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182B1 - 완전자동식 자동 장전 무기 - Google Patents

완전자동식 자동 장전 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182B1
KR100389182B1 KR10-1999-7003377A KR19997003377A KR100389182B1 KR 100389182 B1 KR100389182 B1 KR 100389182B1 KR 19997003377 A KR19997003377 A KR 19997003377A KR 100389182 B1 KR100389182 B1 KR 100389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gger
tumbler
firing
shot
trigg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3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9268A (ko
Inventor
귀링만프레트
Original Assignee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헤클러 운트 코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00049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9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1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9/00Firing or trigger mechanisms; Cocking mechanisms
    • F41A19/06Mechanical firing mechanisms, e.g. counterrecoil firing, recoil actuated firing mechanisms
    • F41A19/42Mechanical firing mechanisms, e.g. counterrecoil firing, recoil actuated firing mechanisms having at least one hammer
    • F41A19/43Mechanical firing mechanisms, e.g. counterrecoil firing, recoil actuated firing mechanisms having at least one hammer in bolt-action guns
    • F41A19/46Arrangements for the selection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f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9/00Firing or trigger mechanisms; Cock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9/00Firing or trigger mechanisms; Cocking mechanisms
    • F41A19/01Counting means indicating the number of shots fired
    • F41A19/02Burst limiters

Abstract

본 발명은 완전자동식 자동 장전 무기, 바람직하게는 완전자동식 소형 무기에 관한 것으로, 단발의 발사시 이동할 수 있는 작동 부재(1)와, 단발의 발사를 허용하는 결합 및 분리가능한 단발 발사 장치(4)를 구비한다. 연발 발사되는 탄환의 수를 단 2발로 제한하기 위하여, 단발이 발사되고 단발 발사 장치(4)가 분리될 때, 단 한 발의 탄환만이 추가로 발사되도록 상기 단발 발사 장치(4)가 상기 작동 부재(1)의 운동에 의하여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작동 부재(1)는 공이치기(1)의 형상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완전자동식 자동 장전 무기{SELF-LOADING WEAPON}
본 명세서에서 작동 부재라 함은 탄환의 발사중 방출되는 에너지에 의해 이동하는 설계 요소를 말하는 것으로서, 그 예로서는 총신(barrel), 가스 실린더, 노리쇠뭉치(breech), 및 이러한 요소에 의해 필수적으로 이동하는 다른 부품, 말하자면 공이치기(hammer) 등이 있다. 탄환 방출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무기의 반동 동작(recoil motion)중에 그것의 위치를 유지하려고 시도하지만 결과적으로는 무기에 대해 변위되도록 된, 총신과 노리쇠뭉치로부터 완전히 독립적으로 기계적으로 이동가능한 고형체가 그러한 작동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전방", "상측" 등의 용어는 총구(bore)가 수평축을 따라 놓인 정상 발사 위치에서의 무기를 지칭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발사 방향을 "전방"으로 설정한 것이다.
전환 가능한(switchable) 단발 발사장치는 주로 완전자동식 자동 장전 무기, 특히 소형 화기뿐만 아니라 기관총(machine guns) 등에도 제공되는데, 이 장치는 결합 후 한발의 탄환만을 방출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사격수가 무기를 단발이나 연발로 교대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발사 선택기(shot selector)가 제공된다.
단발 기구는 전술한 유형의 작동 부재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원칙적으로는 하나의 독립된 기구, 어쩌면 지연 기구(delay mechanism)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지연 기구는, 탄환의 발사 후에도 여전히 후방으로 당겨져 있는 방아쇠와 록킹 장치 사이의 연결이 탄환 발사후에 바로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공이치기 또는 공이 편(firing pin piece)(무기를 마구 쏘아대는 경우) 또는 노리쇠뭉치(무기를 자동으로 발사하는 경우)가 후방에 보유될 수 있도록 하여서 제 2 탄환의 방출을 방지한다.
