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7201B1 - 자동판독 기록진단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판독 기록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7201B1
KR100387201B1 KR10-2000-0068124A KR20000068124A KR100387201B1 KR 100387201 B1 KR100387201 B1 KR 100387201B1 KR 20000068124 A KR20000068124 A KR 20000068124A KR 100387201 B1 KR100387201 B1 KR 100387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tethoscope
disease
computer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8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8071A (ko
Inventor
이병훈
Original Assignee
이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훈 filed Critical 이병훈
Priority to KR10-2000-0068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7201B1/ko
Priority to JP2001091207A priority patent/JP2002165789A/ja
Priority to US09/865,974 priority patent/US6520924B2/en
Publication of KR20020038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8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2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03Detecting lung or respiration noi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08Detecting noise of gastric tract, e.g. caused by voi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7/00Instruments for auscultation
    • A61B7/02Stethoscopes
    • A61B7/04Electric stetho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찰청진 음에 의한 병명 자동판독 기록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청진 음에 의하여 판단되는 순화기 계통질환, 호흡계통 질환, 위장계통 질환의 청진 음의 표준 데이터를 컴퓨터에 입력하여 두고 환자의 진찰 청진 음의 파형을 디지털화 하여 컴퓨터에 입력하면 컴퓨터에 입력된 표준 데이터 정보와 비교 검색하여 환자의 질환 병명을 판독한 다음 자동으로 병명을 기록하는 동시 모니터에 표시되어 환자와 의사가 공통적 인식 하에 협동적으로 신속하게 대처 진료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판독 기록진단장치{DIAORTIC APPARATUS}
본 발명은 진찰 청진 음에 의한 병명 자동판독 기록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환자를 진찰한 청진(聽診) 음(音)에 의하여 환자의 병명을 자동 판독하여 기록하는 동시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종래에는 환자의 신체부위에서 나는 각종 청진 음에 따라 순환계 질환, 호흡계 질환, 위장계 질환을 구분하고 또 각 질환의 정도를 판단하였다.
이러한 청진 음에 의하여 질병의 소견을 정하려면 수많은 형태의 청진 음에대하여 광범한 경험적 지식을 가져야만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고 또 환자를 비교적 장시간에 걸쳐 면밀하게 진찰을 해야하는데 현실적으로 환자가 많고 진찰시간이 길지 못하여 신속 정확하게 진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환자는 의사의 진찰 소견을 믿으려 하지 않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환자는 다른 병원을 전전한 다음 같은 진찰 결과가 나오면 그때에 가서 진료에 응하는 경우도 있어 조기치료의 기회를 놓치고 마는 경우도 적지 않다.
또 무엇보다 환자의 진찰은 시속 정확해야 하는데 종래에는 인위적인 진찰을 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의사의 경험부족으로 오진의 경우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심전(心電) 검사의 경우에는 심전도 종료 시에 심전 그래프의 정보를 판독하여 병명이 기록되어 나오기 때문에 심전도를 일일이 판독하던 일이 생략되어 정확하고 편리하게 진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일반 청진기에 의한 진료에는 그러한 청진 음에 의한 병명의 판독장치가 아직 없기 때문에 모두 의사의 경험칙(經驗則)에 의하여 병명을 판단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진찰 청진 음에 의하여 병명을 자동 판독하여 기록하는 동시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진찰 결과를 모니터링 하여 환자와 의사가 공통 인식 하에 보다 신속하게 대처 진료를 할 수 있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환자의 진찰 음을 입력하는 청진마이크, 청진 음의 여과기, 여과된 청진 음의 증폭기. 증폭된 청진 음의 파형 데이터를 디지털화 하는 디지털 변환기, 변환된 청진음 파형 데이터를 입력하여 미리 입력된 호흡계통 질환, 순화기계통 질환, 위장계통 질환의 청진 음의 표준 데이터정보와 비교 검색하는 컴퓨터, 컴퓨터의 출력의 기록장치 및 모니터로 본 발명의 청진음 병명판독 기록진단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의사는 통상의 진료방법에 따라 환자의 신체부위에 청지기를 순차적으로 대면서 청진하고 또 환자의 자세를 변화시키면서 여러 가지 상황에서 청진 하여 청진 음의 데이터를 얻는다,
청진기에 의하여 입력된 청진 음의 데이터는 신체외부 잡음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기에 이하여 여과된 다음 청진 음을 증폭한다. 증폭된 청진 음의 아날로그 파형을 디지털 변환기에 의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키고 이를 컴퓨터에 입력한다.
컴퓨터에 입력된 여러 가지 청진 음의 데이터는 컴퓨터 내부적 회로기구에 의하여 이미 저장된 각종 질환에 따른 청진 음의 표준 데이터 정보와 비교 검색하여 해당 병명(病名)을 출력한다.
