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1758B1 - 키보드 스위치 - Google Patents

키보드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1758B1
KR100381758B1 KR10-2000-7008393A KR20007008393A KR100381758B1 KR 100381758 B1 KR100381758 B1 KR 100381758B1 KR 20007008393 A KR20007008393 A KR 20007008393A KR 100381758 B1 KR100381758 B1 KR 100381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key top
support plate
return spring
low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8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6091A (ko
Inventor
가미시마오사무
Original Assignee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에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6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1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17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66Arrangements for reducing the size of the integrated keyboard for transport, e.g. foldable keyboards, keyboards with collapsible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 H01H3/122Push-buttons with enlarged actuating area, e.g. of the elongated bar-type; Stabilising means therefor
    • H01H3/125Push-buttons with enlarged actuating area, e.g. of the elongated bar-type; Stabilising means therefor using a scissor mechanism as stabili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덮개(29)를 덮는 조작으로 연동하여 스위치 시트(3)와 지지판(18) 중 어느 한 가지를 대기위치로부터 후퇴위치로 슬라이딩시켜, 후퇴위치에서 복귀 스프링(24)의 일부를, 스위치 시트(3)에 형성한 후퇴 구멍(17)내로 수용한다. 덮개(29)를 덮을 때에 키톱(2)을 하강시켜 스위치 시트(3)와의 간격이 좁아져도, 복귀 스프링(24)의 일부를 스위치 시트(3)내로 후퇴시키므로 탄성변형시키지 않고 복귀 스프링(24)을 후퇴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키보드 스위치{KEYBOARD SWITCH}
키톱이 수납을 위하여 하강하는 키보드 스위치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도7∼도9는 이 종래의 키보드 스위치(100)의 요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다수의 키톱(102)을 지지하는 지지판(107)과 각 키톱(102)과의 사이에 제1링크 부재(101a)와 제2링크 부재(101b)로 이루어지는 크로스 링크(101)가 설치되어 있다.
제1링크 부재(101a)와 제2링크 부재(101b)는 각각 'ㄷ'자 형태로 성형된 것으로서, 중간의 회전지점(101c)에서 서로 회전이 자유롭도록 연결되어 있다.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링크 부재(101a)의 지지판(107)측 일단은 지지판(107)의 지지돌기에 축연결된 힌지단부(hinge 端部)(110)가 되고, 키톱(102)측 타단은 키톱(102)의 배면에 형성된 가이드부(105)에 결합됨으로써 좌우로 이동이 자유로우며 회전도 자유로운 이동단부(111)가 된다. 또한 제2링크 부재(101b)의 지지판(107)측 일단은 긴 결합구멍에 축연결된 이동단부(112)가 되고, 키톱(102)측 타단은 키톱(102)의 배면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연결된 힌지단부(113)가 된다.
키톱(102)이 압압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 제7도에 나타내는 대기위치에 있어서, 키톱(102)의 하방에는 복귀 스프링으로서 작용하는 엎어진 사발모양의 고무 탄성부(114)가 배치되어 키톱(102)의 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된 압압부(106)의 하면에 접하고 있다.
엎어진 사발모양의 고무 탄성부(114)는 스위치 시트(103)상에 적층된 고무 시트(104)에 일체로 형성되며, 엎어진 사발모양의 고무 탄성부(114)보다 더욱 하방의 스위치 시트(103)에는 멤브레인 스위치부(103a)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고무 시트(104)와 스위치 시트(103)는 일체로 지지판(107)상을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키톱(102)을 상방으로부터 압압하면, 키톱(102)은 크로스 링크(101)로 안내되어 크게 경사지지 않고 거의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강하여 그 결과,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톱(102)의 압압부(106)가 엎어진 사발모양의 고무 탄성부(114)를 굴곡시켜 멤브레인 스위치(103a)를 온(ON)동작시킨다.
