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1872B1 - 밸브요소사이에가변바이어스를구비하는동력식조향장치 - Google Patents
밸브요소사이에가변바이어스를구비하는동력식조향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81872B1 KR100381872B1 KR10-1998-0706781A KR19980706781A KR100381872B1 KR 100381872 B1 KR100381872 B1 KR 100381872B1 KR 19980706781 A KR19980706781 A KR 19980706781A KR 100381872 B1 KR100381872 B1 KR 1003818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member
- force
- fluid
- valve
- pressure chamb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9/00—Servomotors with follow-up action, e.g. obtained by feed-back control, i.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actuated member conforms with that of the controlling member
- F15B9/02—Servomotors with follow-up action, e.g. obtained by feed-back control, i.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actuated member conforms with that of the controlling member with servomotors of the reciprocatable or oscillatable type
- F15B9/08—Servomotors with follow-up action, e.g. obtained by feed-back control, i.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actuated member conforms with that of the controlling member with servomotors of the reciprocatable or oscillatable type controlled by valves affecting the fluid feed or the fluid outlet of the servomotor
- F15B9/10—Servomotors with follow-up action, e.g. obtained by feed-back control, i.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actuated member conforms with that of the controlling member with servomotors of the reciprocatable or oscillatable type controlled by valves affecting the fluid feed or the fluid outlet of the servomotor in which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ervomotor each controls a separate member, these members influencing different fluid passages or the same pass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8—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type of steering valve used
- B62D5/083—Rotary valv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vehicle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Servomotors (AREA)
Abstract
동력식 조향 제어 밸브(22)는 상호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내측 밸브 부재(40)와 외측 밸브 부재(42)를 포함한다. 힘 전달 조립체(114)는 상기 밸브 부재들 사이의 상대 회전에 저항하는 힘을 전달한다. 압력 챔버(138)는 펌프(24)와 유체 연통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힘 전달 조립체(114)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펌프(24)는 저속으로 작동하는 중에는 비교적 대유량의 유체를 공급하고, 비교적 고속으로 작동하는 중에는 비교적 저유량의 유체를 공급한다. 2차 밸브 조립체(170)는 압력 챔버(138)와 유체 연통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압력 챔버로부터 압력을 통기시키는 오리피스(182,184)를 형성한다. 상기 2차 밸브 조립체(170)는 내측 밸브 부재와 외측 밸브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에 응답하여 작동된다.
Description
공지된 차량용 동력식 조향 장치로는 미국 특허 제4,819,545호에 개시된 장치를 들 수 있다. 이 특허에 개시된 동력식 조향 장치는 차량의 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작동 저항이 증대되는 제어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고 있다. 속도 응답형 제어 장치가 밸브 조립체의 압력 응답형 제어 장치에 유체식으로 연통되어 있다. 상기 공지된 동력식 조향 장치의 구조는, 속도 응답형 제어 장치를 생략하면 단순화될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동력식 조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자면, 동력식 조향 모터 제어 밸브의 작동에 대한 저항이 변화되는 차량용 동력식 조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특징과 기타 특징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후술되는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동력식 조향 모터에 대해 유체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차량에 사용되는 동력식 조향 제어 밸브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2차 밸브 조립체가 도 1에 도시된 동력식 조향 제어 밸브 중의 유압을 통기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에 사용되는 동력식 조향 모터에 대해 유체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신규하고 개량된 장치를 제공한다. 본 장치는 펌프로부터 동력식 조향 모터로의 유체 유동을 제어하도록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한 모터 제어 밸브 부재를 구비한다. 바이어싱 조립체(biasing assembly)가, 모터 제어 밸브 부재들 사이의 상대 회전에 저항한다.
상기 바이어싱 조립체는 압력 챔버와, 힘 전달 조립체를 포함한다. 압력 챔버는 유압의 영향을 받아 작동하여 힘 전달 조립체를 작동시킬 수 있다. 압력 챔버는 모터 제어 밸브 부재들 사이의 상대 회전에 응답하여 작동할 수 있는 2차 밸브를 통해 연통되어 있다.
모터 제어 밸브 부재 및 압력 챔버로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는, 상기 펌프가 저속으로 작동하는 중에는 대유량의 유체를 공급하고, 고속으로 작동하는 중에는 소유량의 유체를 공급하는 형태이다. 상기 펌프가 저속으로 작동하는 중에는, 2차 밸브 조립체의 오리피스가 유체 유동에 저항하도록 작용하여 압력 챔버 내의 유압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렇게 증가된 압력 챔버 내의 유압은, 모터 제어 밸브 부재들 사이의 상대 회전의 발생시에 힘 전달 조립체를 작동시켜 상기 모터 제어 밸브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펌프가 고속으로 작동 하는 중에는, 2차 밸브 조립체의 오리피스는 압력 챔버 내의 유압을 증가시키기에 충분할 정도로 유체의 유동을 제한하는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 그 결과, 힘 전달 조립체는 모터 제어 밸브 부재들 사이의 상대 회전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킬 만큼 충분하게 작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펌프의 고속 작동 중에는, 모터 제어 밸브 부재들 사이의 상대 회전에 대한 저항이 펌프가 저속으로 작동하는 중에 모터 제어 밸브 부재들 사이의 상대 회전에 대한 저항보다 크다.
동력식 조향 장치-개괄적인 설명
차량의 동력식 조향 장치(12)(도 1)는 차량의 운전자가 핸들을 회전시킬 때, 조향 가능한 차륜을 선회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다. 핸들이 회전되면 동력식 조향 제어 밸브(22)가 작동되어 엔진 구동형 펌프(24) 및 공급 도관(26)으로부터 한 쌍의 모터 도관(28, 30) 중 하나로 유체를 공급한다. 공급 도관(26)으로부터 모터 도관(28, 30) 중 하나를 통해 수송되는 고압의 유체는, 동력식 조향 모터(31)를 작동시켜 조향 가능한 차륜을 선회시킨다. 유체는 모터(31)로부터 다른 하나의 모터 도관(28 또는 30), 동력식 조향 제어 밸브(22), 그리고 복귀 도관(34)을 통해 저장조(32)로 수송된다.