출력된 병명은 자동으로 기록장치에 기록되어 반복적으로 출력이 가능하고 동시에 여러 모니터에 병명이 표시되어 환자와 의사, 병원직원 및 간호사 및 환자가족, 의대학생 등이 모니터를 보고 공동 인식(認識)하에 즉시 대처 진료를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청진 음에 의한 의사의 개인적인 판단에 의하여 병명을 정하는 것이 아니고 표준 데이터 정보에 근거하여 컴퓨터에 의하여 새로 진찰된 여러 가지 청진 음의 데이터를 비교 검색한 결과에 따라 병명이 결정되기 때문에 의사의 개인별 능력이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되지 않으며, 따라서 객관적인 판단에 의하여 진찰의 결과에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며 정확한 병명이 정해지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대처 진료를 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불신에 의한 병을 키우는 일이 거의 없고 조기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진료효과도 양호하여 속히 쾌유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청진 소견 주파수의 진단병명 기록 계통도
도 2는 심음의 시간적 변화의 파형과 심전도와의 관계의 비교표
[도면중 중요한 부호 설명]
1 : 청진 마이크, 2 : 여과기, 3 : 증폭기, 4 : 디지털 변환기,
5 : 컴퓨터, 6 : 기록장치, 7 : 모니터 이다.
도 1은 본 발명 구성의 블록도 이다.
즉 환자를 진찰하여 청진(聽診) 음을 입력하는 청진기(聽診器)의 마이크(1), 청진 마이크(1)에 의하여 입력되는 청진 음의 신체 외부잡음을 여과하는 여과기 (2), 여과기(2)에 의하여 여과된 청진 음의 주파수를 증폭하는 증폭기(3), 증폭된 청진 음의 아날로그 파형을 디지털 화하는 디지털 변환기(4), 디지털 변환기(4)에 의하여 변환된 청진 음의 디지털형 데이터를 입력하여 비교 검색하는 컴퓨터(5), 컴퓨터의 출력을 자동 기록하는 기록장치(6) 및 병명을 표시하는 복수개의 모니터 (7)로 구성된다.
컴퓨터에는 순환기계통 질환의 청진 음 표준 데이터, 호흡기계통 질환의 청진 음 표준 데이터, 위장계통 질환의 청진 음 표준 데이터가 입력된다.
의사가 환자를 진찰한 청진 음은 청진기의 마이크(1)에 의하여 입력되며 외부 잡음을 여과하기 위한 여과기에 의하여 여과되고 청진 음의 주파수는 증폭된다. 증폭된 청진 음의 아날로그 파형은 디지털 변환기(4)에 의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다음 컴퓨터에 입력된다. 컴퓨터에 입력된 데이터는 이미 입력된 표준 데이터 정보와 비교 검색하여 해당 데이터의 병명이 출력되어 기록장치에 자동 기록되는 동시 복수개의 모니터(7)에 동시에 표시되어 의사, 조수, 환자, 가족 등이 동시에 볼 수 있다. 기록데이터는 진료에 사용된다.
(실시예 1)
순환기 계통 진찰 청진음
(1) 순환기 계통 청진부위(Auscultation Area)
심장내의 각 판막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가장 잘 청진 되는 부위는 다음과 같다. 판박의 해부학적 위치와 차이가 나는 것은 소리가 혈류를 따라 전파되며 또 소리가 가장 잘 전도되는 조건을 따라 체표면 에 까지 전달되기 때문이다.
청진 부위는 다음과 같다.
① 대동맥 부위- 제2늑골간의 흉골우연(rihgt sternal border at 2nd intercostal space)
② 폐동맥 부위- 제2늑골간의 흉골좌연(left sternal border at 2nd intercostal space)
③ 삼천판 부위-흉골 하부 좌연
④ 승모판 부위-심천부
⑤ Erb's area- 제3늑골간의 흉골좌연(대동맥판폐쇄부전증의 심잡음이 가장 잘 청취되는 부위)
(2) 청진의 자세
1) 서로 편안한 자세에서 청진(聽診)해야 하며 외부로부터의 불필요한 소리를 피하기 위하여 옷을 벗고 조용하게 자연스럽게 호흡하도록 한다.
2) 대부분의 심음 또는 심잡음은 와위(臥位)(supine position)에서 잘 들리지만 심저부(base of heart)에서 발생되는 소리는 앉은 자세에서 더 잘 들린다.
대동맥판폐쇄부전증(aortic insufficiency)의 심잡음은 환자가 앉아서 앞으로 약간 기울인 자세에서 가장 잘 들리고 제3, 4 심음 및 승모판협착증(mitral stenosis)의 심잡음은 환자가 왼쪽 가슴을 아래로 하여 누웠을 때만 들릴 때도 많다.
(3) 심음(Heart Sound)
심 주기에서 제1, 2, 3, 및 4 신음이 발생되는 시기 및 발생기전을 이해하기 위하여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전기력, 혈류 역학적 변화와 각 심음 간의 관계를 알아 둘 필요가 있다.
