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4399B1 - 듀플렉서의 주파수 격리회로 - Google Patents

듀플렉서의 주파수 격리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4399B1
KR100384399B1 KR10-2000-0071157A KR20000071157A KR100384399B1 KR 100384399 B1 KR100384399 B1 KR 100384399B1 KR 20000071157 A KR20000071157 A KR 20000071157A KR 100384399 B1 KR100384399 B1 KR 100384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duplexer
transmission
isolation circuit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1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1518A (ko
Inventor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이씨
Priority to KR10-2000-0071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4399B1/ko
Publication of KR20020041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1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4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43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70Multiple-port networks for connecting several sources or loads, working on different frequencies or frequency bands, to a common load or source
    • H03H9/703Networks using bulk acoustic wave devices
    • H03H9/706Duplex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플렉서에서 송신단과 수신단간의 상호 주파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주파수 격리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송수신을 분리하기 위한 송신단과 수신단에 병렬로 인덕터를 연결하여 송신단이 수신단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수신단의 입력 임피던스를 크게하여 송신주파수 통과대역에서 응답특성을 개선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듀플렉서의 주파수 격리회로{FREQUENCY ISOLATION CIRCUIT OF A DUPLEXER}
본 발명은 듀플렉서의 주파수 격리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듀플렉서에서 송신단과 수신단간의 상호 주파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주파수 격리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듀플렉서는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송수신 시 주파수를 분리하는 장치로 송신단과 수신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듀플렉서는 대한민국 1997년 특허출원055639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송신대역이 수신대역보다 중심주파수가 낮기 때문에 송신단의 필터특성은 통과대역보다 높은 주파수대역(수신주파수대역)에서 우수한 감쇄특성이 요구되고, 수신단의 필터특성은 통과대역보다 낮은 주파수대역(송신주파수 대역)에서 우수한 감쇄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송수신단은 대역통과 상측 주파수에서 주파수가 증가하면 입력임피던스가 증가하고, 통과대역 하측 주파수에서 주파수가 낮아지면 입력임피던스가 작아지는 특성을 보인다. 그래서 송수신단을 병렬 결합 시 안테나단에서 송신주파수 대역이 무너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종래의 듀플렉서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육면체 내에 형성되어 있는 원통홀수를 증가하여 통과대역 상하측에 극을 삽입하는 방법과 상면의 패턴 전극을 이용하여 통과 대역 상하측에 극을 삽입하는 방법으로 특성을 개선할 수 있었다. 이 경우 전자는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있고, 후자는 공간의 제약 때문에 패턴 전극을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듀플렉서의 부피를 커지지 않게 하면서 송수신 결합 시 상호 주파수간섭에 의한 특성악화를 방지할 수 있는 듀플렉서 주파수 격리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송수신 결합 시 송신주파수 대역에서 수신단의 입력임피던스를 크게하여 수신단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켜 송신 주파수 응답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듀플렉서 주파수 격리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플렉서의 전면을 나타낸 평면도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플렉서의 상면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플렉서의 주파수 격리회로에 대한 등가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입력임피던스의 절대값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의 임피던스 정합상태를 나타낸 스미쓰선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상태를 나타낸 스미쓰선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라인인덕터(16)의 패턴 형태를 나타낸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송신단 12: 수신단
14: 안테나단 16: 라인인덕터
18: 차폐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수신을 분리하기 위한 송신단과 수신단에 병렬로 인덕터를 연결하여 송신단이 수신단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수신단의 입력 임피던스를 크게하여 송신 시 주파수 응답특성을 개선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플렉서의 전면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플렉서의 상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송신대역 주파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송신단(10)과, 수신대역의 주파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수신단(12)과, 상기 송신단(10)과 수신단에 접속되어 있는 안테나단(14)과, 듀플렉서의 케이스에 연장되어 "「"자형태를 갖도록 하여 패턴이 가공되는 면에 차폐역할을 하는 차폐판(18)와, 상기 차폐판(18)에 "「"자형태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안테나단(14)에 접속되어 송신수신 결합 시 송신단이 수신단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도록 입력임피던스를 크게 하기 위한 라인인덕터(16)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플렉서의 주파수 격리회로에 대한 등가회로도이다.