연발의 경우에는 여러 지형을 망라하고 또 적이 지형을 이용하여 숨는 것이 가능한 반면에, 단발의 경우에는 정확한 개별 발사가 가능하다. 그러나, 연발로 발사하게 되는 경우에 단일 표적에 명중할 가능성이 증가된다고 판명된 바 있다. 그러나, 연사(burst)의 제 1 탄환이 표적을 맞추면, 후속적인 탄환은 무기가 반동의 결과로 이동하기 때문에 표적을 지나가거나 표적에 못 미치게 되고, 어떤 경우에는 발사 라인 근방에 있는 사람에게 위협이 될 수도 있다. 더욱이, 탄환이 과도하게 발사되거나 또는 궁극적으로는 오발되면 사격자의 탄약통 비축량이 감소된다.
훈련된 사격수라면 어려움 없이 단 두발 또는 세발의 소망하는 횟수의 연속 발사를 하는 것이 확실히 가능하다. 그러나, 사격수가 발사중 이러한 제한된 발사 수에 신경을 집중시킬 때에, 실제 표적에는 그다지 주의를 집중시키지 못하게 된다. 더욱이, 무기는 일반적으로 훈련량이 적은 사람도 완벽히 취급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다른 것 중에서도 특히, 단발로 매우 정밀하게 발사가 가능하고, 발사 선택 레버에 의해 선택할 수 있으며 방아쇠의 작동중에는 3발의 정확한 연사가 되도록 하는 3발 기구(three-shot mechanism)를 추가로 갖춘 장치를 개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3발 메카니즘은 비교적 복잡하다.이와 유사한 복잡한 계수기가 미국 특허 제 US-A-3 345 914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된 기구는 연발 발사를 2발의 탄환만으로 제한하지만, 연발 발사를 2발 초과의 탄환으로 어려움 없이 변경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러한 종래기술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주 목적은 간단한 수단으로 신뢰성있는 발사수의 연사가 가능하도록 전술한 유형의 무기를 개조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이러한 과제는, 한 발의 탄환이 발사되고 단발 발사장치가 분리된 후, 단 한 발의 탄환만이 추가로 발사되도록 작동 부재의 이동에 의해서 단발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청구범위 제 1 항)에 의해서 해결된다.
이제 본 발명은 공지되어 있는 3발 연사를 2발로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연발에서 제 1 탄환의 발사 후, 단발로 설정된 무기 내에서 제 2 탄환이 발사되고, 제 2 탄환의 발사후 발사가 중단되도록, 어떤 추가의 기구 없이 작동 부재의 이동에 의해서 단발 동작으로 자동으로 변환될 수 있게 된다.
전제조건을 말하면, 단발 장치가 (예를 들면 독일군의 G3 무기에서와 같이) 연발시에 조작을 위하여 당겨지는 방아쇠의 해제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이 발명을 현행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없이 모든 공지의 방아쇠 장치에 시행할 수는 없다.
독일 특허 출원 제 19626077 호에 개시된 본 출원인의 방아쇠 장치가 본 발명의 실시에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본 명세서의 시작부터 밝혀두고자 한다. 따라서, 상기 독일 특허 출원 서류의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완전히 참고로 인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 부재는 다양할 수 있다. 공이가 노리쇠 뭉치에 확고하게 결합되어 있는 통상의 무기에 있어서는, 노리쇠 뭉치가 가장 바람직한 작동 부재일 것이다.
공이치기(hammer)를 갖는 무기에 있어서는, 또한 노리쇠 뭉치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무기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따라서 공이치기 자체를 작동 부재(청구범위 제 2 항)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공이치기가 결합되어 있는 단발 장치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발로의 전환 프로세스는, 단발 장치가 제 1 탄환의 발사후 또 하나의 탄환을 발사하는데 필요한 운동을 중단시킬 위험이 있을 정도로 빨리 발생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사격수(shooter)는 "2발(two-shot)"로 설정된 무기에서 2발의 탄환이 실제로 발사된다는 점에 좌우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공이치기 자체가 작동 부재로서 이용되는 경우, 보다 멀리 떨어져 있는 작동 부재로부터의 반송중 단발 장치의 결합 시간은 가급적이면 공차의 추가 없이 설계에 의해서 간단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G3의 방아쇠 장치와 마찬가지로 단발 이용시 중단 과정을 야기시키는 종방향 이동 및 피봇운동이 가능한 방아쇠 레버를 방아쇠의 상부에 구비하는 전술한 바 있는 방아쇠 장치를 개발하였다. 방아쇠가 해제되고 방아쇠 레버의 전방 팁이 공이치기의 대응하는 록킹 리세스내에 삽입되어 고정이 되고 나면, 공이치기는 방아쇠 레버를 하측으로 가압하여서, 방아쇠 레버의 후단부가 방아쇠의 돌기 위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돌기는 또한 방아쇠의 피봇점 후방에 위치한다.
