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029B1 -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 제어를 위한 필요 전력량 산출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 제어를 위한 필요 전력량 산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029B1
KR100389029B1 KR10-2000-0068059A KR20000068059A KR100389029B1 KR 100389029 B1 KR100389029 B1 KR 100389029B1 KR 20000068059 A KR20000068059 A KR 20000068059A KR 100389029 B1 KR100389029 B1 KR 100389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power
multimedia
calculated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8018A (ko
Inventor
정경수
임철호
강찬구
서성희
임종태
김동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8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9029B1/ko
Publication of KR20020038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0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6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traffic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호의 접속 요구에 대해 순방향 링크에서의 필수 신호 대 간섭비 및 초당 전송 속도 등의 질적 차이를 고려하여 필요 자원의 양을 계산하고 이 계산된 필요 자원의 양에 의거하여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 제어를 위한 필요 전력량 산출 기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역방향 링크에서 측정한 품질 지표에 의거하여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 여부를 결정하는 전술한 종래 방법과는 달리, 순방향 링크에서 측정한 품질 지표에 의거하여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 여부를 제어하며, 이를 위하여 필수 신호 대 간섭비 및 초당 전송 속도 등의 질적 차이를 고려하여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에 필요한 자원의 양을 계산하도록 하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에 기인하여 발생 가능한 시스템의 과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필요 이상의 호 수락 거부로 인한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대기 시간 증가, 접속 실패율의 증가 등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 제어를 위한 필요 전력량 산출 방법{METHOD FOR CALCULATING POWER QUANTITY REQUIRED FOR PERMIT CONTROLLING OF A MULTIMEDIA CALL}
본 발명은 광대역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IMT-2000 등과 같은 무선 이동 단말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CDMA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 제어를 위해 필요로 하는 필요 전력량을 산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종래의 CDMA 이동 통신 시스템(즉, 2세대 CDMA 이동 통신 시스템)은 영방향(즉, 무선 이동 단말에서 기지국 방향) 링크에 의해 시스템의 용량이 제한되며, 음성 호 서비스를 위주로 설계되고 최적화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CDMA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호의 요구에 따른 수락 여부를 역방향 링크에서 측정되는 품질 지표에 의해 결정하고 있다. 이때, 모든 호는 동일한 양의 자원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종래의 CDMA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통신 채널의 사용 요구(즉, 호 수락 요구)가 발생, 즉 임의의 무선 이동 단말로부터 통신 채널에 대한 사용 요구를 접수하거나 혹은 임의의 무선 이동 단말에게 전송해야 할 정보로 인해 통신 채널의 사용 요구가 발생하면, 기지국 또는 기지국 제어기에서는 호 수락에 필요한 자원의 양과 역방향 링크의 가용 자원의 양을 측정한 후 그 수락 여부를 결정, 즉 가용 자원의 양이 호 수락에 필요한 자원의 양보다 작으면 호 수락을 거부하고, 가용 자원의 양이 호 수락에 필요한 자원의 양보다 많을 때 요구받은 호를 수락하여 통신 채널을 할당하고 있다.
여기에서, 호의 수락이란 통신 채널을 사용하고자 하는 호에 대한 접속을 허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수락된 호는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통신 채널을 할당받아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하고, 수락이 거부된 호는 통신 채널을 할당받지 못하기 때문에 정보의 송수신이 불가능하며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접속을 재시도 하기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역방향 링크의 가용 자원의 양을 고려하여 호 수락 여부를 결정하는 종래의 방법은 역방향 링크에서의 데이터 전송량이 데이터 전송량이 순방향 링크에서의 데이터 전송량보다 크다는 점에 근거한다.
최근 들어, 상용화 및 표준화를 위한 기반 기술 및 응용 기술의 개발이 급속도로 진전되고 있는 IMT-2000 시스템은 유럽, 미국, 일본 등을 중심으로 하는 범세계적인 참여 속에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에서 금명(대략 2000년경)간의 서비스를 목표로 규격화하고 있는 3세대 CDMA 이동 통신 시스템인 것으로, 광대역 무선 이동 단말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실현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3세대 CDMA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호(즉, 멀티미디어 호)를 충분하게 지원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멀티미디어 호라는 것은 음성, 데이터, 영상 등을 전송하기 위한 통신 채널에 대한 사용 요구를 의미하는데, 이것은 필수 신호 대 간섭비(required signal to interference ratio)와 초당 전송 속도에 의해 일반 호와 구분된다.
