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055B1 - 건물용 취수탱크의 수질감지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건물용 취수탱크의 수질감지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055B1
KR100392055B1 KR10-2001-0049630A KR20010049630A KR100392055B1 KR 100392055 B1 KR100392055 B1 KR 100392055B1 KR 20010049630 A KR20010049630 A KR 20010049630A KR 100392055 B1 KR100392055 B1 KR 100392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pollution
building
water quality
pol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0883A (ko
Inventor
손재설
Original Assignee
손재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재설 filed Critical 손재설
Priority to KR10-2001-0049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2055B1/ko
Publication of KR20020010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0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0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취수탱크의 수질을 감지하여 이상이 발생되었을 때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경보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대형 건물에는 수돗물이 저장되는 취수탱크가 설치되어 있고, 취수탱크에 저장된 수돗물은 건물에서 생활하는 사람의 용수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탱크 내부를 청결하게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물의 취수탱크 내부에 설치된 수질감지부(10)의 센서들에 의해 수질 오염의 발생이 감지되면, 즉각적으로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수질감시센터(61), 건물관리사무소(62), 건물관리인(63), 건물주(64) 등에게 수질 오염 발생을 즉각적으로 경보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수질 오염이 발생되었을 때 이를 조기에 발견하고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여 수질오염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건물용 취수탱크의 수질감지 경보장치{a water purity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취수탱크의 수질을 감지하여 이상이 발생되었을 때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경보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대형 건물에는 수돗물이 저장되는 취수탱크가 설치되어 있고, 취수탱크에 저장된 수돗물은 건물에서 생활하는 사람의 용수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탱크 내부를 청결하게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취수탱크를 주기적으로 청소하면 수돗물을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나, 빌딩의 입주자나 아파트의 거주자들이 탱크의 주기적인 청소 여부를 일일이 확인할 수 없었으며, 특히 관리자의 소홀로 인하여 취수탱크의 청소주기를 놓치는 경우가 허다하여 일단 오염된 수돗물을 거주자들이 마신 후에야 이를 알 수 있는 것이므로 안심하고 물을 마실 수 없었다.
또한, 주기적으로 취수탱크를 청소하더라도 탱크의 노후상태에 따라서 수돗물이 변질되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으며, 실제적으로 화학약품 등을 하천에 방류하였을 때 유독물질이 정화되지 않고 취수탱크로 유입되어 사회적인 문제점으로 대두된 적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취수탱크 내부에 설치된 용존산소감지센서에 의해 수질의 오염이 감지되면, 즉각적으로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수질감시센터, 건물관리사무소, 관리인 또는 건물주 등에게 수질 오염 발생을 알리는 음성 및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여 수질오염을 조기에 차단하여 거주자들이 오염된 수돗물을 마시기 전에 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용 취수탱크의 수질감지 경보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취수탱크 내부에 장착된 용존산소감지센서(11), 탁도감지센서(12), 산성도감지센서(13)에 의하여 수돗물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수질감지부(10)와; 상기 수질감지부(10)에 의해 감지된 미약한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20)와; 상기 증폭부(20)에서 증폭된 감지 신호를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수질 오염 발생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30)와; 상기 비교부(30)의 수질오염 신호가 입력되면 호출번호 기억부(41)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호출번호와, 경보 메시지 기억부(42)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수질오염 발생 경보용 음성 및 문자 메시지를 출력하는 중앙제어부(40)와; 상기 중앙제어부(40)로부터 출력되는 호출번호와 경보 메시지가 입력되면 자동으로 무선통신망(60)으로 무선 호출 신호와 함께 경보 메시지를 송출하여 수질 오염의 발생을 경보하는 무선송출부(50)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감지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질감지부
11 : 용존산소감지센서
12 : 탁도감지센서
13 : 산성도감지센서
20 : 증폭부
30 : 비교부
40 : 중앙 제어부
41 : 호출번호 기억부
42 : 경보 메시지 기억부
50 : 무선송출부
60 : 무선 통신망
61 : 수질감시센터
62 : 건물관리사무소
63 : 건물관리인
64 : 건물주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질감지부(10)는 취수탱크 내부에 장착된 용존산소감지센서(11), 탁도감지센서(12), 산성도감지센서(13)로 이루어져 취수탱크에 저장된 수돗물의 오염도를 감지한다.
