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2667B1 - 강제대류가열장치및그내에서의유리판의가열방법 - Google Patents

강제대류가열장치및그내에서의유리판의가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2667B1
KR100382667B1 KR10-1998-0705534A KR19980705534A KR100382667B1 KR 100382667 B1 KR100382667 B1 KR 100382667B1 KR 19980705534 A KR19980705534 A KR 19980705534A KR 100382667 B1 KR100382667 B1 KR 100382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working fluid
gas
housing
the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1832A (ko
Inventor
케너드 알. 코매니오스
Original Assignee
글래스텍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래스텍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글래스텍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US1996/000766 external-priority patent/WO1997026496A1/en
Publication of KR19990081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1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6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28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for treating continuous lengths of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강제 대류 가열장치 및 그 내에서의 유리판의 가열방법으로서 실내 영역을 가진 하우징(200), 하우징(200)의 실내 영역을 통해 유리판을 운반하는 콘베이어, 열 연소가스를 산출하고 그에 의해 장치에 열 입력을 제공하는 하우징(200)과 사용가능하게 연합된 가스버너(204)를 포함한다. 조정기(210)가 가스버너(204)에 사용가능하게 접속되고, 또 입력흐름을 제어하여 열 입력에 변화를 주게게 되며, 그에 의해, 작동유체의 온도를 미리선정한 설정점에 유지하게 된다. 유리판들의 상측 및/또는 저측의 표면들에 대한 작동유체의 부딪침 속도를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속도 제어장치가 또한 마련돼 있다. 부딪침 속도와, 그에 의한 작동유체와 유리판 간의 대류 열 교환의 속도는 장치에 대한 열 입력과 무관하게 제어된다.

Description

강제 대류 가열장치 및 그 내에서의 유리판의 가열방법{FORCED CONVECTION HEATING APPARATUS AND PROCESS FOR HEATING GLASS SHEETS THEREWITHIN}
가스연소의 강제 대류로(forced convection furnace) 내에서의 유리판의 가열은 수년 동안 기술분야에 알려져 왔다. 실로, 하나의 그러한 형식의 선행기술의 가스 연소로는 유리의 판을 노를 통해 공기의 층 상에 운반한다. 유리가 노를 통해 "부상" 때문에, 가열 공기는 유리판의 상측과 저측 표면들에 향해 접촉 상태로 분배된다. 그러나, "플로팅(floating)"장치의 복잡성으로 인해, 이 형식의 선행기술의 장치는 유리판의 저측 표면에 대한 대류 열 흐름과, 유리판의 상측 표면에 대한 복사 열 흐름을 전형적으로 이용한다.
가열의 작동유체가 유리판의 저측 표면을 부딪친 후, 그 "사용후" 작동유체의 일부는 가까이 배치된 가스버너 쪽으로 닥치는 대로 되돌려져서 사용후 작동유체와 새로 발생된 연소의 산출물이 혼합된 다음, 유리판에 기판에 충돌하기 위해 재순환 된다.
더구나, 선행기술의 가스연소의 가열장치들은, 그 장치를 통과하는 때, 유리판 위로 배치된 하나이상의 버너로 분배되는 유리판의 상측 표면에 충돌되는 대류의 열, 및, 유리판의 아래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가스버너에 의해 분배되는 유리판의 저측 표면에 충돌되는 대류의 열에도 또한 사용돼 왔다.
그러나, 실재하는 가스연소의 대류 가열장치들은 가열할 유리판의 표면과의 작동유체의 충돌 속력을, 강제 대류 가열 장치에 대한 열입력의 제어와 무관하게 따로따로 제어하는 능력을 제공할 수가 없다.
게다가, 그러한 선행기술의 장치들은 어느 것도, (1) 유리판의 위와 아래의 작동유체에 대한 열 입력과, 따라서 작동유체의 온도가 독립하여 제어되고 있으며; (2) 유리판의 상측과 저측 표면들에 분배되는 열 작동유체의 충돌 속력을, 유리판의 상측과 저측 표면들에 대한 대류 열 이전의 균일한 제어를 위해-- 독립하여 제어할 수 있어, 차례로, 유리두께, 코팅 및 색을, 타 변수들 중에서도 특히 보상하게 되는, 유리판의 상측과 저측 표면들의 상응하는 것들에 열 작동유체의 강제 대류 흐름을 발생한 다음, 분배하기 위해 유리판의 위와 아래에 사용가능하게 배치된 가스연소 버너들의 사용에 대해, 더구나 시사하지도 않는다.
또, 비록 그러한 선행기술의 장치들이 과연, 사용후 작동 유체의 재순환과 가스연소의 버너들의 이용을 기재하고 있을 지라도, 그러한 선행기술의 장치들은 어느 것도, 사용후 작동유체를 가스 버너의 실질적인 부분주위에서 근접하게 위치한 혼합실로 유도되는 것에 관해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이 가스버너는 열 연소가스를 가열되고 잇는 유리판의 상측 표면과 저측 표면에 분배하기위해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들은 본 명세서, 특허청구의 범위 및 도면으로 분명해지게 된다.
본 발명은 가스연소의 강제 대류 가열장치 및 그 내에서의 유리판의 가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부분 단면과 부분 파단의 강제 대류 가열장치.
도 2는 강제 대류 가열장치의 측면 절단도.
도 3은 도 2의 3-3 선을 따라 일반적으로 그린 강제 대류 가열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4-4 선을 따라 일반적으로 그린 강제 대류 가열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노즐외부로부터 작동유체가 분배되어 강제 대류 장치의 하우징의 내실 영역내의 유리판의 상측 표면과 저측 표면과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 제 1 및 제 2의 분배 수단의 배열의 단면도.