이 키보드 스위치가 부착되는 기기 케이스에는, 복수의 키톱(102) 전체를 덮는 덮개(115)가 회전이 자유롭도록 연결되어 있다. 도9에 나타내는바와 같이, 덮개(115)를 덮으면 그 덮기 조작과 연동하여 고무 시트(104)와 스위치 시트(103)가 키톱(102)을 지지하는 지지판(10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도면중에서 왼쪽으로 슬라이딩하여, 엎어진 사발모양의 고무 탄성부(114)는 키톱(102)의 수납 오목부(116) 하방으로 후퇴한다. 엎어진 사발모양의 고무 탄성부(114)가 후퇴함으로써 키톱(102)과 크로스 링크(101)는 자중(自重)으로 낙하하여 전체가 낮아지며 또한 키톱(102)이 낙하하여도 멤브레인 스위치부(103a)는 온동작을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덮개(115)를 덮을 때에 엎어진 사발모양의 고무 탄성부(114)를 키톱(102)의 수납 오목부(116)내로 후퇴시키면, 노트북을 사용하지 않는 긴시간에 걸쳐 복귀 스프링인 엎어진 사발모양의 고무 탄성부(114)를 굴곡상태로 하는 일이 없고 또한 덮개(115)를 덮은 상태에서 노트북의 박형화(薄型化)가 도모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키보드 스위치에 있어서는, 덮개(115)를 덮은 상태에서 복귀 스프링(엎어진 사발모양의 고무 탄성부)(114)을 키톱(102)의 압압부(106)와의 간섭을 피하는 위치(수납 오목부(116))로 후퇴시키는 것 뿐이므로, 지지판(107)과 키톱(102)과의 간격은 엎어진 사발모양의 고무 탄성부(114)의 자유상태의 높이 이하로 할 수 없어 박형화 한계의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키톱(102) 저면에 압압부(106)와 수납 오목부(116)를 형성하기 위하여 키톱(102)이 대형화되어 키보드 스위치(100) 전체가 대형화되며, 또한 복귀 스프링(114)을 후퇴위치의 수납 오목부(116)까지 이동시키기에는 장거리를 슬라이딩시킬 필요가 있어 덮개(115)와 연동시키는 기구가 대형화되고 복잡화된다.
또한 복귀 스프링(114)을 일체로 구비하는 고무 시트(104)와 스위치 시트(103)의 전체를 일체로 슬라이딩 시키기 위해서는 큰 조작력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복귀 스프링(114)을 구비한 고무 시트(104)만을 스위치 시트(103)에 대하여 슬라이딩 시키는 것도 알려져 있지만 멤브레인 스위치(103)의 스위치부(103a)가 오작동할 염려가 있고, 또한 고무 시트(104)와 스위치 시트(103)와의 마찰을 피하게 위하여 폴리에스테르 시트 등을 사이에 끼울 필요가 있어 값이 비싸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덮개를 덮을 때에 복귀 스프링을 압축시키지 않고 박형화할 수 있는 키보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후퇴위치 구성으로 복귀 스프링을 후퇴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고, 가벼운 조작력으로 덮개를 개폐할 수 있는 키보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키톱(key-top)을 덮는 덮개가 구비된 노트형 컴퓨터 등의 키보드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덮개를 닫을 때에 키톱이 수납을 위하여 하강하는 키보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 실시예의 키보드 스위치(1)의 대기위치에 있는 키스위치(10)의 요부단면도,
도2는 도1의 대기위치로부터 키톱(2)이 눌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키스위치(10)의 요부단면도,
도3은 후퇴위치에 있는 키스위치(10)의 요부단면도,
도4는 키스위치(10)의 각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5는 덮개(29)를 열은 키보드 스위치(1)의 평면도,
도6은 도5의 연동기구를 확대한 요부평면도,
도7∼도9는 종래의 키보드 스위치(100)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7은 대기위치에 있는 키보드 스위치(100)의 요부종단면도,
도8은 대기위치로부터 키톱(102)이 압압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종단면도,
도9는 키보드 스위치(100)의 수납시를 나타내는 요부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키보드 스위치는, 기기 케이스내에 수용되는 지지판, 지지판의 지지돌기와 키톱의 사이에 부착되어 키톱을 상하로 자유롭게 안내하는 크로스 링크, 지지돌기를 피하여 지지판상에서 슬라이딩이 자유롭도록 배치되어 키톱의 하강에 의하여 동작하는 스위치부가 형성된 스위치 시트, 키톱 또는 크로스 링크에 일체로 부착되어 스위치 시트에 접하여 하강된 키톱을 상방으로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 키톱을 덮는 덮개의 덮기 조작과 연동하여 스위치 시트와 지지판 중 어느 한 가지를 타방에 대하여 대기위치로부터 후퇴위치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딩시키며 아울러 키톱을 하강시킨 상태로 하는 연동기구를 구비하여, 대기위치에서 키톱의 하강에 의하여 동작하는 스위치부를 키톱을 하강시킨 상태로 하여도 동작하지 않는 후퇴위치까지 슬라이딩시키는 키보드 스위치로서,
후퇴위치에서 복귀 스프링에 접하는 스위치 시트의 부위에 후퇴 구멍을 형성하여 복귀 스프링의 일부를 후퇴 구멍내로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기위치에서 키톱을 압압하면, 키톱의 하강에 의하여 스위치부가 동작하고 또한 압압을 해제하면 복귀 스프링에 의하여 키톱이 상승하여 스위치부의 동작이 해제된다.