한편,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지원을 기본으로 설계되는 IMT-2000 등의 3세대 CDMA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역방향 링크에서의 데이터 전송량이 순방향 링크에서의 데이터 전송량보다 큰 종래 2세대 CDMA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와는 달리, 순방향 링크에서의 데이터 전송량이 역방향 링크에서의 데이터 전송량보다 훨씬 크다. 또한, 멀티미디어 호는 각각의 필수 신호 대 간섭비 및 초당 전송 속도 등에 의해 필요한 자원의 양이 모두 다르다.
따라서, 상기한 점들을 고려할 때, 멀티미디어 호에 대해, 역방향 링크에서 측정되는 품질 지표에 의해 호의 수락 여부를 결정하는 종래 방식에 따라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 여부를 결정한다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지 못하다.
즉, 종래 방법에 따라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 여부를 결정하게 되면, 시스템의 용량을 초과하는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에 기인하는 과부하로 인해 야기되는 시스템다운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품질이 현저하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필요 이상의 호 수락 거부로 인한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대기 시간 증가, 접속 실패율의 증가 등으로 인해 서비스 품질이 더욱 저하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멀티미디어 호의 접속 요구에 대해 순방향 링크에서의 필수 신호 대 간섭비 및 초당 전송 속도 등의 질적 차이를 고려하여 필요 자원의 양을 계산하고 이 계산된 필요 자원의 양에 의거하여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 제어를 위한 필요 전력량 산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각 기지국의 필요 전력량과 가용 전력량에 의거하여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을 제어하는데 필요로 하는 필요 전력량을 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해당 기지국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i를 서비스 받고 있는 채널의 수(Nik), 멀티미디어 서비스 i의 처리 이득(Gi), 멀티미디어 서비스 i의 필수 신호 대 간섭비(σi) 및 순방향 링크간의 직교성을 나타내는 지수()에 의거하여 가중 부하 지수(ωk)를 계산하는 과정; 현재 사용중인 순방향 링크의 총전력량과 사용중이 총전력량 중 제어 채널에 할당된 전력량을 계산하는 과정; 상기 계산된 총전력량(Pt) 및 제어 채널 전력량(Pc), 상기 계산된 가중 부하 지수(ωk), 직교성 지수()에 의거하여 기수락된 멀티미디어 호에 의해 발생되는 평균 간섭량(Ia)을 계산하는 과정; 상기 채널 수(Nik), 처리 이득(Gi), 신호 대 간섭비(σi), 직교성 지수(), 상기 새로운 멀티미디어 서비스 j의 가상 처리 이득(Gj) 및 상기 새로운 멀티미디어 서비스 j의 가상 필수 신호 대 간섭비(σj)에 의거하여 가상 가중 부하 지수(ωk+)를 계산하는 과정; 상기 계산된 가상 가중 부하 지수(ωk), 직교성 지수(), 평균 간섭량(Ia) 및 제어 채널 전력량(Pc)에 의거하여, 가상 총전력량(P+)을 계산하는 과정; 및 상기 계산된 총전력량(Pt)과 계산된 가상 총전력량(P+)에 의거하여 상기 필요 전력량(Pr)을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 제어를 위한 필요 전력량 산출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
도 2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 제어를 위해 기지국의 필요 전력량을 산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무선 이동 단말 그룹 110/1 - 110/n : 무선 이동 단말
120 : 이동 통신망 122/1 - 122/n : 기지국
124 : 기지국 제어기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핵심 기술요지는, 역방향 링크에서 측정한 품질 지표에 의거하여 호의 수락 여부를 결정하는 전술한 종래 방법과는 달리, 순방향 링크에서 측정한 품질 지표에 의거하여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 여부를 제어하며, 이를 위하여 필수신호 대 간섭비 및 초당 전송 속도 등의 질적 차이를 고려하여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에 필요한 자원의 양을 계산한다는 것으로, 이것은 멀티미디어 호의 경우 순방향 링크에서의 데이터 전송량이 역방향 링크에서의 데이터 전송량보다 훨씬 크다는 점에 근거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로서, 이동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무선 이동 단말(110/1 - 110/n)로 된 무선 이동 단말 그룹(110)과 다수의 기지국(122/1 - 122/n)과 기지국 제어기(124)로 된 이동 통신망(120)을 포함하며, 도면에서의 도시는 생략되었으나 이동 통신 교환기를 포함한다.