도 6은 노즐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장치의 개략도.
본 발명은 유판들을 가열하는 가스연소 강제 대류 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유리판들을 각각 상측 표면과 저측 표면을 가진다. 그 장치는 실내 영역을 가진 하우징과, 하우징의 실내 영역을 통해 유리판을 운반하는 컨베이어로 이루어져 있다. 하나이상의 가스버너가, 열 연소가스를 발생하고 그에 의에 장치에 열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하우징과 연결되어 있다. 조정기가 가스 버너에 대한 입력에 연결되어 이를 제어하여 열 입력을 변화시켜서, 작동유체의 온도를 미리 선정한 설정점에 유지하게 된다.
강제 대류 가열장치는 가스버너 수단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배치된 혼합실을 더 함유한다. 그 혼합실은 제 1 및 제 2의 분배 수단과 사용가능하게 연합된 기부 단 및, 기부 단으로부터 말단으로 떨어져 있는 제 2의 개방 단을 포함하고 있다.
강제대류 장치는, 유리판의 상측과 저측의 표면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충돌된 사용후 열 작동유체를, 적어도 일부의 사용후 작동유체와 가스 버너로부터의 새로게 발생된 열 가스 산출물과 혼합하는 혼합실로 안내되어 이를 하나이상의 제 1분배기와 제 2의 분배기로로 이송한 다음 하우징의 실내 영역의 상측 표면과 저측 표면로 접촉할수 있게 유도하는 지도자(指導子: director)를 더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 강제 대류 장치는 가스버너에 대한 조정기의 작용과 독립하여 유리판의 표면들에 향해 이들 표면과 접촉상태에서의 열 작동유체의 충돌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유리판 표면에서의 대류의 열교환의 속도가 작용유체의 충돌 속력의 기능이기 때문에, 속도 제어장치가 (조정기를 경유한) 강제 대류 장치 내로의 열 입력의 제어장치와 무관한, 유리판에 대한 대류 열 전도의 속도의 제어를 제공한다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강제 대류 장치는 또한 가스버너로부터의 열 연소가스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작동 유체를 유리판의 표면에 분배하여 충돌시키는 분배기를 포함하고 있다.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그 분배기는 하우징의 실내 영역내의 유리판의 저측 표면에 분배하는 제 1의 분배기는 물론, 가스버너 수단으로부터의 열 연소가스의 적어도 일부를 하우징의 실내 영역 내의 유리판의 상측 표면에 분배하여 충돌시키는 제 2의 분배기를 포함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유리판의 저측 표면에 작동유체를 충돌하기에 앞서 그의 온도를 조정하는 제 1의 온도 조정기가 구비되어 있으며, 또, 유리판의 상측 표면에 작동유체를 충돌하기에 앞서 그의 온도를 조정하는 다른 제 2의 온도 조정기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 제 1과 제 2의 조정기들은 상호 독립하여 사용가능하고, 또, 조정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속도 제어장치는 또한, 하우징의 실내 영역 내의 유리판의 저측 표면으로 향해 접촉상태에서의 열 작동유체의 충돌 속도를 제어하는 제 1의 속도 제어장치와, 그리고, 유리판의 상측 표면에 향한 접촉상태에의 작동유체의 충돌 속도을 제어하는 제 2의 속도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제 1과 제 2의 속도 제어장치는 상호 독립하여 사용가능하고, 또, 제어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강제 대류 가열장치는 또한, 사용후 열 작동유체와 새로 발생된 열 연소가스의 혼합실 내의 혼합을 일으키는 혼합기를 포함하고 있다. 그 혼합기는, 가스버너 수단의 종축선에 사실상 직각의 방향에 열 연소가스의 방출을 위해 가스버너 수단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구멍들을 함유하고 있다. 사용후 열 작동유체는 그리하여, 열 연소가스가 가스버너 수단으로부터 사용가능하게 방출되기 때문에, 그에 사실상 직각의 방향의 혼합실 내로 사용가능하게 유도되어, 사용후 작동 유체와 새로 발생된 연소의 열 가스 산출물의 혼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작동유체 지도자는, 하우징의 실내 영역 내의 유리판의 상측과 저측 표면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충돌된 사용후 열 작동 유체의 적어도 일부를 혼합실에 향해 안으로 유도하기 위해 혼합실과 사용가능하게 연합된 적어도 하나의 팬(fan)을 포함하고 있다. 제 1과 제 2의 분배기들은 각각, 적어도 하나이상의 팬과 하나이상의 팬의 상응하는 것과 사용가능하게 연결된 하이상의 작동유체 도관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각각의 작동 유체 도관 부재는, 열 연소가스의 적어도 일부를 유리판의 상측 및 저측 표면에 향해 인접에 사용가능하게 분배하여 충돌시키기 위해, 하우징의 실내 영역 내의 유리판의 상측과 저측 표편들 중의 상응하는 것에 인접하여 사용가능하게 배치된, 하나이상의 노즐 부재를 가지고 있다.