덮개의 덮기 동작을 실시하면, 스위치부는 후퇴위치에서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하고, 덮기 동작과 연동하여 키톱을 하강시킨 상태로 하여도 동작하지 않는다. 또한 복귀 스프링의 일부는 스위치 시트의 후퇴 구멍으로 들어가 후퇴 구멍에 수용된다. 복귀 스프링은 접촉위치가 하강하고 키톱이 하강한 상태가 되어도 대기위치의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또한 키보드 스위치는, 크로스 링크에 일체로 형성되는 종동(從動) 톱니를 삽입시키는 결합 구멍을 스위치 시트에 형성하고, 스위치 시트 또는 지지판 중 어느 한쪽이 후퇴위치로 슬라이딩할 때에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결합 구멍의 후방 변을 종동 톱니에 접촉시켜서 크로스 링크를 하강시켜 키톱을 하강시키는 것이라도 무방하다.
스위치 시트 또는 지지판이 대기위치에서 후퇴위치로 이동하면, 결합 구멍의 후방 변이 종동 톱니에 접촉하여 크로스 링크를 하강시켜 키톱을 하강시킨다. 따라서 스위치 시트와 크로스 링크를 가공하는 것만으로 키톱을 하강상태로 하는 연동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키보드 스위치는, 복귀 스프링이 키톱 또는 크로스 링크로 외팔보 지지되는 가늘고 긴 판스프링이며, 대기위치에 있는 복귀 스프링의 자유단이 키톱의 하강에 의하여 스위치 시트의 스위치부를 압압하여 스위치부를 동작시키는 것이라도 무방하다.
스위치부를 압압하여 동작시키는 액추에이터를 복귀 스프링이 겸하고 있으므로, 부품수가 줄어들어 키보드 스위치의 구성이 단순화된다. 대기위치에 있어서도 복귀 스프링상에 액추에이터가 겹쳐져 있지 않으므로 키보드 스위치가 박형화된다.
또한 키보드 스위치는, 스위치 시트가 덮개의 개폐 조작과 연동하여 지지판에 대하여 대기위치와 후퇴위치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이라도 무방하다.
스위치 시트에는 스위치부가 형성되어 있을 뿐이므로 가벼운 조작력으로 대기위치로부터 후퇴위치로 슬라이딩시킬 수가 있다.
또한 키보드 스위치는, 스위치 시트에 슬라이딩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슬릿을 형성하여 지지판의 지지돌기를 슬릿에 관통시켜서 지지돌기에 의하여 스위치 시트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것이라도 무방하다.
스위치 시트는 슬릿에 지지돌기가 관통함으로써 별도로 안내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슬라이딩 방향으로 안내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키보드 스위치(1)를 도1∼도6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키보드 스위치(1)는 도1∼도4에 나타내는 키보드 스위치(10)를 금속판, 합성수지 등으로 구성한 지지판(18)위에 다수 배열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각 키스위치(10)는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톱(2), 크로스 링크(13), 멤브레인 스위치부(3a)가 형성된 스위치 시트(3)와 지지판(18)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키보드 스위치는 노트북의 키입력 디바이스로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5에 나타내는 노트북의 기기 케이스(14)에 부착되어 있고, 노트북을 사용하지 않는 수납시에는 기기 케이스(14)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부착된 덮개(29)의 덮기 조작으로 각 키스위치(10)의 키톱(2)이 덮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키톱(2)은 ABS수지 등의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이 키톱(2)의 저면의 후방(도1에 있어서 오른쪽)에는 내측 링크(7)의 후방을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한쌍의 U자 축받침부(6)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전방(도1에 있어서 왼쪽)에는 외측 링크(8)의 전방이 회전하며 슬라이딩이 자유롭도록 안내하는 한쌍의 가이드 받침부(5)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크로스 링크(13)는 각각 양측에 평행한 팔부(7a, 8a)를 일체로 구비한 한벌의 합성수지로 만든 내측 링크(7) 및 외측 링크(8)로 이루어지며, 양자는 양 팔부(7a, 8a)의 중앙에서 교차된 상태로 회전이 자유롭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 크로스 링크(13)는, 상기의 키톱(2) 바닥면과 지지판(18)에서 돌출된 지지돌기(11, 12) 사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링크(7, 8)는 일방이 힌지단부로, 타방이 이동단부로서 부착된다.
