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0365B1 - 자동 지역번호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지역번호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0365B1
KR100390365B1 KR10-2000-0079716A KR20000079716A KR100390365B1 KR 100390365 B1 KR100390365 B1 KR 100390365B1 KR 20000079716 A KR20000079716 A KR 20000079716A KR 100390365 B1 KR100390365 B1 KR 100390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code
terminal
base station
area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9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0545A (ko
Inventor
조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9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0365B1/ko
Publication of KR20020050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0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3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85Appending a prefix to or inserting a pause into a dialling sequ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발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지역번호 설정방법은, 초기에 지역별 기지국식별인자를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기지국은 기지국식별인자와 지역값이 달라지면 해당 변경 정보를 단문메시지나 원격제어서비스를 이용하여 단말기에 주기적으로 내려보내는 단계;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변경 정보를 메모리에 갱신시켜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가 자동지역번호 설정한 후 지역번호가 없는 일반 전화번호를 입력할 경우, 휴대 단말기에서 현재 위치한 지역의 지역번호를 자동으로 설정하여 전화를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며, 기존의 자동 지역번호설정은 단말기가 있는 지역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해야하고, 비상전화의 경우 지역번호를 덧붙여 발신하지 않으면 단말기 사용자가 있는 지역과 다른 곳으로 연결될 수도 있어서 지역번호를 신경 써서 붙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는데, 단말기가 속한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의 식별인자를 단문메시지나 원격제어서비스를 통해 전송 받아 단말기에 지역번호와 함께 저장해 둠으로써 언제 어디에서든지 단말기 사용자가 직접 설정해 주지 않아도 자동으로 지역번호를 설정해 주어 신속하게 전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자동 지역번호 설정방법{Auto-District Identification Setting Method}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지역번호 설정방법에 있어서, 특히 지역번호를 자동으로 설정하여 전화 발신시에 덧붙여 발신해 주는 자동 지역번호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단말기 사용자가 설정한 지역번호를 전화 발신시에 덧붙여서 발신하거나, 지역번호가 없이 발신하였는데, 그 발신방법은 도 1과 같으며, 도 1은 종래의 전화 발신시의 지역번호 설정의 동작순서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화발신을 위하여 단말기에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통화'키를 누르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 설정된 지역번호가 있는가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결과 설정된 지역번호가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입력된 전화번호에 설정된 지역번호를 덧붙여서 전화를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화발신의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전화발신을 원하면, 상기 단말기에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통화'키를 눌러서 발신을 시도한다(S101).
상기 발신시도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놓은 자동지역번호가 있는가를 검색하고(S102), 상기 검색에서 검색된 자동지역번호가 있다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 앞에 덧붙여서 전화를 발신하게된다(S103).
한편 상기 단계 S102에서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자동지역번호로 설정하지 않았다면,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입력한 번호만을 발신하게 된다(S104).
예를 들어, 단말기 사용자가 자동지역번호로 서울지역의 지역번호인 '02'를 설정해 두었다면, 단말기 사용자가 전화를 하기 위해 1234567+'통화'를 누르면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설정해둔 '02'를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입력한 번호에 덧붙여 '021234567'로 전화를 발신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단말기 사용자가 단말기를 사용하는 위치가 달라진다면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다시 해당지역번호를 다시 설정해 주어야 했는데,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주로 활동하는 지역이 서울이어서 서울지역번호인 '02'를 지역번호로 설정해 두었다 해도,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경기도로 활동지역을 옮긴다면 설정된 지역번호를 해당지역번호 '031'로 바꾸어서 다시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특히 미리 설정해둔 지역번호가 속하는 지역 이외에서의 비상전화의 경우 해당 지역번호를 덧붙여 입력해야 함으로써 시간지연이 있을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지역 이동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식별인자정보와 지역번호에 대한 정보를 단문메시지(SMS)나 원격제어서비스(OTA)로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내부 메모리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어떤 지역에 있더라고 자동으로 해당지역의 지역번호로 인식하고 해당 지역번호를 자동으로 덧붙여 전화발신이 가능토록 하여 단말기 사용자가 직접 설정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 자동 지역번호 설정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또한 본 발명은 비상전화의 경우 지역번호를 덧붙여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지역번호가 설정되므로 연결하는데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지역번호 설정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또한 휴대폰 또는 국제전화와 같이 지역번호가 필요하지 않은 번호일 경우, 비상 전화, 일반 전화번호 등 모든 전화번호에 대한 지역번호 설정 여부를 입력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구별한뒤, 발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지역번호 설정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화 발신시의 지역번호 설정의 동작순서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지역번호 설정방법에 따른 전화 발신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지역번호 설정방법에서 단말기에 저장되는 기지국의 식별인자와 지역번호를 업데이트하는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지역번호 설정방법은,초기에 지역별 기지국식별인자를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기지국은 기지국식별인자와 지역값이 달라지면 해당 변경 정보를 단문메시지나 원격제어서비스를 이용하여 단말기에 주기적으로 내려보내는 단계;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변경 정보를 메모리에 갱신시켜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가 자동지역번호 설정한 후 지역번호가 없는 일반 전화번호를 입력할 경우, 휴대 단말기에서 현재 위치한 지역의 지역번호를 자동으로 설정하여 전화를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한 전화번호가 비상 전화일 때는 자동지역번호설정에 관계없이 지역번호를 덧붙여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가 휴대폰의 망식별번호 또는 국제전화의 망식별번호로 시작되면, 지역번호에 관계없이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만을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지역번호 설정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지역번호 설정방법에 따른 전화 발신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지역번호 설정방법에서 단말기에 저장되는 기지국의 식별인자와 지역번호를 업데이트하는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및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화발신을 원하면,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통화'버튼을 눌러서 전화발신을 시도한다(S201).
