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395B1 -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데이터 서비스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데이터 서비스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395B1
KR100629395B1 KR1019980017818A KR19980017818A KR100629395B1 KR 100629395 B1 KR100629395 B1 KR 100629395B1 KR 1019980017818 A KR1019980017818 A KR 1019980017818A KR 19980017818 A KR19980017818 A KR 19980017818A KR 100629395 B1 KR100629395 B1 KR 100629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lementary
channel
transmission power
channels
tot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7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5418A (ko
Inventor
안재민
윤순영
강희원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17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9395B1/ko
Priority to CA002239524A priority patent/CA2239524C/en
Priority to US09/094,374 priority patent/US6272124B1/en
Publication of KR19990085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3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 H04B7/263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for channel frequency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0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measurement of specific parameters of the transmitter or components thereof
    • H04B17/102Power radiated at anten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6Code allocation
    • H04J13/18Allocation of orthogonal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순방향 트래픽 채널이 기본 채널과 부가 채널로 이루어지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데이터 통신 방법이, 기지국이 송신하는 총 송신 전력을 검출하며, 총 송신 전력이 기준 송신 전력 보다 낮을 시 상보 채널에 상보 데이터를 실어 상기 순방향 링크에 전송하며, 단말기가 순방향 링크의 상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Description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데이터 서비스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데이터 통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보데이터를 서비스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호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에서 서비스 가능한 비트 레이트의 한계는 사용자 당 9.6kbps/14.4kbps이다. 그리고 이런 한계를 극복하고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들을 제안되고 있으며, 이중 하나가 멀티-코드(multi-code) 방식이다. 상기 멀티-코드 방식은 한 사용자에게 다수개(최대 8개)의 코드 채널을 할당하고, 한 사용자로 하여금 최대 14.4kbps*8 까지의 비트 레이트를 가지는 데이터 서비스를 받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고속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부가 기능을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나, 이에 상응하는 다른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즉,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므로써, 한 사용자가 많은 양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CDMA 이동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수가 줄어들게 되며, 이는 한 사용자의 증가 또는 감소에 따라 전체 통신망의 비트 레이트(즉, 사용자수*각 사용자의 비트 레이트)가 급격하게 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런 경우 CDMA 이동통신망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경우, 반대적인 상황을 최소화하고, 이전에 제공되던 기본적인 서비스에 장애를 유발하지 않는 방식을 사용하여야 한다.
도 1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와 기지국의 구성 및 무선 링크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에서 무선링크는 기지국에서 단말기 측에 전송되는 순방향 채널과 상기 단말기에서 기지국 측에 전송되는 역방향 채널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IS-95/IS-95A/J-STD-008 규격의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순방향 및 역방향 채널 구조를 갖고 있다. 종래의 CDMA 방식의 이동통신망에서 순방향 채널은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롯트 채널(pilot channel), 동기 채널(sync channel),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 순방향 트래픽 채널(forward traffic channel)로 이루어진다. 또한 종래의 CDMA 방식의 이동통신망에서 역방향 채널은 도 2b와 같이 억세스 채널(access channel) 및 역방향 트래픽 채널(reverse traffic channel)로 이루어진다.
상기 순방향의 코드 채널은 64개의 직교성을 갖는 월시코드(Walsh code)로 구성되며, 한 개의 순방향 트래픽 채널은 한 개의 월시코드를 점유한다. 따라서 상기 순방향 및 역방향의 각 트래픽 채널은 9.6kbps/14.4kbps의 전송 비트 레이트를 한계값으로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14.4Kbps를 초과하는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한 사용자에게 순방향 및 역방향으로 한 개 이상의 월시코드 또는 역방향 코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한다.
상기와 같이 하기 위해서는 도 2a 및 도 2b 와 같은 CDMA 채널 중 순방향 및 역방향 트래픽 채널에 대한 세분화 작업이 필요하다. 이들을 세분화하면 도 3a 및 도 3b와 같은 CDMA 채널 구조를 만들 수 있다. 이런 경우 순방향 채널은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롯트 채널, 동기 채널, 페이징 채널, 순방향 트래픽 채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순방향 트래픽 채널은 기본 채널(fundamental channel)과 부가 채널(supplemental channel)로 이루어진다. 또한 역방향 채널은 억세스 채널 및 역방향 트래픽 채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역방향 트래픽 채널은 기본 채널(fundamental channel)과 부가 채널(supplemental channel)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하는 경우, 멀티 코드를 이용한다고 한다. 상기 도 3a 및 도 3b에서 기본 채널은 종래의 순방향 및 역방향 트래픽 채널과 동일한 기능 및 비트 레이트를 지원하게 된다. 그리고 부가 채널은 고속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있을 때 이를 요구한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것이며, 요구가 없을 때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상기 부가 채널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0에서 7개 까지를 한 사용자에게 할당할 수 있다.
이때 한 사용자가 상기 부가 채널을 이용하여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받고자할 경우, 먼저 파이롯트 채널, 동기 채널, 페이징 채널을 이용하여 해당 기지국의 접속 정보를 얻어야 한다. 다음으로 얻어진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기지국으로 억세스 채널을 통한 접속을 시도한다. 상기 억세스 채널을 통한 접속이 성공되면, 순방향 및 역방향 트래픽 채널의 기본 채널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기지국 간의 연결 통로가 생성된다. 상기 연결 통로가 생성된 이후에는 기본 채널을 통한 연결을 유지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받고자 하는 데이터 서비스는 버스트(burst)한 특성을 갖는다. 즉,순간적으로 송신해야할 또는 수신해야할 고속 데이터가 존재하지만, 이것은 항상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데이터를 보내는 기간과 보내지 않는 기간이 공존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상기 기본 채널을 통해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호가 설정되어있고, 사용자 또는 기지국이 고속 데이터를 송신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면, 이를 기지국 또는 단말기에 알려주고 이런 경우에만 부가 채널을 사용하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negotiation) 과정은 기존에 형성되어있던 기본 채널을 통하여 종료 사실을 상호간에 알려주고, 사용중이던 부가 채널의 사용을 중지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의 한 예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 4에서는 단말기를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411단계에서 단말기와 기지국이 기본 채널을 통해 호를 세트업한다. 이후 413단계에서 단말기(기지국)가 고속 데이터 송신을 하는가 검사한다. 이때 고속 데이터 송신이면, 415단계에서 단말기(기지국)는 역방향(순방향)의 기본채널을 통해 기지국(단말기)로 부가 채널의 사용을 요청(지시)한다. 그리고 417단계에서 상기 기지국(단말기)은 단말기(기지국)가 요청(지시)한 부가 채널을 설정(수신)가능한가 검사한다. 이때 설정(수신)이 불가능하면, 419단계로 진행하여 설정(수신가능)하지 않음을 순방향(역방향)의 기본채널을 통하여 단말기(기지국)에게 통보하고, 양방향의 기본 채널을 통한 호를 유지한 후, 상기 413단계로 되돌아간다.
