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5391B1 - 웨이퍼의 박막 증착방법 - Google Patents

웨이퍼의 박막 증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5391B1
KR100385391B1 KR10-2001-0000337A KR20010000337A KR100385391B1 KR 100385391 B1 KR100385391 B1 KR 100385391B1 KR 20010000337 A KR20010000337 A KR 20010000337A KR 100385391 B1 KR100385391 B1 KR 100385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er
chamber
thin film
film deposition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0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7346A (ko
Inventor
유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토
Priority to KR10-2001-0000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5391B1/ko
Publication of KR20020057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7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3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8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 H01L21/67109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mainly by conv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55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 treating in a plurality of work-stations
    • H01L21/67161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 treating in a plurality of work-stations characterized by the layout of the process cha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7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of waf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이퍼의 박막 증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웨이퍼 카세트(1,2,3)의 웨이퍼를 로딩 챔버(20)의 테이블에 안착시키는 로딩 단계, 상기 로딩 단계를 거친 웨이퍼를 히팅 블럭 유닛(25)에 안치시키고, 프로세스 온도로 가열시키는 가열 단계, 표면이 가열된 웨이퍼의 표면으로 박막을 증착시키는 박막 증착 단계, 상기 박막 증착 단계를 거친 웨이퍼를 언로딩 챔버(70)의 테이블에 안착시키는 언로딩 단계; 상기 언로딩 단계를 거친 웨이퍼를 냉각수가 순환하는 트레이(75)에 안치시켜 웨이퍼를 냉각시키는 냉각 단계, 상기한 과정에 따라 냉각이 완료된 웨이퍼를 웨이퍼 카세트(1,2,3) 내부로 이송시키는 최종 언로딩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웨이퍼 카세트에 수납시키기에 앞서 별도의 냉각 챔버(80)를 ATM에 장착시켜 공정을 마친 웨이퍼를 냉각시킴으로써 웨이퍼 카세트(1,2,3)의 열변형에 따른 웨이퍼의 손상을 방지하고, 웨이퍼에 대한 냉각시간을 단축하여 웨이퍼의 박막 증착 공정의 효율 및 히팅 블럭을 사용하는 반도체 전 공정장비에서의 생산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웨이퍼의 박막 증착방법{A thin-film evaporation methode for wafer}
본 발명은 반도체의 제조공정의 전처리 공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박막 증착공정이 완료된 고온의 웨이퍼를 웨이퍼 카세트에 수납시키기에 앞서 별도의 냉각 챔버를 통해 냉각시킴으로써 웨이퍼 카세트의 열변형에 따른 웨이퍼의 손상을 방지하고, 웨이퍼에 대한 냉각시간을 단축하여 박막 증착 공정의 효율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웨이퍼의 박막 증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의 제작공정에서는 웨이퍼의 표면으로 옥사이드(Oxide),나이트라이드(Nitride), 옥시나이트라이드(Oxynitride) 등을 진공상태에서 증착시키는 박막 증착공정이 필수적으로 수행된다.
이와 같이 웨이퍼에 행하는 박막 증착공정으로는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물질을 석출시키는 화학기상 증착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 CVD)을 비롯하여물리적인 에너지를 이용하는 물리기상 증착방법(Physical Vapor Deposition ; PVD) 등이 알려져 있다.
