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2944B1 - 표면집진연마장치용 집진커버 - Google Patents

표면집진연마장치용 집진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2944B1
KR100382944B1 KR10-2000-0085378A KR20000085378A KR100382944B1 KR 100382944 B1 KR100382944 B1 KR 100382944B1 KR 20000085378 A KR20000085378 A KR 20000085378A KR 100382944 B1 KR100382944 B1 KR 100382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shing
cover
dust
spiral portion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5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6086A (ko
Inventor
박치성
Original Assignee
박치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치성 filed Critical 박치성
Priority to KR10-2000-0085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2944B1/ko
Publication of KR20020056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6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9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6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 B24B55/10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specially designed for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 B24B55/102Dust extraction equipment on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specially designed for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with rotat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별도의 흡입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연마면에 대한 연마날의 노출정도를 조정하는것에 의해 연마면에 대한 절삭깊이를 그때그때 미세조절되게하여 콘크리트 양생면의 거푸집 자국은 물론 기타 표면에 대한 각종 이물질 제거작업을 한결수월하게 수행함과 동시에 구성을 간단히하여 표면에 대한 연마작업효율을 높일수 있도록 한것으로, 핸드그라인더(5)의 헤드부(51)에 장착설치되어 연마되는 분진등을 모아 흡입수단으로 보내지도록하는 표면집진연마장치용 집진커버(A)에 있어서, 상면 중앙부에는 마운트(11)를 개방상태로 설치하고 그 일측에는 흡입수단과 연결된 연결관(61)의 일단이 끼워져 연결되는 중공의 손잡이(12)가 내부와 연통되게 부착설치되며, 둘레면에는 나선부(13)를 형성하되, 이 나선부(13)에는 다수의 걸이홈(14)을 요입형성하여서 되는 커버 본체(1)와, 링형태로 되어 상기 나선부(13)에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선부(23)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다수의 공기유입홈(22)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공기유입홈(22)사이의 저면에는 각각 비산방지구(21)를 설치하는 한편 그 둘레면 임의위치에는 선단이 상기 걸이홈(14)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스토퍼부재(3)를 설치한 커버링(2)으로 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연마장치용 집진커버이다.

Description

표면집진연마장치용 집진커버{cover for vacuum type surface grinding apparatus}
본발명은 표면집진연마장치용 집진커버에 관한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별도의 흡입장치와 연결된 상태에서 연마면에 대한 연마날의 노출정도를 조정하는것에 의해 연마면에 대한 절삭깊이를 그때그때 미세조절되게하여 콘크리트 양생면의 거푸집 자국은 물론 기타 표면에 대한 각종 이물질 제거작업을 한결수월하게 수행함과 동시에 구성을 간단히하여 표면에 대한 연마작업효율을 높일수 있도록 한것이
다.