펌프(24)는 공지의 드루퍼 타입(drooper type)이다. 상기 펌프(24)는 그것이 차량의 엔진에 의해 비교적 저속으로 구동될 때 대유량의 유체를 동력식 조향 제어 밸브(22)로 공급한다. 펌프(24)는 그것이 차량의 엔진에 의해 비교적 고속으로 구동되면, 소유량의 유체를 동력식 조향 제어 밸브(22)로 공급한다. 따라서, 펌프(24)로부터의 유체 유량은, 차량의 엔진이 공회전하고 있고 차량이 정지하고 있을 때 최대가 된다. 펌프(24)로부터의 유체 유량은 차량의 속도가 상승함에 따라 감소한다. 드루퍼 타입의 구조를 갖는 펌프는 미국 특허 제2,835,201호, 제3,349,714호 그리고 제4,681,517호에 개시되어 있다. 물론, 드루퍼 타입의 구조를 갖는 다른 공지의 펌프들도 존재한다.
동력식 조향 제어 밸브(22)는 내측 모터 제어 밸브 부재(40)와, 슬리브 또는 외측 모터 제어 밸브 부재(42)를 포함한다. 외측 모터 제어 밸브 부재(42)는 원통형으로서, 내측 모터 제어 밸브 부재(40)를 포위하고 있다. 내측 모터 제어 밸브 부재(40)와 외측 모터 제어 밸브 부재(42)는 공통의 중심 축선(46)을 중심으로 하우징(44)에 대해 그리고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내측 밸브 부재(40)는, 핸들과 연결되어 있는 원통형 입력 부재 또는 밸브 스템(50)을 구비하는 단일 부품으로 형성된다. 단일 부품의 외측 밸브 부재(42)는, 핀(56)에 의해 종동 부재(54)와 연결되어 있다. 종동 부재(54)는 베어링(58, 60)에 의해 하우징(44)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종동 부재(54)는 랙(66)과 맞물려 결합되도록 배치되는 피니언 기어(64)를 구비한다. 랙(66)은 동력식 조향 모터(31) 및 조향 차륜에 연결된다.
동력식 조향 제어 밸브(22)(도 1)는 중앙 개방형(open center type)이다. 따라서, 동력식 조향 제어 밸브가 초기의 비작동 상태에 있을 때는 펌프(24)로부터의 유압이 모터 도관(28, 30)을 통해 동력식 조향 모터(31)의 피스톤(76)의 양측에 있는 모터 실린더 챔버(72, 74)로 수송된다. 또한, 펌프(24)로부터의 유체의 유동은 동력식 조향 제어 밸브(22)에 의해 복귀 도관(34)과 저장조(32)로 향하게 된다.
핸들의 회전 및 밸브 스템(50)의 회전시, 내측 밸브 부재(40)는 중앙 축선(46)을 중심으로 하우징(44)과 외측 밸브 부재(42)에 대해 회전한다. 이에 따라, 고압 유체는 펌프(24)로부터 모터 도관(28, 30) 중 하나를 향하게 되고, 다른 모터 도관으로부터 나온 유체는 저장조(32)로 향하게 된다.
예컨대, 내측 밸브 부재(40)가 외측 밸브 부재(42)에 대해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모터 도관(28)의 저장조(32)와의 연통도(連通度)가 감소되고 모터 도관(28)의 펌프(24)와의 연통도는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압 유체가 펌프(24)로부터 모터 실린더 챔버(72)로 수송된다. 이 고압의 유체는 우측(도 1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임)으로 피스톤(76)을 이동시킨다. 피스톤(76)이 우측(도 1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임)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모터 실린더 챔버(74)로부터 방출된 유체는 모터 도관(30) 및 복귀 도관(34)을 통해 저장조(32)로 안내된다.
동력식 조향 모터(31)가 작동함에 따라서, 랙(66)이 피니언(64) 및 종동 부재(54)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외측 밸브 부재(42)가 내측 밸브 부재(40)에 대해 회전된다. 밸브 조향 모터(31)가 작동되어 조향 가능한 차륜을 내측 밸브(40)의 회전에 상응할 정도로 회전시키면, 랙(66)은 외측 밸브 부재(42)를 그 초기 위치까지 이동시킬 만큼 충분한 거리에 걸쳐 피니언(64)을 내측 밸브 부재(40)에 대해 회전시킨다. 이렇게 되면, 모터 실린더 챔버(72, 74) 내의 유압은 평형에 이르고, 모터(31)의 작동이 정지한다.
동력식 조향 제어 밸브(22)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펌프(24)로부터의 유압은 외측 밸브 부재(42)에 형성된 환형의 중앙 홈(80)으로 전달된다. 유체는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통로(82,84)를 통해 원통형 외측 밸브 부재(42)의 내측으로 흐른다. 내측의 밸브 부재(40)는 둥근 코너를 구비하며 대체로 정방형 단면 형상을 갖고, 상기 둥근 코너는 외측 밸브 부재(42)의 내측에 형성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홈과 협동한다. 외측 밸브 부재(42)의 내측에 마련되며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제1 쌍의 홈의 단부는 모터 도관(28)과 결합된 환형의 외측 홈(88)과 유체 연통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외측 밸브 부재(42)의 내측에 형성되고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쌍의 홈은, 외측 밸브 부재 내에 형성된 환형의 외측 홈(90)과 유체 연통식으로 연결되고 모터 도관(30)과도 연결된다.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개구부(94)는 내측 밸브 부재(40) 내측에 마련되고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중앙 통로(96)(도 2 및 도 3)를 향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한다. 중앙 통로(96)는 외측 밸브 부재(42) 위에 배치된 환형의 복귀 챔버(98)(도 1)에 유체 연통식으로 연결된다. 복귀 챔버(98)는 복귀 도관(34)에 의해 저장조(32)에 유체 연통식으로 연결된다.
내측 밸브 부재(40)와 외측 밸브 부재(42)는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복귀 유체 통로(96)에 설치된 토션 바(102)(도 2 및 도 3)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있다. 토션 바(102)의 일단부는 밸브 스템(50)에 접속되어 있고, 토션 바의 타단부는 종동 부재(54)(도 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토션 바(102)는 내측 밸브 부재(40)와 외측 밸브 부재(42) 사이의 상대 회전을 허용하도록 비틀어지고, 자유로운 상태에서는내측 밸브 부재(40)와 외측 밸브 부재(42)를 각각의 초기 위치로 압박한다.