도 1은 상기한 바와 같이 웨이퍼의 박막 증착공정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웨이퍼에 대한 박막의 증착에 앞서 웨이퍼에 대한 박막이 균일하게 증착되도록 표면을 가열을 시키는 웨이퍼 박막 증착장치(200)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와 같은 웨이퍼 박막 증착장치(200)는, 웨이퍼가 장착되는 다수의 웨이퍼 카세트(101,102,103)를 전방에 구비하고, 내측으로는 웨이퍼의 운반장치(105)가 설치된 ATM 유닛(110)과; 상기한 ATM 유닛(110)으로부터 이동한 웨이퍼를 진공상태로 안치시키는 로딩 챔버(120)와; 상기한 로딩 챔버(120)로부터 공급된 웨이퍼를 일정한 온도로 가열시키는 한편, 상기한 웨이퍼의 외부에 박막을 증착시키는 제 1프로세스 챔버(130), 제 2프로세스 챔버(140) 및 제 3프로세스 챔버(150)와; 상기한 제 1프로세스 챔버(130), 제 2프로세스 챔버(140), 또는 제 3프로세스 챔버(150)중 어느 하나를 거쳐 박막의 증착이 완료된 웨이퍼를 내부에 수납시키는 언로딩 챔버(170)와; 로딩 챔버(120), 제 1프로세스 챔버(130), 제 2프로세스 챔버(140), 제 3프로세스 챔버(150) 및 언로딩 챔버(17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한 로딩 챔버(120) 및 언로딩 챔버(170), 제 1프로세스 챔버(130), 제 2프로세스 챔버(140) 및 제 3프로세스 챔버(150)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시키고, 웨이퍼를 각 챔버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155)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진공 챔버(160)를 주요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로딩 챔버(120) 및 언로딩 챔버(170)를 포함하여 제 1프로세스 챔버(130), 제 2프로세스 챔버(140) 및 제 3프로세스 챔버(150)와 진공 챔버(160) 사이에는 각 챔버의 부압을 유지시키기 위한 게이트가 개폐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웨이퍼의 근접시에는 해당 게이트가 개방되고,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개방된 게이트가 폐쇄된다.
이와 같은 웨이퍼 박막 증착장치(200)는, 웨이퍼의 박막 증착공정시 ATM 유닛(110)의 웨이퍼 카세트(101,102,103)중 첫 번째의 웨이퍼 카세트(1)에 내장된 웨이퍼가 운반장치(105)에 의해 로딩 챔버(120)로 이송되어 도시안된 로딩 챔버(120)의 히팅 블럭 유닛을 구성하는 테이블에 안착되는 한편, 상기한 테이블에 내장된 승강핀의 동작에 따라 웨이퍼를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킴으로써 이송장치(155)에 의한 웨이퍼의 픽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이 완료되면, 로딩 챔버(120)의 공기가 진공 챔버(1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로딩 챔버(120)의 내부가 진공상태로 전환되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한 과정이 완료되면 로딩 챔버(120)에 위치한 웨이퍼는 이송장치(155)에 의해 제 1프로세스 챔버(130), 제 2프로세스 챔버(140) 또는 제 3프로세스 챔버(150)에 구비된 히팅 블록 유닛중 어느 하나의 상부로 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한 히팅 블럭 유닛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프로세스 챔버(130), 제 2프로세스 챔버(140) 및 제 3프로세스 챔버(150)의 하부에 결합된 것으로, 내측으로는 승강장치(121)의 동작에 따라 웨이퍼를 승강시키는 승강핀(123)이 방사상으로 구비되며, 웨이퍼와의 접촉면으로는 히터가 구비됨으로써 웨이퍼를 필요공정에 따라 400℃, 또는 600℃의 온도로 수초 내지 그 이상의 시간동안 가열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과정에 따라 웨이퍼의 표면온도가 일정온도로 가열되면 웨이퍼의 표면으로 박막을 증착시키는 공정이 진행되고, 상기한 과정이 완료되면 히팅 블럭 유닛(125)에 안치된 웨이퍼가 이송장치(155)의 동작에 따라 언로딩 챔버(150)로 이동하며, 다시 언로딩 챔버(150)의 테이블에 안치된 웨이퍼는 ATM 유닛(110)에 장착된 제 1웨이퍼 카세트(101)에 순차적으로 수납되며, 두 번째 웨이퍼 카세트(102) 및 세 번째 웨이퍼 카세트(103)에 수납된 웨이퍼 또한 전술한 과정을 거쳐 두 번째 웨이퍼 카세트(102) 및 세 번째 웨이퍼 카세트(103)에 연속 수납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언로딩 챔버(150) 및 ATM 유닛(110)을 경유하여 웨이퍼 카세트(101,102,103)에 수납된 웨이퍼는 제 1프로세스 챔버(130), 제 2프로세스 챔버(140), 또는 제 3프로세스 챔버(150)로부터 웨이퍼 카세트(101,102,103)로이동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냉각 공정을 거치지 않아 고온을 유지한 상태로 수납이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고온의 웨이퍼는 수지재로 이루어진 ATM 유닛(110)의 웨이퍼 카세트(102,103103)의 내부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과정에서 웨이퍼 카세트(101,102,103)를 변형시키게 된다.
