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262A - 통신 시스템의 상보 서비스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의 상보 서비스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262A
KR19990013262A KR1019970066556A KR19970066556A KR19990013262A KR 19990013262 A KR19990013262 A KR 19990013262A KR 1019970066556 A KR1019970066556 A KR 1019970066556A KR 19970066556 A KR19970066556 A KR 19970066556A KR 19990013262 A KR19990013262 A KR 19990013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lementary
transmission power
channel
servi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6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1698B1 (ko
Inventor
안재민
윤순영
강희원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6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1698B1/ko
Priority to CA002239524A priority patent/CA2239524C/en
Priority to US09/094,374 priority patent/US6272124B1/en
Publication of KR19990013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1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16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5Power control of control or pilot channels

Abstract

순방향 트래픽 채널이 기본 채널과 부가 채널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이, 기지국이 송신하는 총 송신 전력을 검출하며, 총 송신 전력이 기준 송신 전력 보다 낮을 시 상보 채널에 상보 데이터를 실어 상기 순방향 링크에 전송하며, 단말기가 순방향 링크의 상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의 상보 서비스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보 채널을 이용하여 고속으로 데이터를 서비스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호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CDMA) 시스템에서 서비스 가능한 비트 레이트의 한계는 사용자 당 9.6kbps/14.4kbps이다. 그리고 이런 한계를 극복하고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들을 제안되고 있으며, 이중 하나가 멀티-코드(multi-code) 방식이다. 상기 멀티-코드 방식은 한 사용자에게 다수개(최대 8개)의 코드 채널을 할당하고, 한 사용자로 하여금 최대 14.4kbps×8까지의 비트 레이트를 가지는 데이터 서비스를 받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부가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상응하는 다른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즉,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므로써, 한 사용자가 많은 양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CDMA 이동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수가 줄어들게 되며, 이는 한 사용자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전체 통신망의 비트 레이트(즉, 사용자수×각 사용자의 비트 레이트)가 급격하게 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런 경우 CDMA 이동통신망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경우, 반대적인 상황을 최소화하고, 이전에 제공되던 기본적인 서비스에 장애를 유발하지 않는 방식을 사용하여야 한다.
도 1 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와 기지국의 구성 및 무선 링크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 에서 무선 링크는 기지국에서 단말기 측에 전송되는 순방향 채널과 상기 단말기에서 기지국 측에 전송되는 역방향 채널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IS-95/IS95A/J-STD-008 규격의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은 도 2a 및 도 2b 와 같이 순방향 및 역방향 채널 구조를 갖고 있다. 종래의 CDMA 방식의 이동통신망에서 순방향 채널은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롯트 채널(pilot channel), 동기 채널(sync channel),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 순방향 트래픽 채널(forward traffic channel)로 이루어진다. 또한 종래의 CDMA 방식의 이동통신망에서 역방향 채널은 도 2b 와 같이 억세스 채널(access channel) 및 역방향 트래픽 채널(reverse traffic channel)로 이루어진다.
상기 순방향의 코드 채널은 64개의 직교성을 갖는 월시코드(Walsh code)로 구성되며, 한 개의 순방향 트래픽 채널은 한 개의 월시코드를 점유한다. 따라서 상기 순방향 및 역방향의 각 트래픽 채널은 9.6kbps/14.4kbps의 전송 비트 레이트를 한계값으로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14.4kbps를 초과하는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한 사용자에게 순방향 및 역방향으로 한 개 이상의 월시코드 또는 역방향 코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하기 위해서는 도 2a 및 도 2b 와 같은 CDMA 채널 중 순방향 및 역방향 트래픽 채널에 대한 세분화 작업이 필요하다. 이들을 세분화하면 도 3a 및 도 3b 와 같은 CDMA 채널 구조를 만들 수 있다. 이런 경우 순방향 채널은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롯트 채널, 동기 채널, 페이징 채널, 순방향 트래픽 채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순방향 트래픽 채널은 기본 채널(fundamental channel)과 부가 채널(supplemental channel)로 이루어진다. 또한 역방향 채널은 억세스 채널 및 역방향 트래픽 채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역방향 트래픽 채널은 기본 채널(fundamental channel)과 부가 채널(supplemental channel)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하는 경우, 멀티 코드를 이용한다고 한다. 상기 도 3a 및 도 3b 에서 기본 채널은 종래의 순방향 및 역방향 트래픽 채널과 동일한 기능 및 비트 레이트를 지원하게 된다. 그리고 부가 채널은 고속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있을 때 이를 요구한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것이며, 요구가 없을 때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상기 부가 채널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0에서 7개까지를 한 사용자에게 할당할 수 있다.