제 1 및 제 2의 작동유체 분배기들은 각각, 팬과 열 작동유체 도관 부재의 상응하는 것들 사이에 사용가능하게 배치된 충만공간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우선의 실시양태는 또한, 장치가 내부 영역을 가진 하우징을 포함하고 유리판이 상측 및 저측 표면을 가지고 있는, 가스연소의 강제 대류 가열장치안에서 유리의 판을 가열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강제 대류 가열 장치는 장치로부터의 작동유체의 배기의 속도의 제어를 고려할 조정가능 제동기(damper)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굴뚝을 포함하고 있어 컨베이어 롤러 시트, 유리판의 노의 출입시에 균형의 압력을 제공하며, 따라서, 공장 환경으로부터 노 내로의 차거운 주변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그 방법은, (a) 하우징의 실내 영역 내로의 유리판의 삽입하는 단계와;(b) 하나이상의 가스버너로부터 연소의 열 가스산물을 산출함에 의한, 장치에 대한 열 입력하는 단계와;(c) 연소의 열 가스산물의 작동유체와의 혼합하는 단계와;(d) 하우징의 실내 영역 내의 유리판의 표면들의 적어도 일부에 사용가능하게 접촉되게 작동유체을 분배하는 단계와;(e) 작동유체 온도의 감시단계와;(f) 작동유체의 온도를 미리 선정한 설정점에 유지하게, 장치에 대한 열 입력을 조정하는 단계와; 및 (g) 유리판 표면에서의 대류 열교환의 속도를 조정하도록, 작동유체의 충돌 속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작동유체의 충돌 속도의 조정은, 작동유체의 온도의 조정과는 무관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그 방법은, (a) 유리판의 저측 표면에 분배되어 접촉하게되는 작동유체의 온도를 조정하는 단계와; 및 (b) 유리판의 상측 표면에 분배되어 접촉하게되는 작동유체의 온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유리판의, 상측과 저측 표면들에 향해 각각, 분배되고 있는 열 작동유체의 온도의 조정은 상호 독립하여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강제 대류 가열장치 내에서의 유리판의 가열방법은, (a) 유리판의 상측과 저측 표면들 중의 적어도 하나에 접촉된, 사용후 열 작동유체의 적어도 일부를 적어도 하나의 가스버너의 대응하는 것과 사용가능하게 연결된 혼합성에 유도하는 단계와, 이 혼합실은 하나이상의 가스버너의 대응하는 것의 적어도 일부의 주위에 사용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b) 혼합실 내의 사용후 열 작동유체의, 하나이상의 가스버너의 상응하는 것으로부터 발생되는 열 연소가스와의 혼합하는 단계와; (c) 혼합된 사용후 열 작동유체와 새로 발생된 열 연소가스를 하우징의 실내의 유리판의 상측과 저측 표면들 중의 적어도 하나와 사용할수 있게 접촉하도록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우선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강제 대류 가열장치 내에서 유리의 판을 가열하는 방법은, (a) 유리판의 저측 표면과의 접촉상태의, 혼합된 사용후 열 작동유체와 새로 발생된 열 연소가스의 충돌속도를 제어하는 단계와; (b) 유리판의 상측 표면과의 접촉상태의 혼합의 사용후 열 작동 유체와 새로 발생된 열 연소가스의 충돌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있다. 유리판의 상측 및 저측 표면들의 접촉상태의 혼합 유체들의 충돌 속도의 제어는 서로 무관하게 제어가능한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양태
본 발명의 가스연소의 강제 대류 가열장치 (10)은 도 7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 장치는 하우징 (200), 컨베이어 (202), 장치에 열 입력을 제공하는 연소의 열 가스성 산출물을 발생하기 위한 하나이상의 가스버너 (204), 연소의 가스산화물을 작동유체와 혼합하는 혼합실 (206), 연소의 열 산물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가열 작동유체를 하우징 (200)의 실내 구역의 유리판 (100)의 표면에 분배하는 분배기 (208), 가스버너 (204)로부터의 열 입력의 수준을 미리 설정한 설정점으로 작동유체의 온도를 유지하게 조정하는 조정기 (210), 및 작동 유체의 속도를 유리판 (100)의 표면에 충돌하기에 앞서 조정하고 그에 의해 작동유체와 유리판 간의 대류의 열교한 속도를 장치 (10)에 대한 열 입력 제어장치와 사실상 독립하여 제어하는 제어장치 (212)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이 많은 타형태의 민감한 실시양태에 적용될지라도, 본 개시가 발명의 원리로서 고려되며 설명한 실시양태에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라는 조건으로 하나의 특정한 실시양태를 도면에 나타내 있으며 여기에 상세히 설명하게 된다.
당초에, 가스연소의 강제 대류 가열장치 (10)가 분배 및 순환 어셈블리 및 유닛에 관련된, 다수의 버너들로 구성되는 것이 고려되었지만, 어떤 추가의 유닛도 사실상 같은 구성요소들 및 그와의 상호협력으로 이루질 것이기 때문에, 상기 어셈블리 및 유닛 중의 둘만을 상세히 설명하게 된다.
강제 대류 가열장치 (10)의 일 실시양태는, 하우징 (12), 컨베이어 (14), 제 1의 가스버너 (16), 제 2의 가스버너 (18), 제 1의 분배기 920), 제 2의 분배기 (22), 제 1의 혼합실 (26), 제 2의 혼합실 (28), 제 1의 안내자 (30), 제 2의 안내자 (32) (도 3), 제 1의 온도 조정기 (83) (도 3), 제 2의 온도 조정기 (84) (도 3), 혼합기 (36) (도 3), 그리고 제 1과 제 2의 충돌 제어장치 (85와 86)를 각각 포함하는 것으로, 도 1과 도 3에 나타내 있다.