송신단(10)과 수신단(12)에 라인인덕터(16)가 병렬로 접속되어 안테나단(14)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 입력임피던스의 절대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임피던스 정합상태를 나타낸 스미쓰선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상태를 나타낸 스미쓰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라인인덕터(16)의 패턴 형태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송신단(10)은 송신대역 주파수를 필터링한다. 수신단(12)은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수신대역의 주파수를 필터링한다. 차폐판(18)은 듀플렉서의 후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끝단으로부터 직각으로 패턴이 가공되는 면이 형성되어 송신단(10)과 수신단(12)의 주파수 차폐역할을 한다. 라인인덕터(16)는 안테나단(14)에 연결되어 상기 차폐판(18)의 판면에 패턴이 형성되어 송수신 주파수 결합 시 송신대역이 수신단(12)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도록 수신단(12)의 입력임피던스를 크게 하도록 한다. 상기 라인인덕터(16)는 예를들어 수신단(12)의 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되도록 패턴을 형성할 수 도 있고 송신단(10)의 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되도록 패턴을 형성할 수 도 있다. 이때 라인인덕터(16)는 일단이 안테나단(14)에 접속되어 송수신을 분리하는 송신단(10) 및 수신단(12)에 각각 병렬로 접속되고, 타단이 듀플렉서의 케이스에 연장되어 형성된 차폐판(18)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그라운드(GND)로 사용된다. 상기 라인인덕터(16)는 예를들어 10nH를 사용할 수 있으며, 라인인덕터(16)의 용량(P)은 도 6에 도시한 패턴의 길이(L)와 폭(W) 및 두께(T)에 따라 하기 수학기 1에 의해 산출된다. 라인인덕터(16)의 용량(P)은 굴곡되어 있는 구조에서도 그 굴곡된 총길이를 적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송수신단 각각의 입력 임피던스는 도 4와 같이 도시되고 각각의송수신 통과대역에서 입력 임피던스가 50Ω으로 정합 된다. 통과대역 하측의 입력임피던스는 50Ω보다 작고 통과대역 상측의 입력임피던스는 50Ω보다 크게된다. 이때 라인인덕터(16)는 송신단(10) 및 수신단(12)의 각각의 입력 임피던스는 도 5와 같이 우측방향으로 회전시켜 줌으로서 통과대역 하측의 입력임피던스를 크게 하여 송신단(10) 및 수신단(12)이 안테나단(14)에서 병렬 결합될 때 주파수 응답특성을 개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듀플렉서에서 송신단과 수신단에 병렬로 라인인덕터를 결합하여 송신주파수의 통과대역에 대한 수신단의 입력임피던스를 크게 하여 송수신 결합 시 주파수 응답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듀플렉서에서 송수신 결합 시 송신주파수대역에서 수신단의 입력임피던스를 크게 하여 송신 시 송신주파수대역에서 수신단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고, 육면체 내에 형성되어 있는 원통 홀수를 증가하지 않고 주파수 특성을 개선하므로 듀플렉서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듀플렉서의 주파수 격리회로에 있어서,
    송신대역 주파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송신필터와,
    수신대역의 주파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수신필터와,
    상기 송신필터와 상기 수신필터에 접속되어 있는 안테나단과,
    상기 듀플렉서의 후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끝단으로부터 직각으로 패턴이 가공되는 면이 형성되어 상기 송신필터와 상기 수신필터의 주파수 차폐역할을 하는 차폐판과,
    상기 안테나단에 연결되어 상기 차폐판의 판면에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인덕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의 주파수 격리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는 라인인덕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의 주파수 격리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인덕터는 송수신 결합 시 송신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수신단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상기 수신단의 입력 임피던스를 증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의 주파수 격리회로.