즉, 내측 링크(7)의 후방은, 팔부(7a, 7a)간을 연결하는 추축(樞軸)(7b)이 키톱(2)의 U자 축받침부(6)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결합되고, 전방은 팔부(7a, 7a)의 측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슬라이딩 돌기(7c)가 전방의 지지돌기(11)에 뚫려진 긴 구멍(11a)을 관통하여 회전과 전후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자유롭도록 지지된다. 또한 외측 링크(8)의 전방에는 양 팔부(8a)간을 연결하는 연결판(22)의 양측에 형성된 슬라이딩 돌기(8b)가 키톱(2)의 가이드 받침부(5)에 회전과 전후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이 자유롭도록 결합되며, 후방은 팔부(8a, 8a)의 측방에 형성된 추축(8c)이 후방의 지지돌기(12)에 뚫려진 원형 구멍(12a)을 관통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된다.
이와 같이 키톱(2) 바닥면과 지지판(18)에서 돌출된 지지돌기(11, 12) 사이에 크로스 링크(13)를 연결함으로써, 키톱(2)은 수평상태를 유지한 채로 크로스 링크(13)에 의하여 상하 움직임이 자유롭게 안내된다.
내측 링크(7)의 팔부(7a, 7a)의 전방에는 전방 지지돌기(11)에 의하여 지지되는 위치보다 더욱 비스듬한 하방으로 종동 톱니(15)가 원호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외측 링크(8)의 연결판(22)의 중앙에는 가늘고 긴 띠모앙의 판스프링 조각(24)이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 판스프링 조각(24)은 연결판(22)의 후방으로 외팔보 지지되며, 하단이 되는 자유단측의 바닥면에는 스위치 시트(3)의 표면과 탄성 접촉하는 원추형의 접촉부(24a)가 타출형성(打出形成)되어 있다.
도1에 나타내는 대기위치에서, 접촉부(24a)에 접하는 스위치 시트(3)의 위치에는 멤브레인 스위치부(3a)와 그 상방에 탑재된 접시 스프링(4)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부가 형성되어 있다.
멤브레인 스위치부(3a)는, 상하의 가요성(可撓性) 시트상에 인쇄된 가동접점(可動接點)과 고정접점(固定接點)으로 이루어지며, 상하의 가요성 시트가 절연 스페이서를 끼워서 적층됨으로써 서로 좁은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접시 스프링(4)은 탄성금속판을 원판 접시모양으로 구부린 것으로, 그 주위를 가요성 시트로 접착함으로써 멤브레인 스위치부(3a)상에 고착되어 있다.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 시트(3)는 지지판(18)상에서 지지판(18)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자유롭도록 배치되는 것으로서, 지지판(18)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전방 지지돌기(11) 및 후방지지돌기(12)에 간섭받지 않고 슬라이딩하도록, 전방 지지돌기(11) 및 후방 지지돌기(12)의 돌출하는 위치에 안내 슬릿(19)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 슬릿(19)은 폭이 전방 지지돌기(11)와 후방 지지돌기(12)의 두께보다 폭이 약간 넓고, 전후방향이 길이방향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위치 시트(3)는 지지돌기(11, 12)에 안내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전방 지지돌기(11)가 관통하는 안내 슬릿(19)의 내측에는 내측 링크(7)의 종동 톱니(15)를 관통시키는 결합 구멍(16)이 안내 슬릿(19)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종동 톱니(15)는 스위치 시트(3)가 전방으로(후퇴위치로) 슬라이딩할 때에 결합 구멍(16)의 후방 변(16a)에 접하여 상방으로 올려져 내측 링크(7)의 팔부(7a, 7a)를 슬라이딩 돌기(7c)를 중심으로 하강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스위치 시트(3)가 전방으로 슬라이딩한 후퇴위치에서, 판스프링 조각(24)의 접촉부(24a)가 탄성접촉하는 스위치 시트(3)의 부위 즉, 멤브레인 스위치부(3a)의 약간 후방의 위치에는 원형의 후퇴 구멍(17)이 형성되어 있고, 후퇴위치에서의 판스프링 조각(24)의 일부를 수용하고 있다.