도 1에 있어서, 각 무선 이동 단말(110/1 - 110/n)은, 예를 들면 IMT-2000 단말,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 단말 등인 것으로, 자신이 속한 셀의 기지국(예를 들면, 122/1) 및 기지국 제어기(124)를 통해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포함하는 통신 서비스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제어기(124)는 자신이 관할하는 다수개의 기지국(122/1 - 122/n)을 포함하는 것으로, 각 기지국(122/1 - 122/n)의 셀에 들어와 있는 무선 이동 단말들에게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허,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124)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통신 채널의 사용(접속) 요구가 있을 때, 본 발명에 따라 해당하는 기지국의 순방향 링크의 필요 전력량(즉, 멀티미디어 호를 수락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을 계산하고, 해당하는 기지국의 현재 가용 전력량을 계산하며, 그 계산 결과에 의거하여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 여부를 제어, 즉 현재의 가용 전력량이 멀티미디어 호를 수락하는데 필요한 전력량보다 클 때 멀티미디오 호의 접속 요구를 수락하여 통신 채널을 할당하고, 현재의 가용 전력량이 멀티미디어 호를 수락하는데 필요한 전력량보다 작을 때 멀티미디오 호의 접속 요구를 거부하는 등의 제어를 수행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을 제어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예를 들면, 122/1) 또는 기지국 제어기(124)에서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드를 수행하는 중에 자신의 셀 영역에 있는 임의의 무선 이동 단말로부터 통신 채널의 사용 요구(즉,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접속 요구)를 접수하거나 혹은 자신의 셀 영역에 있는 임의의 무선 이동 단말에게로 전송해야 할 정보로 인해 통신 채널에 대한 사용 요구가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통신 채널에 대한 사용 요구가 발생하면(단계 202), 기지국(122/1) 또는 기지국 제어기(124)에서는 해당하는 기지국(122/1)의 순방향 링크의 필요 전력량, 즉 멀티미디어 호의 접속 요구를 수락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을 계산한다(단계 204).
이를 위하여, 기지국(122/1) 또는 기지국 제어기(124)에서는, 일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기지국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i를 서비스 받고 있는 채널의 수(Nik), 멀티미디어 서비스 i의 처리 이득(Gi), 멀티미디어 서비스 i의 필수신호 대 간섭비(σi) 및 순방향 링크간의 직교성을 나타내는 지수()를 이용하여, 해당 기지국에서 서비스 받고 있는 멀티미디어 호의 구성에 기인하는 가중 부하 지수(ωk)를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계산한다(단계 302).
상기한 수학식 1에서, 미설명부호 S는 고려 대상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중인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의 집합을 나타낸다.
이어서, 기지국(122/1) 또는 기지국 제어기(124)에서는 순방향 링크에서 현재 사용중인 총전력량(Pt)과 사용중인 전력 중 제어 채널에 할당된 전력량(Pc)을 측정한 후(단계 304), 상기한 수학식 1을 통해 얻어진 가중 부하 지수(ωk)와 순방향 링크간의 직교성을 나타내는 지수(), 현재 사용 중인 총 전력량(Pt) 및 제어 채널에 할당된 전력량(Pc)에 의거하여 기존의 멀티미디어 호에 의해 발생하는 평균 간섭량(Ia)을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계산한다(단계 306).
상기한 수학식 2에서, 부호 k는 현재의 호 수락 여부를 판단할 기지국을 나타내는 지표를 나타낸다.
다음에, 기지국(122/1) 또는 기지국 제어기(124)에서는, 접속을 요구받은 새로운 멀티미디어 호(멀티미디어 서비스 j)를 가상으로 수락했을 경우라 가정한 후, 해당 기지국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i를 서비스 받고 있는 채널의 수(Nik), 멀티미디어 서비스 i의 처리 이득(Gi), 멀티미디어 서비스 i의 필수 신호 대 간섭비(σi), 순방향 링크간의 직교성을 나타내는 지수(), 새로운 멀티미디어 서비스 j의 가상 처리 이득(Gj)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j의 가상 필수 신호 대 간섭비(σj)를 이용하여, 해당 기지국에서 서비스 받고 있는 멀티미디어 호의 구성에 기인하는 가상 가중 부하 지수(ωk+)를 아래의 수학식 3과 같이 계산한다(단계 308).
또한, 기지국(122/1) 또는 기지국 제어기(124)에서는 상기한 수학식 3을 통해 얻어진 가상 가중 부하 지수(ωk)와 순방향 링크간의 직교성을 나타내는 지수(), 상기한 수학식 2를 통해 얻어진 평균 간섭량(Ia) 및 제어 채널에 할당된 전력량(Pc)을 이용하여, 가상 총전력량(P+)을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이 계산한다(단계 310).