그러나 상기 417단계에서 부가채널의 설정(수신)이 가능하면, 421단계에서 기지국(단말기)은 해당 부가 채널을 준비하고, 준비되었음을 순방향(역방향)의 기본 채널을 통하여 단말기(기지국)으로 통보한다. 그리고 423단계에서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기본채널과 부가 채널을 이용하여 고속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425단계에서 고속 데이터의 송수신이 완료되었는가 검사한다. 이때 고속 데이터의 송수신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423단계 및 425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425단계에서 고속 데이터의 송수신이 완료되었으면, 427단계에서 순방향 및 역방향의 기본채널을 통하여 종료 사실을 단말기와 기지국이 서로 교환하며, 이 후 상기 부가채널의 사용을 종료하고 기본 채널을 통한 호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호를 유지한 상태에서 호가 종료되었는가 검사하며, 아니면 상기 413단계로 되돌아가며 그렇지 않으면 431단계에서 호를 종료한다.
상기 도 4에서와 같이 결국 멀티-코드를 이용한 고속 데이터 서비스는 패킷 형태의 송수신 특성으로 인하여 시간에 따른 코드 채널 점유 특성을 보이게 된다. 즉, 일정 시간 동안에는 코드 채널의 사용이 집중되지만, 그렇지 않은 시간도 많이 존재하게 된다.
도 5는 두명의 사용자가 부가 채널을 통해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때의 순방향 코드 채널의 사용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5에서 가로 축은 시간을 의미하고 세로 축은 코드 채널의 사용수를 나타낸다. 상기 코드 채널의 사용 수는 결국 순방향 CDMA 채널의 부하를 의미하게 된다. 즉, 사용 코드 채널의 수가 많아지면 부하가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도 5에서 F는 기본 채널을 나타내고, F 옆의 숫자는 사용자의 번호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상기 F1은 1번 사용자의 기본 채널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도 5에서 S는 부가 채널을 의미하며, S 옆의 첫 번째 숫자는 사용자의 번호를 나타내고 두 번째 숫자는 사용하는 부가 채널의 번호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S2,3은 2번 사용자의 3번 부가 채널이 사용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멀티-코드를 사용하는 고속 데이터 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상기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고속 데이터 서비스 방법은 순방향 부가 채널을 이용한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때 순방향으로 제공되는 토탈 비트 레이트(total bit rate)의 불균일성이 발생되며, 또한 비트 레이트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된다.
상기 전자의 문제점은 토탈 비트 레이트가 불균일하므로써 서비스 가능한 CDMA 채널의 용량을 다 사용하지 못하게 되고, 이로인해 채널 용량을 낭비하게 된다. 이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 기지국에서 전송하는 모든 데이터 레이트가 일정하고 도착하는 패킷 M/M1/queue 모델에 의하면 하기의 <표 1>이 성립됨을 알 수 있다.
[표 1]
패킷의 대기시간 낭비되는 capacity
9%
상기 <표 1>은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은 관계에 의해 성립된다.
[수학식 1]
상기 <수학식 1>에서 W는 대기 시간(waiting time), 1/μ는 평균 전송 시간(average transmission time), ρ는 λ/μ이며, λ는 입력 레이트(input rate)이고, ρ는 사용율이며 ρ0는 비사용율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경우 부가채널의 사용예는 도 5와 같다. 상기 도 5와 같이 정해진 캐패시티 안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할 때,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하지 않는 타임슬롯들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캐패시티의 낭비가 된다.
상기 후자의 문제점으로 지적된 비트 레이트의 급격한 변화는 순방향으로의 부하의 급격한 변화를 의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급격한 변화는 안정적인 셀 운영에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으며, 이는 하기와 같은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다. 파이롯트 전력(pilot power) 대 음성 사용자의 전력 대 데이터 사용자의 전력비가 2:0.4:8이라고 가정한다. 여기서 상기 0.4는 음성 액티비티(voice activity)이며, 8은 8개의 채널이 풀 레이트(full rate)로 사용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두 개의 셀만을 고려할 때 각 셀 모두 10명의 사용자가 있고 한 셀에만 데이터 사용자고 있다고 가정하고 기지국이 일정한 총 전력을 쓴다고 가정하면, 데이터 사용자가 있는 위치의 셀 반경이 10% 정도 감소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기지국이 일정한 파이롯트 전력을 출력한다고 가정하면, 단말기가 보고하는 Ec/Io(handoff의 key parameter)는 데이터 사용자의 유무에 따라 2dB 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두가지의 문제점은 안정적인 통신망의 운용과 채널 용량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중인 순방향 트래픽 채널에 데이터가 실리지 않는 시간에서 상보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여 데이터 레이트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순방향 링크에 상보 채널을 설정하며, 단말기들과 통신 중인 상태에서 총 송신전력이 기준 송신 전력 보다 낮을 시 상기 상보 채널에 상보 데이터를 서비스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단말기와 통신 중인 상태에서 데이터가 실리지 않는 시간 동안 해당 채널에 상보 데이터를 서비스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순방향 링크 데이터 서비스 방법이, 기지국이 송신하는 총 송신 전력을 검출하며, 상기 총 송신 전력이 기준 송신 전력 보다 낮을 시 상보 채널에 상보 데이터를 넣어 상기 순방향 링크 상에 전송하며, 단말기가 상기 순방향 링크 상의 상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지국의 고속 데이터 서비스 사용자 부하에 따른 기지국 반경 및 파일로트 전력의 급격한 변화를 줄이기 위해서는 기지국의 총 출력 신호의 세기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런 방법은 결국 신호의 세기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출력 신호의 세기가 작을 경우에는 소정의 정보를 출력하여 기지국의 전체 출력신호를 일정 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형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출력신호의 세기를 유지하는 경우, 기지국 출력신호가 작아질 때 출력되는 정보를 상보 데이터라 칭하며, 상기 상보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상보 서비스라 칭한다. 또한 상기 상보 데이터가 전달되는 채널을 상보 채널이라 칭한다.