이제 사격수가 방아쇠를 후방으로 당기면, 돌기는 상측으로 이동하여 방아쇠 레버의 후단부 아래쪽에 결합하며, 방아쇠 레버를 피봇 운동시켜 그것의 선단부를 록킹 리세스와의 결합상태로부터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공이치기는 후퇴하고, 이와 동시에 방아쇠 레버는 전방으로 가압되며, 그에 따라 그의 후단부가 돌기로부터 미끄러져서, 그것이 공이치기의 록크(lock) 내에 다시 결합할 수 있는 원래의 피봇 위치를 취하게 된다.
이제 공이치기는 방아쇠 레버를 후방으로 다시 가압하지만, 그것의 후단부는 여전히 후방으로 당겨져 있는 방아쇠 돌기의 앞쪽 위에 위치한다.
이제 방아쇠가 해제되면, 그 때 돌기는 방아쇠 레버 아래로 하향 이동하여 해제되고 후방으로 가압된다. 탄환 발사 전의 초기 위치에 다시 도달한다.
그러나, G3 무기에 있어서는 방아쇠 레버를 그의 전방 에지가 하측으로 오도록 피봇운동시키기 위하여 연발시에도 단발시와 마찬가지로 방아쇠를 후방으로 당겨서, 그것이 방아쇠의 돌기로부터 해제될 때 록킹 돌기내로 떨어질 수 없지만, 본 출원인의 방아쇠 장치에 있어서는 방아쇠가 연발시에 단발시와 동일한 피봇 위치를 취한다. 방아쇠 레버가 공이치기와의 결합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피봇운동하는 대신에, 슬라이드에 의하여 방아쇠 돌기의 전방에서 미끄럼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슬라이드는 발사 선택 장치의 부분을 형성한다.
따라서, 우선 이러한 유형의 방아쇠 장치에 있어서는 작동 부재를 형성하는 공이치기, 또는 작동 부재 그 자체를 단발 장치에 연결시키는 것이 유익하고(청구범위 제 3 항), 또한 전술한 슬라이드를 갖는 발사 선택 장치에 있어서는 그것을 홀딩 캐취(holding catch)와 함께 연발 위치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홀딩 캐치를 공이치기의 운동 경로 내에 장착하여서, 제 1 탄환의 방출후 슬라이드와의 결합으로부터 녹킹(knocked)시키는 것이 유익하다(청구범위 제 4 항). 이 홀딩 캐취는 그것의 후방 이동[콕킹 이동(cocking motion)]중에 공이치기를 피할 수 있도록 느슨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홀딩 캐취는 그것의 콕킹 이동중에 공이치기를 피하지만, 그것의 타격 이동중에는 그것에 결합하고, 그것이 덮는 원형 경로의 결과로서 공이치기와의 결합으로부터 해제될 때까지 함께 반송되도록 설계된 멈춤쇠(detent)를 구비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청구범위 제 5 항).