하우징 (12)는, 도 1-3에 보인 바와 같이, 상 구간 (40), 하 구간 (41), 및 실내 영역 (42)를 포함하고 있다. 복수의 세라믹 롤러를 포함하여도 좋은, 컨베어 (14)는 하우징 (12)의 상부 구간(40)과 하부 구간(42)의 사이에 사용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유리판 (100) (도 2 및 도 3)과 같은 유리판을 하우징 (12)의 실내 영역 (42)을 통해 운반하는데 이용된다. 유리판 (100)은 상측 표면 (101)과 저측 표면 (102)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리판 (100)이하우징 (12)의 실내 영역 (42) 내에 시용가능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측 표면 (101)은 하우징의 상 구간 (40)에 노출되게 되며 또 저측 표면 (102)은 하우징 (12)의 하 구간 (41)에 노출되게 된다.
제 1의 분배기 (20)은 팬 (45), 작동유체 도관 (46), 및 충만공간 부재 (47)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 3에 나타내 있다. 작동유체 도관 (46)은 상응하는 충만공간 부재 (47) (도 4)의 용기들 (80, 80')와 같은, 상응하는 용기들 내에 위치한 수(male) 삽입부재 (48, 48') 따위의 복수의 수 삽입부재와, 복수의 제트로서의 노즐 (50)(도 5)을 포함하고 있다. 더 상세히 설명되게 되는 바와 같이, 노즐(50)은 열작동유체을 유리판(100)의 저측 표면 (102)으로 방출시켜 이 저축 표면과 접촉하게 하는 통로(70)(도 6)을 포함하고 있다. 노즐 (50)은, 분리장치(71)에 의해 떨어져 일정하게 공간을 두고 패스너 (72)에 의하여 함께 유지된, 두개의 평행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조의 상이한 다른 형식의 실시양태들은, 열 연소가스를 반경방향 아크로 분배하는 노즐과, 노즐을 형성하는 한 세트의 흐름 통로들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조립된 압형의, 하프 노즐(half nozzle)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함을 생각할 수 있다.
제 2의 분배기 (22)는 팬 (52), 작동유체 도관 (53), 및 충만공간 부재 (54)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 3에 또한 나타내 있다. 제 2의 분배수단의 작동유체 도관 (53)은 충만공간 부재 (54)의 상응하는 용기들(도시하지 않음) 내로 삽입하는 복수의 수 삽입부재(male insert member)(49, 49')(도 3), 및 노즐들(도 5)을 또한 포함하고 있다. 이들 노즐은, 제 1의 분배수단 (20)의 노즐 (50) 처럼, 상응하는 가스버너 수단 (18)(도 3)로로부터 발생된 열 연소가스를 유리판 (100)의 표면 (101)에 향하게 하여 이 표면과 접촉하게 한다.
제 1의 혼합실 (26)과 제 2의 혼합실 (28)이 도 3과 도 4에 나타내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의 혼합실 (26)은 제 1의 가스버너 수단 (16)의 부분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 2의 혼합실 (28)은 제 2의 가스버너 수단 (18)의 부분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 1과 제 2의 양 혼합실 (26 및 28)은 각각, 기부 단 (65 및 67)을 각각, 그리고 개방 단 (68 및 69)를 각각, 포함하고 있는 바, 그 기부 단들은 팬들 (45 및 52)(도 3)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팬들 (45 및 52)은, 각각의 가스버너 수단으로부터 열 연소가스를 유리판에 향해 궁극적으로 접촉 상태하게 분배하는 역할을 하며, 유리판 (100)의 상측과 저측 표면들 (101과 102)에 각각 충돌한, 사용후 작동 유체를 (도 3에 화살표의 방향으로 보인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의 혼합실 (26 및 28)의 상응하는 혼합성에 유도하는 유도수단이 부분으로서 역할을 한다. 제 1과 제 2의 지도자 (30과 32)는 각기, 사용후 열 작동유체를 상응하는 혼합실로 유도하는 팬 (45와 52)를 각각 사용한다.
사용후 열 작동유체가 각기의 혼합실에 유도될 때, 사용후 작동유체와 새로 발생한 열 연소가스는 혼합기 (36)에 의해 혼합된다(도 3).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혼합기는 가스버너 (16과 18)를 통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사용후 작동유체와 결합되는 복수의 구멍 (90-95)을 포함한다. 따라서, 새로 발생된 연소의 열 산출물은, 구멍 (90-95)을 통해 가스버너의 종축선에 사실상 직각의 방향에 방출되기 때문에, 혼합실 내로 유도된 사용후 열 작동유체는, 유효하게, 새로 방출되는 열 연소가스와 충돌한 다음, 사용후 열 작동유체와 새로 발생된 열 연소가스가 혼합되게 된다.
제 1 및 제 2의 온도 조정기 (83 및 84)는, 비록, 가스버너 수단으로부터 발생될, 또는 발생된 후의 열 연소가스의 온도를 변경하기 위해 어떤 다른 형식의 종래의 기구가 사용에 또한 고려될지라도, 각기, 열전쌍 (33 및 34)에 접속된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 1에 나타내 있다. 설명하게 있듯이, 온도 조정기들의 각각은, 가스버너들 중의 하나에 대한 공기와 가스 입력을 바람직하게 제어함에 의하여, 열 입력을 독립하여 제어한다.
제 1 및 제 2의 충돌 속도 제어장치를 도 3에 보이고 있는데, 유리판의 상측과 저측 표면에 향해 분배되고 있는 열 작동유체의 충돌 속도는, 팬 (45 및 52)의 샤프트의 속도를 조정함에 의하여, 독립하여 제어된다. 상기 충돌 속도 제어장치에 의해, 유리판의 상측 표면에 향해 접촉하는 열 연소가스의 충돌속도를, 독립하여, 그리고, 차례로, 만약 그와 같이 요구된다면--유리판의 저측 표면에 향해 보내지고 있는 열 작동유체와 다른 속도로, 조정되게 된다.