일반적으로 각종 콘크리트 공사현장에서 거푸집제거후 콘크리트 표면에는 거푸집경계부에 거푸집자국이 일정부분 돌출형성되게되어 콘크리트표면과 단차를 이루고 있는 것인바, 이경우 상기 양생된 거푸집자국을 없애기위해 그라인더등의 표면연마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단차부를 연마하는것에 의해 양생완료된 콘크리트면을 균일한면으로 되도록 하고 있는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양생완료된 콘크리트 표면에 형성되는 거푸집자국을 연마하여 표면을 매끄럽게 하기위한 연마장치는, 별도의 집진수단과 연결되는 별도의 덮개를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그라인더의 헤드부에 씌워 장착설치한 상태에서 그라인더에 장착된 연마날이 회전하면서 돌출된 거푸집자국을 갈아내게되고 이렇게 연마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콘크리트분진등의 찌꺼기는 덮개외측으로 호스에 의해 연결설치되는 흡입장치에 의해 흡입되어져 별도로 모아 처리되도록 하여 그라인더외부로 비산되는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는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같이 거푸집자국을 연마하기 위해 사용되고있는 종래의 연마장치는 단순히 핸드그라인더 상면에 집진장치와 연결된 집진덮개를 불안정한 상태로씌운상태에서 사용되는것이므로, 거푸집자국에 대한 연마작업시 짚진덮개가 좌우로 요동되면서 소음을 발생시킬뿐만아니라, 연마과정에서 발생되는 콘크리트분진이나 찌꺼기등에 대한 흡입유도성능이 저하되어 연마된 콘크리트분진이나 찌꺼기들이 작업자측으로 비산되게 되는데 따른 작업자의 연마작업효율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연마장치는 단순히 연마날이 회전되면서 표면으로 부터 돌출된 거푸집자국등의 돌출부를 연마하고 있는것이므로 작업자가 필요에따라 연마날의 돌출정도를 전혀 조절할 수 없는상태에서 연마면의 연마정도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채 연마작업이 이루어질수밖에 없으므로, 연마되는 표면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연마되지않고 부분적으로 파형상으로 그 높낮이가 서로 다른 상태로 연마되게되어 보다 정밀한 연마면을 얻을수가 없게되는 문제가 있을뿐만아니라 그라인더 헤드부에 집진커버를 씌워서 되는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분진흡입을 위한 연결관과 손잡이부가 별도로 형성되는데따라 연마면이 단순벽면이나 천정면을 불문하고 작업자가 연마장치를 잡고서 연마작업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어 콘크리트 표면에 대한 효율적인 연마가 이루어질수 없게되는 문제가 있는것이었다.
그리고 상기한 종래의 연마장치는 연마날의 노출정도를 조정할 수 없도록 그라인더 헤드부에 항상 일정부분 노출된상태이므로 그 적용범위에 있어서도 단순히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조들이나 연마가능할뿐 보다 정밀하고 미세한 표면연마, 예를들면 페인트도장면 제거나 미장면의 도배지 제거와 같은 정밀을 요하는 정교한 연마작업은 불가능하게되므로 그 사용범위에 있어서 어쩔수없이 제약을 받게되어연마장치의 사용성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그라인더의 헤드부를 씌워 설치한상태에서 콘크리트표면에 돌출된 거푸집자국등의 돌출부를 연마처리하도록 한 종래의 표면집진연마장치용 집진커버가 지닌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핸드그라인더의 헤드부에 본체와, 이 본체외부에 커버링을 나사식으로 체결하여서 되는 집진커버를 견고하게 장착되도록하여, 연마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을 포함한 찌꺼기들이 본체에 의해 외부로 비산되지않고 흡입수단으로 흡입되도록함과 동시에 본체외주면에 나사결합된 커버링에 의해 연마날과 연마될 표면간의 거리를 미세조정토록함으로써 연마날에 의한 표면의 연마정도(깊이)조절이 가능하게되어 콘크리트표면의 거푸집자국제거작업등 일반적인 연마작업은 물론, 도장면이나 도배면등 표면에 대한 미세한 연마작업까지도 가능하게하여 그 사용성을 높일수 있도록한 표면집진연마장치용 집진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발명에 의한 집진커버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발명에 의한 집진커버의 장착상태사시도.
도 3은 본발명에 의한 집진커버의 장착상태요부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발명에 의한 집진커버에 있어 연마날과 연마표면간의 간격 조절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발명에 의한 집진커버의 단면도.
