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446B1 - 방오장치를 구비한 열교환기기 - Google Patents

방오장치를 구비한 열교환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446B1
KR100389446B1 KR10-2001-7004586A KR20017004586A KR100389446B1 KR 100389446 B1 KR100389446 B1 KR 100389446B1 KR 20017004586 A KR20017004586 A KR 20017004586A KR 100389446 B1 KR100389446 B1 KR 100389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antifouling
heat exchanger
titanium
form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4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0109A (ko
Inventor
나카시마쇼지
사쿠라다시게루
이나가키슈이치
오바다다히코
우스이히데토시
가지야마다카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가부시키가이샤 나카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가부시키가이샤 나카보텍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10080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0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4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3/0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s by 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017Means for protecting offshore constructions
    • E02B17/0026Means for protecting offshore constructions against corro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4Preventing hull fou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3/0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s by 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 C23F13/02Inhibiting corrosion of metals by anodic or cathodic protection cathodic; Selection of conditions, parameters or procedures for cathodic protection, e.g. of electrical conditions
    • C23F13/04Controlling or regulating desired parame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017Means for protecting offshore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for prevention or elimination of depos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2Non-contaminated water, e.g. for industrial water supply
    • C02F2103/023Water in cooling circu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Prevention Of Electric Corrosion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해수에 접하는 구조물의 방오 장치(20)는, 해수(15)에 접하는 구조물의 해수측 표면에 절연성 접착제(6)를 통해 설치된 양극 형성 부재(4)를 구비하고 있다. 양극 형성 부재(4)에는, 전기 화학적으로 활성이고 안정한 전기적 촉매(3)가 피복되어 있다. 도전체(8)가 해수(15)에 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외부 직류 전원(7)의 정극(7a)이 양극 형성 부재(4)에 접속되고, 부극(7b)이 도전체(8)에 접속되어 있다. 외부 직류 전원(7)은 자동 전위 제어부(7c)를 내장하고 있고, 정극(7a)과 부극(7b) 사이의 전위가 해수 중에서 염소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산소를 발생시키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물의 금속 부분에 설치된 고무 라이닝 등이 파손된 경우에도 파손부에서의 금속 부분의 이상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오 장치를 구비한 열 교환 기기{HEAT EXCHANGER COMPRISING SOIL RESISTING DEVICE}
해수를 냉각수로서 취수(取水)하는 발전소에 있어서는, 열 교환기 전열관의 입구 또는 출구의 관판(管板)에 홍합, 조개, 히드로충 또는 해조류 등(해생 생물이라고 칭한다)이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이들 해생 생물은 전열관의 관 단부를 차단하여 세정용 스펀지의 통과 장해로 되거나, 전열관 내면을 폐색시키기도 한다. 이 때문에, 발전소는 이들의 제거 작업을 위해 가끔 부득이하게 조업을 정지하고 있다. 이들 해생 생물은 구리 합금제의 관판 또는 전열관보다도 내(耐)해수성의 티타늄제 관판 또는 전열관에 부착되기 쉽다.
또한, 고무 라이닝(lining)되어 있는 강철제의 수실(水室)에서는, 스트레이너(strainer)의 그물을 빠져나간 유생(幼生)의 해생 생물이 착생하고, 성육하여, 탈락을 반복한다. 이것은 냉각용 전열관 내면을 폐색시킨다.
이들 해생 생물의 구제(驅除) 또는 부착 방지(이하, 방오라고 칭한다)를 위해, 염소 또는 염소 화합물의 환경 해수로의 투입, 독성 이온 생성 안료(顔料) 함유 방오 도료의 도포, 해수 전해에 의한 염소 또는 구리와 같은 독성 이온의 생성 등의 수단이 행해지고 있다.
이들 방법은 효과적인 방오 기능을 발휘하나, 대량의 해수 환경에 있어서는 그의 양이나 농도의 관리가 용이하지 않으며, 확실한 방오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 과대 농도로 되기 쉽다. 그 결과, 환경오염의 원인으로 될 가능성이 높아, 오늘날에는 그러한 수단의 사용은 금지 또는 억제되고 있다.