내측 밸브 부재(40)와 외측 밸브 부재(42)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고, 서로서로 및 토션 바(102)와 협동하게 되는데, 그 방식은 "동력식 조향 밸브와 그 제조 방법"이라는 명칭으로 1981년 7월 7일자로 공고된 미국 특허 제4,276,812호에 개시된 방식과 동일하다. 그러나 내측 밸브 부재(40)와 외측 밸브 부재(42)는 필요하다면 다른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동력식 조향 저항 제어 장치
동력식 조향 저항 제어 장치(110)(도 1)는 차량 속도가 감소함에 따라서 동력식 조향 제어 밸브(22)를 작동 시키는 데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비교적 낮은 차량 속도에서는 내측 밸브 부재(40)를 외측 밸브 부재(42)에 대해 회전시키기 위해 작은 힘이 요구된다. 비교적 높은 차량 속도에서는 내측 밸브 부재(40)를 외측 밸브 부재(42)에 대해 회전시키기 위해 큰 힘이 요구된다.
동력식 조향 저항 제어 장치(110)는 압력 응답형 제어 장치(112)를 포함한다. 압력 응답형 제어 장치(112)는 힘 전달 조립체(114)를 구비한다. 힘 전달 조립체(114)는 동력식 조향 제어 밸브 하우징(44) 내에 배치된 슬라이더 또는 환형의 힘 전달 부재(116)(도 1)를 포함한다. 힘 전달 부재(116)는 그 중심 축(46)을 중심으로 내측 밸브 부재(40) 및 밸브 스템(50)과 함께 회전한다. 힘 전달 부재(116)는 이것이 내측 밸브 부재(40) 및 밸브 스템(50)과 함께 회전하지만, 힘 전달 부재(116)는 밸브 스템(50)을 따라 축방향 운동이 가능하다.
힘 전달 조립체(114)는 캠 조립체(120)(도 2)를 포함한다. 캠 조립체(120)는 힘 전달 부재(116)에 형성된 다수의 하방(도 2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임)으로 향한 캠면(122), 외측 밸브 부재(42)에 마련된 다수의 상방(도 2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임)으로 향한 캠면(124), 그리고 다수의 구형 캠 요소 또는 볼(126)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4개의 캠 요소 또는 볼(126)이 힘 전달 부재(116) 및 외측 밸브 부재(42)에 마련된 4쌍의 캠면(122, 124) 사이에 배치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더 많거나 더 적은 수의 캠 요소(126)와 캠면(122, 124)을 사용해도 좋다.
힘 전달 부재(116)는 밸브 스템(50)과 동축 관계로 밸브 스템의 주위를 포위하고 있는 코일 스프링(130)에 의해 외측 밸브 부재(42)를 향해 축방향으로 압압된다. 코일 스프링(130)에 의해 힘 전달 부재(116)에 부여되는 하향력은, 캠면(122, 124)을 볼(126)의 양측으로 압박시킨다. 힘 전달 부재(116)에 의해 볼(126)에 부여되는 하향력은, 상기 볼을 캠면(122, 124)의 중심에 위치되도록 한다.
환형 힘 전달 부재(116)는 하우징(44)의 원통형 내측면(134) 및 밸브 스템(50)과 협동하여 힘 전달 부재(116)의 축방향 양측부에 환형의 복귀 챔버(98) 및 환형의 압력 챔버(138)를 형성한다. 힘 전달 부재(116)의 환형 상측부(142)는 하우징(44)의 원통형 내측면(134)과 협동하여, 복귀 챔버(98)를 부분적으로 한정한다. 마찬가지로, 힘 전달 부재(116)의 환형 하측부(144)는, 하우징(44)의 내측면(134) 및 밸브 스템(50)의 외측면(141)과 협동하여 환형의 압력 챔버(138)를 부분적으로 한정한다.
압력 챔버(138)의 유압은 스프링(130)에 저항하여, 힘 전달 부재(116)를 캠요소 또는 볼(12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박한다. 스프링(13)에 의해 힘 전달 부재(116)의 환형 상측부(142)에 부여된 힘은, 힘 전달 부재의 환형 하측부(144)에 부여된 유압의 힘보다 항상 크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힘 전달 부재(116)의 캠면(122)은 항상 캠 요소 또는 볼(126)과 접촉 결합된 채로 유지된다.
힘 전달 부재(116)의 원통형 외측면(152)(도 2)과 하우징(44)의 내측면(134) 사이의 끼워 맞춤은, 비간섭적인 유체 밀봉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힘 전달 부재(116)의 원통형 내측면(153)과 밸브 스템의 외측면(141) 사이의 끼워 맞춤도, 비간섭적인 유체 밀봉식으로 이루어진다. 밸브 하우징(44)의 상단은 하우징의 내측면(134)과 밸브 스템(50)의 외측면을 결합하는 환형 밀봉 링(156)(도 2)에 의해 밀봉된다. 유체의 완벽한 밀봉을 확보하기 위해 제2 환형 밀봉 링(158)이 또한 구비된다.
하우징(44) 및 외측 밸브 부재(42)에 대한 밸브 스템(50) 및 내측 밸브 부재(40)의 회전은 압력 응답 제어 장치(112)에 의해 힘 전달 부재(116)의 측부(144)에 부여되는 유압력과, 힘 전달 부재의 측부(142)에 부여되는 스프링력 사이의 차에 해당하는 함수인 힘에 의해 저지된다. 밸브 스템(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위치로부터 완전히 작동된 위치로 회전됨에 따라서 캠 요소 또는 볼(126)의 외측면은 힘 전달 부재(116)는 축(46)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캠면(122, 124) 위를 구르게 된다. 이에 따라, 힘 전달 부재는 바이어싱 스프링(130)의 작용에 대항하여 도 2에 도시된 초기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이동된다. 힘 전달 부재(116)의 환형 하측면(144)이 외측 밸브 부재(42)의 환상의 상단(14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압력 챔버(138)의 크기는 증대되고, 복귀 챔버(98)의 크기는 감소된다.
