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4636B1 - 트윈전기로에서의스크랩예열방법 - Google Patents

트윈전기로에서의스크랩예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4636B1
KR100384636B1 KR10-1998-0057629A KR19980057629A KR100384636B1 KR 100384636 B1 KR100384636 B1 KR 100384636B1 KR 19980057629 A KR19980057629 A KR 19980057629A KR 100384636 B1 KR100384636 B1 KR 100384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p
furnace
preheating
twin
c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7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1675A (ko
Inventor
권혁한
김기학
김철민
김만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1998-0057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4636B1/ko
Publication of KR20000041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1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6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윈 전기로(복수전기로) 조업시 스크랩 예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별도의 설비의 추가없이, 트윈로의 비가동중인 로에서 잔탕을 착화원으로 하여 수냉랜스를 통해 취입되는 대용량의 산소와 별도로 투입되는 코크스와의 반응열을 직접 스크랩 예열에 이용함으로써 획기적으로 전력원단위를 줄일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트윈 전기로에서 스크랩 예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트윈 전기로에서 스크랩을 예열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크랩이 트윈 전기로의 비가동로에 2회 분할장입되는 경우에는 총 스크랩 장입량 중에서 1차분으로 장입되는 50-70중량%의 스크랩 또는 1,2 차분이 연속적으로 장입되는 경우에는 100% 의 스크랩과 함께, 장입 2차분에 스크랩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10-13kg/스크랩-Ton 의 적입량으로, 장입 2차분에 용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4.5-6.5kg/스크랩-Ton의 적입량으로 괴 코크스를 트윈 전기로의 비가동로에 적입한 다음, 괴 코크스 투입량(Kg)의 1.3-1.5배의 취입량(Nm3)으로 산소를 취입하여 스크랩을 예열하는 트윈 전기로에서의 스크랩 예열방법을 그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트윈 전기로에서의 스크랩 예열방법{Method for preheating scrap in twin-electric furnace}
본 발명은 트윈전기로(복수전기로) 조업시 스크랩 예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1전원 2로체 형태의 트윈전기로 조업시 비가동로에 장입된 스크랩을 산소와 괴 코크스의 반응열을 이용하여 직접 예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로 업계는 에너지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아크로 배가스에 의한 스크랩 예열법을 개발하여 실조업에 적용해오고 있다.
일반적으로 배가스에 의한 스크랩 예열방법으로는 스크랩 운반용기인 버킷트(Bucket)에서 예열을 행하는 버킷트 스크랩 예열방식과 트윈전기로에서 스크랩을 예열하는 트윈전기로 예열방식으로 대별된다.
버킷트에서 스크랩을 예열을 행하는 방식은 80년대 이후 실용화되어 많은 전기로 업체에서 가동하고 있으나 스크랩 예열시 백연, 악취, 다이옥신등의 발생에 따른 환경문제와 버킷트의 열화에 따른 설비수리비 증가, 오일미스트(Oil Mist)에 의해 집진기 필터의 수명저하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이의 사용을 중단하는 업체들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설비들이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는데 그 중에 대표적인 것이 1전원 2로체 방식의 트윈전기로이다.
이 방식은 아크로 배가스의 잠열과 현열의 회수율을 향상시키고, 전력설비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트윈전기로의 설비와 조업특성을 보면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1전원 방식의 두 개의 복수로(1)(1′)로 구성되어 있어 가동로(1)에서 스크랩을 용해 또는 승열기 작업시 발생하는 고온의 배가스를 대기중인 비가동로(대기로)(1′)에 연결하여 스크랩을 예열함으로써 전력에너지를 절감하고, 제강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트윈전기로에 의한 조업시, 단독로에 의한 조업과 비교할 때 1차 장입(초장)시간의 생략이 가능하고 또한 스크랩 예열효과에 따른 용해시간등 한 차아지(Charge)를 생산하는데 소요되는 제강시간의 단축이 가능함으로써 생산성 측면에서 10-20%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도 1에서 부호 11,11′는 상부 전극봉을, 부호 12,12′는 하부 전극봉을, 부호 13은 산소랜스를, 부호 14는 탄소랜스를, 부호 15,15′는 크린 하우스(clean house)를, 부호 16, 16′는 집진 덕트를, 부호 17은 연소실을, 부호 18은 배가스 덕트를, 부호 19는 저취 노즐을 나타낸다
그러나 실조업 적용시 아래와 같은 문제점의 노출로 배가스에 의한 스크랩 예열의 효과가 대단히 미약한 실정이다.