무공해 및 무독성의 방오 대책도 최근 많은 연구자나 기술자에 의해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예를 들면, 실리콘계 방오 도료는 무공해 및 무독성이지만 방오 효과가 있다. 그러나, 실리콘계 방오 도료는, 조개껍질 등의 이물의 접촉에 의해 방오 수명이 단축되는 것, 시공 비용이 높은 것, 대면적의 구조물이나 기존의 시설로의 간단 용이한 시공수단이 없는 것, 해수의 흐름을 정지시키면 방오 효과가 감소되는 것 등의 결점 때문에 널리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일본국 특공평01-46595호 공보에는 다른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 방법은, 물 또는 해수와 접하는 티타늄제 열 교환기 등의 표면에 주로 백금족 금속의 혼정(混晶) 또는 이들 금속의 산화물과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전기적 촉매 피막을 형성하고, 이것을 양극으로서 전해하며, 염소 가스를 실질적으로 발생시키지 않고 충분한 산소를 발생시킴으로써, 수중 생물 및 스케일 침적을 억제한다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물 또는 해수와 접하는 티타늄제 구조 부재의 표면에 전기적 촉매를 형성하고 양극으로서 작용시키기 때문에, 티타늄제 구조 부재와 도통하고 있는 열 교환기를 구성하는 다른 금속 부재(예를 들어, 수실 또는 도수관 등은 통상 강철제로 고무 라이닝 등이 실시되어 있다)도 양극적으로 부하된다. 따라서, 고무 라이닝 등이 어떠한 이유에 의해 파손된 경우, 이 파손부로부터 유출 전류가 생겨, 티타늄재 이외의 구성 금속 부재가 이상(異常) 부식하게 된다.
또한, 이 방법은, 전기적 촉매의 촉매 활성을 위한 처리에 있어서, 350∼450℃에서 수시간의 전기 저항 가열 처리 등을 실시하기 때문에, 그 때의 발생 열 또는 열 응력 등에 의한 구조물의 손상이 우려되며, 비용이 막대해진다. 따라서, 이 방법도 널리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해수와 접하는 구조물의 해수측 표면에 대한 해생(海生) 생물의 부착을 방지하는 방오(防汚)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해수와 접하는 구조물의 해수측 표면에 전기적 촉매를 형성하고, 전기적 촉매로부터 산소를 발생시켜 해생 생물의 부착을 방지하는 방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에 접하는 구조물의 방오 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수에 접하는 구조물의 방오 장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해수에 접하는 구조물의 방오 장치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수에 접하는 구조물의 방오 장치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선행기술인 일본국 특공평01-46595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열 교환기를 구성하는 티타늄제 부재에 전기적 촉매를 직접 피복한 후, 전기 저항 가열 등에 의해 350∼450℃에서 수시간의 가열 처리를 행하는 열 활성화 처리를 행하여 양극으로 하기 때문에, 발생 열 또는 열 응력 등에 의한 구조물의 손상이 우려되며, 비용이 막대해진다.
또한, 통상 티타늄제 열 교환기일지라도, 티타늄제 부재가 사용되어 있는 개소는 전열관 또는 관판에 한정되고, 본체 동부(胴部) 또는 수실, 열 교환기로 해수를 유도하는 도수관 또는 해수를 바다로 되돌리는 방수관 등은 강철제이다. 강철제의 수실, 도수관, 방수관 등은 전기적으로 티타늄제 부재와 도통하고 있기 때문에, 해수와 접촉하면 갈바니(galvanic) 부식을 일으켜, 강철이 심하게 부식된다. 따라서, 해수와 접촉하는 강철재 표면은 부식 방지를 위해 고무 라이닝 등이 시공되어 있다.