운전 중, 유리판 삽입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하우징 (12)의 실내 영역 내에 유리판 (100)을 삽입하며, 하우징의 실내 영역을 통한 유리판의 이전을 컨베이어 수단 (14)에 의해 달성한다. 비록 컨베이어 수단이 세라믹 롤러을 포함하여도 좋지만, 다른 형식의 롤러이나 다른 종래의 컨베이어 장치이 사용을 위해 또한 고려되어도 좋다.
유리판 (100)이 하우징 (12)을 통해 운반될 때, 상측 표면 (101)은 제 2의 분배기 (22)의 일부의 인접에, 특히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작동유체 도관의 노즐들의 배열 인접에,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유리판 (100)의 저측 표면 (102)는 제 1의 분배기 (20)의 일부의 인접에, 특히 작동유체 도관 (46)의 노즐들 (50)의 배열 인접에, 배치되게 된다. 도 2와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의 분배기 (20)의, 작동유체 도관 (46)의 노즐 (50)의 각각은, 운반수단 (14)의 개별 롤러들 사이에 사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러한 배치로 인해, 유리판 (100)의 저측 표면 (102)에 대한 열 작용 유체의 충돌이 방해 받지 않게 된다.
게다가, 유리판 (100)이 하우징 (12)를 통해 운반되고 있는 때에, 각 혼합실 (26과 28)과 각기 연결된 가스버너 수단 (16과 18) 각각은 바람직한 온도의 열 작동유체를 발생하게 된다. 가열될 유리의 판이, 장치 (10)에서 앞서 가열된 유리의 판과는 다른 형식(예를 들어, 많은 변수들 중 특히, 상이한 유리색, 표면온도 및 두께)일 수도 있기 때문에, 혼합실과 연결된 각기의 가스버너의 각각으로부터 산출되고 있는 열 작동유체의 온도와 그의 충돌 속도가, (상응하는 온도 조정기들과 충돌 속력 제어장치들에 의해) 상호 독립하여 제어될 수 있음을 유념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우기, 이 실시양태의 장치는 가열되고 있는 특정한 유리판 (100)의, 상측과 저측 표면들 (101과 102)에 대한 대류 열 전도의 그러한 독립적 제어는 물론, 유리판의 상측과 저측에 관한 이들 변수의 각각의 독립적 제어는, 유리판 가열 과정의 더 정확한 제어를 제공하여 상이한 형식의 유리판들을 장치 (10) 내에서 사실상 일정한 속도로, 장치를 통해 운반되는 유리판의 속도를 변화시킬 필요 없이 처리되게 할 수 있다.
열 연소가스가 가스버너 수단(16, 18)으로부터 발생될 때에, 열연소가스가 그의 구멍으로부터 방출되게 되며, 그 다음은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화살표의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그 열 연소가스는 개방단 (68 및 69)을 통해 복귀하는 사용후 열 작동유체와 혼합되게 되어 새로운 열 작동유체를 발생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러한 흐름 패턴은 상응하는 팬 (45 및 52)으로 인해 발생하게 된다. 새로운 열 작동유체는 팬 (45 및 52)의 작용에 의해 각각 제 1 및 제 2의 분배기 (20 및 22)로 들어간다. 그 열 작동유체는 다음 각기의 작동유체 도관을 통해 계속 흘러서 노즐 (50 및 56)을 통해 방출되며. 다음 열 연소가스는 인접하여 배치된 유리판 (100)의 상측 및 저측 표면상에 충돌하여 이 표면들을 가열한다.
새로 발생된 열 작동유체가 유리판에 충돌한 다음, 유리판 (100)의 상측 표면 (101)에 충돌한 유체는, 사실상, 그 표면으로부터 물러나게 되며, 이 사용후 열 작동유체는 다음 제 2의 혼합실 (28) 안으로 흘러 들어간다. 마찬가지로, 유리판 (100)의 저측 표면 (102)에 충돌 작동유체 가스는 그 표면으로부터 또한 이동한 다음, 제 1의 혼합실 (26)로 흘러들어가게 된다(도 3 및 도 5에 화살표의 방향).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스버너 (16) 따위의, 연합 가스버너로부터의 새로 발생된 연소의 열산출물의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가스는 물론, 사용후 작용 유체는, 팬 (45)과 같은 상응하는 팬에 의해 야기되는 흡입으로 인해 각기의 혼합실로 유도 된다. 역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써버린 열 작동유체와 새로 산출된 열 연소가스는 각기의 혼합실에서 혼합되어 유체의 사실상 균일 혼합물 나아가 재순환,유리판의 각기의 상측 및 저측 표면에 대한 가열의 작동유체의 분배에 귀착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본발명의 장치 (10)은 체임버 (42)에 접속된 하나의 상의 배기 굴뚝 (110)을 바람직하게 포함하고 있다. 배기 굴뚝 (110)은 장치로부터의 연소산물의 배기의 속도를 제어하는 조정가능의 제동기를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배기 굴뚝 상의 제동기 (112)를, 미리선정 된 위치에 조정하여, 굴뚝을 통한 배기의 흐름속도를 제어할 수 있어, 균형잡힌, 또는, 바람직하게 약간 정의(positive) 압력을 장치에 제공하게 된다. 이 균형잡힌 또는 약간 정의 압력은, 드러가고 나감에 있어, 또는 컨베이어 롤 실(seal)들에서 따위의 노의 구멍들을 통한 주변 공기의 유입으로 달리 초래하는 통풍을 감소시킨다. 이 바람직하지 않은 찬 공기의 유입의 감소 또는 배제는 가열환경의 전체에 걸쳐, 양호하며 보다 효과적인 온도의 제어를 제공한다.