첫째로, 가동로에서 발생한 고온의 배가스가 곧바로 스크랩 예열에 기여하지 못하고 덕트(Duct)라는 열이송관을 한단계 거쳐 비가동로에 연결됨으로써 열손실이 크고 또한 덕트를 연결하는 부위에 실링(Sealing)이 원활치 않은 경우 추가적인 열로스(Heat Loss)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로, 스크랩 예열시 가동로로 부터 오는 배가스의 열흐름이 로 천정 상부에서 하부쪽으로 흐르기 때문에 예열할 스크랩의 비중이 크거나 혹은 냉선등 겉보기 비중이 큰 철원이 다량 장입되는 경우 통기성이 부족하여 열분포가 골고루 이루어지지 않아 스크랩 예열효율이 많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로, 스크랩 예열시 배가스의 출구인 출강구의 주위가 다른 곳에 비해 온도가 낮아 지금과 슬래그의 부착이 다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출강구 상부에 위치한 집진 덕트의 유로가 좁아지거나, 심한 경우 폐쇄되어 집진이 곤란함으로써 정상적인 예열조업의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넷째로, 이 처럼 종래의 방법이 불완전한 아아크의 배가스의 현열에만 전적으로 의존함으로써 로내하부에 용강상태로 남아 있는 잔탕(Hot heel)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치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위에서 열거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않는 한 트윈로에서 스크랩 예열 효과를 기대하기 곤란할 뿐 아니라, 또한 생산성 저하 및 에너지 상승요인으로 작용함으로써 이를 커버할 새로운 스크랩 예열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종래 스크랩 예열방법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별도의 설비의 추가없이, 트윈로의 비가동중인 로에서 잔탕을 착화원으로 하여 수냉랜스를 통해 취입되는 대용량의 산소와 별도로 투입되는 코크스와의 반응열을 직접 스크랩 예열에 이용함으로써 획기적으로 전력원단위를 줄일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트윈전기로에서의 스크랩 예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법에 따라 트윈전기로에서 배가스에 의해 스크랩을 예열하는 과정 을 나타내는 트윈전기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스크랩을 예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트윈전기로중 대기로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가동로 1′... 비가동로(대기로) 20... 스라그 도아 21... 도아 버너 22... 수냉식 산소랜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트윈 전기로에서 장입된 스크랩을 예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이 트윈 전기로의 비가동로에 2회 분할장입되는 경우,
장입되는 총 스크랩 중에서 50-70중량%의 스크랩을 1차분으로 장입함과 함께 괴 코크스를 적입하고, 이때 적입되는 괴 코크스량을 2차장입분으로 스크랩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10-13kg/스크랩-Ton, 용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4.5-6.5kg/스크랩-Ton으로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스크랩이 트윈 전기로의 비가동로에 1,2 차분이 연속적으로 장입되는 경우에는 100% 의 스크랩과 함께 10-13kg/스크랩-Ton의 적입량으로 괴 코크스를 적입한 다음, 괴 코크스 투입량(Kg)의 1.3-1.5배의 취입량(Nm3)으로 산소를 취입하여 스크랩을 예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트윈 전기로(복수 전기로)에서 스크랩을 예열하기 위해서는 트윈 전기로의 비가동로에 2회 분할장입되는 경우에는 총 스크랩 장입량 중에서 중량%로, 1차분으로 장입되는 50-70%의 스크랩 또는 1,2 차분이 연속적으로 장입되는 경우에는 100% 의 스크랩과 함께 괴 코크스를 적입한다.