고무 라이닝 등이 파손된 경우에는, 강철제 부재를 전기적으로 강철제 부재의 방식(防食) 전위까지 낮추는 음극 방식법을 채용하여 강철제 부재와 도통하고 있는 티타늄제 부재를 음극적으로 부하할 필요가 있으나, 상기 공보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티타늄제 부재를 양극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에 도통하고 있는 강철제의 수실, 도수관, 방수관도 양극적으로 부하되어 있고, 원리상 음극 방식법을 채용할 수 없으며, 파손부로부터 유출 전류가 생겨 강철제 부재가 이상 부식을 일으키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 교환기의 티타늄 관판면 등에 전기 저항 가열 등의 열을 가하지 않고 용이하게 전기적 촉매를 설치하고, 또한 티타늄 관판 등의 열 교환기 구조 부재와 전기적으로 절연함으로써, 금속 부재에 형성된 고무 라이닝 등이 어떠한 이유에 의해 파손된 경우에도 음극 방식법을 채용하여 파손부에서의 금속 부재의 이상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방오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해수에 접하는 구조물의 해수측 표면에서 산소를 발생시켜, 구조물의 해수측 표면에서의 해생 생물의 착생을 억제하는 방오 장치에 있어서, 해수에 접하는 구조물의 해수측 표면에 절연성 접착제를 통해 설치된 양극 형성 부재와, 양극 형성 부재에 피복된 전기 화학적으로 활성이고 안정한 전기적 촉매와, 해수에 접촉하도록 설치된 도전체와, 정극이 양극 형성 부재 또는 전기적 촉매에 접속되고, 부극이 도전체에 접속되며, 자동 전위 제어부를 내장한 외부 직류 전원을 구비하고, 외부 직류 전원은 정극과 부극 사이의 전위가 해수 중에서 염소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산소를 발생시키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에 접하는 구조물의 방오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전기적 촉매를 피복한 양극 형성 부재를 절연성 접착제에 의해 상온에서 구조물의 해수측 표면에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기 때문에, 열 응력 등에 의한 구조물의 손상 우려가 없으며, 절연재 접착제가 개재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티타늄 관판 등의 구조물과의 전기적 절연이 달성되고, 티타늄 관판 등과 도통하는 금속 부재를 보호하는 고무 라이닝 등이 어떠한 이유에 의해 파손된 경우에도 파손부에서의 금속 부재의 이상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해수에 접하는 구조물의 해수측 표면과 양극 형성 부재 사이에 절연 시트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적 촉매는 백금계 금속 또는 백금계 금속 산화물, 또는 코발트 또는 망간의 산화물로 이루어진 단일체, 혼정체 또는 복합체 중의 어느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양극 형성 부재는 티타늄 부재, 특히, 티타늄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티타늄 시트는 두께가 0.1∼0.3㎜이고 코일 형상으로 감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티타늄 시트는 복수 매로 분할되어 형성되어 있고, 인접하는 티타늄 시트끼리의 도통을 확보하기 위한 도통 테이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성 접착제는 해수 온도 0∼50℃에서 안정한 접착 강도를 갖는 변성 실리콘 폴리머와 에폭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탄력성 접착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해수에 접하는 구조물이, 복수의 티타늄제 전열관과, 복수의 티타늄제 전열관을 지지하는 티타늄제 관판을 갖는 티타늄제 열 교환기일 경우, 양극 형성 부재는 복수의 티타늄제 전열관의 관 직경에 대응하는 복수의 개구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해수에 접하는 구조물의 해수측 절연부에서 산소를 발생시켜, 구조물의 해수측 절연부에서의 해생 생물의 착생을 억제하는 방오 장치에 있어서, 해수에 접하는 구조물의 해수측 절연부에 설치된 양극 형성 부재와, 양극 형성 부재에 피복된 전기 화학적으로 활성이고 안정한 전기적 촉매와, 해수에 접촉하도록 설치된 도전체와, 정극이 양극 형성 부재 또는 전기적 촉매에 접속되고, 부극이 도전체에 접속되며, 자동 전위 제어부를 내장한 외부 직류 전원을 구비하고, 외부 직류 전원은 정극과 부극 사이의 전위가 해수 중에서 염소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산소를 발생시키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에 접하는 구조물의 방오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물의 해수측 절연부에서도 염소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산소를 발생시킬 수 있어, 해생 생물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전기적 촉매는 백금계 금속 또는 백금계 금속 산화물, 또는 코발트 또는 망간의 산화물로 이루어진 단일체, 혼정체 또는 복합체 중의 어느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양극 형성 부재는 티타늄 부재, 특히, 티타늄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티타늄 시트는 두께가 0.1∼0.3㎜이고 코일 형상으로 감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티타늄 시트는 복수 매로 분할되어 형성되어 있고, 인접하는 티타늄 시트끼리의 도통을 확보하기 위한 도통 테이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해수에 접하는 구조물의 해수측 절연부는 고무계 또는 수지계의 라이닝이 실시된 벽면일 수도 있다.
해수에 접하는 구조물이 콘크리트제 구조물일 경우, 도전체가 콘크리트 구조물용의 보강용 철근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해수에 접하는 구조물의 방오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해수에 접하는 구조물의 방오 장치(20)는, 해수(15)에 접하는 티타늄제 열 교환기(1)(구조물)의 해수(15)측 표면에서 산소를 발생시켜, 열 교환기(1)의 해수(15)측 표면에서의 해생 생물의 착생을 억제하는 방오 장치이다.