구형의 힘 전달 요소인 볼(126)을 캠면(122, 124) 위를 구르게 하고, 힘 전달 부재(116)를 외측 밸브 부재(42)의 단부(146)로부터 멀어지게 이동시키는 데 요구되는 힘은, 힘 전달 부재(116)를 외측 밸브 부재(42)쪽으로 압박하는 정미력(正味力; net force)의 함수로서 변화한다. 따라서, 힘 전달 부재(116)를 볼(126)에 대해 압박하는 정미력이 커지면, 도 2에 도시된 초기 위치로부터 밸브 스템(50)을 회전시키는 데 필요한 힘도 커진다. 힘 전달 부재(116)를 캠 요소(126)에 대해 압박하는 정미력은, 스프링(130)에 의해 힘 전달 부재(116)의 측부(142)에 부여되는 힘과, 압력 챔버(138) 내의 유압에 의해 힘 전달 부재의 측부(144)에 부여되는 유압의 힘 사이의 차와 동일하다. 힘 전달 부재(116)의 측부(144)에 부여되는 유압의 힘이 클수록, 밸브 스템(50) 및 힘 전달 부재(116)를 외측 밸브 부재(42)에 대해 회전시키기 위해 극복하여야 하는 힘은 작아진다.
한 쌍의 구속 요소 또는 볼(도시되지 않음)이 힘 전달 부재(116)와 밸브 스템(50)을 상호 접속시켜, 힘 전달 부재(116)를 밸브 스템(50)과 상대적 회전이 되지 못하도록 유지시키는 동시에, 힘 전달 부재(116)가 밸브 스템(50)에 상대적으로 축방향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구형의 구속 요소는 밸브 스템(50)에 형성되어 있는 직경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홈과, 힘 전달 부재(116)에 형성되어 있는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홈과 결합한다.
동력식 조향 저항 제어 장치(110)의 구조 및 상기 동력식 조향 저항 제어 장치가 내측 밸브 부재(40) 및 외측 밸브 부재(42)와 협동하는 방식은 "동력식 조향 장치"라는 명칭으로 1989년 4월 11일자로 공고된 미국 특허 제4,819,545호에 개시된 구조 및 방식과 동일하다. 그러나 동력식 조향 저항 제어 장치(110)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특정의 구조 이외의 다른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2차 밸브 조립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압력 챔버(138)(도 2 및 도 3)로부터 복귀 챔버(98)로 연통 작용을 제어하기 위해 2차 밸브 조립체(170)가 설치된다. 2차 밸브 조립체(170)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상태로 되면, 압력 챔버(138)로부터 복귀 챔버(98)로의 연통 작용이 극대화되어 압력 챔버 내의 유압을 최소화한다.
동력식 조향 모터(31)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내측 밸브 부재(40)와 외측 밸브 부재(42) 사이의 상대 회전시, 2차 밸브 조립체(170)는 초기 또는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작동된다. 2차 밸브 조립체(170)가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작동됨에 따라서, 복귀 챔버(98)로의 유체의 흐름을 점차적으로 제한한다. 2차 밸브 조립체(170)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는 복귀 챔버(98)로의 유체의 흐름을 거의 완전히 저지한다. 그러나, 2차 밸브 조립체(170)를 통한 복귀 챔버(98)로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은 조금이라도 항상 존재한다.
2차 밸브 조립체(17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개방 상태로부터 차량 조향 작용의 시작에 응답하는 폐쇄된 상태로 작동된다. 따라서, 내측 밸브 부재(40)와외측 밸브 부재(42) 사이의 상대 회전이 이루어짐으로써, 캠 조립체(120)는 2차 밸브 조립체(170)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된 상태로 작동이 되도록 힘 전달 부재(116)를 밸브 스템(50)을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압력 챔버(138) 내의 유압은 캠 조립체(120)를 보조하여 힘 전달 부재(116)가 밸브 스템(50)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2차 밸브 조립체(17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힘 전달 부재(116)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힘 전달 부재와 별도로 형성될 수 있는 2차 밸브 부재(174)를 포함한다. 2차 밸브 부재(174)는 밸브 스템(50) 주위로 연장하는 원통형 슬리브(175)를 구비한다. 원통형 슬리브(175)의 내측면은 밸브 스템(50)의 외측면 보다 직경이 조금 더 크다. 원통형 슬리브(175)는 내측 밸브 부재(40) 및 밸브 스템(50)의 중심축선에 일치하는 중심축선을 갖는다. 또한, 2차 밸브 부재(174)는 코일 스프링(130)의 하단부와 힘 전달 부재(116) 사이에 배치된 환형 플랜지(176)를 구비한다.
2차 밸브 부재(174)는 밸브 스템(50) 내에 형성된 아치형의 리세스(178, 180)(도 3)와 협동하여 크기가 가변적인 한 쌍의 오리피스(182, 184)를 형성한다. 상기 리세스(178, 180) 및 오리피스(182, 184)는 원통형 밸브 스템(50) 내에 형성된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통로(186, 188)에 의해 유체 복귀 통로(96)와 유체 연통식으로 연결된다. 또한, 복귀 통로(96)는 밸브 스템(50) 내에 형성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통로(192)를 통해 압력 챔버(138)와 연통된다.
2차 밸브 부재(174)는 오리피스(182, 184)의 크기를 변화시키도록 밸브스템(50)을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오리피스(182, 184)의 크기가 변화되면, 이 오리피스에 의해 복귀 통로(96)로부터 복귀 챔버(98)로의 유체 흐름을 제한하는 정도가 변화된다.
모터를 제어하는 내측 밸브 부재(40)와, 외측 밸브 부재(42)가 초기 또는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 있을 때, 가변적인 오리피스(182, 184)의 크기는 비교적 크다. 이에 따라 크기가 가변적인 오리피스를 통해 복귀 통로(96) 및 압력 챔버(138)의 복귀 챔버(98)로의 연통도는 최대가 된다.
내측 밸브 부재(40)와 외측 밸브 부재(42) 사이의 상대 회전시, 볼(126)은 힘 전달 부재(116)와 2차 밸브 부재(174)를 축방향 상방(도 3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임)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오리피스(182, 184)의 크기는 2차 밸브 부재(174)에 의해 감소된다. 오리피스(182, 184)의 크기가 2차 밸브 부재(174)에 의해 감소됨에 따라서, 오리피스를 통한 복귀 통로(96)로부터 복귀 챔버(98)로의 유체의 유량은 제한된다.