이때 한 사용자가 상기 부가 채널을 이용하여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받고자 할 경우, 먼저 파이롯트 채널, 동기 채널, 페이징 채널을 이용하여 해당 기지국의 접속 정보를 얻어야 한다. 다음으로 얻어진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기지국으로 억세스 채널을 통한 접속을 시도한다. 상기 억세스 채널을 통한 접속이 성공되면, 순방향 및 역방향 트래픽 채널의 기본 채널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기지국 간의 연결 통로가 생성된다. 상기 연결 통로가 생성된 이후에는 기본 채널을 통한 연결을 유지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받고자 하는 데이터 서비스는 버스트(burst)한 특성을 갖는다. 즉, 순간적으로 송신해야 할 또는 수신해야 할 고속 데이터가 존재하지만, 이것을 항상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데이터를 보내는 기간과 보내지 않는 기간이 공존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상기 기본 채널을 통해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호가 설정되어 있고, 사용자 또는 기지국이 고속 데이터를 송신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면, 이를 기지국 또는 단말기에 알려주고 이런 경우에만 부가 채널을 사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negotiation) 과정은 기존에 형성되어 있던 기본 채널을 통하여 종료 사실을 상호간에 알려주고, 사용중이던 부가 채널의 사용을 중지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의 한 예가 도 4 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4 에서는 단말기를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411단계에서 단말기와 기지국이 기본 채널을 통해 호를 세트업한다. 이후 413단계에서 단말기(기지국)가 고속 데이터 송신을 하는가 검사한다. 이때 고속 데이터 송신이면, 415단계에서 단말기(기지국)는 역방향(순방향)의 기본 채널을 통해 기지국(단말기)로 부가 채널의 사용을 요청(지시)한다. 그리고 417단계에서 상기 기지국(단말기)은 단말기(기지국)가 요청(지시)한 부가 채널을 설정(수신) 가능한가 검사한다. 이때 설정(수신)이 불가능하면, 419단계로 진행하여 설정(수신가능)하지 않음을 순방향(역방향)의 기본 채널을 통하여 단말기(기지국)에게 통보하고, 양방향의 기본 채널을 통한 호를 유지한 후, 상기 413단계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상기 417단계에서 부가 채널의 설정(수신)이 가능하면, 421단계에서 기지국(단말기)은 해당 부가 채널을 준비하고, 준비되었음을 순방향(역방향)의 기본 채널을 통하여 단말기(기지국)으로 통보한다. 그리고 423단계에서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기본 채널과 부가 채널을 이용하여 고속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425단계에서 고속 데이터의 송수신이 완료되었는가 검사한다. 이때 고속 데이터의 송수신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423단계 및 425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425단계에서 고속 데이터의 송수신이 완료되었으면, 427단계에서 순방향 및 역방향의 기본 채널을 통하여 종료 사실을 단말기와 기지국이 서로 교환하며, 이후 상기 부가 채널의 사용을 종료하고 기본 채널을 통한 호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호를 유지한 상태에서 호가 종료되었는가 검사하며, 아니면 상기 413단계로 되돌아가며 그렇지 않으면 431단계에서 호를 종료한다.
상기 도 4 에서와 같이 결국 멀티-코드를 이용한 고속 데이터 서비스는 패킷 형태의 송수신 특성으로 인하여 시간에 따른 코드 채널 점유 특성을 보이게 된다. 즉, 일정 시간 동안에는 코드 채널의 사용이 집중되지만, 그렇지 않은 시간도 많이 존재하게 된다.
도 5 는 두명의 사용자가 부가 채널을 통해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때의 순방향 코드 채널의 사용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5 에서 가로 축은 시간을 의미하고 세로 축은 코드 채널의 사용수를 나타낸다. 상기 코드 채널의 사용 수는 결국 순방향 CDMA 채널의 부하를 의미하게 된다. 즉, 사용 코드 채널의 수가 많아지면 부하가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도 5 에서 F는 기본 채널을 나타내고, F 옆의 숫자는 사용자의 번호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상기 F1은 1번 사용자의 기본 채널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도 5 에서 S는 부가 채널을 의미하며, S 옆의 첫번째 숫자는 사용자의 번호를 나타내고 두번째 숫자는 사용하는 부가 채널의 번호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S2,3은 2번 사용자의 3번 부가 채널이 사용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멀티-코드를 사용하는 고속 데이터 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상기 도 4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고속 데이터 서비스 방법은 순방향 부가 채널을 이용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때 순방향으로 제공되는 토탈 비트 레이트(total bit rate)의 불균일성이 발생되며, 또한 비트 레이트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된다.
상기 전자의 문제점은 토탈 비트 레이트가 불균일하므로써 서비스 가능한 CDMA 채널의 용량을 다 사용하지 못하게 되고, 이로 인해 채널 용량을 낭비하게 된다. 이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 기지국에서 전송하는 모든 데이터 레이트가 일정하고 도착하는 패킷 M/M1/queing 모델에 의하면 하기의 [표 1]이 성립됨을 알 수 있다.
[표 1]
상기 [표 1]은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은 관계에 의해 성립된다.
[수학식 1]
상기 [수학식 1]에서 W는 대기 시간(waiting time), 1/μ는 평균 전송 시간(average transmission time), ρ는 λ/μ이며, λ는 입력 레이트(input rate)이고, ρ는 사용율이며 ρ0는 비사용율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경우 부가 채널의 사용예는 도 5 와 같다. 상기 도 5 와 같이 정해진 캐패시티 안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할 때, 상기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하지 않는 타임슬롯들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캐패시티의 낭비가 된다.