도 6은 본발명에 의한 집진커버의 스토퍼부재의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버본체 2 : 커버링 3 : 스토퍼부재 4 : 에어밸브
11 : 마운트 12 : 손잡이 13,23 : 나선부 14 : 걸이홈
21 : 비산방지구 22 : 공기유입홈 41 : 통공 42 : 스프링
43 : 개폐판 44 : 작동봉 45 : 덮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본발명의 표면집진연마장치용 집진커버(A)는, 핸드그라인더(5)의 헤드부(51)에 장착설치되어 연마되는 분진등을 모아 흡입수단으로 보내지도록하는 표면집진연마장치용 집진커버(A)에 있어서, 상면 중앙부에는 핸드그라인더(5)의 헤드부(51)가 장착되는 마운트(11)를 설치하고 그 일측에는 흡입수단과 연결된 연결관(61)의 일단이 끼워져 연결되는 중공의 손잡이(12)가 내부와 연통되게 부착설치되며, 둘레면에는 나선부(13)를 형성하되, 이 나선부(13)에는 다수의 걸이홈(14)을 요입형성하여서 되는 커버본체(1)와, 링형태로되어 상기 나선부(13)에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선부(23)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다수의 공기유입홈(22)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공기유입홈(22)사이의 저면에는 각각 비산방지구(21)를 설치하며, 그 둘레면 임의위치에는 선단이 상기 걸이홈(14)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스토퍼부재(3)를 설치한 커버링(2)으로 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발명의 표면집진연마장치용 집진커버(A)는, 본체(1) 상면 일측에, 그 내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통공(41)과, 이 통공(41)을 스프링(42)의 탄발력에 의해 개폐토록 승강봉(44) 하단에 부착되어 본체(1) 내측에 설치되는 개폐판(43)과, 상기 스프링(42)을 에워싸는 덮개(45)로 되는 에어밸브(4)를 설치하여서 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에 의한 집진커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발명에 의한 집진커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장착상태사시도이며, 도 3은 본발명에 의한 집진커버의 장착상태요부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발명에 의한 집진커버에 있어 연마날과 연마표면간의 간격 조절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발명에 의한 집진커버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발명에 의한 집진커버의 적용되는 스토퍼부재의 확대단면도로서, 그 구성은 크게 커버본체(1)와 커버링(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커버본체(1)는 하면이 개방된 얇은두께의 원형함체형으로 되는것으로, 그 둘레면에는 소정의 피치로 나선부(12)를 형성하고있으며, 이 나선부(12)에는 다수의 걸이홈(14)을 등간격으로 일정깊이 요입형성하고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걸이홈(14)은 커버링(2)에 대한 위치제어역할뿐만아니라, 커버본체(1) 내부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하는 공기유입통로로서의 역할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커버본체(1)의 상면 대략 중앙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상태로 마운트(11)를 설치하여 커버본체(1)가 핸드그라인더(5)의 헤드부(51)에 장착설치될수 있도록 하고있으며, 상기 커버본체(1) 상면의 마운트(11) 일측에는 커버본체(1) 내부와 연통되게 중공의 손잡이(12)를 부착설치하고 이 손잡이(12) 일측의 개방단에는 흡입수단(도시생략)과 연결되는 연결관(61)의 일단을 끼워설치함으로써, 연마장치작동시 커버본체(1) 내부에서 연마날(7)이 회전작동하면서 발생시키는 각종 연마찌꺼기등을 흡입수단으로 흡입하여 모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커버본체(1) 상면 일측에는, 선택적으로 에어밸브(4)를 설치하여 연마장치작동시 과도한 흡입력에 의해 커버본체(1)가 연마면에 밀착되는것을 막을수 있게할수도 있는것으로, 이와같은 에어밸브(4)는, 커버본체(1) 상면 임의위치에 그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복수의 통공(41)을 형성하고, 이 통공(41) 사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승강봉(44) 외면에 설치된 스프링(42)의 탄발력과 흡입수단의 흡입력에 의해 작동봉(44)하부의 개폐판(43)이 상기 통공(41)을 커버본체(1) 내부에서 개폐토록함과 동시에 상기 작동봉(44)과 스프링(42)의 외부에는 별도의 덮개(45)를 덮어 설치하고있다.