상기 입력한 전화번호가 일반전화번호인가를 검색하고(S202), 상기 검색결과 일반 전화가 아니라면 비상전화인가를 검색한다(S208). 상기 입력한 전화번호가 비상전화번호라면 단말기 내부의 기지국 식별인자와 지역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번호를 설정하여 덧붙여서 발신한다(S206). 여기서 비상전화의 경우는 자동 지역번호 기능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지역번호를 붙여서 발신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자동으로 지역번호를 검색하여 설정하는 것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지역번호정보와 기지국 식별인자에 관한 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가지고 있고, 상기 단말기의 전원이 켜지면, 호 설정 전에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를 통하여 탐색 윈도우 파라미터값과, 망 식별번호(SID; system identification), 시스템 식별번호(NID; network identification)를 수신하여 등록을 하고, 상기 단말기의 기본적인 메모리에 저장된 기지국 식별인자와 지역번호 정보와 다른 값을 수신 받을 때마다 업데이트된다.
상기의 기지국 식별번호 정보와 지역번호정보의 업데이트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동작순서를 갖는데,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단말기는 초기에 만들어질 때 내부 메모리에 기본적인 지역번호정보와 각 지역별 기지국 식별인자값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단말기가 전원이 켜지면서 기지국에 등록되면, 기지국에서는 단말기로 상기 기지국의 식별인자인 망 식별번호와 시스템 식별번호등의 정보를 송신하고(301), 상기 기지국의 식별인자를 수신한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메모리에 저장해둔 기지국 식별인자와 상기 수신한 기지국 식별인자를 비교 검색하여 (S302), 기지국의 식별인자가 바뀌었다면, 메모리를 업데이트하고(S303), 바뀌지 않았다면 기존의 메모리값을 유지한다(S304).
상기 메모리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기가 위치를 변경하여 해당기지국이 바뀌거나, 지역번호에 대한 정보가 바뀔 때마다 사업자로부터 그 정보를 전달받아서 메모리를 업데이트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사업자로부터 받는 지역번호 정보 또는 기지국 식별번호 정보는 단문메시지 또는 원격제어서비스(OTA; over the air activation)등을 이용하여 받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계속하여 업데이트되는 지역번호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지역번호가 설정되어 전화가 발신된다.
한편 상기 단계 S202 및 단계 S208에서 상기 입력한 전화번호가 일반전화이거나, 일반전화번호는 아니지만 비상전화번호도 아니라면, 휴대폰 또는 국제전화와 같이 지역번호가 필요하지 않은 번호인가를 검색하고(S203), 상기 입력한 번호가 휴대폰 또는 국제전화와 같이 지역번호가 불필요한 번호라면 입력한 번호만을 발신하게 된다(S207).