따라서 열변형이 발생한 웨이퍼 카세트(101,102,103)에 수납된 웨이퍼는 수납이 완료된 상태에서 정확한 안착위치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내부에 수납된 각 웨이퍼의 수납위치가 불균일한 상태를 갖는 한편, 이에 따라 이동수단에 의한 후처리 공정으로의 이동과정에서 불필요한 접촉에 따라 웨이퍼의 표면이 손상되거나 공정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함께 웨이퍼 카세트(101,102,103)의 열변형 방지를 위해 언로딩 단계에서 웨이퍼를 자연냉각시키는 공정을 추가할 경우에는 언로딩 단계를 거친 웨이퍼를 웨이퍼 카세트(101,102,103)에 장착시키는 과정이 필요 이상으로 길어지게 되므로 박막 증착 공정의 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는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웨이퍼 카세트(101,102,103)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제 3프로세스 챔버(150)와 언로딩 챔버(170) 사이에 별도의 냉각 챔버(도면중 'A'부분)를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한 냉각 챔버의 내부가 진공을 유지함으로써 웨이퍼의 냉각이 불량하게 진행되므로 박막 증착 공정보다 긴 냉각을 필요로 하게 되어 박막 증착 공정의 전 과정이 지연되므로 생산효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박막 증착공정이 완료된 고온의 웨이퍼를 웨이퍼 저장 카세트에 수납시키기에 앞서 별도의 냉각 챔버를 통해 냉각시킴으로써 웨이퍼 카세트의 열변형에 따른 웨이퍼의 손상을 방지하고, 웨이퍼에 대한 냉각시간을 단축하여 웨이퍼의 박막 증착 공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웨이퍼의 박막 증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웨이퍼의 박막 증착공정에 있어서,
ATM 유닛의 웨이퍼 카세트에 장착된 웨이퍼를 로딩 챔버의 테이블에 안착시키는 로딩 단계;
상기 로딩 단계를 거친 웨이퍼를 제 1프로세스 챔버, 또는 제 2프로세스 챔버의 히팅 블럭 유닛 상부에 안치시키고, 상기 웨이퍼를 프로세스 온도로 가열시키는 가열 단계;
상기 가열 단계에 의해 표면이 가열된 웨이퍼의 표면으로 박막을 증착시키는 박막 증착 단계;
상기 박막 증착 단계를 거친 웨이퍼를 언로딩 챔버의 테이블에 안착시키는 언로딩 단계;
상기 언로딩 단계를 거친 웨이퍼를 냉각 챔버로 이송시켜 냉각수가 순환하는 트레이에 안치시키고, 상기한 트레이와의 열교환에 의해 웨이퍼를 냉각시키는 냉각 단계;
상기한 과정에 따라 냉각이 완료된 웨이퍼를 웨이퍼 카세트 내부로 이송시켜웨이퍼를 연속 적층시키는 최종 언로딩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의 박막 증착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웨이퍼의 박막 증착방법을 첨부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통상적인 구조를 갖는 웨이퍼 박막 증착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웨이퍼 박막 증착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이퍼의 박막 증착방법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냉각 챔버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4a는 정면도,도 4b는 요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웨이퍼 박막 증착장치의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3 : 웨이퍼 카세트 10 : ATM 유닛