이때 적입하는 괴 코크스의 적입량은 장입 2차분에 스크랩을 사용한 경우에는 10-13kg/스크랩-Ton 으로 하고, 용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4.5-6.5kg/스크랩-Ton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크랩이 2회 분할장입되는 경우에는 스크랩 예열물량을 총 스크랩 장입량의 50-70중량%로 한정한 사유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2회 분할조업시 예열할 1차분 스크랩의 양이 총 스크랩 장입량의 5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2차분에 장입해야 할 스크랩 양이 상대적으로 많아지게 되어 2차 용해시간이 증가하게 되고 스크랩 예열 효과가 반감하게 되며, 특히, 2차 장입분이 용선일 경우 용선 장입량이 50중량% 이상이 되어 집진이 불량하게 되므로 그 하한치는50%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열할 스크랩의 양이 70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베스킷의 적입능력을 초과하여 작업이 곤란하고 또한 2차 장입분이 용선일 경우 용선사용비율이 30중량% 이하로 떨어져 용선 사용에 의한 효과가 감소하게 되므로, 그 상한치는 70중량%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2회 분할조업시 예열할 스크랩 양은 총 스크랩 장입량의 50-70중량%로 선정하는 것이 전체적인 조업밸런스와 스크랩 예열효과를 위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스크랩을 500mm 이하로 세절, 겉보기 비중을 1.0 이상으로 유지하고 또한 겉보기 비중이 2.0 이상인 냉선(Pig Iron)이나 열간압축성형철(Hot Briquetted Iron)등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비가동로에 스크랩을 1,2차 연속으로 장입함으로써 2차 장입이 불필요하고 100%의 스크랩 예열이 가능하여 본 발명의 예열 효율을 더욱 높일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장입 2차분에 스크랩을 장입하는 경우에는 괴 코크스의 적입량은 10-13kg/스크랩-Ton 으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괴 코크스의 투입원단위가 10kg/스크랩-Ton 미만인 경우 카본과 산소에 의한 반응열의 효과가 부족하고, 13kg/스크랩-Ton 이상인 경우는 카본과 산소와의 반응을 위해 과다한 산소가 취입, 용강을 과산화시켜 용강품질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장입 2차분에 용선을 사용하는 경우, 괴 코크스의 총적입량은 4.5-6.5kg/스크랩-Ton의 범위가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괴 코크스의 장입량이 4.5kg/ 스크랩-Ton 미만인 경우에는 2차분의 용선이 다량의 현열을 보유하고 있다하더라도 스크랩예열 효과가 부족하고, 6.5kg/스크랩-Ton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예열시 산소와 미반응된 괴코크스가 잔류하여 용선장입시 발생되는 슬라그에 혼입, 2차 용해작업 이후 슬라그 내에서 산소와 급격히 반응, 슬라그 부피가 급격히 팽창하여 노외로 유출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되기 때문이다.
전기로내 스크랩과 괴 코크스의 장입이 완료되면 슬래그 도아 버너를 수분간 가동하여 착화원이 되는 로내잔탕과 괴코크스와 산소와의 반응이 용이하도록 스크랩 커팅을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랩의 커팅작업시간은 2분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랩 커팅작업시간이 2분을 초과하면 작업시간 증가에 따른 제조비용 상승을 초래하므로, 상기 스크랩 커팅작업시간은 2분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로내잔탕과 괴코크스와 산소와의 반응이 용이하도록 되어있는 경우에는 버너에 의한 스크랩의 커팅작업은 필요없게 된다.
즉, 별도 버너의 도움없이도 착화가 이루어지는 경우는 바로 스크랩 예열을 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크랩과 괴 코크스가 적입된 후 괴코크스와의 반응을 위해 수냉랜스를 통해 산소를 취입하여 스크랩을 예열하는데, 이때 산소 취입량은 괴 코크스 투입량(Kg)의 1.3-1.5배의 취입량(Nm3)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이 착화원이 확보되면 수냉산소랜스를 슬래그 도아측으로 진입시켜 산소를 취입, 코크스와 반응에 의한 반응열로 스크랩 예열을 실시한다.