지지판(18)은 기기 케이스(14)내에 고정되어 수용되는 것으로, 각 키스위치(10)마다 그 대응부위에 상기의 전방 지지돌기(11)와 후방 지지돌기(12)가 각 한쌍 돌출되어 있다. 이 전방 지지돌기(11)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형성되는 구멍(11b)에는 도1과 같이 대기위치에서 결합 구멍(16)을 관통한 내측 링크(7)의 종동 톱니(15)의 선단이 수용되어 있다.
도5,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 시트(3)는 기기 케이스(14)의 덮개(29)와의 연결부에 설치된 변환기구에 의하여 덮개의 개폐조작으로 연동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다.
이 변환기구는 덮개(29)를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하는 추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원주캠(25)을 구비하며, 원주캠(25)에 뚫려 있는 크랭크(crank)모양의 캠홈(25a)에 슬라이더(26)의 피동부(被動部;follower)(26a)를 그 안쪽으로부터 관통시키고 있다. 슬라이더(26)에는 금속박판을 역'L'자 모양으로 성형한 슬라이드 앵글(27)이 고착되며, 이 슬라이드 앵글(27)의 내측을 따라 휘어진 홈 내로, 도면에서 상방과 좌방에 있어서 스위치 시트(3)의 변을 협지하여 고정하고 가요성 스위치 시트(3)를 슬라이드 앵글과 함께 슬라이딩 시키고 있다. 그 결과, 덮개(29)가 개폐조작에 의하여 회전하면 슬라이더(26)는 전후(도면의 좌우)로 왕복직선운동을 하는 것으로서 슬라이더(26)와 함께 스위치 시트(3)가 전후로 슬라이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키보드 스위치(1)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1은 덮개(29)를 열고 키톱(2)에 압력을 가하고 있지 않은 대기위치를 나타내며, 키스위치의 입력조작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대기위치에서 판스프링 조각(24)의 접촉부(24a)는 접시 스프링(4)에 탄성접촉되어 외측 링크(8)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리고 있다. 그 결과 키톱(2)은 크로스 링크(13)에 의하여 가장 높은 위치로 지지된다.
키톱(2)을 압압하면 키톱(2)은 크로스 링크(13)에 의하여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강하고,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스프링 조각(24)의 접촉부(24a)가 접시 스프링(4)을 압압하여 굴곡시킨다. 이 접시 스프링(4)의 굴곡에 의하여 멤브레인 스위치부(3a)의 가동접점은 고정접점에 접촉되어 스위치부가 온동작한다.
키톱(2)의 압압을 해제하면 접시 스프링(4)은 자신의 탄성으로 복귀하여 스위치부는 오프(OFF)된다. 또한 크로스 링크(13)는 복귀하고자 하는 판스프링 조각(24)의 압력에 의하여 올라가고, 도1의 대기위치로 키톱(2)이 복귀한다.
이 키보드 스위치(1)를 기기 케이스(14)에 수용하기 위하여 덮개(29)를 덮는 조작을 하면 덮개(29)의 닫히는 회전에 의하여 슬라이더(26)와 함께 좌방으로 이동하는 도5에 있어서의 스위치 시트(3)는 파선으로 나타내는 대기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내는 가장 좌방의 후퇴위치까지 슬라이딩한다.
이 때, 스위치 시트(3)는 지지판(18)에 부착된 크로스 링크(13)에 대하여 좌방으로 이동하므로 결합 구멍(16)의 후방 변(16a)은 종동 톱니(15)에 접하여지고, 도3에 있어서의 내측 링크(7)의 팔부(7a)를 슬라이딩 돌기(7c)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 결과 크로스 링크(13)가 하강하여 키톱(2)이 하강하며 덮개(29)로 키톱(2)을 덮은 기기 케이스(14)의전체를 박형화할 수 있다.