상기한 커버링(2)은, 대략 링형태로 되어 상기 커버본체(1) 외면에 끼워설치되는것으로, 그 내부면에는 상기 커버본체(1) 외면의 나선부(13)에 체결되는 나선부(23)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 하부에는 외부공기가 커버본체(1)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기위한 공기유입홈(22)을 다수 형성하되, 상기 커버링(2)의 공기유입홈(22)과 다른 공기유입홈(22)과의 사이의 저면에는 각각 직물재로 되는 비산방지구(21)를 부착설치하여 이 비산방지구(21)에 의해 연마된 분진등이 외부로 비산되는것을 막는 동시에 표면에 부드럽게 밀착된 상태에서 목적한 연마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커버링(2)의 둘레면 임의위치에는 커버링(2)에 대한 위치제어를 위해 상기 커버본체(1)의 걸이홈(14)에 그 선단이 선택적으로 끼워져걸리는 스토퍼부재(3)를 설치하고 있는것으로, 이 스토퍼부재(3)는 작동봉(31)의 도중에 형성된 임의 걸림홈(31a)(31b)에 스프링(32) 탄발력에 의해 멈춤볼(33)이 끼워 걸리도록 하는것에 의해 작동봉(31)선단이 커버본체(1)의 걸이홈(14)에 끼워져 걸리도록하여 커버링(2)이 커버본체(1)의 외면에 체결된상태에서 임의위치에서 그 체결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커버본체(1)내에 설치된 연마날(7) 저면으로부터 연마될 표면과 접촉되는 체결링(2)의 저면까지의 간격을 조절할수있게 하는것에 의해 연마될 표면의 조건에 따라 연마정도(깊이)를 간편히 조절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되는 본발명에 의한 표면집진연마장치용 집진커버(A)의 실시사용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발명의 집진커버(A)의 손잡이(12) 일단에 흡입수단과 연결된 연결관(61)을 연결한상태에서 양생완료된 콘크리트표면에 형성되는 거푸집자국등 연마될 표면이 정해지게되면, 본발명의 집진커버(A)를 이루는 커버링(2)에 설치된 스토퍼부재(3)의 작동봉(31)을 당겨 커버링(2)을 커버본체(1)에 대해 자유스럽게한 상태에서 커버링(2)을 회전시켜가며 풀거나 조이는것에 의해 커버링(2) 저면으로부터 연마날(7)의 연마부에 대한 노출정도를 결정한후 스토퍼부재(3)의 작동봉(31)을 당겨 커버링(2)을 커버본체(1)에 대해 자유스럽게 한상태에서 커버링(2)을 회전시켜가며 풀거나 조이는것에 의해 커버링(2) 저면으로부터 연마날(7)의 연마부에 대한 노출정도를 결정한후 스토퍼부재(3)의 작동봉(31)을 다시 밀어넣어 작동봉(31)의 선단이 커버본체(1) 외면에 등간격으로 다수형성된 임의 걸이홈(14)내에 끼워지도록하여 커버링(2)에 대한 위치가 결정, 유지되게함으로써 연마날(7)의 노출정도를 설정한다.
이후, 흡입장치를 작동시킨후 작업자는 손잡이(12)를 잡고 연마될 표면에 본발명에 의한 커버링(2) 저면의 비산방지구(21)를 밀착시킨상태에서 핸드그라인더(5)의 작동스위치를 ON시키게되면 연마될 표면에 밀착된 상태인 연마날(7)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표면에 대한 연마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연마날(7)에 의해 연마되는 연마면의 연마깊이는 커버링(2) 저면으로부터 연마날(7)의 연마부(저면)까지의 간격(거리)으로 정해지게되므로 작업자가 단순히 감(感)에 의존하지않고 보다 정밀한 표면연마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된다.
이와같이 연마날(7)의 회전에 의해 표면이 연마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이나 찌꺼기들은 커버본체(1)의 내부공간에서 연결관(61) 및 중공의 손잡이(12)에 의해 흡입장치로 신속하게 흡입이송되게되어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좋게 유지할 수 있게된다.