마지막으로, 기지국(122/1) 또는 기지국 제어기(124)에서는 상기한 수학식 4를 통해 얻어진 가상 총전력량(P+)과 순방향 링크에서 현재 사용중인 총전력량(Pt)에 의거하여 아래의 수학식 5와 같이 새로운 멀티미디어 호(즉, 접속을 요구받은 멀티미디어 호)를 수락하는데 필요한 전력량(Pr)을 계산한다(단계 312).
즉, 기지국(122/1) 또는 기지국 제어기(124)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계산 과정(단계 302 내지 312)을 통해 새로운 멀티미디어 호를 수락하는데 필요한 전력량(Pr)을 계산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122/1) 또는 기지국 제어기(124)에서는 해당 기지국의 순방향 링크에서 가용한 전력량을 계산한 후(단계 206), 계산된 가용 전력량과 상술한 수학식 1내지 5를 통해 계산한 필요 전력량(Pr)을 비교한다(단계 208).
상기 단계(208)에서의 비교 결과, 접속을 요구받은 멀티미디어 호를 수락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이 가용 전력량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기지국(122/1) 또는 기지국 제어기(124)에서는 접속을 요구받은 멀티미디어 호의 접속 수락을 거부한다(단계 210).
한편, 상기 단계(208)에서의 비교 결과, 접속을 요구받은 멀티미디어 호를수락하는데 필요한 전력량이 가용 전력량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기지국(122/1) 또는 기지국 제어기(124)에서는 접속을 요구받은 멀티미디어 호의 접속을 수락하고, 통신 채널을 할당함으로써, 해당하는 임의의 무선 이동 단말에게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한다(단계 212).
따라서, 임의의 무선 이동 단말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역방향 링크에서 측정한 품질 지표에 의거하여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 여부를 결정하는 전술한 종래 방법과는 달리, 순방향 링크에서 측정한 품질 지표에 의거하여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 여부를 제어하며, 이를 위하여 필수 신호 대 간섭비 및 초당 전송 속도 등의 질적 차이를 고려하여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에 필요한 자원의 양을 계산하도록 함으로써,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에 기인하여 발생 가능한 시스템의 과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필요 이상의 호 수락 거부로 인한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 대기 시간 증가, 접속 실패율의 증가 등을 억제할 수 있어,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을 대폭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삭제
  2. 다수의 기지국 및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망에서 각 기지국의 필요 전력량과 가용 전력량에 의거하여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을 제어하는데 필요로 하는 필요 전력량을 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해당 기지국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i를 서비스 받고 있는 채널의 수(Nik), 멀티미디어 서비스 i의 처리 이득(Gi), 멀티미디어 서비스 i의 필수 신호 대 간섭비(σi) 및 순방향 링크간의 직교성을 나타내는 지수()에 의거하여 가중 부하 지수(ωk)를 계산하는 과정;
    현재 사용중인 순방향 링크의 총전력량과 사용중이 총전력량 중 제어 채널에 할당된 전력량을 계산하는 과정;
    상기 계산된 총전력량(Pt) 및 제어 채널 전력량(Pc), 상기 계산된 가중 부하 지수(ωk), 직교성 지수()에 의거하여 기수락된 멀티미디어 호에 의해 발생되는 평균 간섭량(Ia)을 계산하는 과정;
    상기 채널 수(Nik), 처리 이득(Gi), 신호 대 간섭비(σi), 직교성 지수(), 상기 새로운 멀티미디어 서비스 j의 가상 처리 이득(Gj) 및 상기 새로운 멀티미디어 서비스 j의 가상 필수 신호 대 간섭비(σj)에 의거하여 가상 가중 부하 지수(ωk+)를 계산하는 과정;
    상기 계산된 가상 가중 부하 지수(ωk), 직교성 지수(), 평균 간섭량(Ia) 및 제어 채널 전력량(Pc)에 의거하여, 가상 총전력량(P+)을 계산하는 과정; 및
    상기 계산된 총전력량(Pt)과 계산된 가상 총전력량(P+)에 의거하여 상기 필요 전력량(Pr)을 계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 제어를 위한 필요 전력량 산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 부하 지수(ωk)는,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 제어를 위한 필요 전력량 산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간섭량(Ia)은,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 제어를 위한 필요 전력량 산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가중 부하 지수(ωk+)는,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 제어를 위한 필요 전력량 산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총전력량(P+)은,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 제어를 위한 필요 전력량 산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필요 전력량(Pr)은,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 제어를 위한 필요 전력량 산출 방법.