① 제1심음(first heart sound)
제1심음은 승모판과 삼첨판이 폐쇄될 때 발생되는 소리로서 제2 심음보다 약간 낮고 긴 소리이다. 승모판 폐쇄음이 삼첨판 폐쇄음에 비하여 약간 빨리 발생되나 그 간격이 좁기 때문에 대개는 하나의 소리로 들린다.
② 제2심음(second heart sound)
제2심음은 대동맥판과 폐동맥판의 폐쇄에 의하여 발생되는 소리이다. 대동맥 폐쇄음(A2) 이 정상적으로 폐동맥판 폐쇄음(P2) 보다 먼저 소리가 난다.
흡기시에는 A2-P2간격이 연장되고 호기에는 A2-P2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제2심음의 정상분열이라 한다. 반면에 호흡에 관계없이 넓은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고정분열(fixed splitting of S2)이라 한다.
③제3심음(third heart sound)
제3심음은 확장기의 rapid ventricular filling period에 심방으로부터 심실내로 혈액이 밀려 들러가 심실 벽이 갑자기 늘어날 때 발생된다. 따라서 제3심음의 크기는 preload, 좌심방압 및 심실근의 complaince에 의하여 결정된다. 제3 심음은 대부분 청소년에서 정상적으로 청진 될 수 있으나 성인에서 병적 소견이 된다. A2후 0.10∼0.20초에 발생되는데 아주 낮은 소리이기 때문에 bell을 가볍게 접촉4시키고 청진 해야 한다.
④ 제4심음(four heart sound)
심방의 수축에 의하여 발생되는 아주 낮은 소리로 제1 심음 직전에 청진 된다. 반드시 병적인 소견은 아니나 대체로 좌심실 확장기 말압(left ventricular diastolic pressure)이 상승하였거나 고혈압, 대동맥판, 질환에서와 같이 심실확장성이 감소되었을 때 청진 된다.
⑤ 구출 크릭(ejection click)
대동맥 및 폐동맥이 갑자기 확장될 때 발생되는 높은 소리이다.
⑥ 수축중기 크릭(midsystolic click)
⑦ 개방음(opening snap)
방실판(atrioventricular valve)의 개방에 의하여 발생되는 소리이다. 승모판협착증의 특징적 청진소견의 하나이다.
(4) 심잡음(cardia Murmur)
1) 심잡음의 기술
심잡음을 정확하게 기술하려면 네가지 측면에서 기재해야 한다
(a) 수측기 잡음이가 ? 확장기 잡음인가? (b) 잡음의 크기는? (c) 청진되는 부위는 ? (d) 어디로 전파되는가 ? 이다.
심잡음의 크기는 Ⅰ: very faint, Ⅱ : faint Ⅲ : moderately loud, Ⅳ : loud(thrill+), Ⅴ : very loud, Ⅵ : very loud(청진기 불필요)이다.
2) 심잡음의 분류
심잡음은 압력차이가 있는 두 챔버 사이에 형성되는 와류에 의하여 발생된다.
3) 수축기 잡음(systolic murmur)
① 범수축기 잡음(pansystolic murmur)은 제1심음과 동시에 시작하여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면서 제2심음까지 지속되는 심잡음이다.
② 구출성 잡음(ejection murmur)은 제1심음후에 시작하여 그 크기가 점차 커저 수축기 중기에 최대의 크기에 도달한 다음 점차 크기가 작아져 제2심음이전에 끝난다.
③ 수축초기 잡음(eary systolic murmur)은 드물다. 수축후기에 폐쇄되는 작은 심실중격손실증에서 청진된다.
④ 수축후기 잡음(late systolic murmur) 는 거의 전례의 경우 경한 승모판폐쇄부전증에 의한다.
4) 확장기 잡음(diastolic murmur)
① 확장초기 잡음(early diastilic murmur)은 제2 심음직후에서 시작하여 점차 그 크기가 작아진다. 예를 들면 대동맥판폐쇄부전증(aortic insufficiency)의 잡음이 그러하다.
② 확장기 잡음(mid-diastolic murmur)은 제2심음 후 일정간격을 두고 시작하여 짧게 지속되거나 확장기 끝까지 지속된다.
③ 수축기 잡음(presystolic murmur)은 확장기 후기에 시작하여 제1심음 직전에 최대의 크기에 도달하는 잡음인데 심장수측에 의하여 협착된 승모판 또는 심첨판을 통한 혈류가 증가되기 때문에 발생된다. 예를 들면 승모판협착증의 잡음이 그러하다.