홀딩 캐취가 끌고 간 멈춤쇠에 의해 피봇운동하여 슬라이드를 해제한 후에는, 방아쇠 레버가 제 2 발사 후 콕킹된 공이치기를 보유할 때 슬라이드의 뒤쪽에 다시 결합할 수 있도록, 스프링에 의해서 그의 초기 위치로 다시 이동한다. 이제 방아쇠가 해제되고 다시 후방으로 당겨지게 되면, 전술한 과정이 반복되어 2개의 탄환을 방출하게 된다. 연발을 허용하려면, 홀딩 캐취가 슬라이드와의 결합부로부터 벗어나 피봇운동하고 이 벗어난 위치에 유지될 수 있어야만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려면,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작동 레버를 달고 있고, 단발시 슬라이드가 그것의 외측에서 그것의 회전 위치의 함수로서 돌기를 통하여 미끄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고 연발을 방지하도록 슬라이드를 통과할 수 있는 공지의 발사 선택 샤프트를 이용하는 것이 특히 유익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홀딩 캐취가 돌기를 갖고 발사 선택 샤프트가 리세스를 갖거나, 또는 홀딩 캐취가 리세스를 갖고 발사 선택 샤프트가 돌기를 가지며, 이들은 발사 선택 샤프트가 단발 영역내의 일 위치에 여전히 위치하고 있을 때 대응하는 돌기가 대응하는 리세스 내로 떨어지도록 배열된다(청구범위 제 6 항). 이렇게 내부로 떨어지는 것에 의해서, 홀딩 캐취가 슬라이드 내에 결합하여 그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조작 레버를 위한 록킹 위치가 만들어진다. 이것이 더욱 멀리 피봇운동한다면, 발사 선택 샤프트가 회전하여서, 홀딩 캐취의 돌기가 샤프트의 외주부 위에서 이동하거나 또는 발사 선택 샤프트의 돌기가 홀딩 캐취의 외측 에지 위에서 이동하게 되며, 그럼으로써 이것이 발사 선택 샤프트로부터 그리고 슬라이드와의 결합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피봇운동하고, 그 결과 동작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첨부된 개략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추가로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탄환의 발사에 의해 이동가능한 작동 부재와, 단발 발사를 허용하는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단발 발사 장치를 구비하는 완전자동식 자동 장전 무기(fully automatic self-loading weapon)에 관한 것이다(청구범위 제 1 항의 전제부).
도 1은 자동식 무기의 방아쇠 장치가 본 발명에 따른 2발 발사장치를 갖춘 것을 도시하는 핸들 부분의 종단면도,도 1a는 방아쇠를 당긴 후 해제할 때 방아쇠 레버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그의 선단부는 상방으로 가압되고 그의 후단부는 방아쇠의 돌출부로부터 미끄러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핸들 부분을 외측으로부터 본 부분도.
도 1에 도시된 방아쇠 장치에 있어서,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친숙한 부품은 본 발명을 보다 명료하게 하고 또한 그 이해를 돕기 위해 생략하였다.
도 1은 공이치기(1)가 콕킹 위치(cocked position)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데, 이 위치에 있어서는 방아쇠 레버(2)의 전방 팁이 공이치기(1)의 2개의 록킹 리세스중 후방 리세스 내에 결합하고 있고, 따라서 공이치기(1)가 방아쇠 레버 스프링(7)의 작용을 극복하고 방아쇠 레버(2)를 후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방아쇠 레버(2)에는, 이 방아쇠 레버를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방아쇠(3)의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운동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하기 위한 기다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방아쇠(3)는 피봇점을 중심으로 더욱 전방으로 피봇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정지 위치에 놓여 있으며, 상기 방아쇠(3)의 상측 후단부에는 돌출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110) 위에 방아쇠 레버(2)의 후단부(112)가 안착된다. 이 때문에, 방아쇠 레버(2)의 후단부(112)는 선단부에 장전되어 있는 공이치기(1)에 의한 토크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방아쇠(3)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즉 당기는 경우, 방아쇠(3)의 돌출부는 방아쇠 레버(2)의 후단부(112) 쪽으로 가압되어, 방아쇠 레버(2)를 그 선단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피봇운동시킴으로써, 방아쇠 레버(2)의 선단부가 공이치기(1)의 록킹 리세스를 벗어나 공이치기를 타격할 수 있게 한다.
방아쇠 레버(2)가 해제되는 순간, 상기 방아쇠 레버(2)는 방아쇠 레버 스프링(7)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는데, 그의 선단부는 상방으로 가압되고 후단부는 방아쇠(3)의 돌출부로부터 미끄러진다. 그런 후 방아쇠 레버(2)는 경사 위치를 취해서, 선단부가 공이치기(1)를 따라 미끄러지게 한다.