상기와 같이 산소 취입량의 하한치를 괴 코크스 투입량의 1.3배로 제한한 것은 이론적 수치로는 괴 코크스와 산소반응시 대략 1:1 비율로 반응하나 실제 경험치로는 취입되는 산소가 괴 코크스와의 반응은 물론 고온으로 예열된 스크랩의 용해에도 기여함으로써 이론치 대비 최소 30%의 여유율을 확보해 두는 것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산소 취입량이 하한치 미만인 경우에는 스크랩 예열효과가 급격히 저하된다.
한편, 산소소요량의 상한치를 괴코크스 투입량의 1.5 배로 제한한 것은 1.5 배를 초과할 경우 반응할 괴 코크스에 비해 과잉의 산소가 투입되어 용강의 재산화와 용강실수율을 하락시키고 또한 2차 장입분이 용선일 경우 장입되는 용선중의 함유된 카본과 로내의 과산화된 슬래그와 반응하여 급격한 보일링(Boiling)현상을 유발하는 등 조업이 불안정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트윈로에서 스크랩을 예열하는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스크랩 베이(Scrap Bay)에서 1차 장입할 메인 베스킷의 가장 하부에 소정량의 괴 코크스를 먼저 적입하고 그 위에 스크랩 또는 다른 철원등을 적입한다. 적입이 완료된 메인 베스킷은 운송기구인 크레인에 의해 트윈 전기로로 운반된다. 운반된 스크랩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기로가 두개인 트윈전기로(복수로)에 있어 한쪽로가 용해작업등 가동중일 때 비작업중인 다른 한쪽의 비가동로(대기로)(1′)에 장입을 한다.
대기로(1′)에 스크랩과 함께 장입된 괴 코크스는 노내 가장 하부인 잔탕(HotHeel)위에 떨어지고 이어 바로 위의 스크랩의 하중에 의해 일정량이 잔탕과 뒤섞이며 산소 취입시 착화가 용이한 상태가 된다.
한편, 전기로 상부에 노상호퍼와 같은 별도의 설비가 설치되어 있어 이를 이용한 괴 코크스의 투입이 가능할 경우, 1차 스크랩 장입이전에 괴 코크스의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트윈 전기로의 대기로(1′)내에 스크랩과 괴 코크스의 장입이 완료되면 슬라그 도아(20)를 열어 도아 버너(21)가동여부를 판단하고, 착화원의 확보가 어려운 경우 수분간 버너를 가동하여 2분 이내에서 스크랩 커팅을 행한다.
착화원이 확보되면 곧바로 수냉산소랜스(22)를 이용, 착화원이 형성된 부위에 집중적으로 산소를 취입하여 스크랩 예열을 실시한다.
실제 조업 적용시 스크랩 예열을 위한 시간은 가동로의 조업상태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20-30분 정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스크랩 예열시간은 트윈로에 있어서 가동로(1)와 비가동로(1′)의 조업교대간격이 통상 20-30분 정도이므로 확보될 수 있다.
예열시에 산소 취입속도(Nm3/Hr) 는 괴코크스 투입량, 가동로 조업상태에 따른 예열가능시간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정상적인 에열 조업조건하에서 산소 취입속도는 3,000-5,000Nm3/Hr가 바람직하다. 상기 산소 취입속도가 3000Nm3/Hr 미만이면 탈탄이 부족하고, 5000Nm3/Hr를 초과하면 용융물 비산이 발생하므로, 상기 산소 취입속도는 3000-5000Nm3/Hr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이러한 일련의 예열작업이 완료되면 이후의 작업공정은 스크랩 2회 분할장입의 경우 1차 용해→2차장입→승열→출강작업 순으로, 1,2회(100% 스크랩 예열조업) 연속장입의 경우는 1,2차 동시 용해→승열→출강작업순으로 진행이 된다.