KR10-2000-0071157A 2000-11-28 2000-11-28 듀플렉서의 주파수 격리회로 KR100384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157A KR100384399B1 (ko) 2000-11-28 2000-11-28 듀플렉서의 주파수 격리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1157A KR100384399B1 (ko) 2000-11-28 2000-11-28 듀플렉서의 주파수 격리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518A KR20020041518A (ko) 2002-06-03
KR100384399B1 true KR100384399B1 (ko) 2003-05-22

Family

ID=19701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1157A KR100384399B1 (ko) 2000-11-28 2000-11-28 듀플렉서의 주파수 격리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43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041B1 (ko) * 2003-04-18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기판 접합을 이용하여 제조된 단일칩 듀플렉서 및 그 제조방법
JP4091043B2 (ja) 2004-12-22 2008-05-28 富士通メディアデバイス株式会社 分波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111A (ja) * 1992-06-18 1994-01-14 Mitsubishi Electric Corp 複合デュプレックスフィルタ
JPH0637510A (ja) * 1992-07-20 1994-02-10 Murata Mfg Co Ltd デュプレクサ
JPH07297605A (ja) * 1994-04-26 1995-11-10 Murata Mfg Co Ltd アンテナ共用器
US6066993A (en) * 1998-01-16 2000-05-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uplexer circuit apparatus provided with amplifier and impedance matching inductor
KR20000033584A (ko) * 1998-11-24 2000-06-15 이형도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111A (ja) * 1992-06-18 1994-01-14 Mitsubishi Electric Corp 複合デュプレックスフィルタ
JPH0637510A (ja) * 1992-07-20 1994-02-10 Murata Mfg Co Ltd デュプレクサ
JPH07297605A (ja) * 1994-04-26 1995-11-10 Murata Mfg Co Ltd アンテナ共用器
US6066993A (en) * 1998-01-16 2000-05-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uplexer circuit apparatus provided with amplifier and impedance matching inductor
KR20000033584A (ko) * 1998-11-24 2000-06-15 이형도 듀플렉서 유전체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518A (ko) 200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7065A (en) Filter having resonators coupled by a saw filter and a duplex filter formed therefrom
CN108028635B (zh) 频率可变lc滤波器、高频前端电路
JP5673818B2 (ja) 分波器
US20070296525A1 (en) Band-pass filter circuit
JPH02166802A (ja) 積分型移相回路網を具備するセラミックフィルタ及び該セラミックフィルタを使用するデェプレクス回路網及び無線機
US10439582B2 (en) Variable-frequency LC filter, high-frequency frontend modul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700629B1 (ko) 안테나 공용기
KR100384399B1 (ko) 듀플렉서의 주파수 격리회로
US6677836B2 (en) Dielectric filter device having conductive strip removed for improved filter characteristics
JP6677296B2 (ja) 弾性波フィルタ装置
KR100419237B1 (ko) 듀플렉서의 주파수 격리회로
EP0982792A3 (en) Antenna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20042091A (ko) 듀플렉서의 주파수 격리회로
KR100456004B1 (ko) 듀플렉서의 송신대역 통과필터
US20030197580A1 (en) Dielectric filter device
KR100431939B1 (ko) 일체형 이중밴드 듀플렉서
JP2000151213A (ja) デュプレックスフィルタ
KR100431938B1 (ko) 일체형 이중대역 듀플렉서
KR100504813B1 (ko) 듀얼모드 단말기의 프런트 엔드 송수신 장치
WO2001011711A1 (en) Dielectric filter with a transmission line
JP2576991Y2 (ja) アンテナ共用器
KR100388052B1 (ko) 일체형 이중대역 듀플렉서
KR100715379B1 (ko) 결합형 필터
KR20000049336A (ko) 마이크로스트립 유전체 듀플렉서
KR200390812Y1 (ko) 결합형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