그러는 동안, 공이치기(1)는 노리쇠 뭉치(도시하지 않음)의 공이를 타격하여 탄약통을 점화시키고, 노리쇠 뭉치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공이치기(1)를 다시 콕킹한다(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이동함). 그런 후, 공이치기(1)의 후방의 록킹 리세스는 방아쇠 레버(2)의 선단부 아래에서 이동하여, 사점(dead point)에 도달하고, 그곳에서 운동방향이 역전되는데, 그 이유는 그 동안 노리쇠 뭉치가 전방으로 다시 이동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그 때, 후방의 록킹 리세스는 방아쇠 레버(2)의 선단부상에서 이동하여 그것을 후방으로 가압한다. 그러나, 방아쇠 레버(2)의 후단부가 방아쇠(3)(여전히 당겨져 있음)의 돌출부에서 정지하게 되기 때문에 방아쇠 레버(2)가 더이상 후진하지는 않는다.
이제 방아쇠(3)가 해제되면, 그 방아쇠(3)는 도 1에 도시된 위치로 되돌아간다. 그 때, 방아쇠(3)의 돌출부는 방아쇠 레버(2)의 후단부 아래로 하강하고 방아쇠 레버(2)는 공이치기(1)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후단부를 돌출부 위에 다시 안착시켜서 도 1의 위치를 취하게 된다.
전술한 특징으로 인해서, 본 무기는 단발로만 발사될 수 있다.
또한, 공이치기(1)는 릴리스(release)(5)의 일부로서 설계된 록킹 장치가 결합할 수 있는 전방 록킹 리세스를 구비한다. 상기 릴리스는 그의 상부가 핸들의 선단부상에 장착되어 있고 노리쇠 뭉치(도시되지 않음)의 이동 경로 내까지 상방으로 돌출해 있다.
이제, 공이치기(1)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노리쇠에 의해 콕킹되면, 전방의 록킹 리세스는 록킹 장치 위를 통과하다가, 사점에 도달하여 공이치기(1)의 이동 방향이 역전된 후에 록킹 장치에 걸린다.
노리쇠(100)(도 1a)가 그의 최전방 위치에 도달할 때, 노리쇠 뭉치는 릴리스(5)에 부딛치고 그에 따라서 공이치기(1)가 타격을 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단발 발사 장치가 작동되는 경우에는, 방아쇠 레버(2)의 선단부가 후방의 록킹 리세스 내에 걸릴 때까지 공이치기(1)가 짧은 거리만을 이동한다.
슬라이드(4)가 핸들 내에서 이동하도록 장착되는데, 이 핸들에는 구멍이 뚫려 있어서 그 속을 발사 선택 샤프트(12)가 통과할 수 있으며, 발사 선택 샤프트(12)의 외측면에는 상기 구멍의 벽과 결합할 수 있는 캠이 형성되어 있다. 발사 선택 샤프트(12)의 제 1 각도 위치(연발 위치)에 있어서는, 슬라이드(4)가 그의 후방 위치에 위치되고 그 위치에 고정된다. 제 2 각도 위치(단발 위치)에 있어서는, 슬라이드(4)가 특정 영역에 걸쳐서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드(4)의 전방 바닥에는, 상부로부터 방아쇠 레버(2)의 리세스 내로 결합하는 하향 연장 슬라이드 핑거(4b)가 구비되어 있다.
슬라이드가 단발 위치에 놓이는 경우에는, 방아쇠 레버(2)가 그의 종방향으로 제약 없이 통제받지 않고 이동할 수 있으며 차단 과정이 해제된다. 이 경우에는, 아암 스프링(11)의 상부 아암이 상기 종방향 운동에 저항하는 작용을 하지만, 이것은 강한 방아쇠 레버 스프링(7)에 의해 극복된다.