내측 밸브 부재(40)와 외측 밸브 부재(42)가 서로에 대해 가능한 최대로 회전되면, 2차 밸브 부재(174)는 오리피스(182, 184)를 가능한 최대로 제한한다. 그러나, 2차 밸브 부재(174)는 오리피스(182, 184)를 완전히 봉쇄하지는 않는다. 2차 밸브 부재(174)가 오리피스(182, 184)를 완전히 봉쇄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내측 밸브 부재(40)와 외측 밸브 부재(42)가 서로에 대해 가능한 최대로 회전되었을 때 압력 챔버(138) 내의 유압을 경감하는 오리피스를 통과하는 유동은 최소가 된다.
코일 스프링(130)(도 2 및 도 3)은 도 3에 도시된 초기 위치로 2차 밸브 부재(174)를 압박한다. 따라서, 스프링(130)은 밸브 스템(50)과 확실히 연결되어 있는 환상의 칼라(190)와 결합하는 상단부를 구비한다. 코일 스프링(130)의 하단부는 볼(126)에 대해 힘 전달 부재(116)를 가압하도록 2차 밸브 부재(174)의 플랜지(176)와 결합한다.
내측 밸브 부재(40)와 외측 밸브 부재(42)가 그들의 초기 또는 작동되지 않은 상태로 복귀되면, 코일 스프링(130)은 2차 밸브 부재(174) 및 힘 전달 부재(116)를 하방(도 2 및 도 3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임)으로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오리피스(182, 184)의 크기는 증가된다. 물론, 오리피스(182, 184)의 크기가 확대되면, 오리피스를 통한 유체 유량의 제한되는 정도도 감소한다. 결과적으로, 복귀 통로(96)와 압력 챔버(138) 내의 유압이 감소된다.
작동
동력식 조향 장치(12)를 구비한 차량이 정지 또는 저속으로 주행하면, 차량 엔진은 펌프(24)를 비교적 저속으로 구동시킨다. 이때, 펌프(24)로부터 유체 유량은 극대화된다. 펌프(24)로부터의 비교적 대유량의 유체가 복귀 통로(96)와 오리피스(182, 184)를 통해 복귀 챔버(98)와 복귀 도관(34)으로 수송된다.
이 때, 코일 스프링(13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개방된 위치로 2차 밸브 부재(174)를 고정할 수 있어 오리피스(182, 184)의 크기가 극대화된다. 그러나, 2차 밸브 부재(174)가 완전히 개방된 위치에 있을 때에도, 오리피스(182, 184)는 복귀 통로(96)로의 유체 흐름도 어느 정도는 제한할 수 있어서 압력 챔버(138) 내의 유압이 최소화된다. 압력 챔버(138) 내의 유압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힘 전달 부재(116)를 상방으로 압박하여, 코일 스프링(130)으로부터 힘 전달 부재(116)로 전달된 힘의 일부를 상쇄하게 된다.
내측 밸브 부재(40)가 외측 밸브 부재(4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때, 힘 전달 부재(116)는 내측 밸브 부재와 함께 외측 밸브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힘 전달 부재(116)에 마련된 캠면(122)과 외측 밸브 부재(42)에 마련된 캠면(124)이 볼(126)과 협동하여 힘 전달 부재(116)를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힘 전달 부재(116)가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2차 밸브 부재(174)는 상방으로 이동되어 오리피스(182, 184)를 제한하게 된다.
오리피스(182, 184)가 제한됨에 따라서, 복귀 통로(96) 및 압력 챔버(138) 내의 유압이 증가된다. 압력 챔버(138) 내의 유압이 증가하면, 코일 스프링(130)의 힘에 대항하는 힘을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외측 밸브 부재(42)에 대해 상대적으로 내측 밸브 부재(40)를 회전시키는 데 요구되는 힘이 감소된다. 따라서, 동력식 조향 제어 밸브(22)를 작동시키는 데 요구되는 토크는 펌프(34)가 저속으로 작동하는 중에는 비교적 작다.
저속의 작동이 완료되면, 내측 밸브 부재(40)와 외측 밸브 부재(42)가 서로에 대한 비(非)작동 위치 또는 초기 위치로 다시 회전된다. 이에 따라서, 캠면(122, 124)은 볼(126)과 협동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힘 전달 부재(116)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2차 밸브 부재(174)는 하방으로 이동하고 오리피스(182, 184)의 크기는 증가된다.
차량이 고속으로 작동하는 중에, 펌프(24)는 고속으로 구동되고, 펌프로부터의 유체 유량은 감소된다. 펌프(24)로부터의 유체 유량이 감소되면 복귀 통로(96) 및 오리피스(182, 184)를 통한 유체 유량은 감소된다. 소유량의 유체로 인해, 오리피스(182,184)는 비교적 유체 유동을 제한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복귀 통로(96) 및 압력 챔버(138) 내의 유체 압력은 펌프(24)가 저속으로 구동될 때의 유압보다 작다. 압력 챔버(138) 내의 유체 압력이 감소되면 코일 스프링(130)을 상쇄하는 힘도 감소된다.
핸들을 돌려 조향 제어 밸브(22)가 작동되면, 내측 밸브 부재(40)는 외측 밸브 부재(42)에 대해 상대 회전한다. 그러나, 펌프(24)가 고속으로 구동되므로 압력 챔버(138) 내의 유압은 매우 낮다. 외측 밸브 부재(42)에 대해 상대적으로 내측 밸브 부재(4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캠 조립체(120)에 의해 코일 스프링(130)의 전체 힘이 실질적으로 반드시 극복되어야만 한다.
내측 밸브 부재(40)가 외측 밸브 부재(42)에 대해 상대 회전함에 따라, 2차 밸브 부재(17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된다. 2차 밸브 부재(174)가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오리피스(182, 184)의 크기는 감소된다. 그러나, 이때 펌프(24)는 비교적 고속으로 구동되므로, 유체 유동 출력량은 비교적 적다. 복귀 통로(96)를 통과하는 유량이 적으므로 오리피스(182, 184)의 크기는 복귀 통로(96)와 압력 챔버(138) 내의 유압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키지 않고도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핸들을 돌리고 외측 밸브 부재(42)에 대해 내측 밸브부재(40)를 상대 회전시키는 데 요구되는 입력 힘은 차량이 비교적 저속으로 주행할 때보다 차량이 비교적 고속으로 주행할 때가 더 크다.