상기 상보 서비스를 하는 목적은 기지국 반경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파일로트 전력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는 데에 있다. 또 다른 상보 서비스의 목적은 순간 순간 비어있는 기지국의 용량을 유용한 정보로 채워 낮은 가격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므로써 이동통신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사용 만족도를 증가 시키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제공되는 상기 상보 서비스는 기지국의 출력신호 세기의 변동에 따라 언제라도 중지 및 재개가 가능하여야 하므로, 서비스의 우선 순위에서는 기본채널 및 부가채널을 이용한 통화 시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우선순위를 가져야 한다. 그럼으로써 안정적인 기지국 운용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낮은 우선 순위에도 지장없이 서비스 가능한 상보 데이터들은 기상 정보, 교통 정보, 주식 정보, 시보, 광고, 그리고 기타의 정보들이 될 수 있다. 또한 대용량의 파일 전송과 같이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서비스의 경우도 상보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낮은 가격으로 제공될 수 도 있다. 그러나 이런 경우에는 특정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의 개념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낮은 우선 순위에서 동작하기 위한 특정 프로토콜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프로토콜의 경우는 본 발명의 관심범위가 아니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상보 서비스가 이루어 지기 위해서는 상보 서비스를 받기 위한 단말기가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상보 서비스 받을 수 있는 단말기가 상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순서가 정해져야 한다. 상기와 같은 상보 서비스 가능한 단말기가 존재한다고 할 때 상보 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하여 이루어 진다.
먼저 상보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단말기가 기지국과의 호 설정 과정에서 상보 서비스를 받겠다는 사실을 기지국에 알리고, 상보 서비스가 제공되는 상보 채널의 직교 코드 번호를 기지국으로부터 할당 받는다. 상기 기지국에서 단말기에 직교 코드 번호를 할당하는 방법은 두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한가지 방법은 멀티캐스트(multicast) 또는 방송(broadcast) 방식으로써, 전체 직교 코드들중의 일부 직교 코드 번호를 상보 채널로 설정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은 상보 채널을 일종의 오버헤드 채널(overhead channel)로 사용하므로써, 상보 서비스를 위한 채널을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이다. 이런 경우 상기 상보 서비스는 교통, 기상, 주식 등과 같이 단말기 가입자가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정보들이 될 수 있다. 나머지 한가지 방법은 기지국이 해당 단말기의 채널에 상보 데이터를 서비스하는 방식(point to point)이다. 이런 경우 단말기는 설정된 채널들을 통하여 순방향 링크로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게 되며, 기지국은 통신 중인 상태에서 설정된 채널로 실제 데이터가 통신되지 않는 휴지 구간에 해당 채널에 상보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직교 코드는 월시 코드(walsh code)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하 상기 직교 코드를 월시 코드라 가정한다. 상기 호 설정 과정에서 상보 채널의 월시 코드를 할당받은 상보 서비스 가능한 단말기는 기본 채널 또는 부가 채널을 통한 통화 또는 데이터 송수신이 발생하지 않는 사이 사이의 시간에서 주기적으로 상보 채널을 점검하여 제공되는 상보 채널의 정보가 있는가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점검하는 시점에서 상보 채널을 통하여 수신되는 정보가 있을 경우에는 해당하는 상보 채널의 정보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공 가능한 상보 서비스중에서, 대용량 파일 전송의 경우는 특정한 프로토콜을 필요로 하게 되고, 그 이외의 대중적인 서비스에는 특별한 프로토콜이 필요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상보 채널을 점검한 시점에서 상보 서비스와 관련되는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다시 일정시간이 경과하고 기본 채널 또는 부가 채널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이 없을 경우에 한하여 상보 채널을 점검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들이 상보 서비스 가능한 단말기에서 상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거치는 과정이 된다.
상기 상보 서비스는 기지국에서 자체의 용량을 점검함으로써, 용량에 여유가 있을 때 제공되는 서비스이므로, 기본적으로는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송신되는 신호 경로인 순방향 링크와 관련되는 내용의 서비스이다.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상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자신의 채널 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고, 이를 상보 서비스 가능 여부와 연결시킬 수 있는 판단과정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기지국의 제어프로세서는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해당 기지국에서 송신하고 있는 송신 신호의 전력 수준을 판단한다.
[수학식 2]
P=G(1)*G(1) + G(2)*G(2) + ...... +G(N)*G(N)
상기 <수학식 2>에서 P 는 기지국에서 송신하고 있는 신호의 총 전력이며, G(i), i=1,2, …, N 은 i 번째 채널의 이득이 된다. 즉, 해당 기지국의 각 채널에서의 전력은 해당 채널의 송신 이득의 제곱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해당 기지국의 총 송신 전력은 모든 개별 채널의 송신전력의 합으로 표현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상기 기지국 제어프로세서는 해당 순간에서의 기지국의 총 송신 전력의 수준을 점검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 제어프로세서는 해당 기지국의 총 송신 전력에 대한 점검의 결과를 이용하여 해당 시점에서의 상보 서비스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미 상보 서비스가 진행되고 있는 경우, 상기 기지국 제어프로세서는 현재 실행 중인 상보 서비스를 계속 진행 여부를 결정하여야 하며, 이런 결정은 하기의 <수학식 3> 및 <수학식 4>에 의하여 이루어 지게 된다.