상기 후자의 문제점으로 지적된 비트 레이트의 급격한 변화는 순방향으로의 부하의 급격한 변화를 의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급격한 변화는 안정적인 셀 운영에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으며, 이는 하기와 같은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 파이롯트 전력(pilot power) 대 음성 사용자의 전력 대 데이터 사용자의 전력비가 2:0.4:8이라고 가정한다. 여기서 상기 0.4는 음성 액티비티(voice activity)이며, 8은 8개의 채널이 풀 레이트(full rate)로 사용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두 개의 셀만을 고려할 때 각 셀 모두 10명의 사용자가 있고 한 셀에만 데이터 사용자고 있다고 가정하고 기지국이 일정한 총 전력을 쓴다고 가정하면, 데이터 사용자가 있는 위치의 셀 반경이 10% 정도 감소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기지국이 일정한 파이롯트 전력을 출력한다고 가정하면, 단말기가 보고하는 Ec/lo(handoff의 key parameter)는 데이터 사용자의 유무에 따라 2dB 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두가지의 문제점은 안정적인 통신망의 운용과 채널 용량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중인 순방향 트래픽 채널에 데이터가 실리지 않는 시간에서 상보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여 데이터 레이트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순방향 링크에 상보 채널을 설정하며, 단말기들과 통신 중인 상태에서 총 송신 전력이 기준 송신 전력 보다 낮을 시 상기 상보 채널에 상보 데이터를 서비스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기와 통신 중인 상태에서 데이터가 실리지 않는 시간 동안 해당 채널에 상보 데이터를 서비스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링크 데이터 서비스 방법이, 기지국이 송신하는 총 송신 전력을 검출하며, 상기 총 송신 전력이 기준 송신 전력 보다 낮을 시 상보 채널에 상보 데이터를 넣어 상기 순방향 링크 상에 전송하며, 단말기가 상기 순방향 링크 상의 상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통신 시스템의 단말기 및 기지국의 구성과 무선 링크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a 및 도 2b 는 부호 분할 다중 접속 표준안에 따른 순방향 및 역방향 채널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 및 도 3b 는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새로운 부호 분할 다중 접속 표준안에 따른 순방향 및 역방향 채널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 는 도 3a 및 도 3b 와 같은 채널 구조를 갖는 부호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부가 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5 는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 채널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보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지국의 구성을 특히 상보 서비스 관련 부분들 및 관련 정보의 흐름과 신호의 흐름을 중심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의 기지국 제어프로세서에서 상보 서비스의 시작과 종료를 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보 채널이 적용되는 순방향 채널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보 채널을 할당하여 상보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상기한 바와 같이, 기지국의 고속 데이터 서비스 사용자 부하에 따른 기지국 반경 및 파일로트 전력의 급격한 변화를 줄이기 위해서는 기지국의 총 출력 신호의 세기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런 방법은 결국 신호의 세기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출력 신호의 세기가 작을 경우에는 소정의 정보를 출력하여 기지국의 전체 출력신호를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형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출력신호의 세기를 유지하는 경우, 기지국 출력신호가 작아질 때 출력되는 정보를 상보 데이터라 칭하며, 상기 상보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상보 서비스라 칭한다. 또한 상기 상보 데이터가 전달되는 채널을 상보 채널이라 칭한다.
상기 상보 서비스를 하는 목적은 기지국 반경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파일로트 전력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는 데에 있다. 또 다른 상보 서비스의 목적은 순간 순간 비어있는 기지국의 용량을 유용한 정보로 채워 낮은 가격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므로써 이동통신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사용 만족도를 증가시키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제공되는 상기 상보 서비스는 기지국의 출력신호 세기의 변동에 따라 언제라도 중지 및 재개가 가능하여야 하므로, 서비스의 우선 순위에서는 기본 채널 및 부가 채널을 이용한 통화 시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우선순위를 가져야 한다. 그럼으로써 안정적인 기지국 운용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낮은 우선 순위에도 지장없이 서비스 가능한 상보 데이터들은 기상 정보, 교통 정보, 주식 정보, 시보, 광고, 그리고 기타의 정보들이 될 수 있다. 또한 대용량의 파일 전송과 같이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서비스의 경우도 상보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낮은 가격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런 경우에는 특정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의 개념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낮은 우선 순위에서 동작하기 위한 특정 프로토콜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프로토콜의 경우는 본 발명의 관심범위가 아니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상보 서비스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상보 서비스를 받기 위한 단말기가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상보 서비스 받을 수 있는 단말기가 상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순서가 정해져야 한다. 상기와 같은 상보 서비스 가능한 단말기가 존재한다고 할 때 상보 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하여 이루어 진다.
먼저 상보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단말기가 기지국과의 호 설정 과정에서 상보 서비스를 받겠다는 사실을 기지국에 알리고, 상보 서비스가 제공되는 상보 채널의 직교 코드 번호를 기지국으로부터 할당 받는다. 상기 기지국에서 단말기에 직교 코드 번호를 할당하는 방법은 두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한가지 방법은 멀티캐스트(multicast) 또는 방송(broadcast) 방식으로써, 전체 직교 코드들중의 일부 직교 코드 번호를 상보 채널로 설정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은 상보 채널을 일종의 오버헤드 채널(overhead channel)로 사용하므로써, 상보 서비스를 위한 채널을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이런 경우 상기 상보 서비스는 교통, 기상, 주식 등과 같이 단말기 가입자가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정보들이 될 수 있다. 나머지 한가지 방법은 기지국이 해당 단말기의 채널에 상보 데이터를 서비스하는 방식(point to point)이다. 이런 경우 단말기는 설정된 채널들을 통하여 순방향 링크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게 되며, 기지국은 통신 중인 상태에서 설정된 채널로 실제 데이터가 통신되지 않는 휴지 구간에 해당 채널에 상보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직교 코드는 월시 코드(walsh code)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하 상기 직교 코드를 월시 코드라 가정한다. 상기 호 설정 과정에서 상보 채널의 월시 코드를 할당받은 상보 서비스 가능한 단말기는 기본 채널 또는 부가 채널을 통한 통화 또는 데이터 송수신이 발생하지 않는 사이 사이의 시간에서 주기적으로 상보 채널을 점검하여 제공되는 상보 채널의 정보가 있는가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점검하는 시점에서 상보 채널을 통하여 수신되는 정보가 있을 경우에는 해당하는 상보 채널의 정보를 사용하게 된다.
