21)에 디스크(22)가 삽입되면, 삽입된 디스크(22)에 기록된 파일들에 대한 속성 중에서 속성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휘발성메모리(24)가 디스크(22)로부터 수신하는 파일들에 대한 속성에는 각 파일의 이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파일의 이름의 나열이 전체리스트가 된다. 휘발성메모리(24)가 수신한 정보는 사용자로 하여금 대용량의 데이터가 기록된 디스크(22)로부터 원하는 정보를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용된다.
비휘발성메모리(26)는 디스크(22)에 기록된 파일들에 대한 속성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이름을 수신하고, 제어부(20)로부터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에 대한 카운팅 누적치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선택된 파일의 이름은 각 파일의 카운팅 누적치의 크기에 따라 순서적으로 나열되며, 이것이 순위리스트를이루게 된다.
여기서, 휘발성메모리(24)는 삽입된 디스크(22)에 기록된 파일들에 대한 속성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데 반하여, 비휘발성메모리(26)는 디스크엔진(21)에 적어도 한번 삽입되었던 디스크(22)에 대한 속성과 그 디스크(22)로부터 적어도 한번 재생되었던 파일들에 대한 속성을 지속적으로 저장한다.
입력부(28)는 사용자로 하여금 디스크(22)에 저장된 파일들 중에서 원하는 파일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키, 커서 등으로 구현된다.
표시부(30)는 사용자로 하여금 디스크(22)에 저장된 파일들 중에서 원하는 파일을 신속하게 찾을 수 있도록 휘발성메모리(24) 또는 비휘발성메모리(26)에 저장된 파일의 속성들에 관한 리스트를 제공한다.
재생부(32)는 입력부(28)에 의해 선택된 파일을 재생한다. 여기서, 재생부(32)는 선택된 파일을 재생시키는 시스템에 따라 모니터, LCD(Liquid Crystal Display), 스피커 등을 포함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리스트 자동작성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리스트 자동작성 과정을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리스트 작성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재생하기 위한 파일이 포함되어 있는 디스크(22)를 디스크엔진(21)에 삽입한다(S401). 디스크엔진(21)에 디스크(22)가 삽입되면, 디스크엔진(21)에 구비된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는 디스크(22)에 기록된 파일들의 속성을 디스크엔진(21)에 장착된 휘발성메모리(24)로 전송시킨다. 파일들의 속성에는 디스크(22)에 기록된 파일들의 전체리스트가 포함되며, 휘발성메모리(24)의 크기에 따라 파일내용의 요약, 파일의 크기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디스크엔진(21)에 구비된 컨트롤러는 디스크(22)가 삽입되었음을 제어부(20)에 인식시킨다.
제어부(20)는 컨트롤러를 통하여 디스크(22)가 삽입되었음을 인식하면, 디스크(22)에 부여된 고유의 식별부호를 확인하고 디스크(22)의 삽입횟수를 카운팅한다(S403). 또한, 제어부(20)는 카운팅된 디스크(22)의 삽입횟수가 소정치보다 큰지를 판단한다. 예컨대, 제어부(20)는 디스크(22)의 삽입횟수가 1보다 큰가를 판단함으로써(S405), 디스크(22)가 처음 삽입된 것이 아닌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비휘발성메모리(26)로부터 디스크(22)에 저장된 파일들의 순위리스트를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0)는 비휘발성메모리(26)로부터 수신된 순위리스트를 표시부(30)에 제공하여 표시시키며, 그것이 순위리스트모드를 이루게 된다(S407). 여기서, 사용자는 입력부(28)를 통하여 표시부(30)에 표시된 순위리스트모드를 전체리스트모드로 모드변경을 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409).
사용자는 표시부(30)에 표시된 순위리스트로부터 원하는 파일의 이름을 선택한다(S41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3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순위리스트가 표시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면과 같이, 소정 파일의 리스트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리스트 내의 소정 파일을 입력부(28)를 통하여 선택한다.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파일이 선택되면, 제어부(20)는 디스크(22)로부터 선택된 파일의 데이터를 인출하고, 인출된 데이터를 재생부(32)에 제공한다. 재생부(32)는 제어부(20)로부터 수신한 파일에 대한 데이터를 재생시킨다.