[수학식 3]
[수학식 4]
상기 <수학식 3>에서 Plow는 기지국에서 상보 서비스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 송신 전력으로써, 이하 “하한 기준 송신 전력”이라 칭한다. 즉, 상기 총 송신 전력 P가 Plow 값 이하로 되는 시점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보채널을 통해 상보 서비스의 수행이 시작된다. 또한 상기 <수학식 4>에서 Phigh는 기지국에서 수행 중인 상보 서비스를 축소 제어하기 위한 기준 송신 전력으로써, 이하 “상한 기준 송신 전력”이라 칭한다. 즉, 상기 총 송신 전력 P가 Phigh 값 이상이 되는 시점에서 상기 기지국은 수행 중인 상보 채널을 제어하여 상보 서비스의 수행을 축소 또는 중지하게 된다.
상기 <수학식 3>과 <수학식 4>에 의하여, 상기 기지국 제어프로세서는 점검한 결과인 총 송신 전력 P를 상보 서비스 여부의 결정 기준치인 Plow 및 Phigh 와 비교된다. 이때 비교 결과 상기 <수학식 3>에서와 같이 P가 Plow 보다 작은 값을 갖게 되면, 상기 기지국 제어프로세서는 상보 채널을 통하여 상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수학식 2>의 P 값을 Plow 이상으로 유지 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수학식 2>의 P 값이 상기 <수학식 3>을 만족하는 총 송신전력이면서 이미 상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었다면, 상기 기지국 제어프로세서는 상보 서비스를 통하여 제공되는 정보량을 늘임으로써, 즉 상보 채널을 더 할당함으로써, 상기 <수학식 2>의 P 값을 Plow 이상으로 유지 시킨다.
또한 상기 <수학식 4>는 총 송신 전력인 P 값이 Phigh 보다 큰 값을 갖고 있는 경우를 표시하고 있으며, 이는 상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여유 전력이 없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즉, 상기 <수학식 4>와 같은 경우에는 상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미 제공되고 있던 상보 서비스가 있다면 상보 채널의 정보량을 줄임으로써 상기 P의 값이 Phigh 보다 작아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상기한 <수학식 2>, <수학식 3>, 그리고 <수학식 4>는 상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지국 제어프로세서가 판단하여야 하는, 기지국의 총 송신 전력 및 전력 기준값들 사이의 관계를 명시한 것이다. 이러한 관계식 및 이를 실제 구현하기 위한 실시예로써 본 발명에서는 도 6 및 도 7 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도 6은 상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지국의 구성으로써, 특히 상보 서비스와 관련되는 부분들 및 관련 정보와 정보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기지국 제어기610의 제어 프로세서612는 상위의 네트워크로부터 상보 서비스로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들을 수집하여 상보 서비스 데이터 베이스614에 저장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상보 서비스 데이터 베이스614에 저장된 정보들은 기지국620의 기지국 제어프로세서621로 부터의 상보 데이터요청이 있을 때, 상기 기지국 제어기610의 제어 프로세서612에 의하여 읽혀져 기지국620의 기지국 제어프로세서621에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기지국620의 기지국 제어프로세서621은 상기 기지국 제어기610의 제어 프로세서612에서 출력되는 상보 서비스 관련 정보들을 자신이 관리하는 상보 데이터 버퍼623에 저장하여 상보 서비스 제공시 송신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학식 2>, <수학식 3>, 그리고 <수학식 4>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기지국620의 기지국 제어프로세서621이 상보 서비스의 시작을 해야한다고 판단하면, 상기 기지국 제어프로세서621은 상보 데이터버퍼623에서 상보 서비스와 관련되는 정보를 읽어들인 후, 상보 채널을 송신하게 될 모뎀631-63N 중 해당하는 모뎀으로 이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상기 상보 데이터버퍼623에서 정보를 읽어들여 모뎀631-63N에 전달한 후, 기지국의 기지국 제어프로세서621은 기지국 제어기의 제어 프로세서612에 상보 서비스 관련 정보들의 추가 지원을 요청하며, 상기 제어 프로세서612에서 상기 상보 서비스 관련 정보를 송신하면, 상기 기지국 제어프로세서621은 비어있는 상기 상보 데이터버퍼623에 상기 수신되는 상보 서비스 관련 정보를 다시 채우게 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모뎀631-63N은 기지국의 기지국 제어프로세서621에서 현재 송신하고 있는 신호의 이득 G(i), i=1, 2, …, N 을 주기적으로 보고하여, 상기 기지국 제어프로세서621이 총 송신전력을 점검함으로써 상보서비스와 관련한 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각각의 모뎀631-63N의 송신신호들은 가산기641에서 모두 합쳐진 후, 송신 여파기643, 주파수 천이기645, 송신 증폭기647 및 안테나를 통해 통해 송출되므로써, 순방향 링크의 신호로 단말기들에 출력된다.
상기 도 7은 상기 기지국 제어프로세서621에서 상보 서비스의 시작과 종료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블록 구성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기지국620의 각각의 모뎀631-63N에서 상기 기지국 제어프로세서621에 입력되는 신호 G(i), i=1, 2, …, N 은 각각 대응되는 제곱기711-71N에서 해당하는 모뎀631-63N이 현재 송신하고 있는 각각의 송신전력으로 변환된다. 상기와 같이 제곱기711-71N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송신전력들을 가산기722에서 모두 합하여 해당 기지국620의 총 송신전력을 계산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계산된 총 송신전력 P는 Plow 및 Phigh의 상보 서비스 제공관련 기준전력과 비교과정을 거치게 된다.
먼저 Plow 와의 비교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P가 Plow 보다 작을 경우와 크거나 같을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제1비교기724는 상기 P와 Plow를 비교한다. 이때 상기 P가 Plow 보다 작을 경우(P〈 Plow), 현재의 총 송신 전력이 기준전력보다 작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상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여유 채널 용량이 남아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 제어프로세서621은 채널 용량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상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계산기726은 상기 제1비교기724에서 계산된 P와 Plow의 차에 의하여 최대로 송신 가능한 상보 데이터량을 계산하며, 제1결정기728은 상기 계산 결과에따라 상보 서비스 송신 채널 수를 결정한 후 이에 해당하는 상보 서비스를 상보 채널을 통하여 제공하게 된다.