차량이 비교적 고속으로 작동하는 중에 조향 동작이 중단되면, 내측 밸브 부재(40) 및 외측 밸브 부재(42)는 서로에 대해 비작동 위치 또는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이에 따라, 볼(126)은 캠면(122, 124)을 따라 이동되고, 코일 스프링(130)은 힘 전달 부재(116)를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위치로 이동시킨다. 힘 전달 부재(116)가 초기 위치로 이동되면, 2차 밸브 부재(174)는 오리피스(182, 184)의 크기가 극대화되는 개방 위치로 복귀될 것이다.
당해 분야의 전문가라면 이상에서 본 발명을 전술한 바를 기초로 다양한 개량,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범주 내의 개량, 변경 및 수정은 첨부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보호되는 것으로 여겨져야 한다.
Claims (13)
- 차량에 사용되는 동력식 조향 모터로의 유체 흐름 제어 장치로서,유체 공급 도관, 동력식 조향 모터 및 배출 도관과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하우징과,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유체 공급 도관으로부터 동력식 조향 모터로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서로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한 제1 밸브 부재 및 제2 밸브 부재와,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밸브 부재와 제2 밸브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에 저항하는 힘을 제공하는 힘 제공 수단으로서, 이 힘 제공 수단은 압력 챔버를 형성하는 압력 챔버 형성 수단과, 상기 압력 챔버 내 유압 변동의 함수로서 변화하는 힘을 상기 제1 밸브 부재와 제 2밸브 부재 사이에서 전달하는 힘 전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인 힘 제공 수단과,상기 압력 챔버를 상기 배출 도관으로 소통시키는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작동 가능한 2차 밸브로서, 이 2차 밸브는 상기 제1 밸브 부재와 제2 밸브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에 응답하여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조작 가능한 것인 2차 밸브를 포함하며,상기 제1 밸브 부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밸브 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며, 상기 힘 전달 수단은 상기 제1 밸브 부재와 제2 밸브 부재 사이의상대 회전시 상기 제1 밸브 부재의 회전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가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2차 밸브는 상기 압력 챔버를 소통시키는 개구의 크기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가동 부재와 함께 상기 제1 밸브 부재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한 밸브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동력식 조향 모터로의 유체 흐름 제어 장치.
- 차량에 사용되는 동력식 조향 모터로의 유체 흐름 제어 장치로서,유체 공급 도관, 동력식 조향 모터 및 배출 도관과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하우징과,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유체 공급 도관으로부터 동력식 조향 모터로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서로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한 제1 밸브 부재 및 제2 밸브 부재와,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밸브 부재와 제2 밸브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에 저항하는 힘을 제공하는 힘 제공 수단으로서, 이 힘 제공 수단은 압력 챔버를 형성하는 압력 챔버 형성 수단과, 상기 압력 챔버 내 유압 변동의 함수로서 변화하는 힘을 상기 제1 밸브 부재와 제 2밸브 부재 사이에서 전달하는 힘 전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인 힘 제공 수단과,상기 압력 챔버를 상기 배출 도관으로 소통시키는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작동 가능한 2차 밸브로서, 이 2차 밸브는 상기 제1 밸브 부재와 제2 밸브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에 응답하여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조작 가능한 것인 2차 밸브를 포함하며,상기 제1 밸브 부재는, 상기 유체 공급 도관의 유압을 상기 압력 챔버로 전달하고 또 상기 유압을 상기 2차 밸브로 전달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표면 수단을 포함하며,상기 2차 밸브는, 상기 제1 밸브 부재와 상기 제2 밸브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시 상기 통로를 배출 도관과 유체 연통식으로 연결시키는 오리피스의 크기를 감소시키도록 작동 가능한 것인 동력식 조향 모터로의 유체 흐름 제어 장치.
- 차량에 사용되는 동력식 조향 모터로의 유체 흐름 제어 장치로서,유체 공급 도관, 동력식 조향 모터 및 배출 도관과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하우징과,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유체 공급 도관으로부터 동력식 조향 모터로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서로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한 제1 밸브 부재 및 제2 밸브 부재와,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밸브 부재와 제2 밸브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에 저항하는 힘을 제공하는 힘 제공 수단으로서, 이 힘 제공 수단은 압력 챔버를 형성하는 압력 챔버 형성 수단과, 상기 압력 챔버 내 유압 변동의 함수로서 변화하는 힘을 상기 제1 밸브 부재와 제 2밸브 부재 사이에서 전달하는 힘 전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인 힘 제공 수단과,상기 압력 챔버를 상기 배출 도관으로 소통시키는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작동 가능한 2차 밸브로서, 이 2차 밸브는 상기 제1 밸브 부재와 제2 밸브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에 응답하여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조작 가능한 것인 2차 밸브를 포함하며,상기 제1 밸브 부재와 제2 밸브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에 저항하는 힘을 제공하는 상기 힘 제공 수단은, 상기 제1 밸브 부재의 외측면 영역의 둘레에 연장되어 있는 스프링을 포함하고,이 스프링은, 상기 제1 밸브 부재와 제2 밸브 부재가 초기 상태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서로 상대 회전할 때, 상기 제1 밸브 부재와 제2 밸브 부재를 초기 상태를 향하는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압박하는 힘을 제공하도록 작동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2차 밸브가 상기 폐쇄 상태로 작동할 때, 상기 폐쇄 상태로부터 상기 개방 상태로의 방향으로 상기 2차 밸브를 압박하도록 작동하는 것인 동력식 조향 모터로의 유체 흐름 제어 장치.