20 : 로딩 챔버 25 : 히팅 블럭 유닛
30 : 제 1프로세스 챔버 40 : 제 2프로세스 유닛
50 : 제 3프로세스 챔버 70 : 언로딩 챔버
75 : 트레이 80 : 냉각 챔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이퍼의 박막 증착방법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냉각 챔버(80)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웨이퍼 박막 증착장치의 개략도로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웨이퍼를 로딩 챔버(20)의 테이블에 안착시키는 로딩 단계, 로딩된 웨이퍼를 제 1프로세스 챔버(30), 제 2프로세스 챔버(40), 또는 제 3프로세스 챔버(50)중 어느 하나의 챔버로 이송시켜 프로세스 온도로 가열시키는 가열 단계, 웨이퍼의 표면에 박막을 증착시키는 박막 증착 단계, 상기 과정에 따라 박막 증착이 완료된 웨이퍼를
언로딩 챔버의 테이블에 안치시키는 언로딩 단계, 상기 단계를 거친 웨이퍼를 냉각 챔버(80) 내부에서 냉각시키는 냉각단계 및 상기 과정을 거친 웨이퍼를 웨이퍼 카세트(1,2,3)에 장착시키는 최종 언로딩 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ATM 유닛(10)의 웨이퍼 카세트(1,2,3)중 어느 하나의 카세트에 장착된 웨이퍼를 로딩 챔버(20)에 구비된 테이블에 안착시키는 로딩 단계에서는 통상적인 구조를 갖는 웨이퍼 박막 증착장치와 같이 ATM 유닛(10)의 웨이퍼 카세트(1,2,3)중 어느 하나에 수납된 웨이퍼가 운반장치(5)의 동작에 따라 로딩 챔버(20)로 이송되어 로딩 챔버(20)의 테이블 상부에 안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웨이퍼가 테이블 상부에 안착되면 승강핀의 동작에 따라 웨이퍼를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킴으로써 이송장치(55)에 의한 웨이퍼의 픽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에 따라 로딩 단계가 완료되면 진공 챔버(60)와 접한 게이트가 개방되고, 타측의 게이트가 폐쇄되는 한편, 로딩 챔버(20)의 공기가 진공 챔버(6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로딩 챔버(20)의 내부가 진공상태로 전환되도록 한다.
상기한 과정에 따라 웨이퍼의 로딩이 완료되면, 테이블에 안치된 웨이퍼는 이송장치(55)에 의해 제 1프로세스 챔버(30), 제 2프로세스 챔버(40), 또는 제 3프로세스 챔버(50)중 어느 하나의 챔버에 설치된 히팅 블럭 유닛(25) 상부로 이동을 하며, 다시 히팅 블럭 유닛(25)에 내장된 히터에 의해 웨이퍼의 필요공정에 따라 400℃, 또는 600℃의 온도로 가열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과정에 따라 웨이퍼의 표면온도가 일정온도로 가열되면 웨이퍼의 표면으로 박막을 증착시키는 공정이 진행된다.
상기한 과정에 따라 박막의 증착이 완료되면, 언로딩 단계에서는 히팅 블럭 유닛(25)에 안치된 웨이퍼가 진공챔버(60)를 경유하여 언로딩 챔버(70)로 이동하여 상기한 언로딩 챔버(70)의 테이블에 안착되며, 계속해서 ATM 유닛(10)에 구비된 운반장치(5)의 동작에 의해 다시 ATM 유닛(10)으로 이동을 한다.
이때, ATM 유닛(10)의 측면 일측에는 냉각 챔버(80)가 구비됨으로써 언로딩 챔버(170)로부터 이송되는 웨이퍼는 웨이퍼 카세트(1,2,3)에 수납되는 최종 언로딩단계에 앞서 냉각 챔버(80)를 경유하도록 한다.