이때 상기 커버본체(1) 외면에 체결되어 연마되는 표면에 밀착되는 커버링(2)의 저면에는 비산방지구(21)가 설치되어 있음으로 인해 연마되는 분진이나 찌꺼기등은 상기 비산방지구(21)에 의해 집진커버(A) 외부로 비산되는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상기 커버본체(1) 내부공간에서 발생되는 분진등을 강하게 흡입하게됨에따라 본발명의 집진커버(A)가 그 흡입력에 의해 연마되는 표면으로 이동이 자유롭지 못하게 되는것을 막기위해, 커버본체(1)의 둘레면 여러곳에 걸이홈(14)을 각각 형성함과 동시에 커버링(2)의 저면 여러곳에도 역시 공기유입홈(22)을 형성하여 본발명의 집진커버(A) 내부로 원할한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있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공기의 유입을 더욱 좋게하기위해 상기 커버본체(1)의 상면 일측에 에어밸브(4)를 설치할수도 있는것으로, 상기 에어밸브(4)는 평상시에는 개폐판(43)과 연결된 승강봉(44) 외면에 설치되는 스프링(42)의 탄발력에 의해 개폐판(43)이 상승하여 통공(41)을 막도록 하고, 연마장치 작동시는 흡입력에 의해 개폐판(43)이 스프링(42)의 탄발력에 대항하여 하강하면서 통공(41)을 개방상태로 유지하도록 하여 보다 원할하게 외부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할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발명의 표면집진연마장치용 집진커버(A)는 현재 통상적으로 사용되고있는 모든 핸드그라인더(5)의 헤드부(51)에 간단히 탈,부착가능함과 동시에 설치한상태에서 손잡이(12)로 하여금 연마시 발생되는 분진등 찌꺼기의 흡입통로역할을 하게함으로써 그 구성을 단순화할수있을뿐만아니라 본체커버(1) 둘레면에 나사결합되는 커버링(2)을 조이거나 풀거나 하여 본체커버(1) 내부에 장착설치되는 연마날(7)에 대한 커버링(2) 저면부로부터의 노출정도를 조절하는것에 의해 연마날(7)에 의한 연마표면의 연마깊이를 미세하게 조절할수 있게되므로 연마될 표면에 따라 연마날(7)의 연마(절삭)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콘크리트 대패역할을 하게하여 일반 콘크리트 양생현장에서의 거푸집자국등 콘크리트면의 면정리는 물론이고 페인트등의 도장이나 그을음 또는 각종 이물질 혹은 도배지등이 도포되거나 부착된 표면에 대한 제거작업을 간편히 수행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것은 아니며 본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수있듯이, 본발명의 표면집진연마장치에 의하면, 중공의 손잡이가 상면에 설치된 본체의 둘레면에는 커버링을 나사결합한 상태에서 본체상면의 마운트에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핸드그라인더의 헤드부를 결합하는것에 의해 각종 콘크리트면에 대해 연마깊이 조절한 콘크리트대패로서의 표면연마를 수행할 수 있도록하여 모든 콘크리트표면에 대한 면갈이에 광범위하게 적용실시할 수 있게함으로써, 콘크리트표면에 대한 각종 면처리 작업을 간편히 수행할 수 있게되어 핸드그라인더를 이용한 각종 표면정리 작업공수(工手)를 줄여 공사비를 줄일수있을뿐만아니라 작업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이 집진커버 외부로 비산되는것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지킬수 있게되는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핸드그라인더(5)의 헤드부(51)에 장착설치되어 연마되는 분진등을 모아 흡입수단으로 보내지도록하는 표면집진연마장치용 집진커버(A)에 있어서,
    상면 중앙부에는 마운트(11)를 개방상태로 설치하고 그 일측에는 흡입수단과 연결된 연결관(61)의 일단이 끼워져 연결되는 중공의 손잡이(12)가 내부와 연통되게 부착설치되며, 둘레면에는 나선부(13)를 형성하되, 이 나선부(13)에는 다수의 걸이홈(14)을 요입형성하여서 되는 커버 본체(1)와,
    링형태로 되어 상기 나선부(13)에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선부(23)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다수의 공기유입홈(22)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공기유입홈(22)사이의 저면에는 각각 비산방지구(21)를 설치하는 한편 그 둘레면 임의위치에는 선단이 상기 걸이홈(14)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스토퍼부재(3)를 설치한 커버링(2)으로 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연마장치용 집진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1) 상면일측에, 그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복수의 통공(41)을 형성하고, 이 통공(41) 사이를 관통하여 노출된 외면에 스프링(42)이 설치된 승강봉(44)을 설치하고 이 승강봉(44) 하단에는 커버본체(1)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통공(41)을 개폐하는 개폐판(43)을 설치하여서되는 에어밸브(4)를 설치하여서 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집진연마장치용 집진커버.