상보 채널의 설정 과정이 도 9 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911단계에서 단말기와 기지국이 기본 채널을 통해 호를 세트업한다. 이후 913단계에서 단말기(기지국)가 고속 데이터 송신을 하는가 검사한다. 이때 고속 데이터 송신이면, 915단계에서 단말기(기지국)는 역방향(순방향)의 기본 채널을 통해 기지국(단말기)로 부가 채널의 사용을 요청(지시)한다. 그리고 917단계에서 상기 기지국(단말기)은 단말기(기지국)가 요청(지시)한 부가 채널을 설정(수신) 가능한가 검사한다. 이때 설정(수신)이 불가능하면, 919단계로 진행하여 설정(수신가능)하지 않음을 순방향(역방향)의 기본 채널을 통하여 단말기(기지국)에게 통보하고, 양방향의 기본 채널을 통한 호를 유지한 후, 상기 913단계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상기 917단계에서 부가 채널의 설정(수신)이 가능하면, 921단계에서 기지국(단말기)은 해당 부가 채널을 준비하고, 준비되었음을 순방향(역방향)의 기본 채널을 통하여 단말기(기지국)으로 통보한다. 그리고 923단계에서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설정된 부가 채널을 이용하여 고속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후 925단계에서 기지국 총 송신 전력(P)이 소정 기준송신 전력Phigh이상이면 935단계로 진행하고, Phigh이하이면 927단계에서 상보 서비스 채널수를 결정하고, 929단계에서 상보 데이터 서비스를 실행한다. 이후 931단계에서 기지국 총 송신 전력(P)이 소정 기준전력 Phigh이하이면 927단계로 돌아가고 Phigh이상 상기 935단계로 돌아간다. 935단계에서 고속 데이터의 송수신이 완료되었는가 검사한다. 이때 데이터의 송수신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923단계 ~ 935단계를 반복 수행하면서 고속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그러나 상기 935단계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완료되었으면, 937단계에서 순방향 및 역방향의 기본 채널을 통하여 종료 사실을 단말기와 기지국이 서로 교환하며, 이후 상기 부가 채널의 사용을 종료하고 기본 채널을 통한 호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호를 유지한 상태에서 호가 종료되었는가 검사하며, 아니면 상기 913단계로 되돌아가며 그렇지 않으면 941단계에서 호를 종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공 가능한 상보 서비스중에서, 대용량 파일 전송의 경우는 특정한 프로토콜을 필요로 하게 되고, 그 이외의 대중적인 서비스에는 특별한 프로토콜이 필요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상보 채널을 점검한 시점에서 상보 서비스와 관련되는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다시 일정시간이 경과하고 기본 채널 또는 부가 채널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없을 경우에 한하여 상보 채널을 점검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들이 상보 서비스 가능한 단말기에서 상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거치는 과정이 된다.
상기 상보 서비스는 기지국에서 자체의 용량을 점검함으로써, 용량에 여유가 있을 때 제공되는 서비스이므로, 기본적으로는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송신되는 신호 경로인 순방향 링크와 관련되는 내용의 서비스이다.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상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자신의 채널 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고, 이를 상보 서비스 가능 여부와 연결시킬 수 있는 판단과정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기지국의 제어프로세서는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해당 기지국에서 송신하고 있는 송신 신호의 전력 수준을 판단한다.
[수학식 2]
P=G(1)*G(1)+G(2)*G(2)+......+G(N)*G(N)
상기 [수학식 2]에서 P 는 기지국에서 송신하고 있는 신호의 총 전력이며, G(i), i=1,2, …, N 은 i 번째 채널의 이득이 된다. 즉, 해당 기지국의 각 채널에서의 전력은 해당 채널의 송신 이득의 제곱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해당 기지국의 총 송신 전력은 모든 개별 채널의 송신 전력의 합으로 표현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상기 기지국 제어프로세서는 해당 순간에서의 기지국의 총 송신 전력의 수준을 점검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 제어프로세서는 해당 기지국의 총 송신 전력에 대한 점검의 결과를 이용하여 해당 시점에서의 상보 서비스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 상보 서비스가 진행되고 있는 경우, 상기 기지국 제어프로세서는 현재 실행 중인 상보 서비스를 계속 진행 여부를 결정하여야 하며, 이런 결정은 하기의 [수학식 3] 및 [수학식 4]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수학식 3]
PPlow
[수학식 4]
PPhigh
상기 [수학식 3]에서 Plow는 기지국에서 상보 서비스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송신 전력으로써, 이하 하한 기준 송신 전력이라 칭한다. 즉, 상기 총 송신 전력 P가 Plow값 이하로 되는 시점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보 채널을 통해 상보 서비스의 수행이 시작된다. 또한 상기 [수학식 4]에서 Phigh는 기지국에서 수행중인 상보 서비스를 축소 제어하기 위한 기준 송신 전력으로써, 이하 상한 기준 송신 전력이라 칭한다. 즉, 상기 총 송신 전력 P가 Phigh값 이상이 되는 시점에서 상기 기지국은 수행 중인 상보 채널을 제어하여 상보 서비스의 수행을 축소 또는 중지하게 된다.
상기 [수학식 3]과 [수학식 4]에 의하여, 상기 기지국 제어프로세서는 점검한 결과인 총 송신 전력 P를 상보 서비스 여부의 결정 기준치인 Plow및 Phigh와 비교된다. 이때 비교 결과 상기 [수학식 3]에서와 같이 P가 Plow보다 작은 값을 갖게 되면, 상기 기지국 제어프로세서는 상보 채널을 통하여 상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수학식 2]의 P 값을 Plow이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수학식 2]의 P 값이 상기 [수학식 3]을 만족하는 총 송신 전력이면서 이미 상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었다면, 상기 기지국 제어프로세서는 상보 서비스를 통하여 제공되는 정보량을 늘임으로써, 즉 상보 채널을 더 할당함으로써, 상기 [수학식 2]의 P 값을 Plow이상으로 유지시킨다.
