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3488B1 -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3488B1
KR100383488B1 KR10-2000-0033558A KR20000033558A KR100383488B1 KR 100383488 B1 KR100383488 B1 KR 100383488B1 KR 20000033558 A KR20000033558 A KR 20000033558A KR 100383488 B1 KR100383488 B1 KR 100383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body
cover
contents
storag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3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13282A (ko
Inventor
조원기
Original Assignee
조아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아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아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33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3488B1/ko
Publication of KR20010113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3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4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16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내용물을 보관토록 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용기의 저면에 내용물의 사용설명서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실을 형성함으로써 용기를 별도의 종이포장상자에 포장하지 않고 공급 및 판매 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포장상자로 인한 쓰레기의 발생을 억제토록 함은 물론, 사용설명서를 잃어버리지 않고 내용물이 없어질 때 까지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내용물을 수납토록 하는 용기본체의 주입구를 뚜껑으로 개폐토록 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용기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사각형을 이루는 용기본체(10)의 저면에 외주연상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21)를 형성하여 그 내부에 사용설명서(30)가 수납되는 수납실(20)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21)의 각면에는 상호 동일하게 요입홈(22)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용기본체(10) 저면의 수납실(20)을 개폐토록 덮개(40)를 형성함과 동시에 덮개(40)의 플랜지(41) 내벽면에는 요입홈(22)과 억지끼움식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체결돌기(42)로 구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용기{Bottle}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용기의 저면에 내용물의 사용설명서를 직접 수납하여 용기를 별도의 종이포장상자로 포장하지 않고 공급토록 함으로써 매우 경제적이며, 포장상자로 인한 쓰레기의 발생도 억제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는 용기본체의 내부에 각종 내용물을 수납하여 장기간동안 보관토록 하는 보관수단으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기는 수납되는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서 유리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게 되며, 용기의 주입구를 별도의 뚜껑으로써 개폐토록 구성되어 있다.
예컨데 약병을 예로 든다면, 상기 용기에는 약의 제조처에서 해당되는 약을 담아 뚜껑으로 폐쇄하고, 이를 별도의 종이재질로 이루어지는 종이포장상자에 넣어 포장한 후, 각 약국이나 병원, 또는 이들로부터 소비자에게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약병을 담기 위한 종이포장상자는 용기의 포장 기능외에도 내용물의 투약에 따른 사용설명서를 수납하는 기능과 더불어 표면에는 광고내용을 인쇄하므로 광고의 기능도 가지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형태에 있어서는 약을 보관하는 용기를 별도의 종이포장상자에 넣어 포장하고, 이를 판매시에는 별도의 종이 또는 비닐지 등으로 이루어진 봉투에 담아서 판매하게 됨으로써 종이포장상자 등으로 인한 비용이 증가되어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고, 이 종이포장상자는 쓰레기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특히, 종래와 같이 사용설명서를 종이포장상자의 속에 넣어 공급하면 약 복용자가 최초에 사용설명서를 읽고는 대부분 종이포장상자와 함께 버리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흐른 다음에는 약의 효능 및 투약에 대한 설명을 잊게 되고, 결국 약의사용방법을 올바르게 지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 외에 건강식품용 용기나, 화장품용기 등에 있어서도 사용설명서를 같이 포장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종이상자를 사용해야 함은 물론이고, 그로 인한 문제점 역시 약병과 대동소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용기의 저면에 별도의 수납실을 형성하여 사용설명서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이포장상자 없이도 용기를 효과적으로 판매.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설명서를 버리지 않고 보관하도록 유도하여 내용물을 다 사용할 때까지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선된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용기는 뚜껑으로 개폐토록 구성하면서 저면에는 사용설명서를 접어서 보관토록 하는 별도의 수납실을 일체로 형성하고, 이 수납실을 별도의 덮개를 이용하여 덮어씌우는식으로 개폐토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설명서를 용기에 직접 수납한 상태에서 판매 및 공급토록 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종래에 비해 용기를 포장하는 종이포장상자가 필요치 않게 되어 경제적이며, 이로 인한 쓰레기도 줄일 수 있고, 사용설명서를 오래도록 보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용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도1의 저면분리사시도
도 3은 도2에서 결합상태의 일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저면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저면분리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용기 10:용기본체 11:주입구
12:뚜껑 20:수납실 21:연장부
22:요입홈 30:사용설명서 40:덮개
41:플랜지 42:체결돌기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용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의 도면중 부호 100은 용기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용기(100)는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되면서 전체적으로 사각형을 이루고 내용물을 수납토록 하는 용기본체(10)와, 이 용기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주입구(11)를 개폐토록 하는 뚜껑(1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10)의 저면에는 사용설명서(30)를 접어서 수납토록 하는 수납실(20)이 형성된다.