상기 상보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상보 채널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제1결정기728은 하기 <수학식 5>에 의해 상보 채널 수를 결정한다.
[수학식 5]
상기 <수학식 5>에서 n은 상보 서비스가 가능한 상보 채널 수를 나타내며, Punit는 한 채널당 송신 전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계산기726가 상보 서비스가 가능한 전력 값(Plow-P)을 구하고, 상기 제1결정기728이 상기 상보서비스가 가능한 전력 값을 채널 송신 전력Punit로 나누어 상보 서비스가 가능한 상보 채널 수 n을 결정한다.
그러나 상기 제1비교기724에서 상기 P와 Plow를 비교한 결과 크거나 같을 경우(P≥Plow), 현재의 채널용량에서 상보 서비스를 더 제공할 수 있는 여유 용량이 없음을 의미하므로 상보 서비스 추가와 관련된 더 이상의 동작을 중지한다.
이후 상기 P와 Phigh의 상태를 비교한다. 제2비교기730은 상기 P 와 Phigh를 비교한다. 이때 상기 제2비교기730의 비교 결과 P가 Phigh 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P≤Phigh), 기지국620이 송신 가능한 총 송신 전력의 범위 내에서 송신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기존에 서비스되고 있던 상보 서비스가 있더라도 이에 대한 작용없이 동작을 중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비교기730의 비교 결과 P 가 Phigh 보다 클 경우(P>Phigh)에는 상기 기지국620의 총 송신 전력에 비하여 과도한 전력을 송신되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이런 경우 이미 서비스 되고 있는 상보 서비스를 중지함으로써 상기 기지국620의 총 송신 전력을 낮추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 경우 상보 서비스를 모두 중지하는 것은 아니고 P 가 Phigh 보다 작거나 같아지는 범위까지만 맞출 수 있도록 상보 데이터 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P>Phigh인 경우, 상보서비스 점검기732는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상보 서비스가 있는가 검사하며, 없는 경우에는 더 이상의 동작을 취하지 않는다. 그러나 현재 서비스 중인 상보 서비스가 있는 경우, 제2계산기734는 총 전력 P에서 Phigh를 감산(P-Phigh)하며, 제2결정기736은 상기 총 전력 P가 Phigh 보다 작거나 같아지는 범위(P≤Phigh)까지만 맞출 수 있도록 상보 서비스를 축소한다.
상기 상보 서비스를 축소하기 위한 상보 채널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제2결정기736은 하기 <수학식 6>에 의해 상보 서비스를 축소 제어할 상보 채널 수를 결정한다.
[수학식 6]
상기 <수학식 6>에서 N은 축소하여야 할 상보 채널 수를 나타내며, Punit는 한 채널당 송신 전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2계산기734가 상보 서비스를 축소 제어하기 위한 전력 값(P-Phigh)을 구하고, 상기 제2결정기736이 이를 채널 송신 전력Punit로 나누어 상보 서비스를 축소 제어해야 할 상보 채널 수 N을 결정한다. 즉, 상기 제2결정기736은 상기 N과 현재 서비스 중인 상보 채널의 수 No를 비교한 후, N≤No이면 N개의 상보 채널 서비스를 중지하고 (No-N)개의 상보채널을 통해서만 상보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N>No이면 모든 상보 채널 서비스를 중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상보 서비스의 효과, 즉, 기지국의 총 송신 전력을 일정하게 유지한다는 측면을 보일 수 있는 도면을 도 8에 도시하였다. 도 8은 2명의 데이터 사용자와 관계된 상보 서비스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은 두명의 사용자가 부가 채널을 통해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때의 순방향 코드 채널의 사용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8에서 가로 축은 시간을 의미하고 세로 축은 코드 채널의 사용수를 나타낸다. 상기 코드 채널의 사용 수는 결국 순방향 CDMA 채널의 부하를 의미하게 된다.
상기 도 8에서 F는 기본 채널을 나타내고, F 옆의 숫자는 사용자의 번호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상기 F1은 1번 사용자의 기본 채널을 의미한다. 또한 S는 부가 채널을 의미하며, S 옆의 첫 번째 숫자는 사용자의 번호를 나타내고 두 번째 숫자는 사용하는 부가 채널의 번호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S2,3은 2번 사용자의 3번 부가 채널이 사용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도 8의 빗금친 부분의 C는 상보 채널을 의미하며, C 옆의 첫 번째 숫자는 사용자의 번호를 나타내고 두 번째 숫자는 사용하는 상보 채널의 번호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C1,5은 1번 사용자의 5번 상보 채널이 사용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상보 채널 C는 비사용에 의해 낭비되는 채널 자원을 유용한 정보로 채워 넣어 상보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으로, 이로인해 시스템의 운용을 안정시키고 채널 용량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9는 순방향의 부가채널을 통하여 고속 데이터 서비스(high speed data service) 제공하는 경우, 상기 상보채널을 통해 상보 서비스를 하는 과정 및 해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9와 같은 상보 서비스는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621에 의해 처리된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621은 911단계에서 기본채널을 통해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에 호를 세트업(call setup)한다. 911단계에서 호 설정이 완료되면, 기지국 제어프로세서621은 913단계에서 단말의 요구에 의해서 또는 기지국에서의 필요에 의하여 순방향 부가 채널을 통한 고속 데이터 서비스(high speed data service)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915단계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순방향의 부가채널이 있는지를 점검한다. 이때 점검결과 가용한 부가채널이 존재하지 않을때는 917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917단계에서 상기 기지국 제어프로세서621은 단말기에서 사용을 요청한 경우에는 단말기에게 가용한 부가채널이 없음을 알리고 913단계로 되돌아가며, 기지국의 필요에 의한 경우에는 그냥(no action) 913단계로 되돌아가 순방향 부가채널의 사용 필요성에 대한 점검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915단계에서 사용 가능한 부가 채널이 있으며, 상기 기지국 제어프로세서621은 919단계에서 단말기에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순방향 링크 부가채널에 대한 정보를 기본채널을 통하여 통보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 제어프로세서621은 921단계에서 상보 서비스의 추가 또는 삭제를 판단하기 위하여 새롭게 할당된 순방향 부가채널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가 제공될 때의 기지국의 출력 전력을 계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계산과정은 하기 <수학식 7>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7]
P (n+1)= P (n) + N sup ×P unit
상기 <수학식 7>에서 (call) P(n)은 새로운 부가채널이 송신을 시작하기 직전의 기지국 출력 전력 레벨이며, Punit는 한 개의 부가채널이 송신할 수 있는 기본 전력 레벨이고, Nsup는 새로이 시작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부가채널의 개수이며, P(n+1)은 새로은 부가채널들이 송신을 시작한 후의 기지국 출력 전력 레벨이 된다. 즉, 새로운 부가채널의 사용에 의하여 기지국의 출력 전력 레벨이 증가하게 되며 이를 감안하여 새로운 상태에서의 상보 서비스 채널 갯수를 결정하기 위한 근거 자료로 삼기 위함이다.