또한 상기 [수학식 4]는 총 송신 전력 P 값이 Phigh보다 큰 값을 갖고 있는 경우를 표시하고 있으며, 이는 상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여유 전력이 없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즉, 상기 [수학식 4]와 같은 경우에는 상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미 제공되고 있던 상보 서비스가 있다면 상보 채널의 정보량을 줄임으로써 상기 P의 값이 Phigh보다 작아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상기한 [수학식 2], [수학식 3], 그리고 [수학식 4]는 상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지국 제어프로세서가 판단하여야 하는, 기지국의 총 송신 전력 및 전력 기준값들 사이의 관계를 명시한 것이다. 이러한 관계식 및 이를 실제 구현하기 위한 실시예로써 본 발명에서는 도 6 및 도 7 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도 6 은 상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지국의 구성으로써, 특히 상보 서비스와 관련되는 부분들 및 관련 정보와 정보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6 을 참조하면, 기지국 제어기610의 제어프로세서612는 상위의 네트워크로부터 상보 서비스로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들을 수집하여 상보 서비스 데이터 베이스614에 저장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상보 서비스 데이터 베이스614에 저장된 정보들은 기지국620의 기지국 제어프로세서621로부터의 상보 데이터요청이 있을 때, 상기 기지국 제어기610의 제어프로세서612에 의하여 읽혀져 기지국620의 기지국 제어프로세서621에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기지국620의 기지국 제어프로세서621은 상기 기지국 제어기610의 제어프로세서612에서 출력되는 상보 서비스 관련 정보들을 자신이 관리하는 상보 데이터 버퍼623에 저장하여 상보 서비스 제공시 송신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학식 2], [수학식 3], 그리고 [수학식 4]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기지국620의 기지국 제어프로세서621이 상보 서비스의 시작을 해야 한다고 판단하면, 상기 기지국 제어프로세서621은 상보 데이터버퍼623에서 상보 서비스와 관련되는 정보를 읽어들인 후, 상보 채널을 송신하게 될 모뎀631-63N중 해당하는 모뎀으로 이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상보 데이터버퍼623에서 정보를 읽어들여 모뎀631-63N에 전달한 후, 기지국의 기지국 제어프로세서621은 기지국 제어기의 제어프로세서612에 상보 서비스 관련 정보들의 추가 지원을 요청하며, 상기 제어프로세서612에서 상기 상보 서비스 관련 정보를 송신하면, 상기 기지국 제어프로세서621은 비어있는 상기 상보 데이터버퍼623에 상기 수신되는 상보 서비스 관련 정보를 다시 채우게 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모뎀631-63N은 기지국의 기지국 제어프로세서621에서 현재 송신하고 있는 신호의 이득 G(i), i=1, 2, …, N 을 주기적으로 보고하여, 상기 기지국 제어프로세서621이 총 송신 전력을 점검함으로써 상보 서비스와 관련한 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각각의 모뎀631-63N의 송신신호들은 가산기641에서 모두 합쳐진 후, 송신 여파기643, 주파수 천이기645, 송신 증폭기647 및 안테나를 통해 송출되므로써, 순방향 링크의 신호로 단말기들에 출력된다.
상기 도 7 은 상기 기지국 제어프로세서621에서 상보 서비스의 시작과 종료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도 7 을 참조하면, 상기 기지국620의 각각의 모뎀631-63N에서 상기 기지국 제어프로세서621에 입력되는 신호 G(i), i=1, 2, …, N 은 각각 대응되는 제곱기711-71N에서 해당하는 모뎀631-63N이 현재 송신하고 있는 각각의 송신 전력으로 변환된다. 상기와 같이 제곱기711-71N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송신 전력들을 가산기722에서 모두 합하여 해당 기지국620의 총 송신 전력을 계산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계산된 총 송신 전력 P는 Plow및 Phigh의 상보 서비스 제공관련 기준전력과 비교과정을 거치게 된다.
먼저 Plow와의 비교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P가 Plow보다 작을 경우와 크거나 같을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제 1 비교기724는 상기 P와 Plow를 비교한다. 이때 상기 P가 Plow보다 작을 경우(PPlow), 현재의 총 송신 전력이 기준전력 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여유 채널 용량이 남아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 제어프로세서621은 채널 용량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상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계산기726은 상기 제 1 비교기724에서 계산된 P와 Plow의 차에 의하여 최대로 송신 가능한 상보 데이터량을 계산하며, 제 1 결정기728은 상기 계산 결과에 따라 상보 서비스 송신량을 결정한 후 이에 해당하는 상보 서비스를 상보 채널을 통하여 제공하게 된다.
상기 상보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상보 채널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제 1 결정기728은 하기 [수학식 5]에 의해 상보 채널 수를 결정한다.
[수학식 5]
상기 [수학식 5]에서 n은 상보 서비스가 가능한 상보 채널 수를 나타내며, Punit는 한 채널당 송신 전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 1 계산기726가 상보 서비스가 가능한 전력 값(Plow-P)을 구하고, 상기 제 1 결정기728이 상기 상보 서비스가 가능한 전력 값을 채널 송신 전력Punit로 나누어 상보 서비스가 가능한 상보 채널 수 n을 결정한다.
그러나 상기 제 1 비교기724에서 상기 P와 Plow를 비교한 결과 크거나 같을 경우(P≥Plow), 현재의 채널용량에서 상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여유 용량이 없음을 의미하므로 상보 서비스와 관련된 더 이상의 동작을 중지한다.
