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1652B1 - 지능형 크루즈 콘트롤 시스템에서의 가속도 제어를 위한제어이득 결정방법 - Google Patents

지능형 크루즈 콘트롤 시스템에서의 가속도 제어를 위한제어이득 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1652B1
KR100391652B1 KR10-2000-0085889A KR20000085889A KR100391652B1 KR 100391652 B1 KR100391652 B1 KR 100391652B1 KR 20000085889 A KR20000085889 A KR 20000085889A KR 100391652 B1 KR100391652 B1 KR 100391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acceleration
control system
control gain
eq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5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6525A (ko
Inventor
권영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5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1652B1/ko
Publication of KR20020056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6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6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B60K31/02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including electrically actuated servomechanism including an electric control system or a servomechanism in which the vehicle velocity affecting element is actuated electr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60W30/143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19Control system elements or transfer functions
    • B60W2050/0021Differen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4Cruise control
    • B60Y2300/143Speed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ntrols For Constant Speed Trave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능형 크루즈 콘트롤 시스템에서의 가속도 제어를 위한 제어이득 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능형 크루즈 콘트롤 시스템을 수학식으로 모델링하는 단계와, 성능지수(J)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학식에 대해 상기 성능지수(J)를 최소화하도록 LRQ 기법을 이용하여 제어이득(,

Description

지능형 크루즈 콘트롤 시스템에서의 가속도 제어를 위한 제어이득 결정방법{Control gain decision method for decceleration control in intellectual cruis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지능형 크루즈 콘트롤 시스템에서의 가속도 제어를 위한 제어이득 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선행차와의 차간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운전자가 설정한 차속이나 선행차의 차속을 추종하면서 주행하도록 차량의 가속도를 제어하는 지능형 크루즈 콘트롤 시스템에서의 가속도 제어를 위한 제어이득 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능형크루즈 콘트롤 시스템은 선행차와의 차간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운전자가 설정한 차속이나 선행차의 차속을 추종하면서 주행하도록 차량의 가속도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차량의 가속도 제어를 위해 제어기로 입력되는 가속도 명령을 결정하는 종래의 방법은 하기의 수학식 1과 같다.
상기 수학식 1에서는 희망 가속도,는 제어기로 입력되는 가속도 명령,는 제어이득,상태변수,,는 제어이득,는 거리오차,는 속도오차,는 차간거리,는 헤드웨이 타임(headway time),는 현재속도,은 상대속도이다.
즉, 측정할 수 있는 거리오차()와 속도오차()에 적절한 제어이득(,)을 곱하여 차량의 가속도 명령을 결정한다.
이때, 상기 제어이득(,)은 거리오차()와 속도오차()를 동시에 '0'으로 보내도록 결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어이득(,)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많은 실험을 수행해야만 될 뿐만 아니라, 차간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차량의 속도를 운전자가 설정해 놓은 속도 또는 선행차의 속도로 유지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즉, 2가지 목적(차간거리와 설정속도)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제어이득(,)을 결정하기가 힘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최적제어기법을 사용하여 제어이득을 결정함으로써, 제어이득을 손쉽게 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속도와 거리를 동시에 추종할 수 있는 제어이득을 결정할 수 있는 지능형 크루즈 콘트롤 시스템에서의 가속도 제어를 위한 제어이득 결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크루즈 콘트롤 시스템에서의 가속도 제어를 위한 제어이득 결정방법은, 지능형 크루즈 콘트롤 시스템을 수학식으로 모델링하는 단계와, 성능지수(J)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학식에 대해 상기 성능지수(J)를 최소화하도록 LRQ 기법을 이용하여 제어이득(,)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지능형 크루즈 콘트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능형 크루즈 콘트롤 시스템을 다음과 같은 수학식 2로 모델링한다.
상기 수학식 2에서,상태변수의 미분값,,,는 매트릭스값,는 거리오차의 미분값,는 속도오차의 미분값,는 거리오차,는 속도오차,는 헤드웨이 타임(headway time),는 제어기로 입력되는 가속도 명령,는 외란이다.
그리고, 하기의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성능지수(J)를 결정한다.
상기 수학식 3에서,는 사용자가 결정할 수 있는 상수값이다.
상기와 같은 성능지수(J)의 의미는 제어시 발생되는 거리오차()와, 속도오차(), 그리고 제어기로 입력되는 가속도 명령()인 감/가속도값의 합이다.
이때, 상기 성능지수(J)에 포함되어 있는 상수값(,)은 제어시에 중요하게 생각되는 부분을 강조할 수 있는 일종의 가중치로서, 이 상수값을 조정하여 운전자가 중요시 하는 부분을 더욱 강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오차()에 대한 상수값은 '1', 속도오차()에 대한 상수값()은 '0.5', 그리고 가속도 명령에 대한 상수값()은 0.1이라고 한다면, 거리오차()를 줄이는데 제어의 중점을 두겠다는 의미가 된다. 또한, 거리제어 보다는 속도제어에 중점을 두겠다고 한다면 속도오차()에 대한 가중치()를 늘려 성능지수를 결정하면 된다. 또, 상수값(,)을 모두 같은 값으로 놓으면 거리 및 속도를 동시에 제어하면서 운전자가 느끼는 감/가속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수학식 2로 표현되는 지능형크루즈시스템에 대해 수학식 3으로 표현되는 성능지수(J)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최적제어기법의 하나인 LQR(Linear Quadratic Regulator) 기법을 이용하여, 제어이득(,)을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결정된 제어이득(,)을 하기의 수학식 4에 적용시켜서 가속도 명령을 결정한다.
상기 수학식 4에서,는 희망 가속도,는 제어기로 입력되는 가속도 명령,는 제어이득,상태변수,,는 제어이득,는 차간거리,는 헤드웨이 타임(headway time),는 현재속도,은 상대속도이다.
따라서, 상기 수학식 4로 결정되는 가속도 명령은 수학식 3으로 표현되는 성능지수(J)를 최소화하는 가속도 명령이 되며, 따라서 거리오차()와, 속도오차(), 그리고 제어기로 입력되는 가속도 명령()인 감/가속도값을 동시에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최적제어기법을 사용하여 제어이득을 결정함으로써, 제어이득을 손쉽게 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속도와 거리를 동시에 추종할 수 있는 제어이득을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지능형 크루즈 콘트롤 시스템을 수학식으로 모델링하는 단계와, 성능지수(J)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학식에 대해 상기 성능지수(J)를 최소화하도록 LRQ 기법을 이용하여 제어이득(,)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크루즈 콘트롤 시스템에서의 가속도 제어를 위한 제어이득 결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학식이 하기의 수학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크루즈 콘트롤 시스템에서의 가속도 제어를 위한 제어이득 결정방법.
    상기 수학식에서상태변수의 미분값,,,는 매트릭스값,는 거리오차의 미분값,는 속도오차의 미분값,는 거리오차,는 속도오차,는 헤드웨이 타임(headway time),는 제어기로 입력되는 가속도 명령,는 외란이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능지수(J)는 하기의 수학식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능형 크루즈 콘트롤 시스템에서의 가속도 제어를 위한 제어이득 결정방법.
    상기 수학식에서,는 거리오차,는 속도오차,는 제어기로 입력되는 가속도 명령,,는 사용자가 결정할 수 있는 상수값이다.
KR10-2000-0085889A 2000-12-29 2000-12-29 지능형 크루즈 콘트롤 시스템에서의 가속도 제어를 위한제어이득 결정방법 KR100391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889A KR100391652B1 (ko) 2000-12-29 2000-12-29 지능형 크루즈 콘트롤 시스템에서의 가속도 제어를 위한제어이득 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889A KR100391652B1 (ko) 2000-12-29 2000-12-29 지능형 크루즈 콘트롤 시스템에서의 가속도 제어를 위한제어이득 결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525A KR20020056525A (ko) 2002-07-10
KR100391652B1 true KR100391652B1 (ko) 2003-07-12