한편, 예열시 가동중이었던 다른 한편의 전기로는 출강작업이 완료된 후 비가동로가 되어 1차분의 스크랩과 함께 괴 코크스가 장입되어 위에서 설명한 일련의 작업공정을 또 다른 로와 번갈아 반복하게 된다.
전기로에서 출강된 용강은 이후 2차 정련공정인 용강승온설비(Ladle Arc Furnace)에서 승온 및 Ca 처리를 하고 필요시 강종에 따라 탈개스 정련공정을 추가로 거친 후 연주조업 및 제품의 마무리를 위한 일련의 압연공정을 거쳐 최종제품이 만들어지게 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스크랩 장입 형태별로 세분하여 본 발명법과 종래방법을 각각 이용하여 스크랩을 예열하고, 평균 총전력량과 전력원단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스크랩장입형태 총전력량(KWH) 전력원단위(KWH/T)
장입량기준 출강량기준
본 발명법 분할장입 57,895 387 436
1,2차 연속장입 53,824 376 406
용선조업 44,003 290 322
종래방법 분할장입 62,422 420 457
1,2차 연속장입 59,595 411 446
용선조업 49,227 330 36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법의 경우 종래방법의 경우에 비하여 총전력량에 있어 4,500-6,000KWH 정도 대폭적으로 감소됨을 알 수 있다.
이것을 다시 비교가 용이한 장입량 톤당 전력원단위로 환산해보면 35-50KWH/T으로 본 발명에 의한 스크랩 예열효과가 종래방법과 대비해 대단히 우수함을 알 수가 있다.
특히, 통상 전기로 업체에서 전체 제조원가 중에 전력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7-10% 인점을 감안하면 상기의 수치는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이 종래방법대비 산소원단위가 8-20Nm3/T 와 괴코크스 원단위가 5-13kg/T추가로 소요되지만 최근의 전기로 조업형태가 단가가 비싼 전력원단위를 줄이고 비교적 단가가 저렴한 산소원단위를 늘이고 있는 조업추세와 원가측면에서 볼때도 훨씬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법과 종래방법에 대하여 전력투입시간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전력투입시간(Power On Time)은 전력이 투입된 시간을 나타낸 것으로 주로 용해시간과 승열시간이 포함된 것이며, 제강시간(Tap-to-Tap Time)은 1차 장입-1차 용해-2차 장입-2차 용해-승열-출강까지의 소요되는 총 소요시간을 나타낸다.
구분 스크랩 장입형태 전력투입시간(분) 제강시간(분)
본 발명법 분할장입 54.1 58.8
1,2차 연속장입 50.0 55.1
용선조업 44.1 52.3
종래방법 분할장입 58.4 63.4
1,2차 연속장입 54.3 58.9
용선조업 49.2 56.3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법의 경우가 종래방법의 경우에 비하여 세가지 형태의 스크랩 장입조건에 있어서 전력투입시간 및 제강시간이 각각 대략 4-5분 정도 단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법의 경우 괴 코크스와 산소와의 격렬한 반응에 의해 생성된 고온의 반응열이 직접 스크랩에 전달됨으로써 스크랩 예열효과가 뛰어나고 또한 예열효과외에 일부 스크랩 커팅효과도 함께 이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로, 본 발명의 공정적용시 산소가 취입되는 부근의 스크랩 온도가 산소 를 취입하고 대략 10분이 경과되면 거의 융점온도인 1500℃가까이에 도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코크스와 산소의 반응이 한창 이루어질 때 부근의 노내 분위기 온도를 파이로 메타(Pyrometer)로 측정해 본 결과, 1100-1300℃ 로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법에 의해 스크랩을 예열할 경우 일정부위의 온도를 파이로 메타를 이용해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스크랩예열경과시간(분) 스크랩 표면온도(℃) 로내분위기온도(℃)
0 40 미측정
5 746 미측정
9 1482 미측정
12 1508 985
15 1524 미측정
20 1482 1316
26 미측정 1133
30 미측정 1057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스크랩을 예열하는 경우 코크스와 산소가 착화한 후 대략 10분이 지나면 거의 1500℃ 가까이 스크랩 표면온도가 상승하고 또한 노내 분위기 온도는 대략 20분이 지나면 절정을 이루어 1100-1300 까지 상승하여 로내 전체 스크랩 예열 조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할 수가 있다.