상기 용존산소감지센서(11)는 수돗물에 용존하는 산소량을 감지하고, 산성도감지센서(13)는 수돗물의 산성도(ph)를 감지하며, 탁도감지센서(12)는 수돗물의 혼탁정도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전체적인 수돗물의 오염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증폭부(20)는 수질감지부(10)의 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미약한 신호를 증폭시킨다.
상기 비교부(30)는 증폭된 감지 신호를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수질 오염 발생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중앙제어부(40)는 비교부(30)의 수질 오염 발생 신호가 입력되면 호출번호 기억부(41)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호출번호와, 경보 메시지 기억부(42)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수질 오염 발생 경보용 음성 및 문자 메시지를 출력한다.
상기 호출번호 기억부(41)에는 수질을 감시하는 환경단체나 감시기관과 같은수질감시센터(61)에 수질 오염 발생 신고를 하기 위한 전화 번호,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건물관리사무소(62)의 전화 번호, 건물이나 다세대 주택의 건물관리인(63)의 전화 번호, 수질 오염이 발생된 건물주(64) 등의 전화 번호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상기 경보 메시지 기억부(42)에는 호출번호에 대한 무선 호출 응답 후에, 상기 수질감시센터(61), 건물관리사무소(62), 건물관리인(63), 건물주(64) 등에게 수질 오염 발생 사실을 경보하기 위한 음성 및 문자 메시지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
상기 무선송출부(50)는 중앙제어부(40)로부터 출력되는 호출번호와 경보 메시지가 입력되면 자동으로 무선통신망(60)으로 무선 호출 신호와 함께 경보 메시지를 송출하여 수질 오염의 발생을 경보한다.
상기 무선송출부(50)가 무선통신망(60)을 통하여 무선 호출 신호와 경보 메시지를 송출하면, 상기 무선통신망(60)에 연결되어 있는 수질감시센터(61), 건물관리사무소(62), 건물관리인(63), 건물주(64) 등은 수질 오염 발생을 즉각적으로 알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만약, 취수탱크 내부에 저장된 수돗물에 오염 물질이 발생되었을 때 수질감지부(10)의 용존산소감지센서(11), 탁도감지센서(12), 산성도감지센서(13)들은 수돗물의 용존산소, 혼탁정도, 산성도를 각각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면, 증폭부(20)에서 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미약한 신호를 증폭시킨 후 출력하여 상기 비교부(30)로 인가시킨다.
이때, 상기 비교부(30)는 입력된 감지 신호들의 수질 오염 발생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미리 설정한 기준값과 비교하고, 각각의 감지 신호들이 나타내는 전압값이 기준값 이상이라고 판별되면 수질 오염 발생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중앙제어부(40)로 인가시킨다.
이와 같이 비교부(30)의 수질 오염 발생 신호가 중앙제어부(40)로 입력되면, 상기 중앙제어부(40)는 호출번호 기억부(41)에 저장되어 있는 호출번호와 경보 메시지 기억부(42)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및 문자 경보 메시지를 무선송출부(50)로 인가시키며, 이에 따라서 무선송출부(50)는 무선통신망(60)으로 무선 호출 신호와 함께 경보 메시지를 송출하여 수질 오염 발생을 경보한다.
실제로, 상기 무선송출부(50)가 무선통신망(60)을 통하여 무선 호출 신호와 경보 메시지를 송출하면, 상기 무선 호출 신호와 경보 메시지는 상기 무선통신망(60)에 연결되어 있는 수질감시센터(61), 건물관리사무소(62), 건물관리인(63), 건물주(64) 등에게 수질 오염 발생 사실이 즉각적으로 전송된다.
따라서, 상기 수질감시센터(61)의 감시요원, 건물관리사무소(62)의 근무자, 건물관리인(63), 건물주(64) 등은 신속하게 수질 오염이 발생된 취수탱크에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것이므로 입주자나 거주자가 오염된 물을 마시는 폐단을 효과적으로 예방하여 건강을 안전하게 지켜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은 건물의 취수탱크 내부에 설치된 수질감지부(10)의 센서들에 의해 수질 오염의 발생이 감지되면, 즉각적으로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수질감시센터(61), 건물관리사무소(62), 건물관리인(63), 건물주(64) 등에게 수질 오염 발생을 즉각적으로 경보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수질 오염이 발생되었을 때 이를 조기에 발견하고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여 수질오염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질감지 경보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취수탱크 내부에 장착된 용존산소감지센서(11), 탁도감지센서(12), 산성도감지센서(13)에 의하여 수돗물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수질감지부(10)와; 상기 수질감지부(10)에 의해 감지된 미약한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부(20)와; 상기 증폭부(20)에서 증폭된 감지 신호를 기준값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서 수질 오염 발생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부(30)와; 상기 비교부(30)의 수질오염 신호가 입력되면 호출번호 기억부(41)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호출번호와, 경보 메시지 기억부(42)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수질오염 발생 경보용 음성 및 문자 메시지를 출력하는 중앙제어부(40)와; 상기 중앙제어부(40)로부터 출력되는 호출번호와 경보 메시지가 입력되면 자동으로 무선통신망(60)으로 무선 호출 신호와 함께 경보 메시지를 송출하여 수질 오염의 발생을 경보하는 무선송출부(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취수탱크의 수질감지 경보장치.