KR10-2000-0085378A 2000-12-29 2000-12-29 표면집진연마장치용 집진커버 KR100382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378A KR100382944B1 (ko) 2000-12-29 2000-12-29 표면집진연마장치용 집진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5378A KR100382944B1 (ko) 2000-12-29 2000-12-29 표면집진연마장치용 집진커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512U Division KR200229922Y1 (ko) 2001-01-09 2001-01-09 표면집진연마장치용 집진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086A KR20020056086A (ko) 2002-07-10
KR100382944B1 true KR100382944B1 (ko) 2003-05-12

Family

ID=2768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5378A KR100382944B1 (ko) 2000-12-29 2000-12-29 표면집진연마장치용 집진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29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37165B2 (en) * 2008-01-15 2012-03-20 Dust Collection Products, Llc Dust shroud with adjustable mounting mechanism
US8133094B2 (en) 2008-01-21 2012-03-13 Dust Collection Products, Llc Dust shroud with access hatch retention mechanism
US8011398B2 (en) 2008-01-22 2011-09-06 Dustless Depot, Llc Dust shroud for gas powered circular saws
KR101103489B1 (ko) * 2009-07-27 2012-01-09 김도훈 그라인딩 작업 시 분진 흡입 장치
US9038275B2 (en) 2011-09-07 2015-05-26 Dustless Depot, Llc Reciprocating saw dust shroud
US10293421B2 (en) 2016-09-15 2019-05-21 Dustless Depot, Llc Circular saw dust collection shroud
USD816453S1 (en) 2016-09-15 2018-05-01 Dustless Depot, Llc Circular saw dust shroud
EP3300839A1 (de) * 2016-09-28 2018-04-04 Hilti Aktiengesellschaft Staubhaube für ein schleifgerät
USD908149S1 (en) 2018-10-23 2021-01-19 Dustless Depot Llc Angle grinder dust shroud with variable position slots for mounting brackets
US11123839B2 (en) 2018-10-23 2021-09-21 Dustless Depot Llc Grinder dust shroud with input shaft gasket and adjustable mounting mechanism
US11273505B2 (en) 2019-03-27 2022-03-15 Dustless Depot, Llc Circular saw dust collection shrou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6086A (ko) 200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2944B1 (ko) 표면집진연마장치용 집진커버
US4058936A (en) Vacuum sander
US4616449A (en) Suction housing for vacuum sanding devices
US5283988A (en) Manual vacuum sander
US6027399A (en) Clean grinding system
US5791979A (en) Grinding vacuum shroud
US5527207A (en) Dust collection shroud for hand held power tools
US4184291A (en) Vacuum hand sanding device
JPH0777707B2 (ja) 粉塵排出手段を備えたグラインダ
US11123839B2 (en) Grinder dust shroud with input shaft gasket and adjustable mounting mechanism
US7625264B1 (en) Pneumatic dry wall sander
DK146707B (da) Slibemaskine med motordrevet slibeskive med gennemgaaende sugeudsparinger
KR101994606B1 (ko) 유리판 연마장치
KR200229922Y1 (ko) 표면집진연마장치용 집진커버
US5503203A (en) Attachment for a portable router
KR101902340B1 (ko) 그라인더 휠 커버
US5549509A (en) Grinding apparatus with touch-top work surface
KR200263384Y1 (ko) 표면 집진연마장치용 연마날 경사조절식 집진커버
SE436254B (sv) Slipmaskin for dentalmodeller
KR200244175Y1 (ko) 콘크리트 바닥면 연마장치용 집진커버
AU570075B2 (en) Suction housing for vacuum sanding devices
KR102160632B1 (ko) 그라인더 청소기의 진공흡입 케이스
JPH0753933Y2 (ja) 工作機械の集塵装置
KR200327972Y1 (ko) 핸드그라인더에 장착되는 집진커버.
JPH08142044A (ja) 工具用集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