상기 921단계에서 새로운 기지국 출력 전력 레벨의 예상치가 결정되면, 상기 기지국 제어프로세서621은 923단계에서 P high와 비교하여, PP high보다 크면 925단계에서 상보채널 제거 동작(procedure)을 수행한 후 927단계로 천이하며, 상기 PP high보다 크지 않으면 927단계로 바로 천이한다. 그리고 상기 927단계에서는 순방향 부가채널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를 시작한다. 즉 상기 927단계에서 순방향 부가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기 시작한다. 데이터가 송신되기 시작하면 기지국에서는 주기적으로 기지국의 출력 전압 레벨을 점검하여 상보 서비스가 진행중인 상보 채널을 종료시키거나 새로운 상보채널을 삽입하는 동작을 진행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 제어프로세서621은 929단계에서 기지국의 출력 전압 레벨인 P와 고전력의 기준값인 P high를 비교하며, 상기 PP high보다 크면 933단계로 천이하여 상보채널 제거 동작을 수행하고 935단계로 천이하며, 그렇지 않으면 931단계로 천이하여 상보채널 삽입 동작을 수행한 후 935단계로 천이한다.
도 10은 상기 도 9의 933단계에 도시된 상보채널 제거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의 일 예이다.
상기 상보채널 제거 동작이 시작되면 1011단계에서 기존에 서비스가 진행중인 상보채널의 개수를 확인한다(m). 그리고 1013단계에서 현재 출력중인 기지국 전압 레벨 P와 기준값인 P high를 비교하여 P unit을 기본단위로 하는 채널의 개수가 몇 개인지를 계산한다(n). 이후 1015단계에서는 m과 n을 비교하여 m의 값이 n의 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즉 종료시켜야 하는 채널의 개수가 현재 서비스중인 상보채널의 개수보다 적으면, 1017단계에서 n개에 해당되는 상보채널을 진행중인 상보서비스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종료시킨 후 과정을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 1015단계에서 m의 값이 n의 값보다 작으면, 1019단계로 천이하여 진행중인 모든 상보채널을 종료시키고 상보채널 제거 동작을 종료한다.
도 11은 상기 도 9의 931단계에 도시된 상보채널 삽입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의 한 예이다.
상기 상보채널 삽입 동작이 시작되면, 1111단계에서는 현재의 기지국 출력 전력 레벨 P를 low 기준값인 P low보다 작지 않으면 새로운 상보채널 삽입 없이 과정을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 1111단계에서 상기 PP low보다 작으면 1113단계로 천이하여 PP lowP unit의 상보채널의 개수를 계산하고(n) 1115단계로 천이한다. 이후 1115단계에서 n개의 상보채널을 상보 서비스의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로 서비스 개시시키고 상보채널 삽입 동작을 중단한다.
상기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상보채널의 제거 또는 삽입 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기지국 제어프로세서621은 935단계에서 순방향에서의 부가채널을 통한 데이터 송신이 종료되었는가를 점검하며, 종료인 경우에는 937단계로 천이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시 929단계로 천이하여 주기적인 기지국 전력의 변동에 따른 상보 서비스 채널의 변경작업을 진행한다. 이후 상기 937단계에서 순방향 부가채널을 통한 데이터 송신이 종료되었음을 기본채널을 통하여 단말에게 알려주고, 상기 부가채널이 종료됨으로써 변동된 기지국 출력 전압 레벨의 변동을 보상하기 위한 상보채널 삽입 동작을 939단계에서 수행한다. 상기 939단계에서 941단계로 천이한 후, 941단계에서는 호의 종료 필요 여부를 점검하며, 종료하여야 하면 전체 흐름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며 913단계로 천이하여 순방향 부가채널의 사용 필요성에 대한 점검을 다시 진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보 채널을 도입하여 상보 서비스를 수행하므로써, 낭비되는 자원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시스템의 안정성 및 채널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 시스템의 단말기 및 기지국의 구성과 무선 링크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부호 분할 다중 접속 표준안에 따른 순방향 및 역방향 채널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새로운 부호 분할 다중 접속 표준안에 따른 순방향 및 역방향 채널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a 및 도 3b와 같은 채널 구조를 갖는 부호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부가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부가 채널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보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지국의 구성을 특히 상보 서비스 관련 부분들 및 관련 정보의 흐름과 신호의 흐름을 중심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의 기지국 제어프로세서에서 상보 서비스의 시작과 종료를 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보 채널이 적용되는 순방향 채널의 사용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호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순방향의 부가 채널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 시 상보채널 서비스 및 해제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0은 도 9에서 상보 서비스 중에 상보 채널을 제거하는 동작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흐름도
도 11은 도 9에서 상보 채널 삭제 후 상보 채널을 재삽입하는 동작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흐름도

Claims (27)

  1. 기본 채널들 및 부가 채널들로 이루어지는 순방향 트래픽 채널을 구비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현재 사용 중인 전체 채널들의 총 송신전력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총 송신전력과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총 송신전력이 임계값 보다 작을 시 상기 부가 채널들중 상보 서비스 가능한 채널들을 결정하여 상보채널로 삽입하고 이 상보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총 송신전력을 검출하는 과정이,
    현재 서비스 중인 채널들의 수에 채널당 송신전력을 곱하여 기지국에서 사용중인 채널들의 총 송신전력을 계산함으로써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서비스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채널을 삽입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이,
    상기 임계값에서 상기 총 송신전력을 뺀 후 얻어지는 송신전력을 부가채널당 송신전력으로 나누어 상기 부가 채널들중 상보서비스가 가능한 부가채널 수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부가채널 수에 따라 상기 부가 채널들중 상보 서비스 가능한 채널들을 결정하여 상보채널로 삽입하고 이 상보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실어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서비스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총 송신전력에서 상보서비스가 가능한 하한 기준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서비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서비스 방법은 상기 총 송신전력이 상기 임계값 보다 클 시 상보채널들을 제거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서비스 방법.