제 2 비교기730은 상기 P와 Phigh를 비교한다. 이때 상기 제 2 비교기730의 비교 결과 P가 Phigh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PPhigh), 기지국620이 송신 가능한 총 송신 전력의 범위 내에서 송신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기존에 서비스되고 있던 상보 서비스가 있더라도 이에 대한 작용없이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 2 비교기730의 비교 결과 P가 Phigh보다 클 경우(PPhigh)에는 상기 기지국620의 총 송신 전력에 비하여 과도한 전력을 송신되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이런 경우 이미 서비스 되고 있는 상보 서비스를 중지함으로써 상기 기지국620의 총 송신 전력을 낮추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 경우 상보 서비스를 모두 중지하는 것은 아니고 P가 Phigh보다 작거나 같아지는 범위까지만 맞출 수 있도록 상보 데이터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PPhigh인 경우, 상보 서비스 점검기732는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상보 서비스가 있는가 검사하며, 없는 경우에는 더 이상의 동작을 취하지 않는다. 그러나 현재 서비스 중인 상보 서비스가 있는 경우, 제 2 계산기734는 총 전력 P에서 Phigh를 감산(P-Phigh)하며, 제 2 결정기736은 상기 총 전력 P가 Phigh보다 작거나 같아지는 범위(P≤Phigh)까지만 맞출 수 있도록 상보 서비스를 축소한다.
상기 상보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상보 채널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제 2 결정기736은 하기 [수학식 6]에 의해 상보 서비스를 축소 제어할 상보 채널 수를 결정한다.
[수학식 6]
상기 [수학식 6]에서 N은 상보 서비스가 가능한 상보 채널 수를 나타내며, Punit는 한 채널당 송신 전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 2 계산기734가 상보 서비스를 축소 제어하기 위한 전력 값(P-Phigh)을 구하고, 상기 제 2 결정기736이 이를 채널 송신 전력Punit로 나누어 상보 서비스를 축소 제어해야 할 상보 채널 수 N을 결정한다. 즉, 상기 제 2 결정기736은 상기 N과 현재 서비스 중인 상보 채널의 수 No를 비교한 후, N≤No이면 N개의 상보 채널 서비스를 중지하고 (No-N)개의 상보 채널을 통해서만 상보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NNo이면 모든 상보 채널 서비스를 중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상보 서비스의 효과, 즉, 기지국의 총 송신 전력을 일정하게 유지한다는 측면을 보일 수 있는 도면을 도 8 에 도시하였다. 도 8 은 2명의 데이터 사용자와 관계된 상보 서비스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 은 두명의 사용자가 부가 채널을 통해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때의 순방향 코드 채널의 사용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8 에서 가로 축은 시간을 의미하고 세로 축은 코드 채널의 사용수를 나타낸다. 상기 코드 채널의 사용 수는 결국 순방향 CDMA 채널의 부하를 의미하게 된다.
상기 도 8 에서 F는 기본 채널을 나타내고, F 옆의 숫자는 사용자의 번호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상기 F1은 1번 사용자의 기본 채널을 의미한다. 또한 S는 부가 채널을 의미하며, S 옆의 첫번째 숫자는 사용자의 번호를 나타내고 두번째 숫자는 사용하는 부가 채널의 번호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S2,3은 2번 사용자의 3번 부가 채널이 사용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도 8 의 빗금친 부분의 C는 상보 채널을 의미하며, C 옆의 첫번째 숫자는 사용자의 번호를 나타내고 두번째 숫자는 사용하는 상보 채널의 번호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C1,5은 1번 사용자의 5번 상보 채널이 사용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상보 채널 C는 비사용에 의해 낭비되는 채널 자원을 유용한 정보로 채워 넣어 상보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으로, 이로인해 시스템의 운용을 안정시키고 채널 용량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보 채널을 도입하여 상보 서비스를 수행하므로써, 낭비되는 자원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시스템의 안정성 및 채널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4)

  1. 순방향 트래픽 채널이 기본 채널과 부가 채널로 이루어지는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이 송신하는 총 송신 전력을 검출하며, 총 송신 전력이 기준 송신 전력 보다 낮을 시 미리 설정된 상보 채널들에 상보 데이터를 실어 상기 순방향 링크 상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보 데이터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순방향 링크의 상보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이,
    상기 기지국과 호 설정시 상기 상보 서비스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에서 출력되는 상보 채널의 직교코드 번호를 할당받는 과정과,
    상기 상보 데이터 수신시 이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보 데이터 서비스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이,
    상기 기준 송신 전력 값에서 상기 총 송신 전력을 뺀 후 이 값을 채널 단위 송신 전력으로 나누어 상보 서비스할 채널 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채널 수의 대응되는 상보 채널들에 상기 상보 데이터를 실어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보 데이터 서비스 방법.
  4. 순방향 트래픽 채널이 기본 채널과 부가 채널로 이루어지는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이 송신하는 총 송신 전력을 검출하며, 상기 총 송신 전력이 기준 송신 전력 보다 낮을 시 미리 설정된 상보 채널들에 상보 데이터를 실어 상기 순방향 링크 상에 전송하는 과정과,
    단말기가 상기 순방향 링크 상의 상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보 데이터 서비스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순방향 링크의 상보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이,
    상기 기지국과 호 설정시 상기 상보 서비스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에서 출력되는 상보 채널의 직교코드 번호를 할당받는 과정과,
    상기 상보 데이터 수신시 이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보 데이터 서비스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이,
    상기 기준 송신 전력 값에서 상기 총 송신 전력을 뺀 후 이 값을 채널 단위 송신 전력으로 나누어 상보 서비스할 채널 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채널 수의 대응되는 상보 채널들에 상기 상보 데이터를 실어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보 데이터 서비스 방법.