한편, 슬라이드(4)가 그의 후방 위치(연발 사격 위치)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슬라이드 핑거(4b)가 방아쇠 레버(2)를 도 1에 도시한 위치에 유지하여, 방아쇠 레버가 피봇 운동만을 할 수 있고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는 없도록 한다. 이제 방아쇠(3)가 당겨지고 방아쇠 레버(2)가 피봇운동을 하여 공이치기(1)와의 결합이 해제되면, 방아쇠 레버(2)가 더이상 다시 피봇운동을 할 수 없지만, 방아쇠(3)가 당겨져 있는 한은 공이치기(1)가 해방되어 있어야 한다. 그런 다음에는, 릴리스(5)에 의해 타격 과정이 제어된다.
이하의 설명은 본 출원인의 증명된 방아쇠 장치의 설계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이치기(1)는 공이치기 돌출부(1a)를 구비하며, 공이치기 돌출부(1a)의 이동 경로의 반경은 공이치기(1)의 다른 부분 보다 크다. 또한, 베어링 핀(13)상에는, 홀딩 캐취(holding catch)(10)가 그의 후단부에서 피봇 운동하도록 장착되며, 아암 스프링(11)의 제 2 하부 아암에 의해서 하방으로 피봇운동한다.
홀딩 캐취(10)의 선단부에는 멈춤쇠(8)가 피봇 운동하도록 장착된다. 이 멈춤쇠(8)는 멈춤 스프링(9)에 의해서 홀딩 캐취(10)를 향해 전방으로 피봇운동한다. 도 1의 위치에 있어서, 멈춤쇠(8)는 공이치기 돌출부(1a)의 이동 경로내로 연장되어 있다.
홀딩 캐취(10)의 전방 바닥에는, 하향 연장 홀딩 캐취 후크(10a)가 구비되어 있다. 이 홀딩 캐취 후크(10a)는 발사 선택 샤프트(12)의 도시된 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안되기는 하지만, 도 1의 위치에 있어서는 전방으로부터 슬라이드(4)의 슬라이드 지지체(4a)의 후방에 결합함으로써, 슬라이드(4)를 후방 위치에 고정시키고 있다.
방아쇠(3)를 (도 1에 도시된 위치에서) 당기면, 공이치기(1)는 타격을 하고(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함) 탄환의 발사후에 다시 콕킹된다(시계방향으로 이동함). 그런 다음에는, 공이치기 돌출부(1a)가 멈춤쇠(8)의 상향 슬로프(slope)를 통과하며, 멈춤 스프링(9)의 영향을 받아서 멈춤쇠를 일시적으로 홀딩 캐취(10) 내로 가압한다.
슬라이드(4)와 방아쇠 레버(2)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는 없기 때문에, 공이치기(1)는 록킹 장치로부터 해방된 후에 방아쇠 레버(2)를 다시 타격하며, 이와 거의 동시에 공이치기 돌출부(1a)로 멈춤쇠(8)를 이동시킨다. 멈춤쇠(8)가 홀딩 캐취(10)와 함께 외부로 피봇운동하며, 이 멈춤쇠는 홀딩 캐치(10)상에서 공이치기 돌출부(1a)의 이동 경로로부터 상측으로 장착됨으로써, 홀딩 캐취 후크(10a)가 슬라이드 지지체(4a)의 상측으로 상승할 수 있게 한다. 이제, 슬라이드(4)는 방아쇠 레버(2) 위에서 압축 스프링(7)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고, 방아쇠 레버(2)는 그것이 전술한 방법으로 다시 이동할 때 그것의 전방 위치를 취하여서, 공이치기(1)의 후방 록크를 유지할 수 있다.
방아쇠(3)가 해제되면, 공이치기(1)가 방아쇠 레버(2)를 후방으로 밀며, 이것은 다시 공이치기(1)의 돌기 위를 통과하고, 아암 스프링(11)은 슬라이드(4)를 후방으로 당기며, 홀딩 캐취(10)가 스프링(11)에 의해 하측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홀딩 캐취 후크(10a)가 슬라이드 지지체(4a)의 전방에서 하측으로 다시 떨어질 수 있다.
방아쇠(3)를 다시 당기는 동안에, 반복적인 2발의 연사가 행해질 수 있다.