명세서와 도면은 본 발명을 단지 설명, 도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은, 첨부의 청구의 범위가 이 개시를 가지는 기술분야의 숙련한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그에 변경 및 변형을 할 수 있는 정도로 한정돼 있는 예외가 있을 뿐,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가스연소의 대류 가열장치는 가열할 유리판의 표면과의 작동유체의 충돌속도를, 장치에 대한 열 입력의 제어와 무관하게 따로따로 제어하는 능력을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가스연소의 대류 가열장치는, 유리판의 저측 표면에 작동유체를충돌하기에 앞서 그의 온도를 조정하는 제 1의 온도 조정기가 구비되어 있으며, 또, 유리판의 상측 표면에 작동유체를 충돌에 앞서 그의 온도를 조정하는 따로의 제 2의 온도 조정기가 구비되어 있어, 이들 제 1과 제 2의 조정기들을 상호 독립하여 사용가능하고, 또, 조정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가스연소의 대류 가열장치는, 속도 제어장치가 또한, 하우징의 실내 영역 내의 유리판의 저측 표면에 향한 접촉상태에의 열 작동유체의 충돌 속도를 제어하는 제 1의 속도 제어장치와, 그리고, 유리판의 상측 표면에 향한 접촉상태에의 작동유체의 부딪침 속도을 제어하는 제 2의 속도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있어, 제 1과 제 2의 속도 제어장치를 상호 독립하여 사용가능하고, 또, 제어가능하다.

Claims (21)

  1. 상측 표면과 저측 표면을 가지고 있는 유리판을 가열하는 가스 연소의 강제 대류 가열장치에 있어서,
    실내 영역을 가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실내 영역을 통해 유리판을 운반하는 컨베이어와;
    상기 하우징과 작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으며,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혼합실을 통해 일체로된 강제 대류 가열 장치에 열 입력을 제공하는 연소의 열 산출물을 발생하는 하나이상의 가스버너와;
    상기 가스버너와 작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상기 가스버너로부터 상기 강제 대류 가열장치에 제공된 열의 수준을 조정기와, 상기 조정기는, 유리판의 저측 표면에 작동유체가 충돌하기 전에 상기 작동유체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설정점에 유지시키는 제 1의 온도 제어 장치와, 유리판의 상측 표면에 작동유체가 충돌하기 전에 상기 작동유체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설정점에 유지시키는 제 2의 온도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연소의 열 산출물을 상기 하우징 내에 재순환된 작동 유체와 혼합하는 혼합실과;
    가스 버너로부터의 연소의 열 산출물의 일부를 포함하는 작용 유체를, 상기 하우징의 실내 영역 내의 유리판의 표면에 분배하여 충돌시키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는
    유리판의 저측 표면에 작동유체의 일부를 분배하여 충돌시키는 제 1의 분배기와, 유리판의 상측 표면에 작동유체의 일부를 분배하여 충돌시키는 제 2의 분배기를 포함하며;
    유리판의 표면에 대한 작동유체의 충돌속도를 조정하여, 장치에 입력된 열을 제어하는 것과는 상관없이, 상기 작동유체와 유리판 사이의 대류의 열교환의 속도를 제어하는 속도 제어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연소의 강제 대류 가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제어장치는 유리판의 저측 표면을 향해 이 저측 표면에 접촉하는 작동유체의 충돌속도를 제어하는 제 1의 속도 제어장치와, 유리판의 상측 표면을 향해 이 상측 표면에 접촉하는 작동유체의 충돌속도를 제어하는 제 2의 속도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의 충돌 속도 제어장치는 서로무관하게 작동 가능하며 제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연소의 가스 연소 강제 대류 가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혼합실은 가스버너의 적어도 일부의 주위에 작동할수 있게 배치되어 있고, 또 그 혼합실은 제 1 및 제 2의 분배기와 작동할 수 있게 연결된 기부 단과, 상기 기부단으로부터 공간을 둔 제 2의 개방단을 포함하며;
    지도자는 유리판의 상측과 저측 표면들 중 하나에 충돌한 사용후 작동유체를 그 사용후 열 작동유체의 부분과, 가스 버너로부터 새로발생된 열연소가스를 혼합하는 혼합실에 안내되어 이들 제 1 분배기와 제 2 분배기 중 적어도하나에 이송하여 하우징의 샐내 영역내의 유리판의 상측 및 저측 표면중 하나와 작동할 수 있게 접촉하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의 강제 대류 가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강제 대류 가열장치는 사용후 작용 유체와 혼합실내에서 새로 발생된 열 연소 가스의 혼합을 야기하는 혼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의 강제 대류 가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가스버너 수단은 종축선을 가지고, 혼합기는:
    가스버너 수단의 종축선에 사실상 직각의 방향으로 열 연소가스의 방출을 위해 가스버너 수단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구멍을 포함하며;
    열연소 가스가 가스버너로부터 작동가능하게 방출될 때, 사용 후 작동유체는 상기 열 연소가스에 사실상 직각의 방향으로 혼합실에, 작동할 수 있게 유입되고 나서, 사용후 작동유체와 새로 발생된 열 연소가스가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의 강제 대류 가열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지도자는, 혼합실과 작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하우징 내의 유리판의 상측과 저측 표면들 중의 하나에 충돌한 사용 후 열 작동유체의 일부를 혼합실안으로 유도하는, 하나이상의 팬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의 강제 대류 가열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1의 분배기와 제 2의 분배기가 각각 하나이상의 팬과, 상기 하나이상의 팬 중 상응하는 하나의 팬과 작동하게 연결된 하나이상의 열 작동유체 도관 부재를 포함하고;