도3의 후퇴위치에 있어서 판스프링 조각(24)의 접촉부(24a)는 스위치 시트(3)의 후퇴 구멍(17)내에 수용된다. 그 결과 판스프링 조각(24)을 거의 자유상태로 그대로 기기 케이스(14)내에 수용할 수 있고, 탄성변형시킨 채로 판스프링 조각(24)을 수용하지 않으므로 피로 혹은 소성변형(塑性變形)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판스프링 조각(24)의 접촉부(24a)에 있었던 접시 스프링(4)과 멤브레인 스위치부(3a)는 스위치 시트(3)의 좌방으로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좌방으로 후퇴하므로 스위치부가 키톱(2)의 하강으로 오동작하지 않는다.
키보드 스위치(1)를 사용하기 위하여 덮개(29)를 열면 슬라이더(26)와 스위치 시트(3)는, 도5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후퇴위치로부터 파선으로 나타내는 대기위치로 오른쪽으로 슬라이딩한다.
그 결과, 종동 톱니(15)에 접하고 있던 결합 구멍(16) 후방 변(16a)은 오른쪽으로 후퇴하고, 종동 톱니(15)로부터의 구속이 해제된다. 동시에 스위치 시트(3)의 슬라이더에 의하여 판스프링 조각(24)의 자유단은 후퇴 구멍(17)으로부터 벗어나고, 접촉부(24a)가 스위치 시트(3)상에서 탄성접촉한다. 그 결과 판스프링 조각(24)의 탄성에 의하여 크로스 링크(13)가 올라가며, 키톱(2)은 대기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스위치 시트(3)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접시 스프링(4)과 멤브레인 스위치부(3a)는 판스프링 조각(24)의 접촉부(24a)의 하방으로 되돌아오고, 지지판(10) 전체가 도1의 대기위치로 복귀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가 있고, 예를 들면 덮개의 개폐조작으로 스위치 시트(3)를 이동시키고 있지만 스위치 시트에 대하여 지지판(18)을 이동시켜도 무방하다.
또한 키톱(2)을 복귀시키는 판스프링 조각(24)은, 스위치부를 동작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겸하고 있지만, 복귀 스프링으로서 작용하는 판스프링 조각(24)과 별도로, 키톱(2) 혹은 크로스 링크(13)에 스위치부를 압압하는 액추에이터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멤브레인 스위치부(3a) 의 ON동작을 유지하기 위하여 반전하는 접시 스프링(4)을 사용하고 있지만, 반드시 스위치부에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덮개의 개폐조작과 연동하여 스위치 시트를 슬라이딩시키는 연동기구로서 원주캠(25)과 피동부(26)를 사용하고 있지만, 베벨 기어(bevel gear) 등을 사용한 다른 연동기구를 사용하여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기 케이스(14)내에 키톱(2)을 수용시킬 때에, 복귀 스프링(24)을 자유로운 상태에 가까운 상태에서 키톱(2)을 하방으로 후퇴시킬 수 있어 키보드 스위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키보드 스위치의 기기 케이스(14)로의 수납시에, 특별히 복잡한 구성을 설치하지 않고, 슬라이딩하는 스위치 시트(3) 혹은 지지판(18)을 이용하여 키톱(2)을 하강시킨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키톱(2)이 닫혀진 덮개(29)에 간섭받는 일이 없어 덮개(29)의 안측에 배치된 액정 디스플레이를 파손시키거나 반대로 덮개(29)에 의하여 키톱(2)이 파손되는 일은 없다.
또한 스위치부를 압압하여 동작시키는 액추에이터를 복귀 스프링에서 겸하고 있으므로 부품수가 줄어들어 키보드 스위치의 구성이 단순해진다.