    Pr =P+ -Pt
KR10-2000-0068059A 2000-11-16 2000-11-16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 제어를 위한 필요 전력량 산출 방법 KR100389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059A KR100389029B1 (ko) 2000-11-16 2000-11-16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 제어를 위한 필요 전력량 산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059A KR100389029B1 (ko) 2000-11-16 2000-11-16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 제어를 위한 필요 전력량 산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018A KR20020038018A (ko) 2002-05-23
KR100389029B1 true KR100389029B1 (ko) 2003-06-25

Family

ID=19699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059A KR100389029B1 (ko) 2000-11-16 2000-11-16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 제어를 위한 필요 전력량 산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90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846B1 (ko) * 2002-05-27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호 수락장치 및 방법
JP4256882B2 (ja) 2006-06-19 2009-04-2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映像配信システム及び配信制御方法
KR100822750B1 (ko) * 2007-02-06 2008-04-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수락 제어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1060A (ko) * 1997-12-19 1999-07-05 정선종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호 수락방법
US5926747A (en) * 1996-09-05 1999-07-20 Airnet Communication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optimizing the forward-link transmit power of a broadband multi-carrier radio signal
KR19990073883A (ko) * 1998-03-04 1999-10-05 윤덕용 순방향 전력 소모를 고려한 부호 분할 다원 접속 방식의 호수락및 핸드오프 방법
KR20020004452A (ko) * 2000-07-05 2002-01-16 윤종용 음성서비스와 고속 데이터서비스를 동시 지원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순방향 전력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20018204A (ko) * 2000-05-25 2002-03-08 박순 부호분할 다중접속망에서의 호 수락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6747A (en) * 1996-09-05 1999-07-20 Airnet Communication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optimizing the forward-link transmit power of a broadband multi-carrier radio signal
KR19990051060A (ko) * 1997-12-19 1999-07-05 정선종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호 수락방법
KR19990073883A (ko) * 1998-03-04 1999-10-05 윤덕용 순방향 전력 소모를 고려한 부호 분할 다원 접속 방식의 호수락및 핸드오프 방법
KR20020018204A (ko) * 2000-05-25 2002-03-08 박순 부호분할 다중접속망에서의 호 수락 제어방법
KR20020004452A (ko) * 2000-07-05 2002-01-16 윤종용 음성서비스와 고속 데이터서비스를 동시 지원하는이동통신시스템에서 순방향 전력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018A (ko) 200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1278B1 (en) Dynamic allocation of packet data channels
EP0894408B1 (en) Flow control of short message service messages in a cellular telephone network
US6311065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predicting a transfer location of a mobile station
US6738637B1 (en) Dynamic variation of class of ser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network resources
US6487409B2 (en) Handoff control system handoff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handoff control program
EP0669775A2 (en) Method of prioritizing handoff procedures in a cellular system
US6272124B1 (en) Complemental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method in communication system
US6496492B1 (en) Hand off control for reducing rate of occurrence of forced disconnection of communication
CN100385964C (zh) 呼叫受理控制装置及呼叫受理控制方法
US8396500B2 (en) Connection destination base station determination device
US6198936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plane information using medium access control frame structure for transmitting user information through an associated control channel
JP2003298595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混雑通報方法及び装置
US6963551B2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ase st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KR100389029B1 (ko) 멀티미디어 호의 수락 제어를 위한 필요 전력량 산출 방법
US7006476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rate selecting method thereof
US6975861B2 (en) Channel preselection method for a RF communication system
JP2001514472A (ja) セルラ電話網における容量依存セル内ハンドオーバの方法および装置
CN108024196A (zh) 一种基于d2d技术的信道容量最大化资源分配方法
US6690920B2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requested and allocated resources in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0446501B1 (ko) 이동통신기지국에서 서비스품질에 따른 호 수락 제어 방법및 장치
JP2972222B2 (ja) 移動通信に於ける情報サービス方式
KR100223029B1 (ko) 직접 순차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셀룰러 시스템에서 무선 멀티미디어 환경을 위한 호 제어 방법
JPH10341471A (ja) セルラー無線システム及びそれにおけるハードハンドオフ方法
CN114286388A (zh) 一种5g宽窄带融合专网的网络优选系统和方法
KR19990013262A (ko) 통신 시스템의 상보 서비스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