특히, 종래 방법에서 심각한 문제로 되어 왔던 출강구 주변의 지금 및 슬라그 부착문제가 본 발명법에 의한 스크랩 예열시 발생하는 배가스의 높은 온도 유지로 해결되었다. 이에 따라 출강구 상부의 집진 덕트의 유로 축소나 폐쇄로 인한 환경문제는 없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제 조업적용하는 경우 종래의 배가스에 의한 방법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로, 종래의 방법은 고온의 배가스가 덕트라는 열이송관을 통해 전달되어 배가스 온도가 직접 스크랩 예열에 기여하지 못하고, 또한 열로스가 큰 단점이 있는 반면에,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별도의 설비를 추가하지 않고 반응열원인 코크스의 착화온도가 낮고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점에 착안하여 산소와의 반응을 통해 생성된 열을 직접 스크랩 예열에 활용함으로써 예열 효과가 훨씬 크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로, 종래의 방법이 예열시 배가스의 열 흐름이 상부에서 아래로 강제로 흐르게 함에 따라 겉보기 비중이 비교적 큰 스크랩 또는 냉선등이 다량 전기로내 장입이 되는 경우 열순환과 통기성이 부족하여 예열효율이 급격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산소와 코크스가 반응시 생성되는 고온상태의 열흐름이 아래에서 윗쪽으로 순환되고 및 복사열이 균일하게 전달됨으로써 전기로내 스크랩 장입조건에 구애됨이 없이 예열효율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셋째, 종래의 방법이 예열후 배가스의 출구가 용강이 출강되는 부위에 위치함에 따라 로내 타부위에 비해 온도가 낮아져 지금과 슬라그의 부착이 자주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집진덕트의 유로가 좁아지거나 심한 경우 유로가 폐쇄되어 집진이 불가능하여 스크랩의 예열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환경문제로 인해 조업자체가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지만, 본 발명은 코크스와 산소와의 반응시 로내 하부주변의 분위기 온도가 최고 1300-1400℃까지 상승함으로써 출강구 주변의 온도가 오히려 타부위 대비 고온영역으로써 유지되어 종래의 방법에서 고질적으로 문제가 되었던 지금부착과 슬라그 부착 문제가 전혀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집진불량에 따른 환경문제도 쉽게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로, 종래의 방법이 스크랩 예열을 전적으로 배가스에만 의존함으로써 예열효율에 한계가 있지만, 본 발명은 로내 고온의 용강 잔탕을 착화원으로 십분 활용, 착화온도가 580-600℃인 괴 코크스가 쉽게 용해하여 산소와의 반응이 빠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크랩 예열 효과를 현저히 증대시킬 수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트윈 전기로에서 장입된 스크랩을 예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이 트윈 전기로의 비가동로에 2회 분할장입되는 경우,
    장입되는 총 스크랩 중에서 50-70중량%의 스크랩을 1차분으로 장입함과 함께 괴 코크스를 적입하고, 이때 적입되는 괴 코크스량을 2차장입분으로 스크랩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10-13kg/스크랩-Ton, 용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4.5-6.5kg/스크랩-Ton으로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스크랩이 트윈 전기로의 비가동로에 1,2 차분이 연속적으로 장입되는 경우에는 100% 의 스크랩과 함께 10-13kg/스크랩-Ton의 적입량으로 괴 코크스를 적입한 다음, 괴 코크스 투입량(Kg)의 1.3-1.5배의 취입량(Nm3)으로 산소를 취입하여 스크랩을 예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전기로에서의 스크랩 예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스크랩과 괴 코크스의 장입이 완료된 후 산소취입전에 스크랩의 커팅작업이 2분이내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전기로에서의 스크랩 예열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크랩의 예열시간이 20~3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전기로에서의 스크랩 예열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산소 취입속도(Nm3/Hr)가 3,000-5,000Nm3/H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전기로에서의 스크랩 예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산소 취입속도(Nm3/Hr)가 3,000-5,000Nm3/H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윈 전기로에서의 스크랩 예열방법.