또한 상기 단계 S203에서 휴대폰 또는 국제전화등 지역번호가 불필요한 번호가 아니라면, 상기 단말기가 자동 지역번호기능을 사용하도록 설정되었는가를 검색하고(S204), 상기 검색결과 자동 지역번호기능을 사용하도록 설정되었다면, 상기 단말기 사용자가 지역번호를 입력했는가를 검색하며(S205), 상기 검색결과 지역번호가 입력되었다면 입력한 번호만을 발신하고(S207), 상기 검색결과 지역번호가 입력되지 않았다면 해당 지역번호를 자동으로 설정하여 붙여서 전화를 발신한다(S206)
여기서, 자동 지역번호 기능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모든 전화번호에 적용되거나, 비상전화에만 국한되게 적용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단계 S204에서 자동 지역번호기능을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되었다면, 상기 입력된 번호만을 발신한다(S207).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지역번호 설정방법은, 휴대단말기에 지역별 기지국식별인자를 갖고 이를 기지국에서 내려 보내는 단문메시지나 원격제어서비스를 통해 주기적으로 갱신함으로써, 기존에 전화를 발신할 때 입력하거나 한 지역번호를 설정하여 사용할 때 다른 지역으로의 이동시 다시 설정해 주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해결함과 아울러, 지역번호의 번호 체계가 변경 및 추가되더라도 자동으로 덧붙여 발신이 가능토록 함에 있다.또한 휴대 단말기에서 기지국의 식별인자와 지역번호 정보를 단말기에 저장해두고, 단말기가 이동할 때마다 기지국으로부터 그 정보를 받아 상기 단말기의 기지국 식별인자와 지역번호 정보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함으로써,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변동될 때마다 지역번호를 자동으로 다시 설정하는 한편, 비상전화의 경우 지역번호를 입력해야하는 수고를 덜고 연결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또한 휴대폰 또는 국제전화와 같이 지역번호가 필요하지 않은 번호일 경우 입력한 번호만을 발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또한, 자동 지역번호 기능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모든 전화번호에 적용되거나, 비상전화에만 국한되게 적용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초기에 지역별 기지국식별인자를 휴대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기지국은 기지국식별인자와 지역값이 달라지면 해당 변경 정보를 단문메시지나 원격제어서비스를 이용하여 단말기에 주기적으로 내려보내는 단계;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변경 정보를 메모리에 갱신시켜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가 자동지역번호 설정한 후 사용자가 입력한 전화번호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지역번호가 없는 일반 전화번호를 입력할 경우, 휴대 단말기에서 현재 위치한 지역의 지역번호를 자동으로 설정하여 전화를 발신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입력된 전화번화가 비상전화일 때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지역의 지역번호 설정에 관계없이 지역번호를 덧붙여 발신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입력된 전화번호가 휴대폰의 망식별번호 또는 국제전화번호의 망식별번호로 시작되면, 지역번호에 관계없이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만을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지역번호 설정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0-0079716A 2000-12-21 2000-12-21 자동 지역번호 설정방법 KR100390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716A KR100390365B1 (ko) 2000-12-21 2000-12-21 자동 지역번호 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9716A KR100390365B1 (ko) 2000-12-21 2000-12-21 자동 지역번호 설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545A KR20020050545A (ko) 2002-06-27
KR100390365B1 true KR100390365B1 (ko) 2003-07-07

Family

ID=27684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9716A KR100390365B1 (ko) 2000-12-21 2000-12-21 자동 지역번호 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03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644B1 (ko) * 2006-03-09 2012-08-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국제 전화번호 자동발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183B1 (ko) * 2006-01-20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전화 시스템에서 전화번호 자동 처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440A (ko) * 1997-10-31 1999-05-15 유기범 휴대폰에서의 시내 지역번호 자동 삽입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440A (ko) * 1997-10-31 1999-05-15 유기범 휴대폰에서의 시내 지역번호 자동 삽입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644B1 (ko) * 2006-03-09 2012-08-0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국제 전화번호 자동발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0545A (ko) 200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3764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emergency call of mobile phone
US7457616B2 (en) Automatic telephone service forwarding device
KR100282958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피호자측의 현재시간 표시방법
US6757539B2 (en) Method and devices for dialling services
GB2389269A (en) Automatically setting voice processing parameters for communication with voice recognition servers
EP2352319A1 (en) Mobile unit communication system, area management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0390365B1 (ko) 자동 지역번호 설정방법
KR20020056371A (ko) 원격 제어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3701164B2 (ja) 携帯型通信機器
KR100308370B1 (ko) 휴대전화 데이터의 원격 관리 방법
KR20050035075A (ko) 무선 핸드세트들에 대한 비긴급 전화 번호들을 자동적으로갱신하는 방법
CN113891333B (zh) 网络的选择方法、选择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020056987A (ko)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발신번호 빈도순 전화번호검색방법
JP2002112344A (ja) 携帯電話システム
KR100449571B1 (ko) 전화 번호부 편집 기능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JPH07264653A (ja) 移動電話方式
JP3150128B2 (ja) 市外局番付加機能付き携帯電話装置および携帯電話システム
KR970004449A (ko) 셀룰라폰의 디테치 방법
WO20040217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a list of identification numbers
KR100504456B1 (ko) 지역 번호 자동 인식 기능을 가진 휴대폰의 호 발신방법
KR100686829B1 (ko) 외부 프리픽스 등록 메뉴를 제공하는 원폰 단말기 및 그방법
KR10067805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표시 및 발신 방법
KR20060074330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발신시 지역번호 자동 설정방법
KR20070023945A (ko) 긴급 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갖는이동통신단말기, 긴급 호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갖는 네트워크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방법
JPH11355828A (ja) 統合通信制御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