Family

ID=27689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5889A KR100391652B1 (ko) 2000-12-29 2000-12-29 지능형 크루즈 콘트롤 시스템에서의 가속도 제어를 위한제어이득 결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16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2618A (ko) * 2012-12-05 2014-06-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지능형 순항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2618A (ko) * 2012-12-05 2014-06-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지능형 순항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007247B1 (ko) * 2012-12-05 2019-08-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지능형 순항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525A (ko) 200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1955B2 (en) Preceding-vehicle following control system
Takahama et al. Model predictive control approach to design practical adaptive cruise control for traffic jam
US6233515B1 (en) Adaptive vehicle cruise control system and methodology
Higashimata et al. Design of a headway distance control system for ACC
CN110703754B (zh) 一种自动驾驶车辆路径与速度高度耦合的轨迹规划方法
Lee et al. Synthesis of robust lane keeping systems: Impact of controller and design parameters on system performance
Song et al. Model predictive control oriented shared steering control for intelligent vehicles
CN111338353A (zh) 一种动态驾驶环境下智能车辆变道轨迹规划方法
Winner et al. Conduct-by-wire–following a new paradigm for driving into the future
JP2000355234A (ja) 先行車追従制御装置
Yamamura et al. Development of an adaptive cruise control system with stop-and-go capability
Peterson et al. Exploiting linear structure for precision control of highly nonlinear vehicle dynamics
Rodic et al. Contribution to the integrated control synthesis of road vehicles
JP2012030659A (ja) 状況適合型運転支援装置
KR100391652B1 (ko) 지능형 크루즈 콘트롤 시스템에서의 가속도 제어를 위한제어이득 결정방법
Iijima et al. Development of an adaptive cruise control system with brake actuation
Ying et al. Research on adaptive cruise control systems and performance analysis using Matlab and Carsim
Weir et al. Review of control theory models for directional and speed control
Mayr Intelligent cruise control for vehicles based on feedback linearization
JPH0717298A (ja) 自動車の走行制御装置
JP3033354B2 (ja) 車間距離調整機能を備えた定速走行装置
Alleyne et al. Lateral displacement sensor placement and forward velocity effects on stability of lateral control of vehicles
Antonya et al. Predictive actuation of a driving simulator
JP2653196B2 (ja) 車両のローリング制御装置
Okamoto et al. A new hybrid sensorimotor driver model with model predictive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