디스크(22)의 삽입횟수가 소정치보다 크지 않은 경우 예컨대, 디스크(22)가 디스크엔진(21)에 처음 삽입된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휘발성메모리(24)로부터 디스크(22)에 저장된 파일들의 전체리스트를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0)는 휘발성메모리(24)로부터 수신된 전체리스트를 표시부(30)에 제공하여 표시시키며, 그것이 전체리스트모드를 이루게 된다(S415). 여기서, 사용자는 입력부(28)를 통하여 표시부(30)에 표시된 전체리스트모드를 순위리스트모드로 모드변경을 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417).
사용자는 표시부(30)에 표시된 순위리스트로부터 원하는 파일의 이름을 선택한다(S419).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파일이 선택되면, 제어부(20)는 디스크(22)로부터 선택된 파일의 데이터를 인출하고, 인출된 데이터를 재생부(32)에 제공한다. 재생부(32)는 제어부(20)로부터 수신한 파일에 대한 데이터를 재생시킨다.
제어부(20)는 순위리스트모드 또는 전체리스트모드의 파일리스트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파일이 선택되면, 비휘발성메모리(26)에서 선택된 파일에 대한 속성정보 즉, 선택된 파일에 대한 파일이름과 선택횟수의 누적치가 있는가를 검색한다. 비휘발성메모리(26)에 선택된 파일에 대한 속성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20)는 그 파일에 대한 카운팅된 누적치를 1만큼 증가시키고(S413), 증가된 누적치로 갱신하여 비휘발성메모리(26)에 저장시킨다. 만일, 비휘발성메모리(26)에 선택된 파일에 대한 속성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제어부(20)는 그 파일에 대한 속성정보를 추가하여 비휘발성메모리(26)에 저장시킨다.
또한, 제어부(20)는 선택된 파일에 대한 증가된 누적치와 비휘발성메모리(26)에 저장된 다른 파일들에 대한 누적치의 크기를 비교한다(S421). 제어부(20)는 기전의 각 파일들의 누적치의 크기 순서에 변동이 있는 경우(S423)에는 각 파일들의 이름을 누적치의 크기 순서에 따라 재배열하며, 재배열된 각 파일들의 이름을 비휘발성메모리(26)에 저장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비휘발성메모리(26)에 저장된 순위리스트는 새로운 순위리스트로 갱신된다(S425). 각 파일들의 누적치의 크기 순서에 변동이 없는 경우에는 각 파일들의 순위리스트는 유지된다(S427).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리스트 자동작성 방법은 종료된다. 이와 같은, 삽입된 디스크(22)의 순위리스트를 자동으로 작성하는 방법은 삽입된 디스크(22)의 식별부호를 확인하고, 식별부호에 대응되는 디스크(22) 고유의 순위리스트를 작성하게 된다. 따라서, 여러장의 디스크(22)가 번갈아 삽입되더라도 사용자는 각 디스크(22)에 기록된 파일들을 각각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비휘발성메모리(26)는 선택된 파일들의 이름을 각 파일들의 선택횟수의 누적치 크기에 따라 순서적으로 배열하여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비휘발성메모리(26)는 각 파일들의 이름과 누적치를 비순서적으로 저장하고 제어부(20)가 이들을 표시부(30)에 표시하는 경우에 순서적으로 배열하여 표시시키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데이터의 읽기 및 쓰기가 가능한 시스템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것으로는 예컨대,DCD이 있다. 여기서, 도 1과 동일한 부재에 관하여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리스트 자동작성 시스템은 제어부(20), 디스크엔진(21), 입력부(28), 표시부(30), 및 재생부(32)를 구비한다.
제어부(20)는 리스트 자동작성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며, 각각의 구성요소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처리된 데이터를 소정의 구성요소에 송신한다. 또한, 제어부(20)는 디스크(22)의 데이터영역(22a)에 기록된 파일들 중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들에 대한 선택횟수를 카운팅하고, 그 카운팅된 값을 누적하여 디스크(22)의 리스트영역(22b)에 저장시킨다.