    각각의 하나이상의 열 작동유체 도관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실내 영역 내의 유리판의 상측 및 저측 표면들 중 상응하는 하나에 인접 배치되어, 열 연소 가스의 일부를 유리판의 상측 및 저측 표면 인접에 분배하여, 충돌시키는 하나이상의 노즐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의 강제 대류 가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의 분배기는 각각, 하나이상의 팬과 하나이상의 열 작동유체 도관 부재의 상응하는 것들과의 사이에 작동가능하게 배치된 충만공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의 강제 대류 가열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가스버너는 제 1 및 제 2의 가스버너를 포함하고;
    분배기는 하우징의 실내 영역 내의 유리기판의 저측 표면에 제 1의 가스 버너로부터의 열 연소가스를 분배하여, 충돌시키는 제 1의 분배기와, 하우징의 실내 영역 내의 유리기판의 상측 표면에 제 2의 가스버너 수단으로부터의 열 연소가스를 분배하여 충돌시키는 제 2의 분배기를 포함하며; 또
    조정기는 제 1의 가스버너로부터의 열 입력의 수준을 조정하는 제 1의 조정기와, 제 2의 가스버너로부터의 열 입력의 수준을 조정하는 제 2의 조정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의 조정기는 상호 무관하게 조정가능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연소의 강제 대류 가열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 1의 혼합실이 제 1의 가스버너 수단의 일부의 주위에 작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제 2의 혼합실이 제 2의 가스 버너 수단의 일부의 주위에 작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그 제 1 및 제 2의 혼합실은 각각, 제 1 및 제 2의 분배 수단 중의 상응하는 것의 부분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기부 단과, 상기 기부 단으로부터 공간을 둔 제 2의 개방 단을 가지고;
    제 1의 지도자는, 유리판의 저측 표면에 충돌한 사용후 작동 유체를 상기 사용후 작동유체와 제 1의 가스버너로부터 새로 발생된 열 연소 가스와 작동할 수 있게 혼합하는 혼합실에 유도되어, 이것이 제 1 분배기에 이송되게 한 다음 상기 하우징의 내실 영역내의 유리기판의 저부 표면과 작동가능하게 접촉시키며; 또
    제 2의 지도자는, 유리판의 상측 표면에 충돌된 사용후 작동유체를 상기 사용후 작동유체와 제 2의 가스버너로부터 새로 발생된 열 연소 가스와 작동할 수 있게 혼합하는 혼합실에 유도되어, 이것이 제 2 분배기에 이송되게 한 다음 상기 하우징의 내실 영역내의 유리판의 저부 표면과 작동가능하게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의 강제 대류 가열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의 각각의 혼합실 내의 사용후 열 작동유체와 새로 발생한 열 연소가스의 혼합을 시키는 혼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연소의 강제 대류 가열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제 1의 지도자는, 하우징의 실내 영역 내의 유리판의 저측 표면에 충돌된 사용 후 열 작동유체의 일부를 제 1의 혼합실로 향하게 하여 충돌시키 위해 제 1의 혼합실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하나이상의 팬을 포함하고 있으며;
    제 2의 지도자는, 하우징의 실내 영역 내의 유리판의 상측 표면에 충돌된 사용 후 열 작동유체의 일부를 제 2의 혼합실에 향해 충돌시키기 위해 제 2의 혼합실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하나이상의 팬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연소의 강제 대류 가열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실내 영역 내의 유리판의 상측 표면에 향한 그 표면위의 열 작동유체의 충돌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 1의 속도 제어장치와;
    하우징의 실내 영역 내의 유리판의 저측 표면에 향해 그 표면위의 열 작동유체의 충돌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 2의 속도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의 속도 제어장치는 상호 무관하게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의 강제 대류 가열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의 조정기는 각각, 제 1 및 제 2의 가스버너 수단들 중의 상응하는 것과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하나이상의 열전쌍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의 강제 대류 가열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제 1의 분배기와 제 2의 분배기는 각각, 하나이상의 팬과 하나이상의 팬중 상응하는 팬과 작동할 수 있게 연결된 하나이상의 작동유체 도관 부재를 포함하고있고;
    하나이상의 작동유체 도관 부재의 각각이, 유리판의 인접의 상측과 저측 표면들에 향해 위에 작동유체를 작동가능하게 분배한 다음, 이 상측과 저측면에 상기 작동유체를 충돌시키기 위해, 하우징의 실내 영역 내에 유리판의 상측과 저측 표면들 중의 상응하는 것에 인접하여 작동가능하게 배치된 하나이상의 노즐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의 강제 대류 가열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강제 대류 가열 장치로부터 연소 산물을 배기하게 사용가능하게 접속된 하나이상의 배기 굴뚝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배기 굴뚝들의 각각이 굴뚝을 통한 배기의 흐름 속도를 제어하는 조정가능의 제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연소의 강제 대류 가열장치.