5) 연속성 잡음
수축기 및 확장기에 걸쳐 계속적으로 청진되는 잡음으로 심주기 전체에 결쳐 큰 압력차가 지속되는 두 부위간에 통로가 있을 때 발생한다. 예컨데 동맥관개존증(patent ductus arteriosus)이 그러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하여 진찰되는 청진 음은 의사의 판단이 아니더라도 상술한 청진기의 마이크에 의하여 데이터가 입력되면 컴퓨터에 의하여 분석되어 병명이 모니터에 표시되고 기록장치에 기록된다.
(실시예 2)
호흡기 계통 진찰 청진음
호흡기 계통의 청진 음은 심음과 달리 절대탁음(flat)은 극히 짧고 고음고 (hihg pitch)이며 대량 늑막염 흉수, 무기폐의 경우이고 탁음(cull)은 짧고 고음고로 공명이 없으며 정상적으로는 심폐경계, 폐간 경계, 폐비장 경계와 종격동 부위에서 들리며 병적으로 무기폐에서 관찰된다.
(1) 청진 방법
청진은 기류상태 판정, 폐쇄 유무, 폐와 늑막간의 상태를 판정 할 수 있으며 환자에게 정상보다 깊고 힘차게 입으로 호흡하게 하고 청진기의 다이아프램(diaphragm)을 사용하여 폐첨부터 양측을 대칭으로 비교하여 청진 한다.
(2)호흡음(breath sound)
호흡기계토의 청진 음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① 폐포성 호흡음(vesicular breathing)은 흡기가 호기보다 길고 정상에서 관찰된다.
② 기관지성 호흡음(bronchial breathing)은 ??기가 짧고 호기가 길며 크고거칠게 들린다. 폐실질 경변이나 폐실질 압박으로 호흡음의 전도가 증가되어 발생된다.
③ 기관성 호흡음(tracheal breathing)은 기관지성 호흡음과 비슷하나 정상에서 흉상절혼 제6,7 경추부위에서 청진된다.
④ 기관지폐포성 호흡음(bronchovesicular breathing)은 vesicular와 brochial의 사이로 호기와 흡기의 기간이 같다. 정상에서는 흉골과 상견갑간부에서 관찰되고 병적으로는 경도(small degree)의 폐실질 경변이나 압박시 관찰된다.
(3)부잡음
부잠음인 수포음(crackle crepitation) 폭팔적 소리로 주파수는 200㎐에서 2000㎐이고 주로 흡기시 관찰된다.
수포음은 흡기시 함몰된 폐포들 사이의 압력차이가 순간적으로 균등화되어 발생한다.
수포음의 크기에 따라 fine, medium, coarse로 분류하고 호흡주기에 따라 late inspiratory와 early inspiratory로 구분된다.
① late inspiratory crackle은 세소기도의 폐쇄를 일으키는 질환군에서 발생하고 기침 후에도 변화되지 않고 fine crackle이 주가 된다.
② early inspiratory는 late inspiratory 보다 음고(pitch)가 낮고 기침의 영향을 받는다. 만성 폐쇄성 페질환과 중증 심부전에서 관찰되고 coarse하게 들린다.
천명음(wheeze)은 250m sec 이상 연속되는 음으로 주로 호기시에 청진도니다. 천명음은 기도의 진동으로 발생하는데 진동하는 기도의 크기와 신축도(complaince) 및 기류속도에 따라서 음고가 변한다. 연속음을 모두 천명음이라 한다.
Stridor는 wheez의 특수형으로 흡기시 호흡음이 더 뚜렷하게 청진되며 부분적 훙곽외상기도폐쇄(partial extrathoracic upper airway pbstruction)에서 관찰되므로 후두, 기관 및, 주기관지 폐쇄진단에 도음이 된다.
(4) Voice sound
정상에서는 confused sound로 청진되며 단어가 정확하게 구별되니 않으나 병적상태에서는 음성전도에 변화가 일어나서 진단에 도움이 된다.
① 기관지성(bronchophny)은 대기관지에서 들리는 소리로 정상보다 크게 들리고 귀에 가깝게 들리며 정상보다 더 또렷하게 들리나 아직 깨끗하게 구별되니 않는다.
기관지성은 폐실경변, 무기변, 외인성, 종양에 의한 기관지 부분폐쇄로 인해 폐실내 공기 량이 감소되면 고음고의 소리가 잘 전도되어 발생하며 성음진탕과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다. 기관지성이 청진될 때에는 성음진탕은 증가와 탁음의 타진소견을 보이며 청진시 기관지 폐포성 또는 기관지성 호흡음을 관찰 할 수 있다.
② 흉성(pectoriloquy)은 정상에서 속삭이는 소리(whispered speech)는 약하게 전도되어 거의 들리지 않으나 페실경변이 있을 때는 속삭이는 소리가 또렷하게 들려서 흉벽에 대고 말하는 것 같이 들린다.
흉성은 작은 부위의 경변의 진단에 도음이 되어 폐렴 초기, 폐경색, 무기폐의 진단에 사용된다.