KR10-2001-0049630A 2001-08-17 2001-08-17 건물용 취수탱크의 수질감지 경보장치 KR100392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630A KR100392055B1 (ko) 2001-08-17 2001-08-17 건물용 취수탱크의 수질감지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630A KR100392055B1 (ko) 2001-08-17 2001-08-17 건물용 취수탱크의 수질감지 경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838U Division KR200208369Y1 (ko) 2000-07-31 2000-07-31 건물용 취수탱크의 수질감지 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883A KR20020010883A (ko) 2002-02-06
KR100392055B1 true KR100392055B1 (ko) 2003-07-28

Family

ID=19713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630A KR100392055B1 (ko) 2001-08-17 2001-08-17 건물용 취수탱크의 수질감지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20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350B1 (ko) * 2017-07-28 2018-08-10 이병학 물탱크 내부 및 외부의 상태 실시간 감지, 경보, 및 경보방송 시스템
KR102623682B1 (ko) 2023-07-06 2024-01-11 주식회사 엠에스텍 오염된 수돗물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공동주택(공동건물)용스마트 필터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39643B (zh) * 2011-12-26 2017-02-22 袁晓东 一种饮用水的水质检测装置及方法
CN104460577A (zh) * 2014-07-24 2015-03-25 上海市城市排水有限公司 一种水质安全预警决策系统
WO2016020909A1 (en) * 2014-08-04 2016-02-11 Broner Moshe An apparatus for monitoring liquid transportation vessels and liquid flowing through them
CN109506703A (zh) * 2018-09-13 2019-03-22 上海万朗水务科技有限公司 智能水箱远程监控管理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350B1 (ko) * 2017-07-28 2018-08-10 이병학 물탱크 내부 및 외부의 상태 실시간 감지, 경보, 및 경보방송 시스템
KR102623682B1 (ko) 2023-07-06 2024-01-11 주식회사 엠에스텍 오염된 수돗물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공동주택(공동건물)용스마트 필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0883A (ko) 2002-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3524B1 (en) Reduced false alarm security system
US7206645B2 (en) Mobile, unitary, wall-plugged, temperature and/or power monitoring and warning system for critical spaces
JP2009520262A (ja) 携帯監視装置
KR100392055B1 (ko) 건물용 취수탱크의 수질감지 경보장치
GB2395336A (en) Portable security device
GB2500270A (en) Apparatus for monitoring a sewerage system
JP3005931B2 (ja) 緊急通報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8106686A (zh) 一种水位监测报警系统
KR200208369Y1 (ko) 건물용 취수탱크의 수질감지 경보장치
JP3976072B1 (ja) 汚水浄化装置用の異常検知装置
EP2494532B1 (de) Alarmeinrichtung zur erkennung und mitteilung von umgebungs- und anlagenspezifischen zuständen
JP2005229320A (ja) 水門遠隔監視システム
KR20110009508A (ko) 기계 경비서비스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3223603A (ja) 事業所の異常事態防止集中管理システム
JP2010086463A (ja) 放流警報システム、放流警報装置、放流警報送出方法
JPH0975964A (ja) 小規模浄化槽の異常検知自動通報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H06274782A (ja) 全自動防災監視システム
KR100316140B1 (ko) 가스누출 및 원격 검침 관제시스템
JP2002109662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を備えた住宅及び住宅群
KR20030094793A (ko) 무선 센서를 이용한 방범장치
JP6979690B2 (ja) 警備用センタ装置及び警備用センタ装置の制御方法
JP3160082B2 (ja) 生活異常監視システム
KR100364209B1 (ko) 시스템 감시용 음성경보장치 및 방법
JP4909172B2 (ja) 警報情報遠隔報知装置及び警報情報遠隔報知システム
KR200208368Y1 (ko) 화재 경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