  7. 순방향 트래픽 채널이 기본 채널과 부가 채널로 이루어지는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이 송신하는 총 송신 전력을 검출하며, 상기 총 송신 전력이 기준 송신 전력 보다 낮을 시 호가 설정된 상기 순방향 트래픽 채널들 중에서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지 않는 채널들을 상보 채널로 설정하고, 상기 상보 채널들에 상보 데이터를 넣어 상기 순방향 링크 상에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보 데이터 서비스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순방향 링크의 상보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이,
    상기 기지국과 호 설정시 상기 상보 서비스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에서 출력되는 상보 채널의 직교코드 번호를 할당받는 과정과,
    상기 상보 데이터 수신시 이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보 데이터 서비스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이,
    상기 기준 송신 전력 값에서 상기 총 송신 전력을 뺀 후 이 값을 채널 단위 송신 전력으로 나누어 상보 서비스할 채널 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채널 수의 대응되는 상보 채널들에 상기 상보 데이터를 실어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보 데이터 서비스 방법.
  10. 순방향 트래픽 채널이 기본 채널과 부가 채널로 이루어지는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이 송신하는 총 송신 전력을 검출하며, 상기 총 송신 전력이 기준 송신 전력 보다 낮을 시 호가 설정된 상기 순방향 트래픽 채널들 중에서 데이터가 전송되고 있지 않는 채널들을 상보 채널로 설정하고, 상기 상보 채널들에 상보 데이터를 넣어 상기 순방향 링크 상에 전송하는 과정과,
    단말기가 상기 순방향 링크 상의 상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보 데이터 서비스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순방향 링크의 상보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이,
    상기 기지국과 호 설정시 상기 상보 서비스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에서 출력되는 상보 채널의 직교코드 번호를 할당받는 과정과,
    상기 상보 데이터 수신시 이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보 데이터 서비스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이,
    상기 기준 송신 전력 값에서 상기 총 송신 전력을 뺀 후 이 값을 채널 단위 송신 전력으로 나누어 상보 서비스할 채널 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채널 수의 대응되는 상보 채널들에 상기 상보 데이터를 실어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보 데이터 서비스 방법.
  13. 순방향 트래픽 채널이 기본 채널과 부가 채널로 이루어지는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이 송신하는 총 송신 전력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총 송신 전력이 하한 기준 송신 전력 보다 낮을 시 미리 설정된 상보 채널들에 상보 데이터를 실어 상기 순방향 링크 상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총 송신 전력이 상한 기준 송신 전력 보다 높을 시 현재 서비스 중인 상보 서비스의 유무를 검사하여 상보 서비스의 허용 범위 내로 상기 상보 서비스를 축소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보 데이터 서비스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순방향 링크의 상보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이,
    상기 기지국과 호 설정시 상기 상보 서비스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에서 출력되는 상보 채널의 직교코드 번호를 할당받는 과정과,
    통신시 일정 시간 주기로 상기 상보 채널을 검사하여 상보 데이터 수신시 이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보 데이터 서비스 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이,
    상기 하한 기준 송신 전력 값에서 상기 총 송신 전력을 뺀 후 이 값을 채널단위 송신 전력으로 나누어 상보 서비스할 채널 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채널 수의 대응되는 상보 채널들에 상기 상보 데이터를 실어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보 데이터 서비스 방법.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 서비스를 축소하는 과정이,
    상기 총 송신 전력에서 상한 기준 송신 전력 값을 뺀 후 이 값을 채널 단위 송신 전력을 나누어 축소 제어해야 할 채널 수를 결정하고, 현재 서비스 중인 채널 수에서 상기 결정된 채널 수를 축소시켜 상보 데이터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보 데이터 서비스 방법.
  17. 순방향 트래픽 채널이 기본 채널과 부가 채널로 이루어지는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이,
    총 송신 전력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총 송신 전력이 하한 기준 송신 전력 보다 낮을 시 미리 설정된 상보 채널들에 상보 데이터를 실어 상기 순방향 링크 상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총 송신 전력이 상한 기준 송신 전력 보다 높을 시 현재 서비스 중인 상보 서비스의 유무를 검사하여 상보 서비스의 허용 범위 내로 상기 상보 서비스를 축소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과 호 설정시 상기 상보 서비스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에서 출력되는 상보 채널의 직교코드 번호를 할당받는 과정과,
    상기 상보 데이터 수신시 이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상기 기지국과 단말기가 상기 순방향 링크의 상보 채널들에 수신되는 상기 상보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보 데이터 서비스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순방향 링크의 상보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이,
    상기 기지국과 호 설정시 상기 상보 서비스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에서 출력되는 상보 채널의 직교코드 번호를 할당받는 과정과,
    통신시 일정 시간 주기로 상기 상보 채널을 검사하여 상보 데이터 수신시 이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보 데이터 서비스 방법.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이,
    상기 하한 기준 송신 전력 값에서 상기 총 송신 전력을 뺀 후 이 값을 채널단위 송신 전력으로 나누어 상보 서비스할 채널 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채널 수의 대응되는 상보 채널들에 상기 상보 데이터를 실어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보 데이터 서비스 방법.
  20.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 서비스를 축소하는 과정이,
    상기 총 송신 전력에서 상한 기준 송신 전력 값을 뺀 후 이 값을 채널 단위 송신 전력을 나누어 축소 제어해야 할 채널 수를 결정하고, 현재 서비스 중인 채널 수에서 상기 결정된 채널 수를 축소시켜 상보 데이터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보 데이터 서비스 방법.