상기한 냉각 챔버(80)는 도 4b와 같이 웨이퍼가 안치되는 트레이(75)의 내측에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각수 순환관(71)을 구비함으로써 고온의 웨이퍼가 신속히 냉각되도록 하며, 이에 따라 고온의 웨이퍼가 웨이퍼 카세트(1,2,33)에 직접 안치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웨이퍼 카세트(1,2,3)의 변형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한 냉각 챔버(80)는 웨이퍼 카세트(1,2,3)에 수납되는 웨이퍼의 적층단수에 맞춰 트레이(75)를 설치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적인 웨이퍼 카세트가 25매의 웨이퍼가 동시에 적층되는 것을 감안하여 25단의 트레이(75)를 구비한 것을 예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세스 챔버의 설치수량에 따른 용량을 감안하여 트레이(75)의 설치단수를 가감한다.
계속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냉각이 완료된 웨이퍼는 언로딩 단계에서 ATM 유닛(10)의 웨이퍼 카세트(1,2,3)에 순차적으로 수납되는데, 이때 상기한 웨이퍼는 냉각 챔버(80)를 통한 열교환에 의해 상온에 근접한 상태로 냉각된 관계로 웨이퍼 카세트(1,2,3)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웨이퍼 카세트(1,2,3)에 장착된 웨이퍼가 인접한 웨이퍼와 정확한 등간격을 유지하므로 후처리공정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동수단에 의한 후처리 공정으로의 이동과정에서 불필요한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박막 증착이 완료된 웨이퍼의 자연 냉각공정이 삭제되어 각 공정이 신속히 진행되며, 이와 함께 프로세스 챔버의 증설이 가능하므로 반도체 전 공정장비에서의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박막 증착공정이 완료된 고온의 웨이퍼를 웨이퍼 카세트(1,2,3)에 수납시키기에 앞서 별도의 냉각 챔버(80)를 통해 냉각시킴으로써 웨이퍼 카세트(1,2,3)의 열변형에 따른 웨이퍼의 손상을 방지한다.
특히, 본 발명은 박막 증착 공정에 필요한 시간보다 짧은 시간내에 웨이퍼의 냉각이 이루어지는 한편, 이에 따라 프로세스 챔버의 증설이 가능하므로 웨이퍼의 박막 증착 공정의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웨이퍼의 박막 증착공정에 있어서,
    ATM 유닛(10)의 웨이퍼 카세트(1,2,3)에 장착된 웨이퍼를 로딩 챔버(20)의 테이블에 안착시키는 로딩 단계;
    상기 로딩 단계를 거친 웨이퍼를 제 1프로세스 챔버(30), 제 2프로세스 챔버(40), 또는 제 3프로세스 챔버(50)에 설치된 히팅 블럭 유닛(25)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안치시키고, 상기 웨이퍼를 프로세스 온도로 가열시키는 가열 단계;
    상기 가열 단계에 의해 표면이 가열된 웨이퍼의 표면으로 박막을 증착시키는 박막 증착 단계;
    상기 박막 증착 단계를 거친 웨이퍼를 언로딩 챔버(70)의 테이블에 안착시키는 언로딩 단계;
    상기 언로딩 단계를 거친 웨이퍼를 냉각 챔버(80)로 이송시켜 냉각수가 순환하는 트레이(75)에 안치시키고, 상기한 트레이(75)와의 열교환에 의해 웨이퍼를 냉각시키는 냉각 단계;
    상기한 과정에 따라 냉각이 완료된 웨이퍼를 웨이퍼 카세트(1,2,3) 내부로 이송시켜 웨이퍼를 연속 적층시키는 최종 언로딩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의 박막 증착방법.