열 교환기(1)는 복수의 티타늄제 전열관(1b)과, 복수의 티타늄제 전열관(1b)을 지지하는 티타늄제 관판(1a)을 갖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 교환기(1)의 해수(15)측에는 내면에 고무 라이닝(11)이 형성된 수실(10)이 형성되어 있다.
방오 장치(20)는 열 교환기(1)의 해수(15)측 표면의 대략 전면(全面)에 절연성 접착제(6)를 통해 부착된 절연 시트(5)를 갖고 있다. 절연 시트(5)의 상면에는 절연성 접착제(6)를 통해 두께가 0.1∼0.3㎜인 패널 형상 티타늄 시트(4)(양극 형성 부재)가 대략 전면에 부착되어 있다.
절연성 접착제(6)는 변성 실리콘 폴리머와 에폭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고기능 탄력성 접착제이다. 이 접착제는 높은 절연성을 갖는 동시에, 해수 온도가 0∼50℃에서 안정된 접착 강도를 갖는다.
절연 시트(5) 및 패널 형상 티타늄 시트(4)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티타늄제 전열관(1b)의 관 직경에 대응하는 복수의 개구를 갖고 있다.
패널 형상 티타늄 시트(4)의 상면 측에는, 미리 촉매 피복 처리에 의해 피복되고, 전기 저항 가열 등에 의해 350∼450℃에서 수시간 가열 처리를 행하여 열 활성화 처리된, 전기 화학적으로 활성이고 안정한 전기적 촉매(3)가 형성되어 있다. 전기적 촉매(3)는, 구체적으로는, 백금계 금속 또는 백금계 금속 산화물이거나, 또는 코발트 또는 망간의 산화물로 이루어진 단일체, 혼정체 또는 복합체이다.
또한, 고무 라이닝(11)으로부터 해수(15)측을 향하여, 도전체(8)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조합(照合) 전극(12)도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방오 장치(20)는 외부 직류 전원(7)을 더 갖고 있고, 그의 정극(7a)은 패널 형상 티타늄 시트(4)에 접속되고, 부극은 도전체(8)에 접속되며, 조합극(7r)은 조합 전극(12)에 접속되어 있다. 외부 직류 전원(7)은 자동 전위 제어부(7c)를 내장하고 있고, 정극(7a)과 부극(7b) 사이에 형성되는 통전 회로의 전위가 해수(15) 중에서 염소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산소를 발생시키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값은, 구체적으로는, 해수 전해에 의해 염소가 발생하는 SCE 기준 전위 1.13V보다 낮고, 또한 표준 해수에서의 산소 발생 전위 0.52V보다 높은 값이다. 또한, 조합 전극(12)은 티타늄 시트(4)의 전위를 모니터하여 자동 전위 제어부(7c)의 데이터로서 이용하고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양극으로서 기능하는 패널 형상 티타늄 시트(4), 즉 전기적 촉매(3)의 전위가 외부 직류 전원(7)에 의해 0.52V 내지 1.13V의 범위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전기적 촉매(3)의 표면으로부터 염소의 발생이 억제되면서 산소가 발생한다. 따라서, 해생 생물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미리 전기적 촉매(3)를 피복한 패널 형상 티타늄 시트(4)를 절연성 접착제(6)에 의해 절연 시트(5)를 통해, 상온에서 열 교환기(1)의 해수(15)측 표면에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다. 따라서, 열 응력 등에 의한 열 교환기(1)의 손상 우려가 없고, 또한 절연재 접착제(6) 및 절연 시트(5)가 개재되기 때문에, 티타늄 관판(1a) 등과 패널 형상 티타늄 시트(4)의 전기적 절연이 달성되고, 티타늄 관판(1a)과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금속 부재의 이상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기적 촉매(3)가 백금계 금속 또는 백금계 금속 산화물이거나, 또는 코발트 또는 망간의 산화물로 이루어진 단일체, 혼정체 또는 복합체이기 때문에, 전극으로서의 활성화가 도모되는 동시에, 용출(溶出)량이 최소로 억제된다. 이에 따라, 장시간 안정된 산소 발생을 실현할 수 있다. 이 효과는 특히 양극 전류 밀도가 3A/㎡ 이하인 범위에서 현저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절연성 접착제(6)가 해수 온도 0∼50℃에서 안정된 접착 강도를 갖는 변성 실리콘 폴리머와 에폭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고기능 탄력성 접착제이기 때문에, 안정되며 내구성이 있는 접착 강도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그 탄력성에 의해 이물 등의 충돌에 대한 내구성도 높다.