  6. 기본 채널들 및 부가 채널들로 이루어지는 순방향 트래픽 채널을 구비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현재 사용 중인 채널들의 총 송신전력을 검출하는 전력측정기와,
    상기 총 송신전력과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는 비교기와,
    상기 총 송신전력이 상기 임계값 보다 작을 시 상기 부가 채널들중 상보 서비스 가능한 채널들을 결정하여 상보채널로 삽입하는 상보채널 삽입기와,
    상기 삽입된 상보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서비스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측정기가,
    현재 서비스 중인 각 채널들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의 이득을 입력하여 제곱하고 이 제곱결과를 각 채널들의 송신전력으로 출력하는 제곱기들과,
    상기 제곱기들의 출력을 가산하여 상기 총 송신전력을 검출하는 가산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서비스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채널 삽입기가,
    상기 임계값에서 상기 총 송신전력을 뺀 후 얻어지는 송신전력을 부가채널당 송신전력으로 나누어 상기 부가 채널들중 상보서비스가 가능한 부가채널 수를 계산하는 상보전력 계산기와,
    상기 계산된 부가채널 수에 따라 상기 부가 채널들중 상보 서비스 가능한 채널들을 결정하여 상보채널로 삽입하는 상보채널 결정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서비스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상기 총 송신전력에서 상보서비스가 가능한 하한 기준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서비스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서비스 장치는 상기 총 송신전력이 상기 임계값 보다 클 시 상보채널들을 제거하는 상보채널 제거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서비스 장치.
  11. 기본 채널들 및 부가 채널들로 이루어지는 순방향 트래픽 채널을 구비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현재 사용 중인 채널들의 총 송신전력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총 송신전력과 미리 설정된 제1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총 송신전력이 상기 제1임계값 보다 작을 시 상기 부가 채널들중 상보 서비스 가능한 채널들을 결정하여 상보채널로 삽입하고 이 상보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실어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총 송신전력과 미리 설정된 제2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총 송신전력이 상기 제2임계값 보다 클 시 상기 상보채널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서비스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총 송신전력을 검출하는 과정이,
    현재 서비스 중인 채널들의 수에 채널당 송신 전력을 곱하여 기지국에서 사용중인 채널들의 총 송신전력을 계산함으로써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서비스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채널을 삽입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이,
    상기 제1임계값에서 상기 총 송신전력을 뺀 후 얻어지는 송신전력을 부가채널당 송신전력으로 나누어 상기 부가 채널들중 상보서비스가 가능한 부가채널 수를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부가채널 수에 따라 상기 부가 채널들중 상보 서비스 가능한 채널들을 결정하여 상보채널로 삽입하고 이 상보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실어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서비스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임계값은 상기 총 송신전력에서 상보서비스가 가능한 하한 기준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서비스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채널을 제거하는 과정이,
    현재 상보채널 수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총 송신전력에서 상기 제2임계값을 뺀 후 채널당 송신전력으로 나누어 제거할 상보채널 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거할 상보채널 수에 따라 우선순위가 낮은 상보채널들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서비스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임계값은 상기 총 송신전력에서 상보채널을 제거하여야 할 상한 기준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서비스 방법.
  17. 기본 채널들 및 부가 채널들로 이루어지는 순방향 트래픽 채널을 구비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현재 사용 중인 채널들의 총 송신전력을 검출하는 전력측정기와,
    상기 총 송신전력과 미리 설정된 제1임계값을 비교하는 제1비교기와,
    상기 총 송신전력이 상기 제1임계값 보다 작을 시 상기 부가 채널들중 상보 서비스 가능한 채널들을 결정하여 상보채널로 삽입하는 상보채널 삽입기와,
    상기 삽입된 상보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총 송신전력과 미리 설정된 제2임계값을 비교하는 제2비교기와,
    상기 총 송신전력이 상기 제2임계값 보다 클 시 상기 상보채널들을 제거하는 상보채널 제거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서비스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측정기가,
    현재 서비스 중인 각 채널들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의 이득을 입력하여 제곱하고 이 제곱 결과를 각 채널들의 송신전력으로 출력하는 제곱기들과,
    상기 제곱기들의 출력을 가산하여 상기 총 송신전력을 검출하는 가산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서비스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채널 삽입기가,
    상기 제1임계값에서 상기 총 송신전력을 뺀 후 얻어지는 송신전력을 부가채널당 송신전력으로 나누어 상기 부가 채널들중 상보서비스가 가능한 부가채널 수를 계산하는 제1계산기와,
    상기 계산된 부가채널 수에 따라 상기 부가 채널들중 상보 서비스 가능한 채널들을 결정하여 상보채널로 삽입하는 제1결정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서비스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임계값은 상기 총 송신전력에서 상보서비스가 가능한 하한 기준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서비스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보채널 제거기가,
    현재 상보채널 수를 확인하는 상보서비스 점검기와,
    상기 총 송신전력에서 상기 제2임계값을 뺀 후 얻어지는 송신전력을 부가채널당 송신전력으로 나누어 제거할 상보채널 수를 결정하는 제2계산기와,
    상기 상보채널중 상기 계산된 제거할 상보채널 수에 따라 상보채널들을 제거하는 제2결정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서비스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임계값은 상기 총 송신전력에서 상보채널을 제거하여야 할 상한 기준값 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서비스 장치.