  17. 실내 영역을 가진 하우징을 포함하는 강제 대류 가열 장치에서 상측표면과 저측 표면을 가지는 유리 판을 가열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우징의 실내 영역 내로 유리판을 삽입하는 단계와;
    하나이상의 가스버너로부터 열 연소가스 발생속도를 조정하여, 강제 대류 가열 장치의 열 입력 속도를 조정하는 단계와;
    하나이상의 가스 버너로부터의 열 연소 가스를 하우징의 실내 영역 내의 유리판의 상측과 저측 표면들 중의 일부에 접촉하게 분배하는 단계와;
    유리판의 표면에 대한 열 연소가스의 충돌 속도을 조정함으로써, 강제 대류 가열 장치의 열입력과는 무관하게, 열 연소가스와 유리판 간의 대류 열 교환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대류 가열장치에서 유리판을 가열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유리판의 저측 표면에 분배되어 이 저측 표면과 접촉하게 되는 열 연소가스의 부분의 온도를 조정하는 단계와;
    유리판의 상측 표면에 분배되어 이 상측 표면과 접촉하게 되는 열 연소가스의 부분의 온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측 표면과 저측 표면에 분베되어 이 상측 표면과 저측 표면과 접촉하게 되는 열연소 가스의 조정이 상호 무관하게 작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대류 가열장치 내에서 유리의 판을 가열하는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강제 대류 가열 장치에서 유리판을 가열하는 단계는,
    유리판의 상측과 저측 표면중 적어도 하나에 작동할 수 있게 접촉된 사용후 작동 유체의 부분을 하나이상의 가스 버너중 상응하는 가스버너와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혼합실로 유도하는 단계와,
    각각의 상기 혼합실이 하나이상의 가스 버너중 상응하는 가스버너의 부분 주의에 작동할 수 있게 배치되고 있으며;
    혼합실내에 있는 사용후 작동유체와 하나이상의 가스 버너중 상응하는 가스 버너로부터 발생하고 있는 열 연소 가스와 혼합하는 단계와;
    혼합된 사용후 작동유체와 새로 발생된 열 연소가스를 하우징의 실내 영역 내의 유리판의 상측과 저측 표면에 분배하여 이들 표면에 접촉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강제 대류 가열장치 내에서 유리판을 가열하는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유리판의 저측 표면과 접촉하게 될 작동유체의 충돌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와;
    유리판의 상측 표면과 접촉하게 될 작동유체의 충돌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들을 더 포함하며,
    유리판의 상측 및 저측 표면과 각각, 접촉하게 될 작동유체의 부분의 충돌속도의 제어는 상호 무관하게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대류 가열장치 내에서 유리판을 가열하는 방법.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 1의 가스버너로부터 열 연소가스을 발생하는 단계와;
    제 2의 가스버너로부터 열 연소가스을 발생하는 단계와;
    하우징의 실내 영역 내의 유리판의 저측 표면에 제 1의 가스버너로부터의 열 연소가스와 접촉하게 분배하는 단계와;
    하우징의 실내 영역 내의 유리판의 상측 표면에 제 2의 가스버너로부터의 열 연소가스을 접촉하게 분배하는 단계와;
    유리판의 저측 표면에 분배되어 접촉하게 되는 작동유체의 온도를 조정하는 단계와;
    유리판의 상측 표면에 분대되어 접촉하게 되는 작동유체의 온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유리판의 상측 및 저측 표면에 분배되어 접촉하게 되는 작동유체의 온도의 조정은 상호 무관하게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대류 가열장치 내에서 유리판을 가열하는 방법.
KR10-1998-0705534A 1996-01-19 1996-01-19 강제대류가열장치및그내에서의유리판의가열방법 KR1003826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1996/000766 WO1997026496A1 (en) 1996-01-19 1996-01-19 Forced convection heating apparatus and process for heating glass sheets therewith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832A KR19990081832A (ko) 1999-11-15
KR100382667B1 true KR100382667B1 (ko) 2003-08-06

Family

ID=65952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534A KR100382667B1 (ko) 1996-01-19 1996-01-19 강제대류가열장치및그내에서의유리판의가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26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3382A (en) * 1992-08-27 1995-08-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tmospheric ov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3382A (en) * 1992-08-27 1995-08-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tmospheric ov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832A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8839A (en) Control and arrangement of a continuous process for an industrial dryer
KR900007826B1 (ko) 음식물 제조용 오븐
US5416979A (en) Paper web dryer and paper moisture profiling system
EP0803296B1 (en) Paint drying oven
US418149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a furnace chamber
US5617776A (en) Induced draft gas fired fryer
JP2002293556A (ja) ローラーが設けられた焼戻し炉でガラスパネルを加熱する方法及び装置
US5762677A (en) Process for heating glass sheets within a forced convection heating apparatus by controlling temperature
US5672191A (en) Forced convection heating apparatus and process for heating glass sheets therewithin
US40836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a furnace chamber
US6668590B2 (en) Forced convection heating furnace and method for heating glass sheets
KR100382667B1 (ko) 강제대류가열장치및그내에서의유리판의가열방법
US5792232A (en) Forced convection heating apparatus
US6045358A (en) Forced convection heating apparatus and process for heating glass sheets therewithin
US6868622B2 (en) Heat generating conveyor and tunnel oven
JP4620327B2 (ja) 流体を薄い要素の少なくとも表面に吹きつける装置及び組合された吹きつけユニット
FI120623B (fi) Pakkokonvektiokuumennuslaite ja menetelmä lasilevyjen kuumentamiseksi siinä
GB1506725A (en) Oven systems
JP2913733B2 (ja) 薄板連続焼鈍炉
RU2155722C2 (ru) 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принудительной конвекцией и способ нагрева в нем листового стекла
RU98115538A (ru) 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принудительной конвекцией и способ нагрева в нем листового стекла
JPH014696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