또한, 양극 전위는 양극 표면의 전류 밀도의 함수이고, 전류 밀도가 커질수록 전위는 높아지고, 그에 따라 산소의 발생량도 비례하여 커진다. 즉, 양극의 전위를 1.13V에 보다 가깝게 유지하면, 염소가 생성되지 않고, 해생 생물을 사멸시키지도 않으며, 무공해 환경에 효과적인 방오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해수에 접하는 구조물의 방오 장치의 구성을 도 2에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해수에 접하는 구조물의 방오 장치(20)는, 절연 시트(5)가 형성되지 않고, 열 교환기(1)의 해수(15)측 표면에 절연성 접착제(6)만을 통해 패널 형상 티타늄 시트(4)가 부착되어 있는 것 이외는, 도 1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표기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절연 시트(5)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절연성 접착제(6)에 의한 절연 작용이 충분하면, 티타늄 관판(1a) 등과 패널 형상 티타늄 시트(4)의 전기적 절연이 달성되고, 티타늄 관판(1a) 등에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금속 부재의 이상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해수에 접하는 구조물의 방오 장치의 구성을 도 3에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해수에 접하는 구조물의 방오 장치(20)는, 패널 형상 티타늄 시트(4)가 폭 1m 이하의 밴드 형상 시트 부재로부터 부착되는 관판(1a)의 크기에 따라 재단되어 분할 형성되고, 관판(1a)에 절연성 접착제(6)를 통해 접합되는 동시에, 인접하는 패널 형상 티타늄 시트(4)끼리의 전기 도통을 확보하기 위한 도통 테이프(9)가 설치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다.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낸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표기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통 테이프(9)는 패널 형상 티타늄 시트(4)와 동일한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미리 공장 등에서 티타늄 시트(4)에 촉매 피복 처리하고, 전기 저항 가열 등에 의해 350∼450℃에서 수시간 가열 처리를 행하여 열 활성화 처리를 행하며, 전열관(1b)을 위한 개구 처리 등을 행한 후에, 티타늄 시트(4)를 현지로 운반할 수 있다. 특히, 티타늄 시트(4)의 두께가 0.1∼0.3㎜이고, 폭이 1m 이하이기 때문에, 티타늄 시트(4)를 코일 형상으로 감는 것이 가능하며, 통상의 내경(內徑)이 600㎜ 정도인 맨홀(manhole)로부터 삽입하여 부착 시공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인접하는 패널 형상 티타늄 시트(4)끼리의 전기적 도통은 도통 테이프(9)에 의해 확보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해수에 접하는 구조물의 방오 장치의 구성을 도 4에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해수에 접하는 구조물의 방오 장치(20)는, 해수(15)의 유입측 및 방출측의 수실(10)에 형성한 고무 라이닝(11)(구조물)의 해수(15)측 표면에서 산소를 발생시켜, 해생 생물의 착생을 억제하는 방오 장치이다.