발사 선택 샤프트(12)의 상부에는, 홀딩 캐취(10)의 바닥에 있는 돌기가 (도 1에 도시된 위치에서) 하향으로 삽입되는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다. 발사 선택 샤프트(12)가 회전하면, 이 돌기와 홀딩 캐취(10)는, 멈춤쇠(8)가 공이치기 돌기(1a)의 이동 경로와의 결합 상태로부터 분리되는 위치로 상측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슬라이드(4)는 발사 선택 샤프트(12)의 대응하는 각도 위치로 후방의 연속 발사 위치에 설정될 수도 있고, 또 단발 발사를 위하여 해제되어서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또한, 발사 선택 샤프트(12)의 바닥에는, 방아쇠(3)의 후방 상단부의 연장부(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되는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도록 발사 선택 샤프트(12)가 회전한다면, 방아쇠(3)는 차단되고 따라서 무기는 안전하다.
발사 선택 샤프트(12)의 단부상에 확고하게 안착되어 있고, "S"(안전), "E"(단발), "2"(2발) 및 "F"(연발) 위치로 교대로 이동할 수 있는 발사 선택 레버(14)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부호(13)는 홀딩 캐취(10)를 위한 장착 핀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6)

  1. 완전자동식 자동 장전 무기에 있어서,
    탄환의 방출시 이동가능한 작동 부재(1)와, 개별 탄환의 방출을 허용하는 결합 및 분리가능한 단발 발사 장치(4)를 포함하고, 탄환의 수를 결정하는 추가의 기구를 이용함이 없이 2발의 탄환이 연발 발사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탄환이 발사되고 상기 단발 발사 장치(4)가 분리된 후, 추가의 한발의 탄환만이 발사될 수 있도록 상기 단발 발사 장치(4)가 상기 작동 부재(1)에 의하여 절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자동식 자동 장전 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방아쇠 장치가 공이치기(1)와 함께 제공되고, 상기 공이치기(1)는 상기 작동 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자동식 자동 장전 무기.
  3. 제 2 항에 있어서,
    방아쇠(3)상에 종방향 이동 및 피봇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단발 동작에서는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연발 동작에서는 발사 선택 장치(12, 14)에 의해서 그것의 후방 위치에 고정되는 방아쇠 레버(2)가 제공되고, 공이치기(1)의 이동 경로내로 돌출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방아쇠 레버(2)가 해제되는 위치로 상기 발사 선택 장치(12, 14)를 이동시키도록 설정되는 해제 장치(4)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자동식 자동 장전 무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장치는 슬라이드(4, 4a)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드(4, 4a)는 상기 연발 위치에서 상기 방아쇠 레버(2) 후방에 결합되고 그리고 스프링(11)에 의해서 단발 위치로 전방으로 로딩되며, 상기 연발 위치에서 홀딩 캐취(10, 10a)가 상기 슬라이드(4)의 후방에 결합하며, 공이치기(1, 1a)에 끌려가서 슬라이드(4)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자동식 자동 장전 무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이치기(1, 1a)의 이동 경로내로 돌출하고, 콕킹 동작중에는 그의 측면으로 가압될 수 있지만, 공이치기(1, 1a)의 타격 운동중에는 그것에 의해 반송될 수 있고, 상기 홀딩 캐취(10, 10a)를 따른 반송중에는 운동 경로로부터 상승하는 스프링 로딩 멈춤쇠(8)가 상기 홀딩 캐취(10)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자동식 자동 장전 무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4)를 통과하고 연발 위치 또는 단발 위치를 고정시키는 발사 선택 샤프트(12)가 제공되고, 상기 홀딩 캐취(10)는 상기 발사 선택 샤프트(12)에 대항하여 놓이는 돌출부(10a)를 구비하고, 상기 발사 선택 샤프트(12)는, 상기 발사 선택 샤프트(12)가 연발 위치와 단발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홀딩 캐취(10)의 돌출부(10a)가 걸리는 리세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전자동식 자동 장전 무기.
