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4456B1 - 지역 번호 자동 인식 기능을 가진 휴대폰의 호 발신방법 - Google Patents

지역 번호 자동 인식 기능을 가진 휴대폰의 호 발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4456B1
KR100504456B1 KR1019970061161A KR19970061161A KR100504456B1 KR 100504456 B1 KR100504456 B1 KR 100504456B1 KR 1019970061161 A KR1019970061161 A KR 1019970061161A KR 19970061161 A KR19970061161 A KR 19970061161A KR 100504456 B1 KR100504456 B1 KR 100504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area
mobile phone
area cod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1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0690A (ko
Inventor
신민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61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4456B1/ko
Publication of KR19990040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지역 번호 자동 인식 기능을 가진 휴대폰의 호 발신방법은 기지국에서 이미 알고 있는 서비스권내의 지역 식별 ID를 기지국 데이터에 포함하여 송신하면 이를 수신하여 기지국 데이터에서 지역 식별 ID를 검출하여 저장한 후 유저가 지역 번호가 포함되지 않은 전화 번호로 전화를 걸면 저장된 지역 식별 ID를 전화 번호에 자동으로 포함하여 전화를 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폰이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권에 상응하는 지역 식별 ID를 포함한 기지국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 데이터로부터 검출한 지역 식별 ID를 저장하는 단계와, 입력된 전화 번호에 상기 서비스권에 상응하는 지역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지역 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입력된 전화 번호가 무선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휴대폰 사용자 식별 번호인지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전화 번호가 상기 휴대폰 사용자 식별 번호가 아닌 경우 상기 저장된 지역 식별 ID에 대응하는 지역 번호가 부가된 상기 입력된 전화 번호로 호를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지역 번호 자동 인식 기능을 가진 휴대폰의 호 발신방법{method for automatically acknowledging/sending area number of handset}
본 발명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저가 현재 위치하여 있는 지역의 지역 번호를 누르지 않아도 해당 지역 번호를 자동으로 발신하도록 한 지역 번호 자동 인식 기능을 가진 휴대폰의 호 발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폰의 지역 번호 인식/발신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지국은 핸드폰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기지국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러면 핸드폰은 상기 송신된 기지국 데이터를 수신하여 핸드폰의 현재 상태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상기 핸드폰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핸드폰의 상태를 파악하여 인식한다.
즉, 기지국은 상기 데이터를 통해 핸드폰이 지금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위치에 있다거나 전원을 오프하였다거나 통화중이거나 하는 등의 정보를 파악하여 인식한다.
이후, 유저가 핸드폰을 이용하여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지역 번호와 전화 번호를 입력하고 센드(SEND) 버튼을 누르면 기지국은 상기 상대방 전화 번호로 전화를 걸어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폰의 지역 번호 인식/발신방법에 있어서는 유저가 핸드폰을 이용하여 통화를 할 때마다 유저의 위치가 고정적이지 않기 때문에 지역 번호를 먼저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유저가 사용하기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유저가 많이 사용하는 전화 번호의 지역 번호를 한 개를 기저장시켜 놓을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 또한 유저가 기저장시켜 놓은 지역 번호에 해당하는 지역내에서도 유저가 실수로 그 지역 번호를 입력하여 전화를 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므로 혼선을 빚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기지국에서 이미 알고 있는 서비스권내의 지역 식별 ID를 기지국 데이터에 포함하여 송신하면 이를 수신하여 기지국 데이터에서 지역 식별 ID를 검출하여 저장한 후 유저가 지역 번호가 포함되지 않은 전화 번호로 전화를 걸면 저장된 지역 식별 ID를 전화 번호에 자동으로 포함하여 전화를 하도록 한 지역 번호 자동 인식 기능을 가진 휴대폰의 호 발신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역 번호 자동 인식 기능을 가진 휴대폰의 호 발신방법은, 휴대폰이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권에 상응하는 지역 식별 ID를 포함한 기지국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 데이터로부터 검출한 지역 식별 ID를 저장하는 단계와, 입력된 전화 번호에 상기 서비스권에 상응하는 지역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지역 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입력된 전화 번호가 무선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휴대폰 사용자 식별 번호인지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전화 번호가 상기 휴대폰 사용자 식별 번호가 아닌 경우 상기 저장된 지역 식별 ID에 대응하는 지역 번호가 부가된 상기 입력된 전화 번호로 호를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역 번호 자동 인식 기능을 가진 휴대폰의 호 발신방법의 특징은, 기지국에서 이미 알고 있는 서비스권내의 지역 식별 ID를 기지국 데이터에 포함시켜 송신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역 번호 자동 인식 기능을 가진 휴대폰의 호 발신방법의 다른 특징은, 수신된 기지국 데이터에서 지역 식별 ID를 검출하여 그 검출된 지역 식별 ID를 저장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역 번호 자동 인식 기능을 가진 휴대폰의 호 발신방법의 또 다른 특징은, 입력된 전화 번호에 지역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검색하여 지역 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저장된 지역 식별 ID를 전화 번호에 포함하여 전화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역 번호 자동 인식 기능을 가진 휴대폰의 호 발신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역 번호 자동 인식 기능을 가진 휴대폰의 호 발신 방법의 플로우 챠트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기지국은 이미 알고 있는 자신의 서비스권내의 지역 식별 ID를 기지국 데이터에 포함하여 서비스권내의 모든 핸드폰으로 송신하다.
이에 따라 핸드폰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기지국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역 식별 ID를 검출한 후 이를 저장한다.
이후 유저가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입력하였을 경우 핸드폰내의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전화 번호에 지역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검색한다.
상기 검색 결과 지역 번호가 포함되어 있다면 그 전화를 걸어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울러 제어부는 상기 검색 결과 지역 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부가 서비스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검색한다.
여기서 부가 서비스 번호는 호출 번호 다른 핸드폰의 번호 등을 나타낸다.
상기 검색 결과 부가 서비스 번호가 포함되어 있다면 제어부는 상기 부가 서비스 번호로 전화를 걸어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검색 결과 부가 서비스 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지역 번호를 전화 번호에 포함하여 해당 전화 번호로 전화를 걸어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역 번호 자동 인식 기능을 가진 휴대폰의 호 발신방법은 기지국에서 이미 알고 있는 서비스권내의 지역 식별 ID를 기지국 데이터에 포함하여 송신하면 이를 수신하여 기지국 데이터에서 지역 식별 ID를 검출하여 저장한 후 유저가 지역 번호가 포함되지 않은 전화 번호로 전화를 걸면 저장된 지역 식별 ID를 전화 번호에 자동으로 포함하여 전화를 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일반 전화기를 사용하는 것처럼 전화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지역 번호 자동 인식 기능을 가진 휴대폰의 호 발신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Claims (1)