KR10-1998-0057629A 1998-12-23 1998-12-23 트윈전기로에서의스크랩예열방법 KR100384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629A KR100384636B1 (ko) 1998-12-23 1998-12-23 트윈전기로에서의스크랩예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629A KR100384636B1 (ko) 1998-12-23 1998-12-23 트윈전기로에서의스크랩예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1675A KR20000041675A (ko) 2000-07-15
KR100384636B1 true KR100384636B1 (ko) 2003-08-19

Family

ID=19564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7629A KR100384636B1 (ko) 1998-12-23 1998-12-23 트윈전기로에서의스크랩예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46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209B1 (ko) 2017-12-14 2020-02-07 주식회사 포스코 피처리물 예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3679A (ja) * 1993-04-30 1994-11-08 Daido Steel Co Ltd ツインタイプの電気炉におけるスクラップ予熱方法
JPH06323733A (ja) * 1993-05-10 1994-11-25 Daido Steel Co Ltd ツインタイプの電気炉におけるスクラップ予熱方法
JPH09210561A (ja) * 1996-01-31 1997-08-12 Nippon Steel Corp ツインタイプの電気炉における炉体構造
JPH10300353A (ja) * 1997-04-25 1998-11-13 Nippon Steel Corp ツインタイプの電気炉におけるスクラップ予熱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3679A (ja) * 1993-04-30 1994-11-08 Daido Steel Co Ltd ツインタイプの電気炉におけるスクラップ予熱方法
JPH06323733A (ja) * 1993-05-10 1994-11-25 Daido Steel Co Ltd ツインタイプの電気炉におけるスクラップ予熱方法
JPH09210561A (ja) * 1996-01-31 1997-08-12 Nippon Steel Corp ツインタイプの電気炉における炉体構造
JPH10300353A (ja) * 1997-04-25 1998-11-13 Nippon Steel Corp ツインタイプの電気炉におけるスクラップ予熱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1675A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5711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steelmaking
CA1235905A (en) Method for continuous steelmaking
CN101203619B (zh) 用于节能、挥发性金属去除和炉渣控制的氧化铁回收炉的操作方法
CN201273767Y (zh) 一种多功能工业炉和包括该工业炉的连续冶炼系统
US46094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heating charge materials for continuous steelmaking
US3301662A (en) Basic oxygen steel making process
KR100384636B1 (ko) 트윈전기로에서의스크랩예열방법
US6126716A (en) Iron-base scrap preheat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1181727A (ja) 電気炉の炉内状況監視方法
JPH0914865A (ja) 電気炉におけるスクラップの予熱装置および予熱方法
US3514279A (en) Preheating scrap with controlled oxidation
US20020011132A1 (en) Process to preheat and carburate directly reduced iron (DRI) to be fed to an electric arc furnace (EAF)
JPH11294969A (ja) スクラップの予熱・溶解方法
US20020002880A1 (en) Process to preheat and reduce directly reduced iron (DRI) to be fed to an electric arc furnace (EAF)
KR20220030285A (ko) 전기로에 의한 용철의 제조 방법
KR200267439Y1 (ko) 용강성분조정용합금철예열장치
JP3121894B2 (ja) 金属溶解炉
JP3793473B2 (ja) 溶銑の加熱式貯銑炉を備えた転炉の操業方法
US1934081A (en) Shaft furnace
EP0922775B1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steel production
TIMES Some abstracts from recent reports
Jones et al. Optimization of EAF operations through offgas system analysis
Drost Thermal energy recovery by basic oxygen furnace offgas preheating of scrap
JPH0310030A (ja) ステンレス鋼製造過程副産物の処理炉
Johansson et al. Comparision of energy consumption in EAF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