디스크엔진(21)은 휘발성메모리(24)를 구비하며, 디스크엔진(21)에 삽입된 디스크(22)에 기록된 데이터와, 휘발성메모리(24)에 저장된 데이터를 제어부(20)에 송신한다. 여기서, 디스크(22)는 읽기 및 쓰기가 가능한 저장매체를 나타낸다.
디스크(22)의 데이터영역(22a)에는 데이터가 파일 단위로 저장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22)의 리스트영역(22b)에는 디스크(22)의 데이터영역(22a)에 기록된 파일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의 이름과 선택된 파일에 대한 카운팅 누적치가 저장된다. 선택된 파일의 이름은 각 파일의 카운팅 누적치의 크기에 따라 순서적으로 나열되며, 이것이 순위리스트를 이루게 된다.
이하, 읽기 및 쓰기가 가능한 시스템에서는 디스크(22) 내부에 구비된 리스트영역(22b)이 읽기전용 시스템에서의 비휘발성메모리(26;도 1참조)의 역할을 대용하는 것 외에는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파일에 대한 선택횟수를 비교하여 선택횟수의 크기에 따른 파일의 리스트를 자동적으로 작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주 이용되는 파일과 이용되지 않는 파일을 용이하게 구별하고 이용되지 않는 파일에 대하여는 삭제 또는 분리 등의 별도의 관리를 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2)

  1. 고유의 식별부호를 갖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일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파일의 선택횟수에 대한 누적값, 상기 식별부호, 및 상기 기록매체가 선택된 횟수에 따른 상기 식별부호의 누적값을 기록하는 메모리; 및
    상기 파일 및 상기 식별부호의 선택횟수에 따른 상기 누적값을 카운트하고 이를 토대로 상기 메모리를 갱신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일의 선택횟수에 따른 상기 누적값이 상기 식별부호에 연계되어 상기 메모리에 기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 자동작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선택명령이 인가시,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상기 파일, 및 식별부호의 누적값중 상기 선택명령에 대응되는 누적값을 1씩 증가시키되, 상기 선택명령에 대응되는 파일 및 상기 파일에 대한 상기 누적값이 상기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파일의 명칭 및 상기 파일이 속한 식별부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 자동작성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에 대응되는 상기 누적값을 조회하고, 상기 조회결과에 따라 상기 선택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파일 및 상기 파일에 대응되는 상기 누적값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 자동작성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 파일에 대한 전체리스트가 표시되는 전체리스트모드 및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상기 파일을 상기 선택횟수에 따른 누적값의 크기 순으로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순위리스트모드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 자동작성 시스템.
  5. 파일 및 상기 파일에 대한 부가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리스트영역을 구비하며, 읽기 및 쓰기가 가능한 기록매체;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파일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선택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파일의 선택횟수에 대한 누적값을 카운트하고 이를 상기 리스트영역에 기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리스트영역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파일의 선택횟수에 대한 누적값이 갱신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 자동작성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리스트영역에 기록된 상기 파일 및 이에 대응되는 누적값을 조회하고, 상기 누적값에 따라 상기 선택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파일에 대응되는 명칭 및 상기 누적값을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 자동작성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파일에 대한 전체리스트가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체리스트모드 및 상기 파일의 선택횟수인 상기 누적값의 크기에 따라 상기 파일에 대응되는 상기 명칭 및 상기 누적값이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순위리스트모드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 자동작성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상기 기록매체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식별부호, 상기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영역, 및 상기 파일에 대한 부가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리스트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리스트영역은 상기 선택된 파일에 대응되는 명칭, 및 상기 누적값이 기록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 자동작성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적값이 상기 식별부호와 연계되어 상기 리스트영역에 기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 자동작성 시스템.
  10. 파일 및 상기 파일에 대한 부가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리스트영역을 구비하는 기록매체를 구비하는 리스트 자동작성 시스템에서 상기 리스트를 자동작성허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파일들 중 적어도 하나의 파일에 대한 선택명령이 입력시, 상기 선택된 파일에 대한 선택횟수의 누적값을 증가시키는 단계;
    증가된 상기 누적값과 적어도 한번 이상 기 선택된 상기 파일들에 대한 상기 누적값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결과에 따른 상기 파일들의 리스트를 상기 기록매체에 구비되는 상기 리스트영역에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 자동작성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의 식별부호를 확인하고, 상기 기록매체의 사용횟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누적값 증가단계는 상기 식별부호에 대응되는 상기 기록매체 고유의 상기 누적값을 증가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 자동작성 방법.