③ 양면성음(egophony)는 기관지성의 변형으로 공명이 덜 되고 음고가 높아 염소소리와 비슷하고 비음으로 들린다.
늑막액 수위 바로 아래의 폐가 압박되어 경변이 생겼을 때 관찰되므로 단순 경변과 늑막 액을 동반한 경변의 감별에 도움이 된다.
(5) 마찰음(friction sound)
늑막염으로 늑막면이 거칠어져서 호흡운동시 변측 늑막과 장축 늑막의 마찰로 발생한다. 청진기를 흉벽에 압력을 가해 누르면 크기가 증가하고 전축면 (anterolateral) 또는 기저측면(lateral basal) 흉곽에서 잘 들린다. 마찰음이 클 때는 진동을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하여 진찰되는 청진 음은 의사의 판단이 아니더라도 상술한 청진기의 마이크에 의하여 데이터가 입력되면 컴퓨터에 의하여 분석되어 병명이 모니터에 표시되고 기록장치에 기록된다.
(실시예 3)
소화기계통 진찰청진음
소화기계통의 진찰 청진 음은 다음과 같다.
① 연동음(peristaltic sound) 의 유무와 특징을 파악하여 장관의 운동성 및 증상과의 관계를 규명하며 신성 고혈압이나 하지 혈관의 부전 등이 의심되는 경우필요하다.
② 다른 부위의 검진과는 달리 시전을 시행한 후 촉진 및 타진 전에 시행한다.
③ 연동음을 청진할 때 장음(bowel sound)의 빈도 및 성상에 특히 유의 해야 하며 마비성 장폐쇄증(paralytic ileus)인 경우 장음이 들리지 않으며 기계적 장폐쇄증(mechanical obstruction)의 경우에는 통증이 최고도에 달했을 때 항진 되어 금속성으로 청진 된다.
④ 잡음(bruit)은 혈압이 높은 환자의 심부와 혹은 좌, 우상복부에서 잡음의 유무를 청진하며 하지동맥의 순환부전을 의심하는 경우에는 대동맥, 장골동맥 및 대퇴동맥 부위에도 청진하여야 한다. 혈관분포가 풍부한 종양(간암)에서 잡음이 들릴 수 있다.
⑤ 감염증(infection)이나 경색(infarction)이 있는 경우 간이나 비장부위에서 마찰음을 들을 수 있다.
⑥ 유문 협착증이 있을 때 복벽을 쥐어 흔들면 물소리(splash)를 들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하여 진찰되는 청진 음은 의사의 판단이 아니더라도 상술한 청진기의 마이크에 의하여 데이터가 입력되면 컴퓨터에 의하여 분석되어 병명이 모니터에 표시되고 기록장치에 기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환자의 진찰 청진 음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다음 미리 입력된 각종 질환의 청진음 표준 데이터 정보와 검색 비교하여 병명을 판독하여 출력 기록하는 동시 모니터에 표시되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의사의 개인별 능력이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되지 않으며, 따라서 객관적인 판단에 의하여 진찰의 결과에 상당한 신뢰성을 가지며 정확한 병명이 정해지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대처 진료를 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불신에 의한 병을 키우는 일이 거의 없고 조기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진료효과도 양호하여 속히 쾌유할 수 있다.
또 진찰 청진결과를 의사, 간호사, 의대학생, 응급요원, 병원직원 및 환자가족등 여러 사람이 동시에 알 수 있어 대처진료의 협동과 신속성을 기할 수 있어 질병 진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환자를 진찰하여 청진(聽診) 음을 입력하는 청진기(聽診器)의 마이크(1)와, 청진 마이크(1)에 의하여 입력되는 청진 음의 신체 외부 잡음을 여과하는 여과기(2)와, 여과기(2)에 의하여 여과된 청진 음의 주파수를 증폭하는 증폭기(3)와, 증폭된 청진 음의 아날로그 파형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디지털 변환기(4)와, 디지털 변환기(4)에 의하여 변환된 청진 음의 디지털 데이터를 입력하여 미리 입력된 각종 질병의 청진 음의 표준 데이터와 비교 검색하는 컴퓨터(5)와, 컴퓨터의 출력을 자동 기록하는 기록장치(6) 및 병명을 표시하는 복수개의 모니터(7)로 구성하여 환자의 신체에 청진기를 대고 진찰한 결과의 병명이 자동 기록되고 모니터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찰청진 음에 의한 병명 자동판독 기록진단장치.