이 수납실(20)은 용기본체(10)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즉, 용기본체(10)의 저면에는 사방 벽면이 일정간격만큼 하향 연장되는 연장부(21)가 형성되고, 이 연장부(21)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의 공간이 수납실(20)을 제공하게 된다.
또 상기 연장부(21)의 외측면에는 한 쌍 이상의 요입홈(22)이 각각 형성된다.
이 요입홈(22)은 후술할 덮개가 체결되는 걸이로써 기능을 발휘하게 되며, 사방면의 각면상에 양측으로 한 쌍씩 동일하게 형성할 수도 있고, 중심부에 하나만을 형성할 수도 있고, 2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 도 있다.
더욱이 요입홈(22)은 원형의 오목한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할 것이나, 도 4에서와 같이 안쪽으로 관통하도록 천공할 수도 있고, 도 5에서와 같이 그 형태를 장공이나 사각형의 구멍 등으로 달리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수납실(20)은 하부로 개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며, 이 수납실(20)은 별도의 덮개(40)에 의해 덮어 씌우는식으로 개폐된다.
상기 덮개(40)는 역시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되고 외주연의 사방면에는 용기본체(10)의 저면부를 감싸 체결토록 하는 일정높이의 플랜지(41)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41)의 내측면에는 전술한 용기본체(10)의 요입홈(22)와 결합되는 체결돌기(42)가 형성된다.
즉, 체결돌기(42)는 내향으로 돌출되어 덮개(40)를 용기본체(10)에 체결할 시 용기본체(10) 저면의 연장부(21)에 형성된 요입홈(22)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 및 분리된다.
이때, 용기본체(10)와 덮개(40)는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되는 것임에 따라 재질이 갖는 특성으로 인하여 일정한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용기(100)는 통상에서와 같이 용기본체(10)내에 주입구(11)를 통해 내용물을 수납한 상태에서 뚜껑(12)을 밀폐하고, 저면에 형성되는 수납실(20)에는 내용물의 사용설명서(30)를 수납한 후, 판매 및 공급하게 된다.
상기 사용설명서(30)를 용기(100)에 수납할 경우에는 덮개(40)를 개방한 상태에서 사용설명서(30)를 수납실(20)내 수납될 수 있는 크기로 몇차례 접어서 수납한 후, 덮개(40)를 용기본체(10)의 저면에 감싸는식으로 체결한다.
덮개(40)를 체결하게 되면, 덮개(40)의 플랜지(41)에 형성된 체결돌기(42)는 용기본체(10) 저면의 연장부(21)에 형성된 요입홈(22)에 결합됨으로써 덮개(40)는 수납실(20)을 밀폐한채로 체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설명서(30)는 용기(100) 저면의 수납실(20)에 안전하게 수납되며,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용기(100) 그 자체에 사용설명서(30)를 수납한 상태에서 용기(100)을 그대로 판매할 수가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용기(100)를 종이포장상자에 수납하여 포장하지 않고, 판매할 수가 있음으로써 종이포장상자를 배제할 수가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한 용기를 약병으로 사용하여 약을 담았다면, 통상에서와 같이 뚜껑(12)을 개방하여 약을 꺼내 복약하게 되고, 약에 따른 설명서를 읽고자 할 경우에는 덮개(40)를 잡고 힘을 가하여 당기는 것만으로 수납실(20)을 쉽게 개방할 수가 있음으로써 사용설명서(30)를 간단히 인출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면의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도면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원형으로 형성되는 용기본체(10)에 적용토록 한 것이다.
즉, 원형의 용기본체(10) 저면에 외주연상으로 하향 연장되는 연장부(21)를 형성하여 그 내부에 수납실(20)을 갖추고, 연장부(21)상에는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요입공(22a)을 형성한다.