- 차량에 사용되는 동력식 조향 모터로의 유체 흐름 제어 장치로서,유체 공급 도관, 동력식 조향 모터 및 배출 도관과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하우징과,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유체 공급 도관으로부터 동력식 조향 모터로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서로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한 제1 밸브 부재 및 제2 밸브 부재와,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밸브 부재와 제2 밸브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에 저항하는 힘을 제공하는 힘 제공 수단으로서, 이 힘 제공 수단은 압력 챔버를 형성하는 압력 챔버 형성 수단과, 상기 압력 챔버 내 유압 변동의 함수로서 변화하는 힘을 상기 제1 밸브 부재와 제 2밸브 부재 사이에서 전달하는 힘 전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인 힘 제공 수단과,상기 압력 챔버를 상기 배출 도관으로 소통시키는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작동 가능한 2차 밸브로서, 이 2차 밸브는 상기 제1 밸브 부재와 제2 밸브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에 응답하여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조작 가능한 것인 2차 밸브를 포함하며,상기 2차 밸브는, 상기 제1 밸브 부재와 협동하여 크기가 가변적인 오리피스를 형성하는 2차 밸브 부재를 포함하며,이 2차 밸브 부재는, 상기 2차 밸브가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폐쇄 상태로 작동할 때, 상기 크기가 가변적인 오리피스의 크기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1 밸브 부재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고,상기 2차 밸브 부재는, 상기 2차 밸브가 상기 폐쇄 상태로부터 상기 개방 상태로 작동할 때, 상기 크기가 가변적인 오리피스의 크기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제1 밸브 부재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한 것인 동력식 조향 모터로의 유체 흐름 제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밸브는, 상기 2차 밸브가 상기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압력 챔버와 상기 배출 도관 사이의 유체 연통을 제한하도록 작동하는 것인 동력식 조향 모터로의 유체 흐름 제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힘 전달 수단은, 상기 제1 밸브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밸브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및 제2 밸브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힘 전달 부재와, 이 힘 전달 부재가 상기 제2 밸브 부재에 대해 상대 이동할 때 상기 제1 밸브 부재와 제2 밸브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에 대한 저항을 변화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동력식 조향 모터로의 유체 흐름 제어 장치.
- 차량에 사용되는 동력식 조향 모터로의 유체 흐름 제어 장치로서,유체 공급 도관, 동력식 조향 모터 및 배출 도관과 연결되도록 되어 있는 하우징과,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유체 공급 도관으로부터 동력식 조향 모터로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서로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한 제1 밸브 부재 및 제2 밸브 부재와,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밸브 부재와 제2 밸브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에 저항하는 힘을 제공하는 힘 제공 수단으로서, 이 힘 제공 수단은 압력 챔버를 형성하는 압력 챔버 형성 수단과, 상기 압력 챔버 내 유압 변동의 함수로서 변화하는 힘을 상기 제1 밸브 부재와 제 2밸브 부재 사이에서 전달하는 힘 전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인 힘 제공 수단과,상기 압력 챔버를 상기 배출 도관으로 소통시키는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작동 가능한 2차 밸브로서, 이 2차 밸브는 상기 제1 밸브 부재와 제2 밸브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에 응답하여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조작 가능한 것인 2차 밸브를 포함하며,상기 힘 전달 수단은, 상기 제1 밸브 부재와 연결된 힘 전달 부재를 포함하며,이 힘 전달 부재는, 상기 2차 밸브를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폐쇄 상태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1 밸브 부재와 제2 밸브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1 밸브 부재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고,상기 힘 전달 부재는, 상기 2차 밸브를 상기 폐쇄 상태로부터 상기 개방 상태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1 밸브 부재와 제2 밸브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에 대한 저항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제1 밸브 부재에 대해 제2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한 것인 동력식 조향 모터로의 유체 흐름 제어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챔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힘 전달 부재와 상기 제2 밸브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인 동력식 조향 모터로의 유체 흐름 제어 장치.
- 차량에 사용되는 동력식 조향 모터를 제어 장치로서,저속으로 작동하는 중에는 대유량의 유체를 공급하고, 고속으로 작동하는 중에는 소유량의 유체를 공급하는 펌프 수단과,상기 펌프 수단과 유체 연통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펌프 수단으로부터 상기 동력식 조향 모터로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서로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한 제1 밸브 부재 및 제2 밸브 부재와,상기 제1 밸브 부재와 제2 밸브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에 저항하는 힘을 전달하도록 상기 제1 밸브 부재 및 제2 밸브 부재에 연결된 힘 전달 수단으로서, 이 힘 전달 수단은 상기 제1 밸브 부재와 제2 밸브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에 저항하는 상대적으로 큰 힘을 전달하는 제1 상태와, 상기 제1 밸브 부재와 제2 밸브 부재 사이의 상대 회전에 저항하는 비교적 작은 힘을 전달하는 제2 상태 사이에서 작동 가능한 것인 힘 전달 수단과,유체를 압력 하에 유지하도록 상기 펌프 수단에 유체 연통식으로 연결된 압력 챔버 수단으로서, 이 압력 챔버 수단 내 유압의 함수로서 상기 힘 전달 수단이 상기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 작동하는 것을 지원하는 압력 챔버 수단과,차량 조향 동작에 응답 가능하고, 상기 압력 챔버 수단에 유체 연통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압력 챔버 수단으로부터의 유체 압력을 소통시키는 오리피스를 형성하는 오리피스 형성 수단으로서, 이 오리피스 형성 수단은, 상기 펌프 수단으로부터의 유체 흐름이 대유량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펌프 수단이 저속으로 작동하는 동안에, 상기 압력 챔버 수단 내 유압이 제1 유체 압력까지 상승할 수 있도록 유체의 유동을 제한하는 작용을 하여 상기 힘 전달 수단이 상기 제1 상태로부터상기 제2 상태로 작동하는 것을 지원하며, 상기 오리피스 형성 수단은, 상기 펌프 수단으로부터의 유체의 흐름이 소유량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펌프 수단이 고속으로 작동하는 동안에, 상기 압력 챔버 수단 내 유압이 제1 유체 압력까지 상승할 수 있도록 유체의 흐름을 충분히 제한하지 않도록 작동하는 것인 오리피스 형성 수단을 포함하는 동력식 조향 모터를 제어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 형성 수단은, 상기 오리피스의 크기를 변화시키도록 이동 가능한 밸브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동력식 조향 모터를 제어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힘 