  12. 삭제
KR10-2001-0029145A 2001-05-25 2001-05-25 사용자가 선호하는 파일들의 목록을 자동으로 작성하는시스템 및 그 리스트 자동작성 방법 KR100392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145A KR100392631B1 (ko) 2001-05-25 2001-05-25 사용자가 선호하는 파일들의 목록을 자동으로 작성하는시스템 및 그 리스트 자동작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145A KR100392631B1 (ko) 2001-05-25 2001-05-25 사용자가 선호하는 파일들의 목록을 자동으로 작성하는시스템 및 그 리스트 자동작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023A KR20020090023A (ko) 2002-11-30
KR100392631B1 true KR100392631B1 (ko) 2003-07-23

Family

ID=27706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145A KR100392631B1 (ko) 2001-05-25 2001-05-25 사용자가 선호하는 파일들의 목록을 자동으로 작성하는시스템 및 그 리스트 자동작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26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001B1 (ko) 2005-10-14 2007-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0344A (en) * 1993-09-22 1995-04-25 Arrowsmith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ng video programs based on viewers' preferences
KR0132853B1 (ko) * 1993-12-30 1998-04-16 김광호 가요반주기의 가요 베스트 텐 관리방법
KR20000013758A (ko) * 1998-08-13 2000-03-06 안민용 멀티미디어 파일 보강 사용 방법 및 기록매체
KR20000043028A (ko) * 1998-12-28 2000-07-15 이달수 영상 가요 반주기의 애창곡 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0344A (en) * 1993-09-22 1995-04-25 Arrowsmith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ng video programs based on viewers' preferences
KR0132853B1 (ko) * 1993-12-30 1998-04-16 김광호 가요반주기의 가요 베스트 텐 관리방법
KR20000013758A (ko) * 1998-08-13 2000-03-06 안민용 멀티미디어 파일 보강 사용 방법 및 기록매체
KR20000043028A (ko) * 1998-12-28 2000-07-15 이달수 영상 가요 반주기의 애창곡 표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023A (ko) 2002-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56809B (zh) 形成包括关于多个信息存储介质的信息的盘库的再现设备
JP4490917B2 (ja) ファイル管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US20070255901A1 (en) Memory Card, Access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of Memory Card
JPH08279028A (ja) 可搬格納デバイス、及びリポジトリ中に格納されたドキュメントをドキュメントカードからアクセスするための方法
US20060130097A1 (en) User history information generation of multimedia data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JP2006073183A (ja) 情報取得方法及び情報取得装置
KR100761473B1 (ko) 휴대용 기기의 파일관리장치 및 파일관리방법
CN1114167C (zh) 多文件系统的灵活管理
KR100491193B1 (ko) 정보 기록 매체, 정보 기록 방법, 정보 기록 장치, 정보재생 방법, 및 정보 재생 장치
CN101093666A (zh) 音频歌曲推荐方法
WO1992007360A1 (en) A recording medium library management system
KR100392631B1 (ko) 사용자가 선호하는 파일들의 목록을 자동으로 작성하는시스템 및 그 리스트 자동작성 방법
US20080226264A1 (en) Recording medium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30223319A1 (en) Optical disc player providing user-management function for MP3 files and method thereof
JP2007066370A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3578443B2 (ja) 記録情報管理方法
KR100725489B1 (ko) 지정된 파일을 자동으로 재생하는 휴대용 기기 및 그것을이용한 파일자동 재생방법
JPH1050031A (ja) データ記録方法
JPH097351A (ja) 電子ファイリング装置
KR100806848B1 (ko) 휴대용 기기의 파일루틴 표시장치 및 그 표시방법, 및그것을 이용한 휴대용 기기 및 파일재생방법
US7634172B1 (en) Methods for recording multiple sessions on a rewritable DVD disc
CN100468556C (zh) 制作信息记录介质的方法
JP2701271B2 (ja) 画像ファイル記録方法
CN100468361C (zh) 信息记录介质、对信息记录介质的访问装置以及访问方法
JPH09161371A (ja) 電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