KR10-1999-7003377A 1996-10-21 1997-10-16 완전자동식 자동 장전 무기 KR1003891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43377A DE19643377C2 (de) 1996-10-21 1996-10-21 Selbstladewaffe mit einer Umschalteinrichtung für Dauerfeuer, Einzelschuß und Feuerstoß
DE19643377.0 1996-10-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9268A KR20000049268A (ko) 2000-07-25
KR100389182B1 true KR100389182B1 (ko) 2003-06-27

Family

ID=7809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3377A KR100389182B1 (ko) 1996-10-21 1997-10-16 완전자동식 자동 장전 무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932808B1 (ko)
KR (1) KR100389182B1 (ko)
AT (1) ATE195177T1 (ko)
DE (2) DE19643377C2 (ko)
ES (1) ES2150284T3 (ko)
WO (1) WO199801796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48954A1 (fr) 1998-03-25 1999-09-30 Teijin Limited Film polyester a orientation biaxiale
DE19846657C2 (de) 1998-10-09 2001-02-15 Heckler & Koch Gmbh Abschlageinrichtung mit vermindertem Abzugsgewicht
DE102005048684A1 (de) 2005-10-11 2007-04-12 Heckler & Koch Gmbh Waffe mit zuschießendem Verschlußsystem
DE102012212388B4 (de) 2012-07-16 2014-08-28 Heckler & Koch Gmbh Abzugsbaugruppe für eine Feuerwaffe
US9952012B2 (en) * 2014-07-19 2018-04-24 Franklin Armory Holdings, Inc. Trigger group for semi-automatic firearm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50054A (ko) * 1964-09-28 1900-01-01
US3345914A (en) * 1966-03-31 1967-10-10 Fred N Newcomb Two round burst mechanism mechanical automatic rifle
US4004496A (en) * 1976-05-28 1977-01-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M16A1 Burst control
DE19626077C2 (de) * 1996-06-28 2000-10-26 Heckler & Koch Gmbh Abzugseinrichtung für eine Selbstladeschußwaffe mit Umstellung auf Dauerfeu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195177T1 (de) 2000-08-15
WO1998017963A2 (de) 1998-04-30
EP0932808A1 (de) 1999-08-04
ES2150284T3 (es) 2000-11-16
DE19643377C2 (de) 2000-07-27
WO1998017963A3 (de) 2002-10-24
EP0932808B1 (de) 2000-08-02
DE19643377A1 (de) 1998-04-23
KR20000049268A (ko) 2000-07-25
DE59702111D1 (de) 2000-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9739B1 (en) Fire control system for firearms
US6604311B1 (en) Lever-operated breechblock for muzzle-loading firearm
US6125735A (en) Self-loading weapon
US4023465A (en) Firearm
US6907687B2 (en) Over-and-under shotgun apparatus and method
US5502914A (en) Striker cocking and firing mechanism for a handgun
US5216195A (en) Firearm
US7137217B2 (en) Auto-loading firearm mechanisms and methods
US8176836B2 (en) Double action short reset trigger system
US7237469B2 (en) Firearms having a locked breech
US6539658B1 (en) Firearm equipped with rapid safety mechanism, drop safety and safety device kit
US4719841A (en) Trigger release mechanisms for full and semi automatic open bolt weapons
WO2007137524A2 (en) Locking mechanism of a hand firearm
US4467698A (en) Angular shape firing pin for use with a collapsible toggle recoil in a hand held weapon
US4646619A (en) Singulating apparatus for a semiautomatic firearm
US6012374A (en) Automatic combination rifle
US6460281B1 (en) Single trigger sequential firing mechanism for a double barrel firearm
US20210404758A1 (en) Lever-coupled device for selectively preventing a firearm from discharging
US10309736B2 (en) Shell loading system for firearm
KR100389182B1 (ko) 완전자동식 자동 장전 무기
KR100360014B1 (ko) 콕킹방아쇠장치
US3942278A (en) Firing pin safety device for hand firearms
JPS5828995A (ja) 自動小銃
US20050183312A1 (en) Gun trigger actuator
EP1106955A2 (en) Firearm having inertia striker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