KR10-2001-0000337A 2001-01-04 2001-01-04 웨이퍼의 박막 증착방법 KR100385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337A KR100385391B1 (ko) 2001-01-04 2001-01-04 웨이퍼의 박막 증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0337A KR100385391B1 (ko) 2001-01-04 2001-01-04 웨이퍼의 박막 증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346A KR20020057346A (ko) 2002-07-11
KR100385391B1 true KR100385391B1 (ko) 2003-05-27

Family

ID=27690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0337A KR100385391B1 (ko) 2001-01-04 2001-01-04 웨이퍼의 박막 증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53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115B1 (ko) * 2007-05-22 2009-02-27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플랙서블 기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플랙서블표시장치
KR102342029B1 (ko) * 2019-02-27 2021-12-23 주식회사 엔씨디 자동 물류 원자층 증착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7673A (ko) * 1996-03-27 1997-10-13 김광호 반도체 제조장치(A Semiconductor Fabrication Apparatus)
KR970072120A (ko) * 1996-04-08 1997-11-07 가나이쓰토무 기판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KR19980043529A (ko) * 1996-12-03 1998-09-05 김광호 반도체 화학기상증착 장치
KR19980068081A (ko) * 1997-02-14 1998-10-15 김광호 매엽식 반도체 시스템의 시퀀스 처리방법
KR20000031490A (ko) * 1998-11-06 2000-06-05 서성기 웨이퍼의 알루미늄산화막 형성장치 및 형성방법
KR20010015974A (ko) * 2000-07-31 2001-03-05 배준호 로드락챔버내에 쿨링장치를 갖는 반도체 제조장치 및 그반도체 제조장치의 웨이퍼 쿨링방법
KR20010084625A (ko) * 2000-02-28 2001-09-06 황 철 주 기판 냉각장치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 제조용 클러스터 장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7673A (ko) * 1996-03-27 1997-10-13 김광호 반도체 제조장치(A Semiconductor Fabrication Apparatus)
KR970072120A (ko) * 1996-04-08 1997-11-07 가나이쓰토무 기판 처리방법 및 처리장치
KR19980043529A (ko) * 1996-12-03 1998-09-05 김광호 반도체 화학기상증착 장치
KR19980068081A (ko) * 1997-02-14 1998-10-15 김광호 매엽식 반도체 시스템의 시퀀스 처리방법
KR20000031490A (ko) * 1998-11-06 2000-06-05 서성기 웨이퍼의 알루미늄산화막 형성장치 및 형성방법
KR20010084625A (ko) * 2000-02-28 2001-09-06 황 철 주 기판 냉각장치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 제조용 클러스터 장비
KR20010015974A (ko) * 2000-07-31 2001-03-05 배준호 로드락챔버내에 쿨링장치를 갖는 반도체 제조장치 및 그반도체 제조장치의 웨이퍼 쿨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7346A (ko) 200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0251B2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US5607009A (en) Method of heating and cooling large area substrates and apparatus therefor
US20090016853A1 (en) In-line wafer robotic processing system
TWI659489B (zh) 基板處理裝置、半導體裝置之製造方法、程式
WO1999031714A1 (en) Single wafer load lock chamber for pre-processing and post-processing wafers in a vacuum processing system
JPWO2017145261A1 (ja) 基板処理装置、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190116402A (ko) 기판 처리 장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70108866A (ko) 기판 반송 기구의 세정 방법 및 기판 처리 시스템
TW200414986A (en) Atmospheric robot handling equipment
JP3585215B2 (ja) 基板処理装置
JP3522796B2 (ja) 半導体製造装置
JP7403234B2 (ja) 基板処理装置、及び基板処理方法
KR100385391B1 (ko) 웨이퍼의 박막 증착방법
US11211269B2 (en) Multi-object capable loadlock system
KR102361934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기판 처리 장치 및 기록 매체
JP3325833B2 (ja) 熱処理装置
CN112735976A (zh) 基板处理装置
KR101150772B1 (ko) 반도체 열처리방법 및 반도체 열처리장치
US20060156982A1 (en) Apparatus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JPH11204535A (ja) 半導体基板の熱処理方法及び装置
KR100560623B1 (ko) 반도체 제조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4021138B2 (ja) 基板処理装置
CN111668143A (zh) 基板收容装置
CN111048445B (zh) 加热板冷却方法及基板处理装置
JPH11345771A (ja) 枚葉式真空処理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