  23. 순방향 트래픽 채널이 기본 채널과 부가 채널로 이루어지는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이 송신하는 총 송신 전력을 검출하며, 상기 총 송신 전력이 기준 송신 전력 보다 낮을 시 설정된 상보 채널들에 상보 데이터를 실어 상기 순방향 링크 상에 전송하는 과정과,
    단말기가 상기 순방향 링크 상의 상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지국이 상기 순방향 링크 상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이,
    현재 사용 중인 채널들의 총 송신전력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총 송신전력과 미리 설정된 제1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총 송신전력이 제1임계값 보다 작을 시 상기 부가 채널들중 상보 서비스 가능한 채널들을 결정하여 상보채널로 삽입하고 이 상보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실어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총 송신전력과 미리 설정된 제2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총 송신전력이 제2임계값 보다 클 시 상기 상보채널을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서비스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순방향 링크의 상보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이,
    상기 기지국과 호 설정시 상기 상보 서비스를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에서 출력되는 상보채널의 직교코드 번호를 할당받는 과정과,
    상기 상보데이터 수신시 이를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서비스 방법.
  25. 순방향 트래픽 채널이 기본 채널과 부가 채널로 이루어지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 시스템의 상보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총 송신 전력을 검출하며, 상기 총 송신 전력이 기준 송신 전력 보다 낮을 시 설정된 상보 채널들에 상보 데이터를 실어 상기 순방향 링크 상에 전송하는 기지국과,
    상기 순방향 링크 상의 상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단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 서비스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과 호 설정시 상기 상보 서비스를 요구하고, 상기 기지국에서 출력되는 상보채널의 직교코드 번호를 할당받아 상보 채널을 설정하며, 상기 상보채널을 통해 상기 상보데이터 수신시 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 서비스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현재 사용 중인 채널들의 총 송신전력을 검출하는 전력측정기와,
    상기 총 송신전력과 미리 설정된 제1임계값을 비교하는 제1비교기와,
    상기 총 송신전력이 상기 제1임계값 보다 작을 시 상기 부가 채널들중 상보서비스 가능한 채널들을 결정하여 상보채널로 삽입하는 상보채널 삽입기와,
    상기 삽입된 상보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총 송신전력과 미리 설정된 제2임계값을 비교하는 제2비교기와,
    상기 총 송신전력이 상기 제2임계값 보다 클 시 상기 상보채널들을 제거하는 상보채널 제거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서비스 장치.
KR1019980017818A 1997-07-25 1998-05-18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데이터 서비스장치 및 방법 KR100629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818A KR100629395B1 (ko) 1998-05-18 1998-05-18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데이터 서비스장치 및 방법
CA002239524A CA2239524C (en) 1997-07-25 1998-06-01 Complemental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method in communications system
US09/094,374 US6272124B1 (en) 1997-07-25 1998-06-09 Complemental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method in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7818A KR100629395B1 (ko) 1998-05-18 1998-05-18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데이터 서비스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418A KR19990085418A (ko) 1999-12-06
KR100629395B1 true KR100629395B1 (ko) 2006-12-22

Family

ID=41752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7818A KR100629395B1 (ko) 1997-07-25 1998-05-18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데이터 서비스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93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0837A (ja) * 1996-01-19 1997-07-31 Nec Corp 送信電力制御方法
KR19980086590A (ko) * 1997-05-21 1998-12-05 모리시타 오우이치 무선 통신 시스템과 그 방법
KR19990013262A (ko) * 1997-07-25 1999-02-25 윤종용 통신 시스템의 상보 서비스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0837A (ja) * 1996-01-19 1997-07-31 Nec Corp 送信電力制御方法
KR19980086590A (ko) * 1997-05-21 1998-12-05 모리시타 오우이치 무선 통신 시스템과 그 방법
KR19990013262A (ko) * 1997-07-25 1999-02-25 윤종용 통신 시스템의 상보 서비스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418A (ko)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179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부가 채널의 호 할당 제어 방법
EP1326459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272124B1 (en) Complemental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method in communication system
US6426960B2 (en) Increased capacity data transmission in a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418873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트래픽부하제어방법
CN1864417B (zh) 无线通信网络中的资源协商和方法
US20050237935A1 (en) System and method of efficiently providing packet data service in a UMTS system
JP2000316035A (ja) 通信リンクにおけるデータレートモードを選択する方法
KR100556165B1 (ko) 통신 시스템, 그 통신 방법, 그 교환국 및 그 기지국제어국
US6728218B1 (en) Method of dynamic rate switching via medium access channel layer signaling
US7532609B2 (en) Fairness method for supplemental channel resources
KR10093312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데이터 레이트 스케쥴링 장치및 방법
US7453860B2 (en) Scheduling method for supplemental channel resource
KR19990077601A (ko) Cdma이동통신시스템용무선기지국
US6925306B2 (en) Base station and radio resource allocation method
KR100251698B1 (ko) 통신 시스템의 상보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629395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상보데이터 서비스장치 및 방법
KR20020028664A (ko) 광대역 코드분할다중접속 시스템의 호 수락 제어방법 및무선링크 자원관리방법
JP3031892B2 (ja) 符号分割多元接続通信システムの補間サービス装置及び方法
RU2172564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дополнительных услуг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варианты)
CN101801024A (zh) 前向补充信道速率指配方法及装置
GB2338151A (en) Provision of a Supplementary Communications Service in a Cellular System
KR100266718B1 (ko) 코드분할 다원접속 시스템의 채널 할당 방법
KR100250495B1 (ko) 코드 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순방향패킷 채널의 전력 제어 방법
KR20020051698A (ko) 무선 자원 할당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