전달 수단은 상기 제1 밸브 부재 및 제2 밸브 부재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한 힘 전달 부재를 포함하며,상기 오리피스 형성 수단은, 상기 힘 전달 부재가 상기 제1 밸브 부재 및 제2 밸브 부재에 대하여 상대 이동할 때, 상기 오리피스의 크기를 변화시키도록 상기 힘 전달 부재와 함께 이동 가능한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동력식 조향 모터를 제어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 부재는, 상기 펌프 수단으로부터의 유체 흐름을 상기 오리피스로 인도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표면 수단을 포함하며, 이 통로는 상기 압력 챔버 수단과 유체 연통식으로 연결되는 것인 동력식 조향 모터를 제어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 형성 수단은, 제1 밸브 부재에 장착된 이동 가능한 2차 밸브 부재를 포함하며,상기 제1 밸브 부재는 상기 펌프 수단으로부터의 유체 흐름을 상기 오리피스로 인도하는 통로를 포함하며,상기 2차 밸브 부재는 상기 오리피스의 크기를 변화시키도록 상기 제1 밸브 부재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여 상기 오리피스가 상기 통로로부터의 유체 흐름을 제한하는 정도를 변화시키는 것인 동력식 조향 모터를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08/608,138 | 1996-02-28 | ||
US08/608,138 US5737995A (en) | 1996-02-28 | 1996-02-28 | Power steering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4905A KR20000004905A (ko) | 2000-01-25 |
KR100381872B1 true KR100381872B1 (ko) | 2004-06-04 |
Family
ID=24435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706781A KR100381872B1 (ko) | 1996-02-28 | 1997-02-27 | 밸브요소사이에가변바이어스를구비하는동력식조향장치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5737995A (ko) |
EP (1) | EP0879361B1 (ko) |
JP (1) | JP3165448B2 (ko) |
KR (1) | KR100381872B1 (ko) |
AU (1) | AU703713B2 (ko) |
BR (1) | BR9707737A (ko) |
DE (1) | DE69729545T2 (ko) |
WO (1) | WO199703213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06057577A1 (de) * | 2006-12-06 | 2008-06-12 | Trw Automotive Gmbh | Servoventilbaugrupp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35068A (en) * | 1989-09-04 | 1992-08-04 | Jidosha Kiki Co., Ltd. | Hydraulic reaction device for power steering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S472088A1 (es) * | 1978-07-27 | 1979-03-16 | Bendiberica Sa | Perfeccionamientos en distribuidores hidraulicos rotativos. |
JPS60178279U (ja) * | 1984-05-09 | 1985-11-27 | 光洋精工株式会社 | 動力舵取装置の油圧反力制御装置 |
US4819545A (en) * | 1987-07-28 | 1989-04-11 | Trw Inc. | Power steering system |
US4858712A (en) * | 1988-08-29 | 1989-08-22 | Trw Inc. | Speed responsive power steering system |
JPH0374268A (ja) * | 1989-08-16 | 1991-03-28 | Jidosha Kiki Co Ltd | 動力舵取装置の油圧反力装置 |
DE4201311C1 (ko) * | 1992-01-18 | 1993-02-25 | Trw Ehrenreich Gmbh & Co Kg, 4000 Duesseldorf, De | |
US5293954A (en) * | 1992-09-18 | 1994-03-15 | Trw Inc. | Power steering system |
US5357845A (en) * | 1993-06-24 | 1994-10-25 | Trw Inc. | Power steering system |
US5465805A (en) * | 1993-09-03 | 1995-11-14 | Trw Inc. | Power steering system |
-
1996
- 1996-02-28 US US08/608,138 patent/US5737995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
- 1997-02-27 JP JP53108197A patent/JP316544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2-27 AU AU21378/97A patent/AU703713B2/en not_active Ceased
- 1997-02-27 BR BR9707737-2A patent/BR9707737A/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02-27 DE DE69729545T patent/DE69729545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02-27 EP EP97906776A patent/EP0879361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02-27 KR KR10-1998-0706781A patent/KR10038187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02-27 WO PCT/US1997/003004 patent/WO1997032134A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35068A (en) * | 1989-09-04 | 1992-08-04 | Jidosha Kiki Co., Ltd. | Hydraulic reaction device for power steer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0879361A1 (en) | 1998-11-25 |
WO1997032134A1 (en) | 1997-09-04 |
JP3165448B2 (ja) | 2001-05-14 |
DE69729545D1 (de) | 2004-07-22 |
EP0879361A4 (en) | 2000-08-23 |
DE69729545T2 (de) | 2005-08-25 |
EP0879361B1 (en) | 2004-06-16 |
AU2137897A (en) | 1997-09-16 |
US5737995A (en) | 1998-04-14 |
KR20000004905A (ko) | 2000-01-25 |
BR9707737A (pt) | 2000-01-04 |
AU703713B2 (en) | 1999-04-01 |
JPH11512685A (ja) | 1999-1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302267B1 (en) | Power steering system | |
JPH0679895B2 (ja) | 液圧作動舵取り装置 | |
JPH0329626B2 (ko) | ||
US5194053A (en) | Rotational speed differential responsive type control coupling with variable transfer torque control means | |
KR100203980B1 (ko) | 파워 조향 시스템 | |
US5293954A (en) | Power steering system | |
KR100381872B1 (ko) | 밸브요소사이에가변바이어스를구비하는동력식조향장치 | |
EP0667280B1 (en) | Power steering system | |
US5667034A (en) | Power steering system | |
JPH0437026Y2 (ko) | ||
US6105711A (en) | Power steering system | |
JP3607895B2 (ja) | 車用の流体パワー支援のラック・ピニオンステアリング装置 | |
JPH0437823Y2 (ko) | ||
CA2247260A1 (en) | Power steering system with a variable bias between valve elements | |
JP2622359B2 (ja) | 車のステアリング装置 | |
JPH0623498Y2 (ja) | 車速応動弁 | |
JPH032112B2 (ko) | ||
JPH0631002B2 (ja) | 動力舵取装置の操舵力制御装置 | |
JPH0147352B2 (ko) | ||
JPS62221970A (ja) | 動力舵取装置の操舵力制御装置 | |
JPH11301505A (ja) |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 |
JPH06179370A (ja) | 油圧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 |
JPH11157458A (ja) |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 |
JPH11334621A (ja) |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 |
JPH11139330A (ja) |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