KR10-2000-0068124A 2000-11-16 2000-11-16 자동판독 기록진단장치 KR100387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124A KR100387201B1 (ko) 2000-11-16 2000-11-16 자동판독 기록진단장치
JP2001091207A JP2002165789A (ja) 2000-11-16 2001-03-27 自動判読記録診断装置
US09/865,974 US6520924B2 (en) 2000-11-16 2001-05-25 Automatic diagnostic apparatus with a stethosco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8124A KR100387201B1 (ko) 2000-11-16 2000-11-16 자동판독 기록진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8071A KR20020038071A (ko) 2002-05-23
KR100387201B1 true KR100387201B1 (ko) 2003-06-12

Family

ID=19699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8124A KR100387201B1 (ko) 2000-11-16 2000-11-16 자동판독 기록진단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520924B2 (ko)
JP (1) JP2002165789A (ko)
KR (1) KR1003872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9293A1 (ko) * 2009-10-20 2011-04-28 Lee Byung Hoon 병명이 표시되는 무선 청진기
US8200277B2 (en) 2005-02-25 2012-06-12 Byung Hoon Lee Mobile phone with a stethoscope
WO2012133998A1 (ko) 2011-03-30 2012-10-04 Lee Byung Hoon 원격진료 청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092A (ko) * 2000-12-12 2002-06-20 임유주 휴대용 전자 청진기
US20030130588A1 (en) 2002-01-10 2003-07-10 Igal Kushnir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respiratory tract sounds
US8391989B2 (en) 2002-12-18 2013-03-05 Cardiac Pacemakers, Inc. Advanced patient management for defining, identifying and using predetermined health-related events
US7113825B2 (en) * 2002-05-03 2006-09-26 Cardiac Pacemake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coustic oscillations in cardiac rhythm
US7930019B2 (en) * 2002-12-02 2011-04-19 Cardiac Pacemake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honocardiographic image acquisition and presentation
US7260429B2 (en) * 2002-12-02 2007-08-21 Cardiac Pacemake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honocardiographic image acquisition and presentation
US7123962B2 (en) * 2002-12-02 2006-10-17 Cardiac Pacemakers, Inc. Phonocardiographic image-based atrioventricular delay optimization
US7101339B2 (en) * 2002-12-13 2006-09-05 Cardiac Pacemakers, Inc. Respiration signal measurement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7972275B2 (en) * 2002-12-30 2011-07-05 Cardiac Pacemake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of diastolic hemodynamics
US8951205B2 (en) 2002-12-30 2015-02-10 Cardiac Pacemake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trial filling pressure
CA2527982A1 (en) * 2003-06-02 2004-12-09 Deepbreeze Ltd.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cardiovascular sounds
US6918878B2 (en) * 2003-06-13 2005-07-19 Ge Medical Systems Informati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respiration
US7200440B2 (en) 2003-07-02 2007-04-03 Cardiac Pacemakers, Inc. Cardiac cycle synchronized sampling of impedance signal
US7186220B2 (en) * 2003-07-02 2007-03-06 Cardiac Pacemakers, Inc. Implantable devices and methods using frequency-domain analysis of thoracic signal
JP2005027751A (ja) 2003-07-08 2005-02-03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生体音信号処理システム
US7300405B2 (en) * 2003-10-22 2007-11-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alysis of auscultatory sounds using single value decomposition
US7248923B2 (en) 2003-11-06 2007-07-24 Cardiac Pacemakers, Inc. Dual-use sensor for rate responsive pacing and heart sound monitoring
US7300407B2 (en) * 2003-11-10 2007-11-27 Zargis Medical Corporation Handheld auscultatory scanner with synchronized display of heart sounds
DE10353142B4 (de) * 2003-11-14 2016-08-18 Ifu Diagnostic Systems Gmbh Anordnung und Verfahren zur Erkennung von Apnoen
US7115096B2 (en) * 2003-12-24 2006-10-03 Cardiac Pacemakers, Inc. Third heart sound activity index for heart failure monitoring
US7431699B2 (en) 2003-12-24 2008-10-07 Cardiac Pacemake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hird heart sound detection
US7209786B2 (en) 2004-06-10 2007-04-24 Cardiac Pacemake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ation of cardiac resynchronization therapy using heart sounds
US7480528B2 (en) * 2004-07-23 2009-01-20 Cardiac Pacemake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heart failure patients with cardiopulmonary comorbidities
US7559901B2 (en) 2004-07-28 2009-07-14 Cardiac Pacemakers, Inc. Determining a patient's posture from mechanical vibrations of the heart