또한 스위치 시트가 슬라이딩하는 것만으로 복귀 스프링을 후퇴시킬 수 있으므로 가벼운 조작력으로 덮개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안내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스위치 시트를 슬라이딩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키보드 스위치는 노트북, 휴대용전화기 등 박형화가 요구되는 포터블 전자기기에 구비되는 입력장치로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6)

  1. 기기 케이스(14)내에 수용되는 지지판(18)과,
    지지판(18)의 지지돌기(11, 12)와 키톱(key-top)(2)의 사이에 부착되어 키톱(2)을 상하로 자유롭게 안내하는 크로스 링크(13)와,
    지지돌기(11, 12)를 피하여 지지판(18)상에서 슬라이딩이 자유롭도록 배치되어 키톱(2)의 하강에 의하여 동작하는 스위치부(3a)가 형성된 스위치 시트(3)와,
    키톱(2) 또는 크로스 링크(13)에 일체로 부착되어 스위치 시트(3)에 접하여 하강된 키톱(2)을 상방으로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24)과,
    키톱(2)을 덮는 덮개(29)의 덮기 조작과 연동하여 스위치 시트(3)와 지지판(18) 중 어느 한 가지를 타방에 대하여 대기위치로부터 후퇴위치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딩시키며 아울러 키톱(2)을 하강시킨 상태로 하는 연동기구(25, 26)를 구비하여,
    대기위치에서 키톱(2)의 하강에 의하여 동작하는 스위치부(3a)를 키톱(2)을 하강시킨 상태로 하여도 동작하지 않는 후퇴위치까지 슬라이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스위치로서,
    후퇴위치에서 복귀 스프링(24)에 접하는 스위치 시트(3)의 부위에 후퇴 구멍(17)을 형성하여 복귀 스프링(24)의 일부를 후퇴 구멍(17)내로 수용하고,
    상기 복귀 스프링(24)은 키톱(2) 또는 크로스 링크(13)로 외팔보 지지되는 가늘고 긴 판스프링이며, 대기위치에 있는 복귀 스프링(24)의 자유단(24a)이 키톱(2)의 하강에 의하여 스위치 시트(3)의 스위치부(3a)를 압압하여 스위치부(3a)를 동작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크로스 링크(13)에 일체로 형성되는 종동(從動) 톱니(15)를 삽입시키는 결합 구멍(16)을 스위치 시트(3)에 형성하고, 스위치 시트(3) 또는 지지판(18) 중 어느 한쪽이 후퇴위치로 슬라이딩할 때에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결합 구멍(16)의 후방 변(16a)을 종동 톱니(15)에 접촉시켜서 크로스 링크(13)를 하강시켜 키톱(2)을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스위치.
  3. 삭제
  4. 삭제
  5. 기기 케이스(14)내에 수용되는 지지판(18)과,
    지지판(18)의 지지돌기(11, 12)와 키톱(key-top)(2)의 사이에 부착되어 키톱(2)을 상하로 자유롭게 안내하는 크로스 링크(13)와,
    지지돌기(11, 12)를 피하여 지지판(18)상에서 슬라이딩이 자유롭도록 배치되어 키톱(2)의 하강에 의하여 동작하는 스위치부(3a)가 형성된 스위치 시트(3)와,
    키톱(2) 또는 크로스 링크(13)에 일체로 부착되어 스위치 시트(3)에 접하여 하강된 키톱(2)을 상방으로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24)과,
    키톱(2)을 덮는 덮개(29)의 덮기 조작과 연동하여 스위치 시트(3)와 지지판(18) 중 어느 한 가지를 타방에 대하여 대기위치로부터 후퇴위치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딩시키며 아울러 키톱(2)을 하강시킨 상태로 하는 연동기구(25, 26)를 구비하여,
    대기위치에서 키톱(2)의 하강에 의하여 동작하는 스위치부(3a)를 키톱(2)을 하강시킨 상태로 하여도 동작하지 않는 후퇴위치까지 슬라이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스위치로서,
    후퇴위치에서 복귀 스프링(24)에 접하는 스위치 시트(3)의 부위에 후퇴 구멍(17)을 형성하여 복귀 스프링(24)의 일부를 후퇴 구멍(17)내로 수용하고,
    스위치 시트(3)가 덮개(29)의 개폐 조작과 연동하여 지지판(18)에 대하여 대기위치와 후퇴위치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스위치.
  6. 제5항에 있어서,
    스위치 시트(3)에 슬라이딩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슬릿(19)을 형성하여 지지판(18)의 지지돌기(11, 12)를 슬릿(19)에 관통시켜서 지지돌기(11, 12)에 의하여 스위치 시트(3)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스위치.