또, 상기 수납실(20)을 개폐하는 덮개(40)는 외주연의 플랜지(41)상에 상기 요입공(22a)과 대향되는 체결돌기(42)를 내향 돌출되게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의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용기본체, 원형용기본체 외에도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용기에 적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본체(10)에 형성되는 장홈(22b)과 덮개(40)에 천공되는 체결돌조(42a)를 어떤 방향으로 체결하더라도 결합이 가능토록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용기의 저면에 덮개에 의해 개폐되는 별도의 수납실을 형성하고, 이 수납실에 내용물에 따른 사용설명서를 수납토록 함으로써 별도의 종이포장상자가 필요치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기 그 자체를 종이포장상자 없이 직접 공급할 수가 있게 되므로 종이포장상자에 따른 비용이 배제되어 경제적인 효과를 가지게 된다.
특히 약병으로 사용하였을 경우, 의약분업화에 따라 약은 약국에서만 판매됨으로써 약병만을 판매 제공할 때, 상기 효과는 더욱 배가될 수 있는 것이며, 투약자는 사용설명서를 보관하는 장소가 특별히 마련되어 있으므로 필히 사용설명서를 버리지 않고 그대로 보관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수시로 사용설명서를 보면서 끝까지 정확한 투약방법을 지킬 수 있으며, 이는 환자의 치료효과를 향상시키는 좋은 결과를 가져 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타 건강식품용 용기라든지 화장품 용기, 음료 용기로 사용할 때도약병과 마찬가지로 사용설명서(또는 광고용지 등)를 분실하지 않고 계속보관 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내용물을 수납토록 하는 용기본체의 주입구를 뚜껑으로 개폐토록 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용기에 있어서,
    용기본체(10)의 저면에 외주연상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21)를 형성하여 그 내부에 사용설명서(30)가 수납되는 수납실(20)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21)의 각면에는 상호 동일하게 요입홈(22)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용기본체(10) 저면의 수납실(20)을 개폐토록 덮개(40)를 형성함과 동시에 덮개(40)의 플랜지(41) 내벽면에는 요입홈(22)과 억지끼움식으로 결합 및 분리되는 체결돌기(42)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0)와, 용기본체(10)의 저면에 덮개(40)로 개폐되는 수납실 (20)을 원형, 사각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삭제
  4. 삭제
KR10-2000-0033558A 2000-06-19 2000-06-19 용기 KR100383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558A KR100383488B1 (ko) 2000-06-19 2000-06-19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558A KR100383488B1 (ko) 2000-06-19 2000-06-19 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1896A Division KR20020065450A (ko) 2002-07-18 2002-07-18 약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3282A KR20010113282A (ko) 2001-12-28
KR100383488B1 true KR100383488B1 (ko) 2003-05-12

Family

ID=19672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3558A KR100383488B1 (ko) 2000-06-19 2000-06-19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34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408B1 (ko) * 2019-08-06 2020-02-04 (주)건축사사무소테크뱅크 전기, 통신, 소방 배관용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3282A (ko) 200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11697A1 (en) Container for packaging fluid or pasty products, particularly cosmetic products, medicinal products, and the like
JP2005529801A (ja) 保存画室を有する容器/ボトルのキャップ
KR101144439B1 (ko) 복수 개폐구조를 갖는 방수 방습 껌통
KR100383488B1 (ko) 용기
JP2554822Y2 (ja) 詰め替え容器
KR20150138156A (ko) 어린이-안전형 포장 및 압출가능 튜브의 조합체 및 그 이용 방법
RU2161949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продукта медико-санитарной помощи
RU2503598C2 (ru) Контейнер с шарнирной крышкой
KR101907358B1 (ko) 마스크 팩 포장 용기
BG63429B1 (bg) Контейнер за напитки или други течности със сгъваем накрайник
KR20020065450A (ko) 약병
JP2006256668A (ja) 化粧料・薬用クリーム容器
CN205738686U (zh) 一种集成式防潮组合药用容器及干燥容器
KR100351559B1 (ko) 용기
EP0329394A2 (en) Cap for bottles and the like
KR200493643Y1 (ko) 파우치 세트
KR200338755Y1 (ko) 화장품 용기
KR20020065449A (ko) 약병
KR100599766B1 (ko) 밀봉 포장 파우치용 일회용 캡
JP2001328685A (ja) 複合容器
KR200395420Y1 (ko) 즉석식품용 포장용기
JP2591275Y2 (ja) 2種剤混合容器
JPH0340730Y2 (ko)
KR200364912Y1 (ko) 작고 편리한 자일리톨 껌 케이스
KR200250999Y1 (ko) 전시 가능한 포장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