방오 장치(20)는, 고무 라이닝(11)의 해수(15)측 표면에 접착제(16)를 통해 두께가 0.1∼0.3㎜인 패널 형상 티타늄 시트(4)(양극 형성 부재)가 부착되어 있다. 접착제(16)는 절연성을 가질 필요가 없다. 또한, 패널 형상 티타늄 시트(4)가 복수 매로 분할되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도통테이프(9)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이다.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표기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절연체인 고무 라이닝(11)에 형성된 전기적 촉매(3)의 표면으로부터 염소의 발생이 억제되면서 산소가 발생한다. 따라서, 절연체인 고무 라이닝(11)의 해수(15)측 표면에서도 해생 생물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7)

  1. 티타늄과 적어도 더 1 종류 이상의 금속 재료로 구성되는 열 교환 기기의 해수측 표면에서 산소를 발생시켜, 그 열 교환 기기의 해수측 표면에서의 해생(海生) 생물의 착생을 억제하는 방오(防汚) 장치를 구비한 열 교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기기의 해수측 표면에 절연성 접착제를 통해 설치된 양극 형성 부재;
    상기 양극 형성 부재에 피복된 전기 화학적으로 활성이고 안정한 전기적 촉매;
    상기 열 교환 기기와는 전기적으로 절연되면서 해수에 접촉하도록 설치된 도전체; 및
    정극이 상기 양극 형성 부재 또는 상기 전기적 촉매에 접속되고, 부극이 상기 도전체에 접속되며, 자동 전위 제어부를 내장한 외부 직류 전원
    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 직류 전원은, 정극과 부극 사이의 전위가 해수 중에서 염소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산소를 발생시키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 장치를 구비한 열 교환 기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촉매는, 백금계 금속 또는 백금계 금속 산화물, 또는 코발트 또는 망간의 산화물로 이루어진 단일체, 혼정(混晶)체 또는 복합체 중 어느 1 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 장치를 구비한 열 교환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형성 부재는, 두께가 0.1 ∼ 0.3㎜이고 코일 형상으로 감을 수 있는 티타늄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 장치를 구비한 열 교환 기기.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티타늄 시트는, 복수 매로 분할되어 형성되어 있고, 인접하는 티타늄 시트끼리의 도통을 확보하기 위한 도통 테이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 장치를 구비한 열 교환 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접착제는, 해수 온도가 0 ∼ 50℃에서 안정한 접착 강도를 갖는 변성 실리콘 폴리머와 에폭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탄력성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 장치를 구비한 열 교환 기기.
  9. 삭제
  10. 티타늄과 적어도 더 1 종류 이상의 금속 재료로 구성되는 열 교환 기기의 해수측 절연부에서 산소를 발생시켜, 이 열 교환 기기의 해수측 절연부에서의 해생 생물의 착생을 억제하는 방오 장치를 구비한 열 교환 기기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 기기의 해수측 절연부에 절연성 접착제를 통해 설치된 양극 형성 부재;
    상기 양극 형성 부재에 피복된 전기 화학적으로 활성이고 안정한 전기적 촉매;
    상기 열 교환 기기와는 전기적으로 절연되면서 해수에 접촉하도록 설치된 도전체; 및
    정극이 상기 양극 형성 부재 또는 상기 전기적 촉매에 접속되고, 부극이 상기 도전체에 접속되며, 자동 전위 제어부를 내장한 외부 직류 전원
    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 직류 전원은, 정극과 부극 사이의 전위가 해수 중에서 염소의 발생을 억제하면서 산소를 발생시키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 장치를 구비한 열 교환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촉매는, 백금계 금속 또는 백금계 금속 산화물, 또는 코발트 또는 망간의 산화물로 이루어진 단일체, 혼정체 또는 복합체 중 어느 1 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 장치를 구비한 열 교환 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형성 부재는, 두께가 0.1 ∼ 0.3㎜이고 코일 형상으로 감을 수 있는 티타늄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 장치를 구비한 열 교환 기기.
  13. 삭제
  14. 삭제
  15. 제10항에 있어서,
    티타늄 시트는, 복수 매로 분할되어 형성되어 있고, 인접하는 티타늄 시트끼리의 도통을 확보하기 위한 도통 테이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오 장치를 구비한 열 교환 기기.
  16. 삭제
  17. 삭제
KR10-2001-7004586A 1998-10-14 1999-10-14 방오장치를 구비한 열교환기기 KR1003894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214298A JP3769394B2 (ja) 1998-10-14 1998-10-14 防汚装置を備えた熱交換機器
JP1998-292142 1998-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0109A KR20010080109A (ko) 2001-08-22
KR100389446B1 true KR100389446B1 (ko) 2003-06-27

Family

ID=17778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4586A KR100389446B1 (ko) 1998-10-14 1999-10-14 방오장치를 구비한 열교환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11586B1 (ko)