  1. 휴대폰이 기지국으로부터 서비스권에 상응하는 지역 식별 ID를 포함한 기지국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 데이터로부터 검출한 지역 식별 ID를 저장하는 단계;
    입력된 전화 번호에 상기 서비스권에 상응하는 지역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지역 번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입력된 전화 번호가, 무선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휴대폰 사용자 식별 번호인지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전화 번호가 상기 휴대폰 사용자 식별 번호가 아닌 경우, 상기 저장된 지역 식별 ID에 대응하는 지역 번호가 부가된 상기 입력된 전화 번호로 호를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역 번호 자동 인식 기능을 가진 휴대폰의 호 발신방법.
KR1019970061161A 1997-11-19 1997-11-19 지역 번호 자동 인식 기능을 가진 휴대폰의 호 발신방법 KR100504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1161A KR100504456B1 (ko) 1997-11-19 1997-11-19 지역 번호 자동 인식 기능을 가진 휴대폰의 호 발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1161A KR100504456B1 (ko) 1997-11-19 1997-11-19 지역 번호 자동 인식 기능을 가진 휴대폰의 호 발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690A KR19990040690A (ko) 1999-06-05
KR100504456B1 true KR100504456B1 (ko) 2005-10-19

Family

ID=37305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1161A KR100504456B1 (ko) 1997-11-19 1997-11-19 지역 번호 자동 인식 기능을 가진 휴대폰의 호 발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44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5304A (ja) * 1992-10-12 1994-05-06 N T T Idou Tsuushinmou Kk 自動電話番号プリセットシステム及び自動電話番号プリセット形移動局
JPH06253359A (ja) * 1993-03-01 1994-09-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移動通信端末機
KR19990035440A (ko) * 1997-10-31 1999-05-15 유기범 휴대폰에서의 시내 지역번호 자동 삽입 방법
KR100253141B1 (ko) * 1997-08-20 2000-04-15 윤종용 코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이동 단말에서 지역번호 자동설정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5304A (ja) * 1992-10-12 1994-05-06 N T T Idou Tsuushinmou Kk 自動電話番号プリセットシステム及び自動電話番号プリセット形移動局
JPH06253359A (ja) * 1993-03-01 1994-09-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移動通信端末機
KR100253141B1 (ko) * 1997-08-20 2000-04-15 윤종용 코드분할 다중접속 방식의 이동 단말에서 지역번호 자동설정 방법
KR19990035440A (ko) * 1997-10-31 1999-05-15 유기범 휴대폰에서의 시내 지역번호 자동 삽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690A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93317B1 (en) Method for establishing an emergency call from a mobile phone
KR100552867B1 (ko) 휴대 전화기 및 그 기지국
KR100740749B1 (ko) 서비스 다이얼링 방법 및 장치
KR20010031747A (ko) 호출자 식별에 기초하는 호출 자동 응답 방법
EP0858204A2 (en) A mobile telephon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EP2031845B1 (en) Telephone apparatus
KR10137155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미등록 전화 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100504456B1 (ko) 지역 번호 자동 인식 기능을 가진 휴대폰의 호 발신방법
KR20030045245A (ko) 휴대용 단말기의 비상시 콜 방법 및 장치
KR100298153B1 (ko) 통신기기의지역번호자동선택/송출방법
KR200193157Y1 (ko) 음성인식 자동다이얼링 통화시스템
KR100390365B1 (ko) 자동 지역번호 설정방법
KR100762665B1 (ko) 로밍 서비스에서의 발신 방법
KR0162615B1 (ko) 키폰시스템에서 포기호 정보를 읽을 수 있는 내선을 지정하는 방법
KR2003003825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자정보 처리방법
KR100229727B1 (ko) 키폰의 부재중 안내방법
KR100464497B1 (ko) 부재중 발신정보 전송기능이 구비된 전화기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WO20040217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updating a list of identification numbers
KR20000001057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화번호 제공방법
KR970004449A (ko) 셀룰라폰의 디테치 방법
KR100863040B1 (ko) 재발신 전화번호 선택방법
JP2001217917A (ja) 発信者電話番号通知制御方法及び電話装置
KR2002003788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한 단문 메시지의 회신 방법
KR20020053236A (ko) 간이교환기시스템의 내선 직접 호출 방법
KR20020054584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비상전화 자동 연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