US7533758B1 (en) 2004-09-08 2009-05-19 Abraham Jacobo Frech Apparatus and method for auscultation and percussion of a human or animal body
US20060161064A1 (en) * 2005-01-18 2006-07-20 Zargis Medical Corp. Computer-assisted detection of systolic murmurs associated with hypertrophic cardiomyopathy
US7662104B2 (en) 2005-01-18 2010-02-16 Cardiac Pacemakers, Inc. Method for correction of posture dependence on heart sounds
US20060167385A1 (en) * 2005-01-24 2006-07-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alysis of auscultatory sounds using voice recognition
US7907997B2 (en) * 2005-05-11 2011-03-15 Cardiac Pacemakers, Inc. Enhancements to the detection of pulmonary edema when using transthoracic impedance
US7424321B2 (en) * 2005-05-24 2008-09-09 Cardiac Pacemaker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axis cardiac vibration measurements
US7922669B2 (en) 2005-06-08 2011-04-12 Cardiac Pacemakers, Inc. Ischemia detection using a heart sound sensor
US8108034B2 (en) 2005-11-28 2012-01-31 Cardiac Pacemaker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alvular regurgitation detection
US8920343B2 (en) 2006-03-23 2014-12-30 Michael Edward Sabatino Apparatus for acquiring and processing of physiological auditory signals
US7780606B2 (en) * 2006-03-29 2010-08-24 Cardiac Pacemakers, Inc. Hemodynamic stability assessment based on heart sounds
US7806833B2 (en) * 2006-04-27 2010-10-05 Hd Medical Group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sis and display of heart sounds
CN100418480C (zh) * 2006-05-16 2008-09-17 清华大学深圳研究生院 基于心音分析的心脏病自动分类系统及其心音分段方法
US8000780B2 (en) * 2006-06-27 2011-08-16 Cardiac Pacemakers, Inc. Detection of myocardial ischemia from the time sequence of implanted sensor measurements
US7479115B2 (en) * 2006-08-25 2009-01-20 Savic Research, Llc Computer aided diagnosis of lung disease
JP2008113936A (ja) * 2006-11-07 2008-05-22 Yasuaki Nakagawa 生体音聴診装置
US20080119749A1 (en) 2006-11-20 2008-05-22 Cardiac Pacemakers, Inc. Respiration-synchronized heart sound trending
US8096954B2 (en) 2006-11-29 2012-01-17 Cardiac Pacemakers, Inc. Adaptive sampling of heart sounds
JP2008167799A (ja) * 2007-01-09 2008-07-24 Ntt Data Corp 診療音分析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7736319B2 (en) * 2007-01-19 2010-06-15 Cardiac Pacemakers, Inc. Ischemia detection using heart sound timing
US7853327B2 (en) 2007-04-17 2010-12-14 Cardiac Pacemakers, Inc. Heart sound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8152734B2 (en) * 2007-11-28 2012-04-10 Pierson Precision Auscult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s of bovine diseases using auscultation analysis
US11389080B2 (en) 2007-11-28 2022-07-19 Intervet Inc.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s of bovine diseases using auscultation analysis
WO2009155593A2 (en) * 2008-06-20 2009-12-23 Leonard Eisenfeld Electronic stethoscope system
US10064580B2 (en) 2008-11-07 2018-09-04 Intervet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tibiotic effectiveness in respiratory diseased animals using auscultation analysis
WO2011130589A2 (en) 2010-04-16 2011-10-20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Found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ng gastrointestinal impairment
US9101274B2 (en) 2010-06-24 2015-08-11 Cvr Global, Inc. Sensor, sensor pad and sensor array for detecting infrasonic acoustic signals
US11413653B2 (en) 2010-06-24 2022-08-16 Cvr Global, Inc. Sensor, sensor pad and sensor array for detecting infrasonic acoustic signals
US20120150073A1 (en) * 2010-12-10 2012-06-14 Stephanie Dunn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a medical condition based upon audial data from a patient
US20130071826A1 (en) * 2011-09-21 2013-03-21 Keith H. Johnson Auscultation Training System
JP5877511B2 (ja) * 2012-01-25 2016-03-08 シャープ株式会社 蠕動音検出装置、蠕動音検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A2867619C (en) 2012-04-09 2021-08-31 Geissler Compan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s of bovine diseases using auscultation analysis
WO2013155002A1 (en) * 2012-04-09 2013-10-17 Richard Franz Wireless telemedicine system
WO2013184315A1 (en) 2012-06-05 2013-12-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nhanced auscultatory sensor and analysis for patient diagnosis
MX362388B (es) 2013-02-06 2019-01-15 Geissler Companies Llc Sistema y metodo para determinar la efectividad antibiotica en animales con enfermedades del sistema respiratorio usando un analisis de auscultacion.