  21. 순방향 트래픽 채널이 기본 채널과 부가 채널로 이루어지는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이 각 채널의 송신 전력을 검출한 후 합산하여 총 송신 전력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총 송신 전력이 하한 기준 송신 전력 보다 낮을 시 상기 하한 기준 송신 전력에서 상기 총 송신 전력을 뺀 후 상보 서비스 송신 정보량을 결정한 후 비 사용 중인 순방향 트래픽 채널들을 상보 채널로
    설정하고, 상기 상보 채널들에 상보 데이터를 넣어 상기 순방향 링크 상에 전송하는 제 1 수단과,
    상기 총 송신 전력이 상한 기준 송신 전력 보다 높을 시 현재 서비스 중인 상보 서비스의 유무를 검사하며, 상보 서비스 중일 시 총 송신 전력과 현재 송신 전력의 차를 계산한 후 허용 범위 내로 상기 상보 서비스를 축소하는 제 2 수단으로 이루어져,
    단말기가 상기 순방향 링크의 상보 채널에 전송되는 상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보 데이터 서비스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단이,
    하한 기준 송신 전력 값을 구비하며, 상기 총 송신 전력과 하한 기준 송신 전력을 비교하는 제 1 비교기와,
    상기 제 1 비교기의 출력을 입력하며, 상기 총 송신 전력이 하한 기준 송신 전력 보다 낮을 시 상기 하한 기준 송신 전력 값에서 상기 총 송신 전력을 감산하는 제 1 계산기와,
    상기 제 1 계산기의 출력에 따라 상보 서비스 송신 정보량을 결정한 후 비 사용 중인 상기 부가 채널을 상보 채널로 설정하고, 상기 상보 채널에 상보 데이터를 넣어 상기 순방향 링크 상에 전송하는 제 1 결정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보 데이터 서비스 장치.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단이,
    상한 기준 송신 전력 값을 구비하며, 상기 총 송신 전력과 상한 기준 송신 전력을 비교하는 제 2 비교기와,
    상기 제 2 비교기의 출력을 입력하며, 상기 총 송신 전력이 상기 상한 기준 송신 전력 보다 높을 시 현재 서비스 중인 상보 서비스의 유무를 검사하는 상보 서비스 점검기와,
    상기 상보 서비스 점검기의 출력을 입력하며, 상보 서비스 중일 시 총 송신 전력과 현재 송신 전력의 차를 계산하는 제 2 계산기와,
    상기 제 2 계산기의 출력을 입력하여 허용 범위 내로 상기 상보 서비스를 축소하는 상보 서비스 제어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보 데이터 서비스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이,
    각 채널의 송신신호를 제곱하여 각 채널의 송신 전력들을 계산하는 제곱기들과,
    상기 제곱기들의 출력을 합산하여 총 송신 전력을 계산하는 가산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보 데이터 서비스 장치.
KR1019970066556A 1997-07-25 1997-12-06 통신 시스템의 상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251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6556A KR100251698B1 (ko) 1997-07-25 1997-12-06 통신 시스템의 상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A002239524A CA2239524C (en) 1997-07-25 1998-06-01 Complemental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method in communications system
US09/094,374 US6272124B1 (en) 1997-07-25 1998-06-09 Complemental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method in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70034921 1997-07-25
KR97-34921 1997-07-25
KR1019970034921 1997-07-25
KR1019970066556A KR100251698B1 (ko) 1997-07-25 1997-12-06 통신 시스템의 상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262A true KR19990013262A (ko) 1999-02-25
KR100251698B1 KR100251698B1 (ko) 2000-04-15

Family

ID=66090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6556A KR100251698B1 (ko) 1997-07-25 1997-12-06 통신 시스템의 상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16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512B1 (ko) * 1998-05-08 2003-08-02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광대역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데이타 전송을 위한 방법 및장치
KR100629395B1 (ko) * 1998-05-18 2006-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데이터 서비스장치 및 방법
KR100832234B1 (ko) * 2007-10-26 2008-06-10 이용환 유·무선 네트워크 망을 이용한 통신기기의 광고 시스템 및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512B1 (ko) * 1998-05-08 2003-08-02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광대역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데이타 전송을 위한 방법 및장치
KR100629395B1 (ko) * 1998-05-18 2006-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데이터 서비스장치 및 방법
KR100832234B1 (ko) * 2007-10-26 2008-06-10 이용환 유·무선 네트워크 망을 이용한 통신기기의 광고 시스템 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1698B1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2124B1 (en) Complemental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method in communication system
EP1459582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ximizing capacity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6999425B2 (en) Dynamic reverse link rate limit algorithm for high data rate system
US6925057B2 (en) Method of scheduling a quality of service level in a high data rate system
EP1326459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3066327B2 (ja) 符号分割多元接続システム
JP420583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内で用いる資源割当オーバヘッドを低減するための方法
KR100418873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트래픽부하제어방법
US20050237935A1 (en) System and method of efficiently providing packet data service in a UMTS system
KR20030061547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부가 채널의 호 수락 제어 방법
JP2000091985A (ja) 通信システムの電力制御方法
KR100556164B1 (ko) Cdma형 통신 시스템 및 그 통신 방법
US7532609B2 (en) Fairness method for supplemental channel resources
KR10093312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데이터 레이트 스케쥴링 장치및 방법
KR100617846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호 수락장치 및 방법
KR100321785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트래픽 제어 방법
US20040071163A1 (en) Scheduling method for supplemental channel resource
KR19990013262A (ko) 통신 시스템의 상보 서비스장치 및 방법
KR100540232B1 (ko) 이중모드 단말기의 데이타 호 서비스 시스템 선정 방법
KR20020028664A (ko) 광대역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의 호 수락 제어방법 및무선링크 자원관리방법
KR100629395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데이터 서비스장치 및 방법
JP3031892B2 (ja) 符号分割多元接続通信システムの補間サービス装置及び方法
KR100630179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역방향 부가채널의 할당방법
RU2172564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дополнительных услуг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варианты)
GB2338151A (en) Provision of a Supplementary Communications Service in a Cellula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