KR10-2000-7008393A 1999-12-17 1999-12-17 키보드 스위치 KR1003817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9/007109 WO2001044917A1 (fr) 1999-12-17 1999-12-17 Interrupteur de clav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091A KR20010106091A (ko) 2001-11-29
KR100381758B1 true KR100381758B1 (ko) 2003-04-26

Family

ID=14237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8393A KR100381758B1 (ko) 1999-12-17 1999-12-17 키보드 스위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97461B1 (ko)
EP (1) EP1164463A4 (ko)
JP (1) JP3501450B2 (ko)
KR (1) KR100381758B1 (ko)
WO (1) WO20010449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41512B (en) * 2000-12-13 2005-10-11 Darfon Electronics Corp Key device having scissors-type flexible structure
JP3652254B2 (ja) * 2001-01-23 2005-05-25 韓国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
KR100419055B1 (ko) * 2001-08-31 2004-02-19 한국에스엠케이 주식회사 키스위치
US7417565B2 (en) * 2005-09-13 2008-08-26 Research In Motion Limited Keyboard for hand-held devices
KR100867608B1 (ko) * 2007-08-21 2008-11-10 한국과학기술원 접이식 휴대용 단말기
US8314353B2 (en) * 2009-10-05 2012-11-2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Keypad for a mobile device
US8735753B2 (en) * 2012-06-18 2014-05-27 Microsoft Corporation Keyboard having retracting keys for storage
JP6430333B2 (ja) * 2015-06-01 2018-11-2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押圧操作装置
JP2017016906A (ja) 2015-07-01 2017-01-19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装置及びキーボード
US10101774B2 (en) * 2017-03-03 2018-10-16 Dell Products, L.P. Mechanical actuation of retractable keyboard
US10965287B2 (en) * 2018-12-20 2021-03-30 Dexin Electronic Ltd. Replaceable key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6214A (ja) * 1983-04-08 1984-10-23 富士通株式会社 押釦スイツチ
JPH0465037A (ja) * 1990-07-04 1992-03-02 Nakajima All Precision Kk キーボード
JP3139580B2 (ja) * 1992-09-01 2001-03-0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
TW367513B (en) * 1992-06-11 1999-08-21 Alps Electric Co Ltd Key switch
US5914468A (en) * 1996-08-23 1999-06-22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Keyboard unit and key switch
US5770824A (en) * 1996-11-19 1998-06-23 Chicony Electronics Co., Ltd. Key switch arrangement for notebook computers
US5971637A (en) * 1996-12-10 1999-10-2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ow profile keyboard
JPH10188720A (ja) * 1996-12-26 1998-07-21 Smk Corp キーボードスイッチ
JP3457568B2 (ja) * 1999-03-26 2003-10-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64463A1 (en) 2001-12-19
KR20010106091A (ko) 2001-11-29
US6297461B1 (en) 2001-10-02
WO2001044917A1 (fr) 2001-06-21
JP3501450B2 (ja) 2004-03-02
EP1164463A4 (en) 2003-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2143B1 (ko) 키보드장치및,그키보드장치를사용한퍼스널컴퓨터
JP3701548B2 (ja) キーボードスイッチ
KR100381758B1 (ko) 키보드 스위치
US5874696A (en) Key switch, keyboard and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with keyboard
KR100392822B1 (ko) 복합 조작스위치
US5767464A (en) Electronic device low profile keyboard switch assembly with deployed and stored actuating mechanism
US7034718B2 (en) Keyboard with elevated keys
EP1898435B1 (en) Switch and contact modules therefor
US6222144B1 (en) Pushbutton switch
US6590565B2 (en) Keyboard unit having pop-up key-tops and electronic apparatus incorporating the keyboard unit
US10599187B2 (en) Electronic device
US6118092A (en) Key switch for keyboard
EP2149892A2 (en) Miniature switch
JPH09259684A (ja) キーボード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6618239B2 (en) Key switch and keyboard
US4447681A (en) Switch key assembly having improved switch actuation
US5117076A (en) Quieting device for keytop leveling mechanisms
US6653585B2 (en) Key switch
CN210015808U (zh) 按键结构
JP4653001B2 (ja) スイッチ装置
KR100206381B1 (ko) 키보드
EP1343182B1 (en) Keyswitch device, keyboard with the keyswitch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with the keyboard
TW448456B (en) Keyboard switch
JPH08255043A (ja) キーボード装置
CN113268107A (zh) 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