JP6244244B2 (ja) * 2014-03-27 2017-12-06 旭化成株式会社 心疾患診断装置、心音解析プログラムおよび媒体
JP6244245B2 (ja) * 2014-03-27 2017-12-06 旭化成株式会社 心疾患診断装置、心音解析プログラム、および、媒体
WO2016116917A1 (en) * 2015-01-21 2016-07-28 Doc@Home Ltd A handheld stethoscope device for remote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CN104935362A (zh) * 2015-05-12 2015-09-23 上海人智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远程听诊的方法及系统
WO2016206704A1 (en) * 2015-06-25 2016-12-29 Abdalla Magd Ahmed Kotb The smart stethoscope
US11116478B2 (en) 2016-02-17 2021-09-14 Sanolla Ltd. Diagnosis of pathologies using infrasonic signatures
EP3692923B1 (en) 2016-02-17 2022-06-29 Sanolla Ltd Digital stethoscopes, and auscultation and imaging systems
WO2018027005A1 (en) * 2016-08-04 2018-02-08 Carnegie Mellon University Sensing and using acoustic samples of gastric sound
PL3541288T3 (pl) * 2016-11-15 2024-01-03 Boehringer Ingelheim Vetmedica Gmbh Sposób predykcji specyficznego patogenu układu oddechowego
USD865167S1 (en) 2017-12-20 2019-10-29 Bat Call D. Adler Ltd. Digital stethoscope
JP7073914B2 (ja) * 2018-05-30 2022-05-24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喘鳴検出装置及び喘鳴検出プログラム
US10667783B1 (en) * 2019-02-19 2020-06-02 Samson Arigbamu Stethoscope with sound recognition capacity
CN113710162A (zh) 2019-04-16 2021-11-26 因泰克医疗公司 生物声学信号的增强检测和分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0889A (en) * 1988-02-04 1991-04-30 Bloodline Technology Intelligent stethoscope
US5025809A (en) * 1989-11-28 1991-06-25 Cardionics, Inc. Recording, digital stethoscope for identifying PCG signatures
KR19990068922A (ko) * 1998-02-02 1999-09-06 박성기 인체음 검출표시장치 및 검출표시방법
KR20010018923A (ko) * 1999-08-23 2001-03-15 오순영 질환별 고유 청진음을 이용한 자가 진단형 디지털 청진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0866A (en) * 1985-09-20 1988-01-19 Seaboard Digital Systems, Inc. Computerized stethoscopic analysis system and method
US6168568B1 (en) * 1996-10-04 2001-01-02 Karmel Medical Acoustic Technologies Ltd. Phonopneumograph system
US5844997A (en) * 1996-10-10 1998-12-01 Murphy, Jr.; Raymond L. H.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the origin of intrathoracic soun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0889A (en) * 1988-02-04 1991-04-30 Bloodline Technology Intelligent stethoscope
US5025809A (en) * 1989-11-28 1991-06-25 Cardionics, Inc. Recording, digital stethoscope for identifying PCG signatures
KR19990068922A (ko) * 1998-02-02 1999-09-06 박성기 인체음 검출표시장치 및 검출표시방법
KR20010018923A (ko) * 1999-08-23 2001-03-15 오순영 질환별 고유 청진음을 이용한 자가 진단형 디지털 청진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00277B2 (en) 2005-02-25 2012-06-12 Byung Hoon Lee Mobile phone with a stethoscope
WO2011049293A1 (ko) * 2009-10-20 2011-04-28 Lee Byung Hoon 병명이 표시되는 무선 청진기
WO2012133998A1 (ko) 2011-03-30 2012-10-04 Lee Byung Hoon 원격진료 청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165789A (ja) 2002-06-11
KR20020038071A (ko) 2002-05-23
US6520924B2 (en) 2003-02-18
US20020058889A1 (en) 200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7201B1 (ko) 자동판독 기록진단장치
Nath et al. Inspiratory crackles—early and late
Shim et al. Pulmonary function studies in patients with upper airway obstruction
Dalmay et al. Acoustic properties of the normal chest
US20080243017A1 (en) Breathing sound analysis for estimation of airlow rate
Schreur et al. Abnormal lung sounds in patients with asthma during episodes with normal lung function
JPH03503962A (ja) インテリジェント聴診器
JPH0482538A (ja) 呼吸音診断装置
Weiss et al. Recording of breath sounds
Pasterkamp et al. Tracheal sounds in upper airway obstruction
Al Jarad et al. Lung crackle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asbestosis, asbestos-related pleural disease and left ventricular failure using a time-expanded waveform analysis—a comparative study
Gross et al. Mobile nocturnal long-term monitoring of wheezing and cough
Puchner et al. Aortic valve insufficiency in arterial hypertension∗
Castle Clinical recognition of innocent cardiac murmurs in children
Kale et al. Aberrant left pulmonary artery presenting as a mediastinal mass: report of a case in an adult
Puchner et al. Heart sounds and murmurs in arterial hypertension∗
Lehrer Understanding pediatric heart sounds
Montazeri et al. Acoustical screening for obstructive sleep apnea during wakefulness
Montazeri et al. Obstructive sleep apnea prediction during wakefulness
BASS et al. Systolic murmurs in children
Godfrey et al. Timing and nature of wheezing at the endpoint of a bronchial challenge in preschool children
Vanderschoot et al. Distribution of crackles on the flow-volume plane in different pulmonary diseases
Sabil et al. Tracheal Sound Analysis
RU2254054C2 (ru) Способ диагностики нарушения бронхиальной проходимости
Kamble et al. Respiratory Sound Analysis for the Diagnosis of respiratory Abnormal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