JP (1) JP3769394B2 (ko)
KR (1) KR100389446B1 (ko)
CN (1) CN1109790C (ko)
WO (1) WO20000222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8169B2 (ja) 2000-11-29 2007-12-26 株式会社東芝 海水に接する構造物および熱交換器の防汚装置
KR20030037336A (ko) * 2001-11-01 2003-05-14 주식회사 효원종합건설 철근-강화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기방식 보수 방법
FR2851336B1 (fr) * 2003-02-14 2005-09-23 Saipem Sa Methode de test de reservoir cryogenique comportant une protection cathodique
JP4660072B2 (ja) * 2003-04-03 2011-03-30 株式会社東芝 海水ストレーナ
KR100458383B1 (ko) * 2004-02-26 2004-11-26 주식회사 케이씨 해양구조물의 전극봉 식별 시스템
JP4256319B2 (ja) * 2004-09-15 2009-04-22 株式会社東芝 海生生物付着防止装置および海生生物付着防止用複合プレート並びにその設置方法
JP4851175B2 (ja) * 2005-12-05 2012-01-11 株式会社ナカボーテック 熱交換器の防汚装置及び防汚方法
US7381312B1 (en) 2006-08-23 2008-06-03 Brunswick Corporation Cathodic protection system for a marine propulsion device with a ceramic conductor
KR100985546B1 (ko) * 2008-12-19 2010-10-05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성게 접근 차단 장치
CN102776518B (zh) * 2011-05-13 2014-01-15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区域阴极保护及接地系统干扰测试的室内模拟装置
JP5690680B2 (ja) * 2011-07-19 2015-03-25 クボタシーアイ株式会社 防汚システム用のパネル取付部材、それを設置した構造物および防汚システム
JP5661010B2 (ja) * 2011-09-08 2015-01-28 クボタシーアイ株式会社 防汚パネル部材の連結構造、防汚パネル、それを設置した構造物、および防汚パネル用の連結部材
JP5832219B2 (ja) * 2011-09-29 2015-12-16 クボタシーアイ株式会社 防汚パネルの施工方法
CN104818488B (zh) * 2015-05-29 2017-05-24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二五研究所 一种电解海水原位动态析氢的方法
CN114774947B (zh) * 2022-05-05 2023-05-26 青岛双瑞海洋环境工程股份有限公司 海洋钢结构电解防污装置
CN115288208A (zh) * 2022-09-05 2022-11-04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冲桩管保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5981A (en) * 1978-11-24 1982-08-24 Diamond Shamrock Corporation Anodically polarized surface for biofouling and scale control
US4256556A (en) 1978-11-24 1981-03-17 Diamond Shamrock Corporation Anodically polarized surface for biofouling and scale control
JPS6446595A (en) 1987-08-10 1989-02-21 Mitsubishi Electric Corp Antiaircraft protective car system
JPH10271942A (ja) * 1997-03-31 1998-10-13 Pentel Kk 電気化学的な生物制御用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69394B2 (ja) 2006-04-26
CN1323369A (zh) 2001-11-21
KR20010080109A (ko) 2001-08-22
CN1109790C (zh) 2003-05-28
US6511586B1 (en) 2003-01-28
JP2000119884A (ja) 2000-04-25
WO2000022240A1 (fr) 2000-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9446B1 (ko) 방오장치를 구비한 열교환기기
CN102618875B (zh) 混凝土的处理方法
AU2001280458A1 (en) Method and system of preventing fouling and corrosion of biomedical devices and structures
WO2001071063A1 (en) Battery-powered cathodic protection system
JP4028169B2 (ja) 海水に接する構造物および熱交換器の防汚装置
US20060054498A1 (en) System for preventing adhesion of marine organisms
JP2007309052A (ja) 構造物の防汚装置および防汚方法
JP2004339782A (ja) 構造物の防汚装置
JP3776647B2 (ja) 海水接触構造物の防汚装置およびその性能劣化監視方法
JP2004176088A (ja) プレート型熱交換器およびその防汚装置
JP4059457B2 (ja) 熱交換器および海水導水管の防汚・防食装置
JPH11140677A (ja) 銅又は銅合金製金網の防汚及び局部腐食防止の方法及び装置
JP2003013264A (ja) 海水に接する構造物および熱交換器の防汚装置
JP2007177449A (ja) 構造物の防汚装置
JP2007209954A (ja) 光触媒式防汚装置
CN215328372U (zh) 一种电厂进水间防腐蚀控制系统
JPH0325135B2 (ko)
JP2007132112A (ja) 海生生物付着防止装置、その複合プレート、装置の設置方法
JP4605913B2 (ja) 電気防汚装置及び電気防汚方法
JPH07300833A (ja) 水中構造物への電極板取付け方法
JPH11140841A (ja) 防汚用亜鉛電極装置
KR20000000726A (ko) 해수용 배관의 갈바닉 부식 제어 방법
JP2009274976A (ja) 生物付着防止方法
JP2003164881A (ja) 水接触構造物の電気化学的防汚装置およびその性能劣化監視方法
JP2003183866A (ja) 導水ラインの生物防汚・防食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